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리서치센터
16.2K subscribers
1.7K photos
9 files
15K links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Jonghyun Kim)
★ [키움 허혜민] ★ 셀트리온: 관세와 외부 CMO 공급 영향으로 하회 전망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3만 원 하향

실적은 관세 선제 대응과 외부 CMO 공급이 1분기에 대체로 몰릴 것으로 예상되고, 램시마와 같은 기존 제품의 매출이 부진하여 시장 기대치 하회 예상. (추정 이익 1,638억 원 vs 컨센서스 2,417억 원)

기대했던 원가율 개선이 전분기 대비해서는 보이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 다소 아쉽지만, 주가는 이미 이를 반영하여 YTD -13% 하락해 실적에 대한 기대감은 낮은 편.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제품 번들링 효과 및 원가율 개선을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98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4/15, 장 시작 전 생각: 공기 정화, 키움 한지영]

- 다우 +0.8%, S&P500 +0.8%, 나스닥 +0.6%
- 엔비디아 -0.2%, 애플 +2.2%, 팔란티어 +4.6%, 포드 +4.1%,
- 미 10년물 금리 4.36%, 달러 인덱스 99.4pt, 달러/원 1,420.4원

1.

어제 미국 증시는 결과만 놓고 보면 상승이었지만, 장중 요동을 치는건 여전하네요.

반도체 관세 면제 소식으로 장 초반 1% 넘는 상승세를 보였던 미국 증시는,

장 중 트럼프의 의약품 관세 발언, 뉴욕 연은은 기대인플레 상승 등으로 음전을 했다가,

이후 스캇 베센트 장관과 매파 윌러 연준 이사의 시장 친화적인 발언 등으로 공방전을 벌인 끝에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2.

그래도 지금 주요국 증시를 보면, 4월 7~8일 폭락장을 기점으로 반등하며 일제히 주가 복원에 나서고 있네요

(14일 기준 지난 7~8일 저점대비 상승률, 코스피 +7.0%, 나스닥 +10.2%, 닛케이 +8.9%, 닥스 +6.5%).

아직까지 관세 리스크에서 주식시장이 자유롭지 못한 것은 맞지만,

“모든 국가 대상 보편관세+상호관세”라는 가장 부정적인 시나리오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 + 여타 국가 협상모드”로 바뀌고 있다는 점은 위안 거리입니다.

반도체, 자동차 등 특정 제품 관세 역시 협상, 유예 여지가 있다는 점이나, 미 재무부, 연준 모두 시장 혼란 심화 시 개입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래서 향후 관세로 인한 주가 조정 혹은 변동성 확대 시 얼마전처럼 투매 동참이 아닌 분할 매수 혹은 보유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듭니다.

3.

오늘 국내 증시는 관세 노이즈 등으로 지수 회복 탄력이 제한될 듯 하고,

업종 측면에서는 트럼프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단기적으로 유예할 의사를 표명했다는 점이 국내 자동차 관련주에게도 단기 모멘텀이 제공할 전망입니다.

한편, 코스피는 지난 9일 저점(2,293pt) 당시 후행 PBR이 0.78배를 기록하며, 금융위기(0.81배)때보다 낮은 밸류에이션까지 내려갔다고 지금 PBR 0.83배까지 복원된 상황입니다.

그 가운데, 이번 반등장에서 조선(+15.4%), 기계(+14.4%), 상사, 자본재(+11.1%) 등 기존 주도주들의 반등폭이 상대적으로 컸네요.

4.

가만 생각해보면, 과거 경험 상 폭락 이후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기존 주도주는 탈락하고 새로운 주도주가 부상하는 기존의 사례와는 달리, 여전히 조선, 방산이 주도주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이는 아직 주식시장이 관세 위기 국면에서 완전히 벗어나진 못했음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 아닐까 싶습니다.

동시에 동시에 미국의 중국 조선업체 규제 발 반사 수주 모멘텀, 지정학 위기 상수화에 따른 자주 국방 모멘텀 등을 보유한 조선, 방산 업종의 증시 영향력은 쉽게 약해지지 않을 것임을 시사합니ㅣ다.

