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글로벌ETF 김진영]
25년 5월 ETF Monthly: 변곡점에서
▶ 4월 미국 ETF 시장 리뷰
- 4월 미국 ETF 시장으로 $578억 유입. 주식형 ETF로는 약 $312억 유입.
- 관세 관련 불확실성 완화에 미국 대형주 중심 자금유입 재개
- 채권 ETF 시장으로는 약 $130억 유입. 초단기채, 국채 중심의 자금유입 이어진 반면, 기타 크레딧/HY채 등으로는 유입세 미미
▶ 4월 신규 상장 ETF
- 미국: 단일종목 레버리지 전략 및 암호화폐 관련 전략을 비롯한 81개 종목 신규 상장. 암호화폐에도 옵션 전략을 활용한 커버드콜이나 버퍼형 상품 7종도 신규 상장하는 등 다양한 옵션을 활용한 ETF 출시 이어짐
- 국내: 4월 한달 간 14개 ETF가 추가되면서 전체 ETF 상품 수는 973개로 확대. 성장 테마 ETF가 다수 출시. 단일종목 채권 혼합, 커버드콜 전략 결합 상품 등 출시
▶ 5월 ETF 투자 아이디어
- 4월 관세 발 폭락을 겪었던 미국 증시는 트럼프 진화 발언, 미-중 대화 시도 등에 리스크 정점을 통과 중
- 경기침체 우려 및 관세 비용을 반영한 하드데이터 확인 등 우려 요인들 남아있지만, 트럼프의 감세 및 미-중 협상(트럼프 풋), 연준 금리정책(파월 풋) 등 시장 변동성을 완화시켜줄 트리거 공존
- 정책 여력과 시장 유동성 관점에서 증시 반등과 비중 확대 요인 상존. 경기 방어주 및 금, 채권 ETF 등에 대한 분산으로 리스크 헤지 필요한 동시, 반등 시 상승탄력이 큰 성장주 ETF 투자 이어가야한다는 의견 유지
- ETF Picks: QGRO(퀄리티), SHLD(방산), EUFN(유럽 금융), IGV(소프트웨어), PAVE(인프라), OND(온디맨드), GLD(금), IEF(채권)
▶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TP631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25년 5월 ETF Monthly: 변곡점에서
▶ 4월 미국 ETF 시장 리뷰
- 4월 미국 ETF 시장으로 $578억 유입. 주식형 ETF로는 약 $312억 유입.
- 관세 관련 불확실성 완화에 미국 대형주 중심 자금유입 재개
- 채권 ETF 시장으로는 약 $130억 유입. 초단기채, 국채 중심의 자금유입 이어진 반면, 기타 크레딧/HY채 등으로는 유입세 미미
▶ 4월 신규 상장 ETF
- 미국: 단일종목 레버리지 전략 및 암호화폐 관련 전략을 비롯한 81개 종목 신규 상장. 암호화폐에도 옵션 전략을 활용한 커버드콜이나 버퍼형 상품 7종도 신규 상장하는 등 다양한 옵션을 활용한 ETF 출시 이어짐
- 국내: 4월 한달 간 14개 ETF가 추가되면서 전체 ETF 상품 수는 973개로 확대. 성장 테마 ETF가 다수 출시. 단일종목 채권 혼합, 커버드콜 전략 결합 상품 등 출시
▶ 5월 ETF 투자 아이디어
- 4월 관세 발 폭락을 겪었던 미국 증시는 트럼프 진화 발언, 미-중 대화 시도 등에 리스크 정점을 통과 중
- 경기침체 우려 및 관세 비용을 반영한 하드데이터 확인 등 우려 요인들 남아있지만, 트럼프의 감세 및 미-중 협상(트럼프 풋), 연준 금리정책(파월 풋) 등 시장 변동성을 완화시켜줄 트리거 공존
- 정책 여력과 시장 유동성 관점에서 증시 반등과 비중 확대 요인 상존. 경기 방어주 및 금, 채권 ETF 등에 대한 분산으로 리스크 헤지 필요한 동시, 반등 시 상승탄력이 큰 성장주 ETF 투자 이어가야한다는 의견 유지
- ETF Picks: QGRO(퀄리티), SHLD(방산), EUFN(유럽 금융), IGV(소프트웨어), PAVE(인프라), OND(온디맨드), GLD(금), IEF(채권)
▶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TP631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isco Webex Site
Meet virtually with Cisco Webex. Anytime, anywhere, on any device.
Simple, modern video meetings for everyone on the world's most popular and trusted collaboration platform.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isco Webex Site
Meet virtually with Cisco Webex. Anytime, anywhere, on any device.
Simple, modern video meetings for everyone on the world's most popular and trusted collaboration platform.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액손 엔터프라이즈 (AXON.US) : AI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락인 효과 + 마진 확대
▶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매출액 6.0억 달러(YoY +31.0%, QoQ +5.0%, 컨센서스 대비 +2.9%), EBITDA 1.6억 달러(YoY +42.5%, QoQ +9.6%, 컨센서스 대비 +12.9%), EBITDA 마진 25.7%(YoY +2.1%p, QoQ +1.1%p, 컨센서스 대비 +2.1%p), 순이익1.2억 달러(YoY +29.4%, QoQ -31.7%, 컨센서스 대비 +10.6%), EPS 1.41달러(YoY +22.6%, QoQ -32.2%, 컨센서스 대비 +0.3%)
- 독보적인 사업 모델과 높은 진입 장벽, 그리고 소프트웨어 고성장을 바탕으로 5분기 연속 30%+ 매출 성장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 해외 매출도 기록
- FY2025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강한 실적 자신감을 보였고, MAGA 트렌드·AI 통합 락인 효과·해외·민간 수요 확대를 감안할 때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
▶ AI+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솔루션으로 락인 효과 지속
- TASER 10과 Axon Body 4의 교체 및 카트리지 판매 증가 효과, 드론·VR 도입 증가 영향으로 하드웨어 부문 매출은 YoY +26.3%, QoQ +3.3% 성장
-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은 프리미엄 구독 모델 확대와 Draft One(AI 기능 탑재) 이용 고객 증가로 YoY +39.2%, QoQ +7.3% 성장
- AI 기반 실시간 분석·정찰 기능과 하드웨어 통합을 통한 강력한 락인 효과로 반복 수익 구조 고도화 및 마진 확대 가능성 확보
- 연간 반복 매출(Annual Recurring Revenue, ARR)은 YoY +34% 증가한 11억달러, 순이익 유지율(Net Revenue Retention, NRR)은 123%, 미래 계약 예약(Future contracted bookings)도 99억달러(YoY +41%)로 증가하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증명
- 매크로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 내 생산과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했으며, 국내외 및 민간 수요도 여전히 견조하다”고 언급
▶ 지속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혁신과 민간, 해외 확장 기회 유효
- 이미 방위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한 상황에서도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고객 다변화를 통해 추가 성장 여력 존재
- FY1Q25 기준 해외 매출은 사상 최대 분기치를 기록했으나, 미국 비중이 여전히 88%에 달하므로 높은 신규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미 정부의 예산 우선순위가 폭력범죄 대응·마약 확산 방지·첨단 국경 보안 기술 도입에 있다는 점 역시 수혜 요인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4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액손 엔터프라이즈 (AXON.US) : AI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락인 효과 + 마진 확대
▶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매출액 6.0억 달러(YoY +31.0%, QoQ +5.0%, 컨센서스 대비 +2.9%), EBITDA 1.6억 달러(YoY +42.5%, QoQ +9.6%, 컨센서스 대비 +12.9%), EBITDA 마진 25.7%(YoY +2.1%p, QoQ +1.1%p, 컨센서스 대비 +2.1%p), 순이익1.2억 달러(YoY +29.4%, QoQ -31.7%, 컨센서스 대비 +10.6%), EPS 1.41달러(YoY +22.6%, QoQ -32.2%, 컨센서스 대비 +0.3%)
- 독보적인 사업 모델과 높은 진입 장벽, 그리고 소프트웨어 고성장을 바탕으로 5분기 연속 30%+ 매출 성장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 해외 매출도 기록
