캬오의 공부방
14.8K subscribers
1.95K photos
29 videos
569 files
10.4K links
아이투자에서 캬오라는 필명으로 활동했고, 밸류스타에서 기획/운영으로 잠깐 일하다가 생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은 자료를 스크랩하기 위한 채널입니다. 열심이 할때도 있고 슬슬 할때도 있습니다. 비정기적 방학이 있습니다만, 채널은 닫지 않습니다. 댓글달아주시면 투자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인생고민도 상담해드립니다 :)
블로그:https://coconx.tistory.com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인베스퀴즈]
#임플란트 #디지털덴티스트리 #CARECAPITAL

역사적으로 치과산업은 1인당 GDP $1만 돌파 전후 폭발적 성장. 현재 중국인 1인당 치과 지출 비용 약 110위안으로 여전히 1978년 미국 1인당 $50 대비 낮은 수준. 1만명당 임플란트 개수는 한국 600개/독일 157개/대만 120개/미국 95개 대비 낮은 22개. 낮은 보급률 이유로 임플란트 관련 의료보험 미존재/임플란트 필요성 최근 대두/임플란트 식립 가능 의사수·병원 부족.

정부정책은 구강 위생 중시하며 관련 정책 통해 산업 발전 촉진. 구강검진을 일상적인 신체검사에 통합하고, 유치원/초중고교에서 구강건강교육을 실시하며 국민 구강 건강 중요도를 고취. 구강 진료소 설립 규제 완화/민간 자본 유입 통해 적절한 사회자본 배분. 특히, 어린이 구강 검진 치료는 치과 방문 인구는 물론 차세대 치과 방문 습관 형성에 큰 의미.

임플란트 가격 평균 1만위안 가정해 계산시 연간 약310억 위안(19년 임플란트 식립개수 311.95만개 x 1만위안, 약6조원) 시장 규모 추정. 시장규모 확대로 CAGR 25% 수준 성장세와 중국 치과 보험 체계/문화 비슷한 대만 수준 식립 개수 증가 가정시, 26-27년 연간 약 1,500만개 임플란트 수요 예상. 임플란트 1개당 약 1,000위안 보조 가정시 1조위안 필요하나, 현재 중국 의료보험 기금 누적 잔액 약 3조위안 대비 당장 임플란트 관련 건강보험 적용 어려울 예상. 다만, 민간보험에서 임플란트 관련 상품 다양하게 출시 중으로 민간 중심 치과 보험 시장 또한 확대 예상.

https://dailydental.co.kr/news/article.html?no=117209
Forwarded from [인베스퀴즈]
#디지털덴티스트리 #ALIGN #CARECAPITAL

글로벌 치아교정시장은 20년 11% CAGR로, 27년 $72억1600만 예상. 교정치료 가능 치과의사 수 증가/고급 영상기법과 치과용 AI기반 치료 소프트웨어 채택/치열 교정 치료 품질 향상 진행 중. 치아교정 접근성 대폭 개선되고, 심미적 기능 더해 수요 급증 예상.

디지털 기반 치료 위해 수작업 위한 보조장치 위주 시장에서 3D프린터/구강스캐너/PTE기반 투명교정장치 소재 등 변화 진행 중. 물리적으로 치과가 아닌 B2C형식 온라인 통한 치료 플래닝 모델 증가. B2C방식은 환자가 치과를 방문하지 않고도 온라인 통한 진료로 편리하며 가격또한 저렴.

중국의 19년 치아교정은 276만건/12년 13만건 대비 큰 증가 추세. 치아교정 비중은 약 25-30%로 높은 비중을 지니며, 투명교정 역시 19년 30만건/12년 1만건 대비 대폭 증가 및 약 30%CAGR. 교정시장내 10% 넘는 비중 차지하고 있으며, 디지털 덴탈 보급 통해 성장세는 더욱 확대 예상.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169
Forwarded from [인베스퀴즈]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디지털덴티스트리

임플란트 VBP가 어려운 이유는 복잡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환경과 직결. 현재 중국 시장에서 치과 임플란트 소모품/수술 비용은 약 4:1 수준, 그 중 임플란트-수술 비용이 전체 비용의 75% 이상 차지. 중국산 제품이 저렴하나 아직 입증된 바가 적기 때문에, 의사들이 수입 임플란트를 선호. 또한 임플란트 수술은 제품 품질뿐만 아니라 의사의 기술에 영향을 많이 받음. 반면 중국 내 수준 높은 치과의사들이 부족, 18년 중국 인구 100만 명당 치과의사 수는 156명에 불과. 이탈리아/프랑스/ 미국/영국의 100만 명당 치과의사 수 827명/647명/611명/369명 대비 매우 적은 수치. 중국 치과의사 중 11%만이 치과 임플란트 자격 보유,한국 80%/미국 22% 비율로 임플란트 자격 보유.

기존에 의료용 소모품의 VBP와 달리 임플란트는 공공 의료체계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의료미용에 속하고 소비성도 강함. 또한 공립병원의 임플란트 1개 가격이 12,000-25,000위안인 반면 사립병원 임플란트는 더 저렴한 8,000-20,000위안 사이 형성, 공립병원의 높은 운영비 때문. 임플란트 시장을 주도하는 민간이 임플란트 VBP를 추진할 동기가 없는 상태, 임플란트 본체 가격은 임플란트 수술 비용의 3-50% 정도 차지. 즉, 수술 비용의 대부분은 의사의 인건비. 따라서 브랜드/사양이 동일하더라도 수술 비용이 2-3,000위안 천차만별 차이 가능. 임플란트 본체 가격은 낮출 수 있겠으나 인건비 논외로 계획하기엔 어려움 존재. 즉 임플란트 수술이 민간 의료기관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 전문의 인건비 절감이 어렵다는 이유로 가격 인하를 보장하기 어려움.

현재 로컬 임플란트 기술은 주로 표면처리 기술/가공 정밀도에 따라 제품의 전체 수명과 성능이 결정. 본래 임플란트 시스템에는 저마다 호환되는 임플란트 도구가 있고, 고급 브랜드들이 주로 이런 호환성을 기반으로 생태계 구성. 반면 로컬 임플란트 제품들은 생태계 구성이 미숙한 단계. 더불어 로컬 브랜드의 늦은 시장 진출로 인해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스틱 임플란트 소모품이 거의 없고, 임플란트는 임상 데이터에 의존하는 제품이고 고급 재료일수록 임상 증거가 필수적. 즉, 중국산 재료는 임상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제품 자체의 상업화/기술적 반복에도 영향을 미침. 이처럼 임플란트 공급 부족은 임플란트 VBP에서 가격 협상 조건의 어려움으로 귀결.

그럼에도 중국이라는 특성 상 보수적인 뷰로 접근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정부 정책과 이어진 산업의 내수화/그에 따른 단가 인하 이슈는 대부분 기획대로 진행되었기 때문. 특히나 헬스케어 산업 부분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중국 내 임플란트 산업 전반적인 디지털덴티스트리화/내수화 움직임을 간과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원재료 강점을 기반으로 민간 부분에서 대형화/체인화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 이렇듯 대형화/디지털화가 구축되간다면 글에서 언급 된 원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 부분은 점진적으로 해결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기업 입장에선 정부의 보조금을 깔고 사업 확장이 가능한 전기차 산업과 동일하게 굴릴 수 있다는 이야기. 중국 시장의 특성과 현재 플레이어들의 방향을 좀 냉정하게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http://news.chinamedevice.cn/20220311/56432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