또 이번 반등장에서 외국인은 반도체(-4,720억원)를 중심으로 코스피에서 6,500억원 순매도를 기록 중이기는 해도,

업종 누적 순매수 상위권 1~2위를 상사, 자본재(+864억원), 조선(+765억원)가 차지했다는 점도 비슷한 맥락으로 봐야할지 싶네요.

이를 감안 시 지금처럼 트럼프 리스크가 온전히 소멸되지 못한 상황 속에서는 조선, 방산 등 주도주 비중을 적어도 시장 중립 이상으로 가져가는 것이 적절할 듯합니다.

———

얼마전 벚꽃과 눈을 함께 볼 수 있는 기현상에 대한 보답인지 몰라도,

일교차는 상당하지만 아침 공기는 제대로 정화된 듯 무척 맑네요.

주식시장도 트럼프가 만들어내는 기현상에서 벗어나 하루 빨리 정화됐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럼 오늘도 건강에 유의하시고,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키움 한지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6576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4/15)
(4/14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405.97 / 0.79%
NASDAQ 종합 16,831.48 / 0.64%
다우산업 40,524.79 / 0.78%
러셀2000 1,880.88 / 1.11%
필라델피아 반도체 4,003.22 / 0.31%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제약 (2.20%), 부동산 (2.11%), 하드웨어 (1.95%)
Low 3: 유통 (-0.52%), 반도체 및 장비 (-0.24%), 헬스케어 (0.00%)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제약 2.20%
부동산 2.11%
하드웨어 1.95%
식료품 1.84%
유틸리티 1.75%
보험 1.63%
음식료 및 담배 1.61%
통신 1.45%
가정용품 1.38%
운송 1.19%
상업 및 전문서비스 1.10%
소재 1.09%
금융 1.00%
자본재 0.99%
내구소비재/의류 0.86%
은행 0.69%
소프트웨어 0.46%
자동차 및 부품 0.45%
호텔/레저 0.36%
에너지 0.25%
엔터/미디어 0.09%
헬스케어 0.00%
반도체 및 장비 -0.24%

- 종목별 수익률
High 3: CRL (6.87%), ENPH (5.13%), PLTR (4.60%)
Low 3: HUM (-3.46%), DVA (-2.98%), LUV (-2.41%)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42%
Growth 0.53%
Quality 0.87%
High Dividend 1.86%
Low Votality 1.39%
Enhanced value 1.04%
Value 1.07%
High Beta 1.07%

- 주요 뉴스
US begins probes into pharmaceutical, chip imports, setting stage for tariffs
https://www.reuters.com/markets/us-initiates-section-232-investigations-into-pharmaceutical-semiconductor-2025-04-14/

Trump administration wants to halve State Dept budget, slash foreign aid 75%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administration-wants-halve-state-dept-budget-slash-foreign-aid-75-2025-04-14/

Trump administration cancels $3 billion climate-friendly farming program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administration-cancels-3-billion-climate-friendly-farming-program-2025-04-14/

US Republican senators ask Trump administration to reject Biden's AI chip rule
https://www.reuters.com/world/us/gop-senators-ask-trump-admin-withdraw-rule-that-would-limit-global-access-ai-2025-04-14/

Bessent says White House will start interviewing candidates for next Fed chair this fall
https://www.reuters.com/world/us/bessent-says-white-house-will-start-interviewing-candidates-next-fed-chair-this-2025-04-14/

Trump administration sued over tariffs in US Court of International Trade
https://www.reuters.com/business/trump-administration-sued-over-tariffs-us-court-international-trade-2025-04-14/

Trump health policy uncertainty sends biotech sector into deeper slump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health-policy-uncertainty-sends-biotech-sector-into-deeper-slump-2025-04-14/

Novo Nordisk warns consumers about counterfeit versions of Ozempic in U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novo-nordisk-warns-consumers-about-counterfeit-1-mg-dose-ozempic-us-2025-04-14/
[키움 글로벌 ETF 김진영]
New ETF Line-Up (04/15)

▲ ETF 3종 신규 상장: ①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②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③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

①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
-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미국 핵심 종목들에 투자하는 패시브 ETF
- 테슬라, 엔비디아가 이끄는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주도력을 확인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
- 기술 경쟁력(지능형 로봇)과 자본력(AI와 플랫폼/휴머노이드 개발 투자)이 뛰어난 기업에 분산 투자