- FY2025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강한 실적 자신감을 보였고, MAGA 트렌드·AI 통합 락인 효과·해외·민간 수요 확대를 감안할 때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
▶ AI+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솔루션으로 락인 효과 지속
- TASER 10과 Axon Body 4의 교체 및 카트리지 판매 증가 효과, 드론·VR 도입 증가 영향으로 하드웨어 부문 매출은 YoY +26.3%, QoQ +3.3% 성장
-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은 프리미엄 구독 모델 확대와 Draft One(AI 기능 탑재) 이용 고객 증가로 YoY +39.2%, QoQ +7.3% 성장
- AI 기반 실시간 분석·정찰 기능과 하드웨어 통합을 통한 강력한 락인 효과로 반복 수익 구조 고도화 및 마진 확대 가능성 확보
- 연간 반복 매출(Annual Recurring Revenue, ARR)은 YoY +34% 증가한 11억달러, 순이익 유지율(Net Revenue Retention, NRR)은 123%, 미래 계약 예약(Future contracted bookings)도 99억달러(YoY +41%)로 증가하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증명
- 매크로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 내 생산과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했으며, 국내외 및 민간 수요도 여전히 견조하다”고 언급
▶ 지속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혁신과 민간, 해외 확장 기회 유효
- 이미 방위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한 상황에서도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고객 다변화를 통해 추가 성장 여력 존재
- FY1Q25 기준 해외 매출은 사상 최대 분기치를 기록했으나, 미국 비중이 여전히 88%에 달하므로 높은 신규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미 정부의 예산 우선순위가 폭력범죄 대응·마약 확산 방지·첨단 국경 보안 기술 도입에 있다는 점 역시 수혜 요인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4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월 1주차 해외주식 관심종목
아메리칸 타워(AMT): 글로벌 최대 통신 인프라 REITs 주식
우라늄 글로벌엑스 (URA): 원자력발전 자원 우라늄과 원자력발전 부품기업에 투자하는 ETF
태피스트리 (TPR): 글로벌 패션 브랜드사. 여성 핸드백, 의류, 액세서리 판매사 주식
각 종목별 자세한 투자포인트는 아래 유튜브 숏츠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youtube.com/shorts/bS4NMHqXxPE?si=m5afvfZFSfrEkhSf
더 많은 해외주식 관심종목을 보고싶다면 "영웅문S#>해외주식>리서치>리서치관심" 탭에서 확인하세요!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5월 1주차 해외주식 관심종목
아메리칸 타워(AMT): 글로벌 최대 통신 인프라 REITs 주식
우라늄 글로벌엑스 (URA): 원자력발전 자원 우라늄과 원자력발전 부품기업에 투자하는 ETF
태피스트리 (TPR): 글로벌 패션 브랜드사. 여성 핸드백, 의류, 액세서리 판매사 주식
각 종목별 자세한 투자포인트는 아래 유튜브 숏츠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youtube.com/shorts/bS4NMHqXxPE?si=m5afvfZFSfrEkhSf
더 많은 해외주식 관심종목을 보고싶다면 "영웅문S#>해외주식>리서치>리서치관심" 탭에서 확인하세요!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YouTube
해외주식 관심종목 (5월 1주차) #shorts
📌키움리서치센터의 5월 1주차 관심종목이 궁금하다면?https://bbn.kiwoom.com/rfKP38.pdf자료화면 : 아메리칸타워 유튜브 공식채널, 코치 공식홈페이지, gettyimagesbank※키움증권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5-000899호(25.05.07~26.05.0...
[키움 채권 안예하]
◆채권 Daily 코멘트(25.05.09.)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상승. 미국과 영국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위험자산 선호 강화된 영향. 미국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또한 22만 8천 건으로 전주와 예상치를 하회. 영국에 대한 기본관세 10%는 유지하는 가운데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로 낮추고, 영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는 철폐하기로 결정. 중국과의 대화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통상정책으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 미국채 10년물 4.3% 상회.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영국)BOE 통화정책회의
(미국)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28K, 231K, 241K
(미국)30년물 국채 입찰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미국)뉴욕 연은 총재, 월러, 쿡 연준 이사 발언
◆ 미국 증시
- DOW: 41368.45p (+254.48p, +0.62%)
- S&P500: 5663.94p (+32.66p, +0.58%)
- NASDAQ: 17928.14p (+189.98p, +1.07%)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402.22원, 전일 대비 약 6원 하락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100.641 (+1.027, +1.03%)
- 유로/달러: 1.1228 (-0.0073, -0.65%)
- 달러/엔: 145.91 (+2.08, +1.45%)
- 파운드/달러: 1.3246 (-0.0046, -0.35%)
◆ 미 채권시장
- 2년물: 3.8739% (+9.7bp)
- 5년물: 3.9848% (+12.2bp)
- 10년물: 4.3785% (+10.9bp)
- 30년물: 4.8428% (+7.4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62.6bp
- 10Y-2Y: 50.5bp
- 30Y-10Y: 46.4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280% (+2.8bp)
- 5년물: 2.400% (+2.5bp)
- 10년물: 2.625% (+2.3bp)
- 30년물: 2.520% (+2.8bp)
(스프레드)
- 5Y-3Y: 12.0bp
- 10Y-3Y: 34.5bp
- 30Y-10Y: -10.5bp
(국채선물)
- 3년 KTB 107.81 (-9)
- 10년 KTB 120.76 (-20)
◆ 상품시장 (달러)
- WTI: 59.91 (+1.84, +3.17%)
- 브렌트유: 62.84 (+1.72, +2.81%)
- 금: 3306.0 (-85.9, -2.53%)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채권 Daily 코멘트(25.05.09.)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상승. 미국과 영국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위험자산 선호 강화된 영향. 미국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또한 22만 8천 건으로 전주와 예상치를 하회. 영국에 대한 기본관세 10%는 유지하는 가운데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로 낮추고, 영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는 철폐하기로 결정. 중국과의 대화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통상정책으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 미국채 10년물 4.3% 상회.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영국)BOE 통화정책회의
(미국)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28K, 231K, 241K
(미국)30년물 국채 입찰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미국)뉴욕 연은 총재, 월러, 쿡 연준 이사 발언
◆ 미국 증시
- DOW: 41368.45p (+254.48p, +0.62%)
- S&P500: 5663.94p (+32.66p, +0.58%)
- NASDAQ: 17928.14p (+189.98p, +1.07%)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402.22원, 전일 대비 약 6원 하락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100.641 (+1.027, +1.03%)
- 유로/달러: 1.1228 (-0.0073, -0.65%)
- 달러/엔: 145.91 (+2.08, +1.45%)
- 파운드/달러: 1.3246 (-0.0046, -0.35%)
◆ 미 채권시장
- 2년물: 3.8739% (+9.7bp)
- 5년물: 3.9848% (+12.2bp)
- 10년물: 4.3785% (+10.9bp)
- 30년물: 4.8428% (+7.4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62.6bp
- 10Y-2Y: 50.5bp
- 30Y-10Y: 46.4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280% (+2.8bp)
- 5년물: 2.400% (+2.5bp)
- 10년물: 2.625% (+2.3bp)
- 30년물: 2.520% (+2.8bp)
(스프레드)
- 5Y-3Y: 12.0bp
- 10Y-3Y: 34.5bp
- 30Y-10Y: -10.5bp
(국채선물)
- 3년 KTB 107.81 (-9)
- 10년 KTB 120.76 (-20)
◆ 상품시장 (달러)
- WTI: 59.91 (+1.84, +3.17%)
- 브렌트유: 62.84 (+1.72, +2.81%)
- 금: 3306.0 (-85.9, -2.53%)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5월 9일(금) 전일 철강금속 지표
▶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2% (-0.8%), ArcelorMittal 0.3% (-0.4%), US Steel 2.2% (1.6%), Nippon Steel -0.1% (-0.2%), Baoshan -1% (-1.3%), Angang(HK) 0% (-0.4%), Albemarle 2.5% (1.9%)
▶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4 ($-4.4, -1.0%), 철근 $469 ($-0.9, -0.2%), 냉연 $530 ($-4.7, -0.9%), 열연선물(AC) -0.8%, 철근선물(AC) -1.5%, 철근선물 시간 외 -0.7%
▶ 철광석: 현물 $96 (-1.5%), SGX 선물 $97 (-1.8%), DCE 선물(AC) -2.0%, DCE 시간 외 0.1%
▶ 강점탄: 호주 현물 $191 (0.0%), SGX 선물 $186 (0.1%), DCE 선물 -1.5%
▶ LME 비철/귀금속: 구리 $9,432 (0.1%), 아연 $2,619 (0.1%), 납 $1,945 (-0.7%), 니켈 $15,535 (-0.1%), 금 $3,306 (-1.7%), 은 $32.5 (0.0%)
▶ 탄산리튬: 중국 현물 $8,974 (-1.4%), GFEX 선물 64,280위안 (0.2%)
- 중국 철강선물 하락 / 중국 철광석 선물 하락 / 호주 강점탄 현물 보합
- LME 비철은 품목별 혼조 / 귀금속은 미국-영국 무역협상에 안전자산 선호 약해지며 하락
- 중국 탄산리튬 선물 강보합
▶ 고려아연 1Q 영업이익 2,711억원 (+126% QoQ, +47% YoY), 영업이익률 7.1%로 수익성 개선. 작년 10월 취득한 자사주 9.9% (204만주)는 6/9/12월 3차례 걸쳐 각각 1/3씩 소각 발표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2% (-0.8%), ArcelorMittal 0.3% (-0.4%), US Steel 2.2% (1.6%), Nippon Steel -0.1% (-0.2%), Baoshan -1% (-1.3%), Angang(HK) 0% (-0.4%), Albemarle 2.5% (1.9%)
▶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4 ($-4.4, -1.0%), 철근 $469 ($-0.9, -0.2%), 냉연 $530 ($-4.7, -0.9%), 열연선물(AC) -0.8%, 철근선물(AC) -1.5%, 철근선물 시간 외 -0.7%
▶ 철광석: 현물 $96 (-1.5%), SGX 선물 $97 (-1.8%), DCE 선물(AC) -2.0%, DCE 시간 외 0.1%
▶ 강점탄: 호주 현물 $191 (0.0%), SGX 선물 $186 (0.1%), DCE 선물 -1.5%
▶ LME 비철/귀금속: 구리 $9,432 (0.1%), 아연 $2,619 (0.1%), 납 $1,945 (-0.7%), 니켈 $15,535 (-0.1%), 금 $3,306 (-1.7%), 은 $32.5 (0.0%)
▶ 탄산리튬: 중국 현물 $8,974 (-1.4%), GFEX 선물 64,280위안 (0.2%)
- 중국 철강선물 하락 / 중국 철광석 선물 하락 / 호주 강점탄 현물 보합
- LME 비철은 품목별 혼조 / 귀금속은 미국-영국 무역협상에 안전자산 선호 약해지며 하락
- 중국 탄산리튬 선물 강보합
▶ 고려아연 1Q 영업이익 2,711억원 (+126% QoQ, +47% YoY), 영업이익률 7.1%로 수익성 개선. 작년 10월 취득한 자사주 9.9% (204만주)는 6/9/12월 3차례 걸쳐 각각 1/3씩 소각 발표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민수 신)
★ Evolus(EOLS.US): LOVE US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을 미국에 ‘Jeuveau’ 라는 브랜드로 출시하여 시장 점유율 2등으로 끌어올린 Evolus가 1Q25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매출액과 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하였으나, 시장 성장보다 개별적으로 M/S 상승을 통해 가이던스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4/18일에 필러 ‘Evolysse’를 미국에 정식으로 출시하며 시장 초기 반응을 긍정적으로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에스테틱 영업 특성상 톡신과 필러는 같이 판매하기 용이하기에 분기를 거듭할수록 시너지 효과를 더욱 많이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25년 non-GAAP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노리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28년 매출액 $700M과 non-GAAP 영업이익률 최소 20% 달성이라는 비전도 유지하였습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5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을 미국에 ‘Jeuveau’ 라는 브랜드로 출시하여 시장 점유율 2등으로 끌어올린 Evolus가 1Q25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매출액과 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하였으나, 시장 성장보다 개별적으로 M/S 상승을 통해 가이던스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4/18일에 필러 ‘Evolysse’를 미국에 정식으로 출시하며 시장 초기 반응을 긍정적으로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에스테틱 영업 특성상 톡신과 필러는 같이 판매하기 용이하기에 분기를 거듭할수록 시너지 효과를 더욱 많이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25년 non-GAAP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노리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28년 매출액 $700M과 non-GAAP 영업이익률 최소 20% 달성이라는 비전도 유지하였습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5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Telegra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톡신, 필러, 스킨부스터, 미용 장비(EBD), 의료 AI, 덴탈, 중견제약사
Forwarded fro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민수 신)
★ 덴티움(145720): 조정(align)이 필요할지도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68억, 96억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업황 부진으로 중국, 내수 매출은 -20% 이상 줄었습니다.