②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 미국 휴머노이드 산업 밸류체인(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투자하는 패시브 ETF
- 미국 휴머노이드 산업은 성장 초기 단계에 있는 만큼, 산업 전반의 선순환적 성장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중요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 밸류체인의 고른 발전 과정에서 수혜 예상 종목 선별

③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
- 글로벌 휴머노이드 완성 기업 및 핵심 소부장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
- 15일 상장되는 3종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ETF 중 유일하게 미국 外 상장 기업들을 포함
- 휴머노이드로봇 부문은 유동시가총액가중방식, 액츄에이터/센서 부문은 동일가중방식을 활용하여 비중결정 방식을 혼용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TP625

감사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검 필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한국콜마 (161890)

➡️1Q25 Preview
- 매출액 6,405억원 (+11%), 영업이익 517억원 (+59%, OPM 8.1%)으로 시장예상치보다 소폭 상회 예상. 국내와 미국이 성장을 이끌 듯.

➡️ 법인별
- 국내 매출 2,827억원 (+14%), 영업이익은 295억원 (+29%, OPM 10.4%) 예상, 고객사들의 견조한 수출 수요 덕분.
- 중국 매출 385억원 (+11%), 영업이익은 19억원 (+7%, OPM 5%) 예상, 일부 현지 고객사향 수주 회복된 덕분.
- 미국 매출 207억원 (+195%), 영업이익은 10억원 (흑전, OPM 5%) 예상, 주요 고객사향 수주 견조했을 뿐 아니라 신규 고객사 유입된 덕분.
- 캐나다 매출 93억원 (+4%), 영업손실 19억원 (적지) 예상, 주요 고객사 수주 감소 영향.

➡️투자의견
- 국내 업황은 여전히 양호. 1분기 뿐 아니라 연간 실적도 성장세를 유지할 듯.
- 한편 해외 법인 중에서는 미국에 주목. 최근 기존 고객사에 더해 신규 고객사 유입이 본격화되면서 성장 모멘텀이 확보됨. 2분기까지도 이익 개선세가 나타날 전망. 한편 미국은 하반기에 2공장 완공이 예정, 고정비 부담을 상쇄할 수 있을 만큼의 매출 확보 여부가 수익성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 향후 외부 요인 (관세, MOCRA 등) 고려했을 때, 미국 공장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분명 긍정적.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

➡️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RDetailView?sqno=11294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4/15)

(4/14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68%, SPY 0.97%, DIA 0.87%, IWM 1.18%

*미국 상승 업종 : XLRE 2.21%, XLU 1.80%, XLP 1.71%, XLV 1.22%

*1M Highs : SLVP 3.65%(글로벌 은 채굴), GBUG 1.79%(금·은 채굴), SHLD 1.74%(글로벌 방산), GDXJ 1.58% (금·은 채굴 소형주)
*1M Lows : UNG -6.01%(천연가스), SHRT -2.44%(주식 롱·숏), CANE -0.52%(설탕), ULST -0.14%(美 단기 채권 액티브)

(Daily News)
삼성·KB·한화운용, 휴머노이드 ETF 동시 출시
- 삼성·KB·한화운용, 15일 휴머노이드 로봇 ETF 'KODEX 미국 휴머노이드로봇',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 상장
- ‘KODEX 미국 휴머노이드로봇’과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은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및 관련 부품·소프트웨어 기업에 각각 조정 시가총액 가중 방식과 키워드 점수 가중 방식으로 투자하는 패시브 ETF
-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는 미국, 한국, 일본, 유럽의 휴머노이드 및 부품(구동기·센서)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
https://buly.kr/NjaPrK

Kraken Launches U.S.-Listed Stock & ETF Trading, Expanding Beyond Crypto
- 美 암호화폐 플랫폼 Kraken, 14일(현지시간) 미국 일부 주를 대상으로 11,000종 이상의 미국 상장 주식 및 ETF를 수수료 없이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공식 출시
- 사용자는 암호화폐, 현금, 스테이블코인, 주식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부분 주식 거래(소수점 투자) 기능을 통해 고가 주식에 대한 접근성 향상
- 이번 서비스는 Kraken이 암호화폐를 넘어 전통 자산 시장으로 진출하는 첫 걸음으로, 미국 금융산업규제청(FINRA)에 등록된 Kraken Securities LLC를 통해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의 연결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전망
https://buly.kr/8pfxV81