이는 매출채권 회수 관련 대손상각비, 고정비 부담 증가로 이어져 1Q20 코로나 이후 가장 낮은 분기 영업이익률인 12.5%를 기록했습니다.
행동주의 사모펀드인 얼라인파트너스가 동사의 지분을 7.2%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한 지 1.5개월이 지났습니다.
목표주가 7만 원은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의 50%를 소각한다고 가정하고 산출하였습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52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68억, 96억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업황 부진으로 중국, 내수 매출은 -20% 이상 줄었습니다.
이는 매출채권 회수 관련 대손상각비, 고정비 부담 증가로 이어져 1Q20 코로나 이후 가장 낮은 분기 영업이익률인 12.5%를 기록했습니다.
행동주의 사모펀드인 얼라인파트너스가 동사의 지분을 7.2%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한 지 1.5개월이 지났습니다.
목표주가 7만 원은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의 50%를 소각한다고 가정하고 산출하였습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52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Telegra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톡신, 필러, 스킨부스터, 미용 장비(EBD), 의료 AI, 덴탈, 중견제약사
Forwarded fro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민수 신)
★ 휴젤(145020): 누군가 실적을 묻거든 고개를 들어 2분기를 보게 하라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98억, 390억으로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습니다.
톡신 매출은 다소 아쉬웠으나 국내외 업황 전망이 여전히 좋습니다.
필러 사업은 순항하며 추정치에 부합했고, 화장품 실적은 미국 코스트코 온라인 채널 확장을 통해 기대치를 상회했습니다.
3공장 가동으로 감가상각비가 늘지만 공정 효율화에 따른 원가 절감, 법무비용 지급수수료 감소 등을 통해 마진 개선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자사주 소각까지 예정되어 있어 주가 매력도 상승을 전망합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53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98억, 390억으로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습니다.
톡신 매출은 다소 아쉬웠으나 국내외 업황 전망이 여전히 좋습니다.
필러 사업은 순항하며 추정치에 부합했고, 화장품 실적은 미국 코스트코 온라인 채널 확장을 통해 기대치를 상회했습니다.
3공장 가동으로 감가상각비가 늘지만 공정 효율화에 따른 원가 절감, 법무비용 지급수수료 감소 등을 통해 마진 개선은 이어질 예정입니다.
자사주 소각까지 예정되어 있어 주가 매력도 상승을 전망합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53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Telegra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톡신, 필러, 스킨부스터, 미용 장비(EBD), 의료 AI, 덴탈, 중견제약사
[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5.09
● 엔터
DAY6, '메이비 투모로우 국내 음원 차트 1위 기록(머니투데이)
https://tinyurl.com/28etyqyg
넥써쓰-하이브IM, 던전스토커즈 퍼블리싱 계약 해지…"양사 합의"(MTN)
https://tinyurl.com/2ctzhmwt
블랙핑크, 월드투어 2025 고양 콘서트 선예매 시작!(스마트투데이)
https://tinyurl.com/2ymlm4g9
● 미디어
'언슬전'-고윤정, TV-OTT 화제성 싹쓸이...3주 연속 1위(머니투데이)
https://tinyurl.com/29qsclbk
돌아온 미션 임파서블‥OTT 범람에 믿을 건 시리즈뿐?(MBC)
https://tinyurl.com/27edfvzt
OTT발 위기 속 '드라마 창작자 연대' 출범...해법 찾기 나서(PD저널)
https://tinyurl.com/26dsft5v
● 레저
강릉시, 5월 황금연휴 맞아 관광객 88만 명... 방문객 큰 호응(강원신문)
https://tinyurl.com/2y27fpnm
올리브영, 다이소 이어 외국인 관광객 필수 코스된 이곳[르포](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5rbbjac
中 노동절 연휴 관광객 3억 명 돌파…소비 역대 최고(중앙일보)
https://tinyurl.com/2bn7arsl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5.09
● 엔터
DAY6, '메이비 투모로우 국내 음원 차트 1위 기록(머니투데이)
https://tinyurl.com/28etyqyg
넥써쓰-하이브IM, 던전스토커즈 퍼블리싱 계약 해지…"양사 합의"(MTN)
https://tinyurl.com/2ctzhmwt
블랙핑크, 월드투어 2025 고양 콘서트 선예매 시작!(스마트투데이)
https://tinyurl.com/2ymlm4g9
● 미디어
'언슬전'-고윤정, TV-OTT 화제성 싹쓸이...3주 연속 1위(머니투데이)
https://tinyurl.com/29qsclbk
돌아온 미션 임파서블‥OTT 범람에 믿을 건 시리즈뿐?(MBC)
https://tinyurl.com/27edfvzt
OTT발 위기 속 '드라마 창작자 연대' 출범...해법 찾기 나서(PD저널)
https://tinyurl.com/26dsft5v
● 레저
강릉시, 5월 황금연휴 맞아 관광객 88만 명... 방문객 큰 호응(강원신문)
https://tinyurl.com/2y27fpnm
올리브영, 다이소 이어 외국인 관광객 필수 코스된 이곳[르포](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5rbbjac
中 노동절 연휴 관광객 3억 명 돌파…소비 역대 최고(중앙일보)
https://tinyurl.com/2bn7arsl
머니투데이
DAY6, '메이비 투모로우 국내 음원 차트 1위 기록 - 머니투데이
JYP Ent.는 그룹 데이식스(DAY6)의 신곡 '메이비 투모로우'(Maybe Tomorrow)가 국내 음원 차트 1위를 달성했다고 8일 밝혔다. 7일 오후 6시 발매된 DAY6 새 디지털 싱글 '메이비 투모로우'의 동명 타이틀곡은 8일 오전 8시 기준 멜론 핫 100, 실시간 차트와 벅스 실시간 차트 최정상에 등극했다. 또 '끝났지' 등 새 디지털 ...
Forwarded from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5/9, 장 시작 전 생각: 10%의 벽, 키움 한지영]
- 다우 +0.6%, S&P500 +0.6%, 나스닥 +1.1%
- 테슬라 +3.1%, 엔비디아 +0.3%, 알파벳 +1.9%
- 미 10년물 국채금리 4.38%, 달러 인덱스 100.4pt, 달러/원 1,404.9원
1.
미국 증시는 어제도 상승했습니다.
영국과 무역합의를 체결한 것 때문인데,
- 영국산 자동차 10만대에 한정해 관세를 25% -> 10%로 인하
- 영국산 철강 및 알류미늄 25% 관세 철폐
- 영국의 미국산 농산물, 기계 등 시장 개방 및 100억달러 보잉 항공기 구매
- 보편관세 10% 유지
이 정도였네요.
사실 협상을 하는데 있어서 영국이 가장 쉬운 국가였고,
중국 등 다른 국가와 협상 난이도는 더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증시가 장 후반에 밀린 것은 막줄 보편관세 10% 부담이 어느정도 작용한거 같습니다.
러트닉 상무장관도 이야기했듯 10% 관세가 최선의 관세율이라고 강조한 만큼,
주식시장에서는 이 10% 관세가 각 국가 경제 및 개별 기업 실적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또 각 국가들이 실질적인 관세를 어느정도 낮춰갈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되었습니다.
2.
주말에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실무진 협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가,
- 대중 관세 145%는 더 올라갈 수는 없고, 내려갈일만 남았다
- 중국과 우호적인 회담이 될 것이고, 시진핑과도 대화할 수도 있다
- 이번 회담은 실질적인 회담이 될 것이다
라는 식의 입장을 표명했는데,
이전에 비해 뭔가 중국을 대하는 태도에서 조급함이 느껴지는거 같습니다.
주말 협상에서 얼마만큼의 진전을 보여줄지는 모르겠으나,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 겪었던것 처럼,
“미중 무역협상 진전 -> 증시 상승 -> 무역협상 차질 및 지연 -> 증시 하락 -> 협상 다시 진전 -> 증시 상승”
이런 식의 지루한 사이클을 또 한번 마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뭔 방언이 터진 마냥, 트럼프는 주식시장과 연준 이야기도 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이고, 얘랑 금리인하 이야기 하는 것은 벽에다 대고 이야기 하는 거 같다”
“파월만 빼고 다른 나라 중앙은행은 금리인하 하고 있는데, 파월은 너무 늦다”
“주식시장은 랠리를 할 거고, 금리인하는 제트기 연료가 될 것이다”
네, 5월 FOMC에서 파월 의장이 당장 금리인하에 대한 단호함을 보여준 것에 이어,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을 종합해보면,
연준과 트럼프의 정책 엇박자는 그냥 디폴트 값으로 가져가는 게 나을 듯 하네요.
게다가 조금 전 외신에서, 트럼프가 공약으로 내세운 대규모 감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초고소득자들을 대상으로 증세를 추진할 것이라고 하네요.
지금은 관세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기에, 증세 이슈가 주가에 본격 반영되려면 시간이 좀 필요하겠지만, 이부분에 대해서는 일단 알고는 가야겠습니다.
4.
지금 코스피는 200일선을 상회했고, S&P500과 나스닥도 어느덧 200일선 부근에 주차를 한 상태네요.
달러 인덱스도 100pt대를 터치한 가운데, 달러/원 환율도 1,400원대로 다시 올라왔습니다.
관세가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했던 1 차전은 끝났고, 2차전이 새롭게 진행되려는 분위기 같습니다.
오늘은 영국과 협상 및 이후 다른 국가와 협상 진전 기대감 등으로 상방으로 출발할 거 같고,
관세 직접 피해주였던 자동차, 반도체 vs 아직 개별 관세 품목이 한방 남은 바이오 vs 하늘 모르고 치솟는 중인 주도주 방산, 조선
이들 업종 간 수급 로테이션이 활발할 것인 만큼,
어찌보면 탑다운이 아닌 바텀업에서 개별 아이디어로 종목 선택 싸움을 하는 하루가 될 듯 합니다.
——
모처럼 평일에 비가 오네요.
오후까지 내내 온다고 하니, 다들 우산 잘 챙기시고 안전에도 유의하길 바랍니다.
다가오는 주말도 편하게 잘 보내시길 바라며,
오늘도 화이팅하세요
키움 한지영
- 다우 +0.6%, S&P500 +0.6%, 나스닥 +1.1%
- 테슬라 +3.1%, 엔비디아 +0.3%, 알파벳 +1.9%
- 미 10년물 국채금리 4.38%, 달러 인덱스 100.4pt, 달러/원 1,404.9원
1.
미국 증시는 어제도 상승했습니다.
영국과 무역합의를 체결한 것 때문인데,
- 영국산 자동차 10만대에 한정해 관세를 25% -> 10%로 인하
- 영국산 철강 및 알류미늄 25% 관세 철폐
- 영국의 미국산 농산물, 기계 등 시장 개방 및 100억달러 보잉 항공기 구매
- 보편관세 10% 유지
이 정도였네요.
사실 협상을 하는데 있어서 영국이 가장 쉬운 국가였고,
중국 등 다른 국가와 협상 난이도는 더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증시가 장 후반에 밀린 것은 막줄 보편관세 10% 부담이 어느정도 작용한거 같습니다.
러트닉 상무장관도 이야기했듯 10% 관세가 최선의 관세율이라고 강조한 만큼,
주식시장에서는 이 10% 관세가 각 국가 경제 및 개별 기업 실적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또 각 국가들이 실질적인 관세를 어느정도 낮춰갈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되었습니다.
2.
주말에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실무진 협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가,
- 대중 관세 145%는 더 올라갈 수는 없고, 내려갈일만 남았다
- 중국과 우호적인 회담이 될 것이고, 시진핑과도 대화할 수도 있다
- 이번 회담은 실질적인 회담이 될 것이다
라는 식의 입장을 표명했는데,
이전에 비해 뭔가 중국을 대하는 태도에서 조급함이 느껴지는거 같습니다.
주말 협상에서 얼마만큼의 진전을 보여줄지는 모르겠으나,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 겪었던것 처럼,
“미중 무역협상 진전 -> 증시 상승 -> 무역협상 차질 및 지연 -> 증시 하락 -> 협상 다시 진전 -> 증시 상승”
이런 식의 지루한 사이클을 또 한번 마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뭔 방언이 터진 마냥, 트럼프는 주식시장과 연준 이야기도 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이고, 얘랑 금리인하 이야기 하는 것은 벽에다 대고 이야기 하는 거 같다”
“파월만 빼고 다른 나라 중앙은행은 금리인하 하고 있는데, 파월은 너무 늦다”
“주식시장은 랠리를 할 거고, 금리인하는 제트기 연료가 될 것이다”
네, 5월 FOMC에서 파월 의장이 당장 금리인하에 대한 단호함을 보여준 것에 이어,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을 종합해보면,
연준과 트럼프의 정책 엇박자는 그냥 디폴트 값으로 가져가는 게 나을 듯 하네요.
게다가 조금 전 외신에서, 트럼프가 공약으로 내세운 대규모 감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초고소득자들을 대상으로 증세를 추진할 것이라고 하네요.