日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임박…"가상자산, 금융상품으로 개정 전망"
- 일본 금융청이 비트코인을 결제수단이 아닌 투자상품으로 전환하고, 현물 ETF 승인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6월 제도 개정안 발표가 예상됨
- 일본은 2016년 자금결제법을 통해 가상통화 교환업에 대한 규제를 정비하고, 범죄수익 이전 방지법으로 감사 및 기록 보존 의무화 제도도 마련
- 이러한 규제 체계를 바탕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이 빠르게 추진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가상자산이 새로운 투자자산으로 제도권에 본격 편입되는 긍정적 흐름으로 해석됨
https://buly.kr/H6hZbWf
코스맥스 (192820)

➡️1Q25 Preview
- 1분기 매출액 5,741억원 +9%, 영업이익 463억원 +2%, OPM 8%으로 시장예상치보다 소폭 하회 예상. 국내는 일본/유럽/미국향 수출 증가세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해외는 제각각인 모습.

➡️법인별
- 국내 3,6454억원 (+16%), 영업이익 372억원 (+24%) 예상, 고객사들의 수출 증가 덕분에 성장세 견조.
- 중국 매출 1,521억원 (-3%) 예상, 소비 경기가 점차 개선되면서 매출 감소폭이 축소될 전망
- 동남아 매출 486억원 (+45%) 예상, 태국 법인의 인근 국가 수출 증가로 성장세 견조할 전망.
- 미국 매출 282억원 (-27%) 예상, 기존 고객사의 이탈과 신규 고객사의 부재로 매출이 감소할 전망.

➡️투자의견
- 업황 자체는 매우 우호적. 특히 국내 법인이 전체 실적 성장을 견인할 전망.
- 한편 미국 법인의 적자 지속 현상은 부담 요인이나, 이미 수년 전 부터 이어진 이슈인 만틈 상당 부분 주가에 반영되었다고 판단.
- 향후 주가는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2분기 SUN 제품 성수기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상승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매수 유지.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RDetailView?sqno=11295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모간 스탠리 (MS.US): 양날의 검인 증시 변동성

FY1Q25 실적 Review
- FY1Q25(3 월말) 실적: 매출액 177.4 억 달러 (YoY +17.2%, QoQ+9.3%, 컨센서스 대비 +7.1%), 순이익 43.2 억 달러 (YoY +26.5%, QoQ+16.2%, 컨센서스 대비 +21.5%). 순이자수익(NII) 19억 달러(YoY +2.5%), Equity 사업부 41.3억 달러(YoY +45.2%)

높은 증시 변동성에 의한 실적 상승
- Institutional Securities Group(ISG) 사업부 매출 89.8억 달러 (YoY +28%)
- 사업부 안의 Equity 부문 호조세는 아시아, 미국, 유럽 지역 증시 변동성 확대로 인한 거래량 증가

가파르게 급등한 대손 충당금
- FY1Q25 의 충당금 설정액(Provision for credit losses)은 QoQ +17% 상승한 1.35 억 달러
- GDP 성장률 예상치 하향으로 인한 대손충당금 상향(상업용 부동산 부실 위험 대비, 세금 납부 목적의 증권담보대출 증가로 원인 추정)

높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보수적 접근 필요
- 증시 변동성 확대로 인한 수혜. 동시에 대손충당금도 상향
- 심리적 불안 확대는 동사의 이익 요인. 그러나 실제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경우 수익 악화 가능
- 4월 15일까지 납부된 세수 규모는 미국 경기 침체 여부 판단할 수 있는 첫 번째 기준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02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골드만삭스 (GS.US) : 투자은행 불확실성에 업종 내 구조적 양극화 심화 전망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순영업수익 150.6 억 달러(YoY +6.0%, QoQ +8.6%, 컨센서스 대비 +2.0%), 순이익 45.8 억 달러(YoY +16.6%, QoQ +16.8%, 컨센서스 대비 +13.6%), 순이자이익 29.0억 달러(YoY +80.0%, QoQ +23.5%, 컨센서스 대비 +27.2%), 비이자이익 121.7 억 달러(YoY -3.5%, QoQ +5.6%, 컨센서스 대비 +1.7%), EPS 14.12 달러(YoY +21.9%, QoQ +18.2%, 컨센서스 대비 +42.7%)
- 자산운용·투자은행 중심 수익 구조로, 사업부별 성과 확인 필요

GBM, 변동성 대응 활동 증가가 자문 수수료 감소를 상쇄
- 시장 변동성 대응 수요 확대되며, GBM 부문은 역대 세번째로 높은 분기 순영업수익 달성
- 자문 수수료 7.9억 달러 (YoY -22%)로 감소, 통화·모기지·구조화 상품 수요 증가함에 따라 FICC 44억 달러 (YoY +2%, QoQ +61%) 기록
- 주식의 경우, 거래 수수료와 포트폴리오 파이낸싱에 힘입어 분기 사상 최대치인 41.9 억달러(YoY +27%, QoQ +21%) 달성
- 미국 외 고객 다변화,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 역량으로 거래 수수료 등 타 사업부 실적 부진 상쇄

AWM, 투자 수익은 부진했으나, 관리 자산 규모는 오히려 증가
- AWM 부문, 순영업수익 36.8 억달러로 YoY -3%, QoQ -22%, 컨센서스 대비 -4.1% 하회하며 실적 부진
- AUS(관리자산), 채권 가치 상승 및 고액 자산가 대상 WM 채널을 통한 290억 달러 순유입에 힘입어 주식 가치 평가 절하에도 불구하고 증가세 기록
- Platform Solution 부문은 6.8억 달러로 YoY -3%, QoQ +1%, 컨센서스 대비 +0.4% 상회하며 무난한 실적 기록했으나, 비중이 5%에 불과해 실적 영향력은 제한적

시장 불확실성 높아질수록 금융 업종 내 양극화 현상 심화
- 불확실성 확대 시 동사와 같이 높은 신뢰도 및 추진력을 갖춘 은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인되며, 금융 업종 내에서도 양극화 현상 심화될 것으로 우려
- 동사는 사업부 경쟁력·리스크관리 자신감과 함께 사상 최대 자사주 매입, 안정적 배당 계획을 발표하며 긍정적 가이던스 제시
- 다만, 4/2 상호 관세 충격 미반영 및 2Q 이후의 매크로 리스크 존재하므로 지속적 정책 모니터링 필요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03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 4월 16일(수) 전일 철강금속 지표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4% (0.5%), ArcelorMittal 0.6% (-1.5%), US Steel 1.2% (1.3%), Nippon Steel 0.2% (-0.8%), Baoshan -1% (-1.2%), Angang(HK) -2.5% (-2.8%), Albemarle -5.9% (-5.7%)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3 ($-0.5, -0.1%), 철근 $444 ($-23, -4.9%), 냉연 $547 ($-2.2, -0.4%), 열연선물(AC) -0.2%, 철근선물(AC) 0.0%, 철근선물 시간 외 -0.1%

철광석: 현물 $97 (1.0%), SGX 선물 $99 (0.6%), DCE 선물(AC) 1.0%, DCE 시간 외 -0.6%

강점탄: 호주 현물 $183 (0.5%), SGX 선물 $181 (-1.5%), DCE 선물 -1.1%

LME 비철/귀금속: 구리 $9,164 (-0.3%), 아연 $2,615 (-0.8%), 납 $1,915 (-0.1%), 니켈 $15,558 (1.6%), 금 $3,231 (0.6%), 은 $32.3 (-0.1%)

탄산리튬: 중국 현물 $9,746 (-0.5%), GFEX 선물 70,720위안 (-0.1%)

- 중국 철강선물 약보합 / 철광석 선물 강보합 / 호주 강점탄 강보합

- LME 비철은 이틀째 뚜렷한 방향없이 품목별 혼조 / 귀금속은 제한된 범위에서 혼조

- 중국 탄산리튬 약보합

현대제철, 단조 자회사 IFC 매각 추진. 매각가는 2,500억원 내외, 인수자로 동국제강 거론 (서울경제)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4/16, 장 시작 전 생각: 조용한 듯 조용하지 않은, 키움 한지영]

- 다우 -0.4%, S&P500 -0.2%, 나스닥 -0.1%
- 엔비디아 +1.4%(시간외 -5%대), 팔란티어 +6.2%, BOA +3.6%
- 미 10년물 금리 4.32%, 달러 인덱스 99.9pt, 달러/원 1,428.0원

1.