지금은 관세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기에, 증세 이슈가 주가에 본격 반영되려면 시간이 좀 필요하겠지만, 이부분에 대해서는 일단 알고는 가야겠습니다.
4.
지금 코스피는 200일선을 상회했고, S&P500과 나스닥도 어느덧 200일선 부근에 주차를 한 상태네요.
달러 인덱스도 100pt대를 터치한 가운데, 달러/원 환율도 1,400원대로 다시 올라왔습니다.
관세가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했던 1 차전은 끝났고, 2차전이 새롭게 진행되려는 분위기 같습니다.
오늘은 영국과 협상 및 이후 다른 국가와 협상 진전 기대감 등으로 상방으로 출발할 거 같고,
관세 직접 피해주였던 자동차, 반도체 vs 아직 개별 관세 품목이 한방 남은 바이오 vs 하늘 모르고 치솟는 중인 주도주 방산, 조선
이들 업종 간 수급 로테이션이 활발할 것인 만큼,
어찌보면 탑다운이 아닌 바텀업에서 개별 아이디어로 종목 선택 싸움을 하는 하루가 될 듯 합니다.
——
모처럼 평일에 비가 오네요.
오후까지 내내 온다고 하니, 다들 우산 잘 챙기시고 안전에도 유의하길 바랍니다.
다가오는 주말도 편하게 잘 보내시길 바라며,
오늘도 화이팅하세요
키움 한지영
[키움 자동차 신윤철]
포드 모터(F.US): 대중 브랜드로서 미국 판가 인상 첫 포문을 열었으나
▶️품목관세 영향이 없었던 1분기부터 역성장 기록
- 매출액 $40.7bn(-5.0% YoY), Adj.EBIT $1.0bn(-64.3% YoY), Adj.EPS(Diluted) $0.14(-71.4% YoY)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매출액 $36.8bn, Adj.EBIT $0.3bn, Adj.EPS(Diluted) -$0.04) 상회
- 1분기에 실적 성장 기록한 GM과 마찬가지로 Ford 역시 품목관세 영향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역성장 기록했기에 펀더멘털 신뢰성에 의문 가중될 전망
- 특히 품목관세 충격을 반영하지 않은 기존 25년 연간 Adj.EBIT 가이던스가 $7.0-8.0bn임에 주목. 1분기에 기록한 $1.0bn 수익성 체력으로는 현실적으로 달성 어려운 수치
- 1Q25 미국 산업수요 +3.6% 성장한 반면 Ford 미국 판매량은 동기간 -4.4%. 이는 최근 Ford의 상품성 경쟁 열위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
-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79%의 미국 내 생산 비중을 확보하고 있는 Ford가 제시한 올해 품목관세 Adj.EBIT 영향은 최대 $2.5bn
▶️멕시코산 모델에 대해 미국에서 $2,000 내외 판가 인상 개시
- 멕시코에서 5/2부터 생산된 Mustang Mach-E, Maverick pickup, Bronco Sport 3개 모델의 미국 내 판가 인상 예정
- 대중 브랜드로서 품목관세로 인한 미국 내 자동차 판가 인상 첫 사례
- Ford CEO Jim Farley는 미국 자동차 품목관세가 최소 3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제시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CDetailView?sqno=950
포드 모터(F.US): 대중 브랜드로서 미국 판가 인상 첫 포문을 열었으나
▶️품목관세 영향이 없었던 1분기부터 역성장 기록
- 매출액 $40.7bn(-5.0% YoY), Adj.EBIT $1.0bn(-64.3% YoY), Adj.EPS(Diluted) $0.14(-71.4% YoY)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매출액 $36.8bn, Adj.EBIT $0.3bn, Adj.EPS(Diluted) -$0.04) 상회
- 1분기에 실적 성장 기록한 GM과 마찬가지로 Ford 역시 품목관세 영향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역성장 기록했기에 펀더멘털 신뢰성에 의문 가중될 전망
- 특히 품목관세 충격을 반영하지 않은 기존 25년 연간 Adj.EBIT 가이던스가 $7.0-8.0bn임에 주목. 1분기에 기록한 $1.0bn 수익성 체력으로는 현실적으로 달성 어려운 수치
- 1Q25 미국 산업수요 +3.6% 성장한 반면 Ford 미국 판매량은 동기간 -4.4%. 이는 최근 Ford의 상품성 경쟁 열위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
-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79%의 미국 내 생산 비중을 확보하고 있는 Ford가 제시한 올해 품목관세 Adj.EBIT 영향은 최대 $2.5bn
▶️멕시코산 모델에 대해 미국에서 $2,000 내외 판가 인상 개시
- 멕시코에서 5/2부터 생산된 Mustang Mach-E, Maverick pickup, Bronco Sport 3개 모델의 미국 내 판가 인상 예정
- 대중 브랜드로서 품목관세로 인한 미국 내 자동차 판가 인상 첫 사례
- Ford CEO Jim Farley는 미국 자동차 품목관세가 최소 3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제시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CDetailView?sqno=950
Kiwoom
키움증권 | 대한민국 주식시장 점유율 1위
대한민국 주식시장 점유율 1위, 키움증권에서 국내주식,해외주식, 금융상품 등 폭넓은 투자를 함께 하세요.
[키움증권 투자전략 / 매크로 김유미]
Weekly Macro : 미국 통화정책, 관망 모드
▶ 다음 주에는 미국의 물가 및 실물 지표 발표와 함께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다수 예정. 5월 FOMC 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물가와 경제에 대한 리스크가 커졌음을 지적하며,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힘. 이에 따라 지표 결과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수시로 변동할 수 있음.
▶ 다음 주 발표 예정인 4 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하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전월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국제유가 하락과 클리블랜드 연은의 추정치 둔화 등을 고려할 때, 발표치는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할 가능성도 있지만,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할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보임.
▶ 4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지역 연은의 제조업 체감경기와 소비심리는 전월 대비 소폭 개선되며 지표 흐름은 혼재될 것으로 전망. 실물 지표는 둔화되더라도 그 폭이 완만하고, 체감 경기가 개선되는 흐름이라면, 연준 위원들도 금리 인하에 대해 당분간 관망하는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따라서 금리 인하 기대가 당분간 낮게 유지된다면, 금융시장은 미국의 무역 협상 관련 뉴스 플로우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큼.
https://bbn.kiwoom.com/rfSE367
Weekly Macro : 미국 통화정책, 관망 모드
▶ 다음 주에는 미국의 물가 및 실물 지표 발표와 함께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다수 예정. 5월 FOMC 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물가와 경제에 대한 리스크가 커졌음을 지적하며,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힘. 이에 따라 지표 결과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수시로 변동할 수 있음.
▶ 다음 주 발표 예정인 4 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하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전월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국제유가 하락과 클리블랜드 연은의 추정치 둔화 등을 고려할 때, 발표치는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할 가능성도 있지만,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할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보임.