미국 증시는 중국, EU와 협상 지연 vs 여타국가 협상 진전 등 관세를 둘러싼 엇갈린 뉴스 플로우 속,

BoA(+3.6%) 호실적, 금일 예정된 파월의장 발언, 소매판매 대기심리 등 상하방 요인이 혼재되면서,

모처럼 장 중에 조용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하지만 관세 이슈와 별개로, 장 마감 후 출현한 엔비디아발 악재가 조용해진 호숫가에 돌을 던졌네요.

미국 정부가 안보 문제로 엔비디아 H20 칩의 대중 수출을 무기한 금지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에,

엔비디아의 시간외 주가가 5%대 급락 중에 있는데, 국내 증시의 장 초반 변동성에 한 몫 할 듯 합니다.

2.

어제 공개된 BofA의 4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서베이에 의하면, 시장 급락을 초래할 잠재 위험 1순위로 “무역 전쟁 발 경기 침체”를 지목한 비율이 80%대에 육박했네요(vs3월 응답 50%대).

미국 경기의 “하드랜딩”을 예상하는 비율도 49%로 지난 3월 11%에 비해 급등하는 등 관세 리스크가 시장 불안의 근원임을 재확인시켜줬습니다.

하지만 4월 이후 폭락을 선제적으로 겪었으며, 관세 수위 조절 모드로 들어갔음을 고려 시,

향후 트럼프의 돌발 행동이 발생하더라도 전저점 테스트 확률은 이전보다 낮게 가져가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3.

오늘 국내 증시는 “관세 협상 진행 소식, 미국 은행주 호실적” 등 상방 재료가 상존함에도, 엔비디아 발 악재가 장중 변동성을 유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국내 증시는 지난 주 폭락을 통해 연저점을 경신한 이후 회복 구간에 들어갔지만, 수급 상 국내 증시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외국인은 좀처럼 한국에 들어오지 않고 있습니다.

4월 이후 외국인은 8.7조원대 역대급 순매도에 나서고 있으며, 월간 기준으로는 24년 8월 이후 9개월 연속 순매도를 기록 중 이네요.

이 같은 외국인의 수급 공백은 국내 투자자들로 하여금 주가 반등의 지속성에 의심을 품게 만들고 있으며, 동시에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본격적인 순매수로 전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연초 이후 몇차례 1,480원대를 넘나들었던 달러/원 환율의 급등세가 진정된 가운데, 4월 7~9일 폭락장 당시 0.8배를 하회하는 등 환율과 밸류에이션을 따져보면,

현재 외국인의 순매도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4.

하지만 4월 2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기업 실적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점이 문제인듯 합니다

일단 4월 15일 기준 코스피의 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월초 290조원에서 저점을 형성한 후 294조원대로 소폭 상향 되기는 했습니다.

여기서 관세 리스크가 촉발한 대외 수요 불확실성으로 수출업종들의 실적 추정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게 외국인의 순매수 전환을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다행히도 지난 폭락장 이후 트럼프의 관세 속도 및 수위 조절로 관세 리스크는 정점을 통화하고 있습니다.

결국, 외국인의 국내 증시 순매수 전환은 여부의 문제보다는 시간의 문제일 것으로 보이며,

이번 1분기 실적시즌에서 반도체 등 IT, 자동차 등 주력업종 실적을 통해 이익 추정의 신뢰성을 얼마만큼 다시 높여가는지가 관건이 될 듯 합니다.

———

오늘도 여전히 일교차가 크다고 합니다.

다들 외투도 잘 챙겨들고 다니시면서, 건강에 유의하길 바랍니다.

주식시장도 단 몇시간이라도 조용한 날이 없긴 하지만,

이럴 때 일수록 스트레스랑 컨디션 관리 더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키움 한지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6578
[키움 조선/기계/방산/항공우주 이한결]

한국항공우주(047810)
: 늦은 스타트, 성장 기대감 유효

◎ 1분기 영업이익 518억원, 컨센서스 하회 전망
- 1Q25 매출액 6,936억원(YoY -6.3%), 영업이익 518억원(YoY +8.0%, OPM 7.5%)으로 시장 기대치 하회 전망
- 올해 주요 양산 사업들의 납품 일정이 하반기에 집중되어 있어 1분기 매출 성장세 둔화 불가피
- 하반기로 갈수록 완제기 양산 납품 증가 및 수출 사업의 진행 매출 인식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 유효
- 주요 고객사의 항공기 인도가 원활하게 진행되며 기체부품 사업 부문의 실적 회복세 지속 전망

◎ 25년 이후에도 걱정 없는 탄탄한 수주 파이프라인
- 올해 KF-21 잔여 양산 계약, 중동 수리온 수출 사업, 필리핀 FA-50 수출 사업 등을 포함하여 약 8.5조원 신규 수주 기대
- 26년 이후에도 아프리카, 중남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FA-50 수출 사업 진행 전망, 견조한 수주 성장세 이어질 것
- 최근, 미 해군 고등훈련기 사업(UJTS) 최종 계약 일정이 28년에서 27년초로 앞당겨지며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 훈련기 사업 진행 구체화 기대
-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 납품 시작되는 KF-21 관련 중동 지역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수출 가능성에 주목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6,000원으로 상향
- 2025년 매출 4조 708억원(YoY +12.0%), 영업이익 3,381억원(YoY +40.5%, OPM 8.3%) 달성 전망
- 내년부터 KF-21, LAH, 해외 수출 사업 등 완제기 납품 물량의 본격적인 성장세가 나타나며 큰 폭의 실적 개선 기대
- 25~27년 평균 EPS 4,789원에 Target PER 20배 적용하여 목표주가 96,000원으로 상향

리포트: https://bit.ly/4cCGYtF
[키움 디지털자산 김현정]
KIWOOM Digital Asset Issue 04/16

[미국과 유럽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동향]

미국 의회에 등장한 스테이블코인 법안
- 지난 2월 지급결제용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규제하는 법안이 미 의회에 발의. 상·하원 모두 발의되었으며 법안 명칭은 각각 GENIUS Act와 STABLE Act
- OCC, FDIC 등 규제 기관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규제 완화 기조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 따라서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마련도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

시작된 유럽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내용과 시장 변화
- EU, 지난해 12월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규제 기본 법안 MiCA 전면 시행. 법안은 자산준거형토큰과 법정화폐준거형토큰으로 나누고 있으며, 정의 및 발행인 요건 등 규제
- 시행 이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규제에 적합한 발행 체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으며, 금융 기관들은 제도적 불확실성 해소 주목. 따라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규제 명확화와 전통 금융기관 참여 확대에 힘입어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

☆ 보고서 링크: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BCDetailView?sqno=1315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4/16)
(4/15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396.63 / -0.17%
NASDAQ 종합 16,823.17 / -0.05%
다우산업 40,368.96 / -0.38%
러셀2000 1,882.92 / 0.11%
필라델피아 반도체 4,021.89 / 0.47%

- 섹터별 수익률
High 3: 통신 (0.96%), 은행 (0.90%), 반도체 및 장비 (0.87%)
Low 3: 유통 (-1.34%), 보험 (-0.96%), 내구소비재/의류 (-0.90%)

- 세부 업종별 수익률
통신 0.96%
은행 0.90%
반도체 및 장비 0.87%
자동차 및 부품 0.43%
금융 0.30%
부동산 0.22%
소프트웨어 0.21%
유틸리티 0.05%
에너지 -0.13%
하드웨어 -0.14%
호텔/레저 -0.26%
가정용품 -0.43%
상업 및 전문서비스 -0.44%
운송 -0.52%
자본재 -0.55%
제약 -0.60%
소재 -0.63%
식료품 -0.72%
음식료 및 담배 -0.74%
엔터/미디어 -0.76%
헬스케어 -0.80%
내구소비재/의류 -0.90%
보험 -0.96%

- 종목별 수익률
High 3: PLTR (6.24%), HPE (5.11%), NFLX (4.83%)
Low 3: ALB (-5.89%), ZBH (-4.61%), DOW (-4.09%)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39%
Growth 0.05%
Quality -0.06%
High Dividend -0.31%
Low Votality -0.44%
Enhanced value -0.06%
Value -0.40%
High Beta 0.29%