▶ 4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지역 연은의 제조업 체감경기와 소비심리는 전월 대비 소폭 개선되며 지표 흐름은 혼재될 것으로 전망. 실물 지표는 둔화되더라도 그 폭이 완만하고, 체감 경기가 개선되는 흐름이라면, 연준 위원들도 금리 인하에 대해 당분간 관망하는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따라서 금리 인하 기대가 당분간 낮게 유지된다면, 금융시장은 미국의 무역 협상 관련 뉴스 플로우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큼.
https://bbn.kiwoom.com/rfSE367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5/9)
(5/8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663.94 / 0.58%
NASDAQ 종합 17,928.14 / 1.07%
다우산업 41,368.45 / 0.62%
러셀2000 2,026.42 / 1.85%
필라델피아 반도체 4,430.44 / 1.00%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자동차 및 부품 (3.04%), 내구소비재/의류 (1.73%), 은행 (1.52%)
Low 3: 통신 (-1.48%), 제약 (-1.13%), 유틸리티 (-0.86%)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자동차 및 부품 3.04%
내구소비재/의류 1.73%
은행 1.52%
자본재 1.51%
운송 1.46%
에너지 1.26%
유통 1.21%
소재 1.20%
소프트웨어 1.10%
엔터/미디어 0.86%
반도체 및 장비 0.73%
하드웨어 0.61%
금융 0.58%
상업 및 전문서비스 0.43%
호텔/레저 0.19%
가정용품 0.16%
보험 0.02%
식료품 -0.47%
부동산 -0.61%
헬스케어 -0.65%
음식료 및 담배 -0.81%
유틸리티 -0.86%
제약 -1.13%
- 종목별 수익률
High 3: AXON (14.13%), EPAM (12.88%), ENPH (12.17%)
Low 3: MTCH (-9.58%), FTNT (-8.41%), COR (-6.83%)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83%
Growth 0.66%
Quality 0.14%
High Dividend 0.28%
Low Votality -0.40%
Enhanced value 0.63%
Value 0.50%
High Beta 1.62%
- 주요 뉴스
▶ Trump urged US House Speaker Johnson to raise top tax rate,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urged-speaker-johnson-raise-top-tax-rate-source-says-2025-05-08/
▶ Trump administration health research cuts total $1.8 billion, analysis find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administration-health-research-cuts-total-18-billion-analysis-finds-2025-05-08/
▶ Exclusive: US considering new ship registry in US Virgin Islands,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world/us/us-considering-new-ship-registry-us-virgin-islands-sources-say-2025-05-08/
▶ US House passes bill on Trump's Gulf of America
https://www.reuters.com/world/us/us-house-passes-bill-trumps-gulf-america-2025-05-08/
▶ Trump, Starmer hail limited US-UK trade deal, but 10% duties remain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us-britain-expected-announce-tariff-deal-thursday-2025-05-08/
▶ AI execs say US must increase exports, improve infrastructure to beat China
https://www.reuters.com/world/us/us-ai-execs-give-congress-policy-wishlist-beating-china-2025-05-08/
▶ US labor market stays resilient, but workers less productive in Q1
https://www.reuters.com/world/us/us-weekly-jobless-claims-fall-more-than-expected-2025-05-08/
▶ Trump castigates Fed's Powell for not cutting rates, downplays inflation risk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renews-criticism-feds-powell-not-cutting-rates-2025-05-08/
🌏US Daily (5/9)
(5/8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663.94 / 0.58%
NASDAQ 종합 17,928.14 / 1.07%
다우산업 41,368.45 / 0.62%
러셀2000 2,026.42 / 1.85%
필라델피아 반도체 4,430.44 / 1.00%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자동차 및 부품 (3.04%), 내구소비재/의류 (1.73%), 은행 (1.52%)
Low 3: 통신 (-1.48%), 제약 (-1.13%), 유틸리티 (-0.86%)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자동차 및 부품 3.04%
내구소비재/의류 1.73%
은행 1.52%
자본재 1.51%
운송 1.46%
에너지 1.26%
유통 1.21%
소재 1.20%
소프트웨어 1.10%
엔터/미디어 0.86%
반도체 및 장비 0.73%
하드웨어 0.61%
금융 0.58%
상업 및 전문서비스 0.43%
호텔/레저 0.19%
가정용품 0.16%
보험 0.02%
식료품 -0.47%
부동산 -0.61%
헬스케어 -0.65%
음식료 및 담배 -0.81%
유틸리티 -0.86%
제약 -1.13%
- 종목별 수익률
High 3: AXON (14.13%), EPAM (12.88%), ENPH (12.17%)
Low 3: MTCH (-9.58%), FTNT (-8.41%), COR (-6.83%)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83%
Growth 0.66%
Quality 0.14%
High Dividend 0.28%
Low Votality -0.40%
Enhanced value 0.63%
Value 0.50%
High Beta 1.62%
- 주요 뉴스
▶ Trump urged US House Speaker Johnson to raise top tax rate,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urged-speaker-johnson-raise-top-tax-rate-source-says-2025-05-08/
▶ Trump administration health research cuts total $1.8 billion, analysis find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administration-health-research-cuts-total-18-billion-analysis-finds-2025-05-08/
▶ Exclusive: US considering new ship registry in US Virgin Islands,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world/us/us-considering-new-ship-registry-us-virgin-islands-sources-say-2025-05-08/
▶ US House passes bill on Trump's Gulf of America
https://www.reuters.com/world/us/us-house-passes-bill-trumps-gulf-america-2025-05-08/
▶ Trump, Starmer hail limited US-UK trade deal, but 10% duties remain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us-britain-expected-announce-tariff-deal-thursday-2025-05-08/
▶ AI execs say US must increase exports, improve infrastructure to beat China
https://www.reuters.com/world/us/us-ai-execs-give-congress-policy-wishlist-beating-china-2025-05-08/