- 주요 뉴스
Whistleblower org says DOGE may have caused 'significant cyber breach' at US labor watchdog
https://www.reuters.com/technology/cybersecurity/whistleblower-org-says-doge-may-have-caused-significant-cyber-breach-us-labor-2025-04-15/

Trump signs healthcare executive order that includes a win for pharma companies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igns-healthcare-executive-order-that-includes-win-pharma-companies-2025-04-15/

US import prices muted, but tariffs loom over inflation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import-prices-unexpectedly-fall-march-cheaper-energy-goods-2025-04-15/

Relief for farmers under consideration, White House says
https://www.reuters.com/world/us/relief-farmers-under-consideration-white-house-says-2025-04-15/

Trump exempts dozens of coal plants from mercury, air toxics limits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trump-exempts-dozens-coal-plants-mercury-air-toxics-limits-2025-04-15/

Trump has not made a decision on raising the corporate tax rate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has-not-made-decision-raising-corporate-tax-rate-2025-04-15/

US steps up probes into pharmaceutical, chip imports, setting stage for tariffs
https://www.reuters.com/markets/us-initiates-section-232-investigations-into-pharmaceutical-semiconductor-2025-04-14/

Arkansas, Indiana ask USDA to let them ban soda, candy from food stamps program
https://www.reuters.com/world/us/arkansas-asks-usda-let-it-ban-soda-candy-food-stamps-program-2025-04-15/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4/16)

(4/15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11%, SPY -0.28%, DIA -0.42%, IWM 0.12%

*미국 상승 업종 : XLK 0.36%, XLF 0.25%, XLC 0.25%, XLRE 0.15%
*미국 하락 업종 : XLP -0.84%, XLB -0.79%, XLY -0.72%, XLV -0.61%

*1M Highs : AUMI 2.77%(금 채굴), INDF 1.51%(인도 금융주), GDXJ 1.25%(금·은 채굴 소형주), GOAU 1.21% (금·금속 채굴)
*1M Lows : CANE -1.55%(설탕), BTOP -1.40%(비트코인·이더리움 선물), BITC -0.99%(비트코인), UNG -0.86%(천연가스)

(Daily News)
Unlimited Expands ETF Lineup with New Global Macro Hedge Fund Strategy
- Unlimited, 15일(현지시간) 글로벌 헤지펀드 전략을 구현한 액티브 ETF 'Unlimited HFGM Global Macro ETF(HFGM)' 출시
- 글로벌 매크로 헤지펀드 매니저들의 실제 포지션을 추정하고, 이를 선물 계약 및 ETF 바스켓으로 구현해 시장 내 가격 왜곡(mispricing)을 포착하는 것이 목표
- 헤지펀드 대비 낮은 수수료와 세금 효율성을 제공하면서도 이에 준하는 수익률을 달성하도록 운용 예정이며, 향후에도 동사는 연내 2개 이상의 신규 액티브 ETF 출시를 준비 중
https://buly.kr/4FsGMOj

Simplify Launches 2 New Active Barrier Income ETFs
- Simplify Asset Management, 15일(현지시간)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신규 액티브 ETF 2종 'Simplify Barrier Income ETF(SBAR)', 'Simplify Target 15 Distribution ETF(XV)' 출시
- SBAR는 미국 국채와 30% 배리어 풋옵션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며, 포트폴리오의 평균 듀레이션은 2년 이하로 유지
- XV는 동일한 듀레이션 기준을 따르면서도 연 15% 분배 수익률 달성을 위해 옵션 구조(배리어 조건 등)를 유동적으로 조정
https://buly.kr/GZxJ1Ko

New F/m ETF Focuses on Top 100 Issuers
- F/m Investments, 15일(현지시간) 미국 고수익 채권 시장에 투자하는 패시브 ETF 'F/m High Yield 100 ETF (ZTOP)' 출시
- Bloomberg U.S. High Yield Top 100 Quality Select Equal Weighted Index를 기초지수로 추종하며, 규모·유동성·신용도 기준으로 선별된 미국 내 주요 고수익 채권 발행기관 100곳에 동일가중으로 투자
- 대형 발행자 중심 포트폴리오로 고수익 채권의 수익 잠재력은 유지하면서 리스크는 완화한 점이 특징
https://buly.kr/G3D2549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4/17(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파인엠텍'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