▶ US labor market stays resilient, but workers less productive in Q1
https://www.reuters.com/world/us/us-weekly-jobless-claims-fall-more-than-expected-2025-05-08/
▶ Trump castigates Fed's Powell for not cutting rates, downplays inflation risk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renews-criticism-feds-powell-not-cutting-rates-2025-05-08/
Reuters
Trump urged US House Speaker Johnson to raise top tax rate, sources say
U.S. President Donald Trump privately urged House Speaker Mike Johnson during a phone call on Wednesday to raise the tax rate on the wealthiest Americans and close the carried interest loophole for Wall Street investors, two people familiar with the conversation…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로크웰 오토메이션 (ROK.US): 공수교대 준비중
▶ FY2Q25 실적 Review
- 2Q25(3 월말) 실적: 매출액 20.01 억 달러(YoY -5.9%, QoQ +6.4%, 컨센 대비 +1.7%), 영업이익 4.08억 달러(YoY +0.9%, QoQ +27.1%, 컨센 대비 +21.8%), 영업이익률 20.4%(YoY +1.4%p, QoQ +3.3%p, 컨센 대비 +3.4%p), EPS 2.45 달러(YoY -2.0%, QoQ +33.9%, 컨센 대비 +17.8%)
▶ 주가 반등의 이유와 가이던스 상향 근거
- 1)가이던스 상향, 2)영업 비용 절감, 3)마진율 상승, 4)중국과의 낮은 연관성
- 관세 불안 완화 시 고객들의 설비 프로젝트 재개될 것이라는 점이 가이던스 상향의 근거
▶ 낮아진 영업 비용과 높아진 마진율
- 매출액 YoY -5.9%에도 매출원가와 영업비용 각각 YoY -7.9%, -6.5% 줄이며 영업이익은 YoY +0.9%
- 판매량이 낮은 SKU 36,000 개를 폐기하고, 나머지 4~5 천개의 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으로 영업이익률 개선
▶ 중국 노출도가 작은 매출 구조
- 동사 매출에서 중국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 수준
- 관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미국 → 중국 직수출 경로의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약 0.4%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52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로크웰 오토메이션 (ROK.US): 공수교대 준비중
▶ FY2Q25 실적 Review
- 2Q25(3 월말) 실적: 매출액 20.01 억 달러(YoY -5.9%, QoQ +6.4%, 컨센 대비 +1.7%), 영업이익 4.08억 달러(YoY +0.9%, QoQ +27.1%, 컨센 대비 +21.8%), 영업이익률 20.4%(YoY +1.4%p, QoQ +3.3%p, 컨센 대비 +3.4%p), EPS 2.45 달러(YoY -2.0%, QoQ +33.9%, 컨센 대비 +17.8%)
▶ 주가 반등의 이유와 가이던스 상향 근거
- 1)가이던스 상향, 2)영업 비용 절감, 3)마진율 상승, 4)중국과의 낮은 연관성
- 관세 불안 완화 시 고객들의 설비 프로젝트 재개될 것이라는 점이 가이던스 상향의 근거
▶ 낮아진 영업 비용과 높아진 마진율
- 매출액 YoY -5.9%에도 매출원가와 영업비용 각각 YoY -7.9%, -6.5% 줄이며 영업이익은 YoY +0.9%
- 판매량이 낮은 SKU 36,000 개를 폐기하고, 나머지 4~5 천개의 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으로 영업이익률 개선
▶ 중국 노출도가 작은 매출 구조
- 동사 매출에서 중국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 수준
- 관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미국 → 중국 직수출 경로의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약 0.4%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52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Forwarded from [키움증권 보험/증권] 안영준
[키움증권 보험/증권 안영준]
✅ 미래에셋증권 - 18년의 장기 하락 추세 끝. 이제 상승 추세 초입일 뿐
◆ 1Q25 지배순이익 59% (YoY) 증가, 컨센서스 6% 상회
- 1Q25 지배순이익 59% (YoY) 증가한 2,587억원
- 추정치 부합, 기대치는 6% 상회
◆ 해외법인 이익 기여도 대폭 향상
- BK 수수료손익 +12% (YoY), 국내/해외 -19%/+70% (YoY)
- IB 수수료수익 -10% (YoY), 인수주선수수료 36% (YoY) 증가 vs. 채무보증수수료 47% (YoY) 감소
- 이자손익 17% (YoY) 증가, 운용 및 기타 손익 11% (YoY) 감소
- 해외부동산 관련 손실 약 1,000억원 반영되며 별도순이익 45% (YoY) 감소했으나,
- 연결 기준으로는 투자자산 평가이익 및 해외법인 실적 등이 반영되며 견조한 실적 기록
- 주목할 점은 해외법인의 실적 기여
- 해외법인의 세전이익은 1,196억원(미국/홍콩/런던/싱가포르 등 선진지역 864억원, 인도/인도네시아 /베트남/브라질/몽골 등 이머징지역 332억원)으로 전분기 554억원에서 116% 증가
- Trading 수익 비중이 높아(50%) 비슷한 실적 유지는 불확실하나, 추세적 성장은 이어질 것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원 상향, Top Pick 유지
- 투자포인트는
1) 양호한 업황과 해외법인 이익 기여 본격화
2) NXT 활성화에 따른 BK 호조 기대감,
3) 과거와 다른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
4) 보유 자기주식 및 그룹의 전반적인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 등
- 최근 주가 단기 급등했으나, 2007년 3.7만원을 기록한 이후 약 18년간 이어진 하락세를 돌파한 것에 불과
- 그간 증권 업종은 실적 성장에도 수익성 악화와 주주환원 부진 등으로 PBR과 주가가 줄곧 하락했으나,
- 향후 주주환원 확대 시 자본 효율성 향상에 따른 리레이팅이 충분히 가능할 것
- 주가 급등에 따른 피로감으로 단기 조정은 있을 수 있으나 중장기 구조적 리레이팅이 기대
- 증권 업종 최선호주 유지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51
채널: https://t.me/yj_financial
✅ 미래에셋증권 - 18년의 장기 하락 추세 끝. 이제 상승 추세 초입일 뿐
◆ 1Q25 지배순이익 59% (YoY) 증가, 컨센서스 6% 상회
- 1Q25 지배순이익 59% (YoY) 증가한 2,587억원
- 추정치 부합, 기대치는 6% 상회
◆ 해외법인 이익 기여도 대폭 향상
- BK 수수료손익 +12% (YoY), 국내/해외 -19%/+70% (YoY)
- IB 수수료수익 -10% (YoY), 인수주선수수료 36% (YoY) 증가 vs. 채무보증수수료 47% (YoY) 감소
- 이자손익 17% (YoY) 증가, 운용 및 기타 손익 11% (YoY) 감소
- 해외부동산 관련 손실 약 1,000억원 반영되며 별도순이익 45% (YoY) 감소했으나,
- 연결 기준으로는 투자자산 평가이익 및 해외법인 실적 등이 반영되며 견조한 실적 기록
- 주목할 점은 해외법인의 실적 기여
- 해외법인의 세전이익은 1,196억원(미국/홍콩/런던/싱가포르 등 선진지역 864억원, 인도/인도네시아 /베트남/브라질/몽골 등 이머징지역 332억원)으로 전분기 554억원에서 116% 증가
- Trading 수익 비중이 높아(50%) 비슷한 실적 유지는 불확실하나, 추세적 성장은 이어질 것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원 상향, Top Pick 유지
- 투자포인트는
1) 양호한 업황과 해외법인 이익 기여 본격화
2) NXT 활성화에 따른 BK 호조 기대감,
3) 과거와 다른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
4) 보유 자기주식 및 그룹의 전반적인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 등
- 최근 주가 단기 급등했으나, 2007년 3.7만원을 기록한 이후 약 18년간 이어진 하락세를 돌파한 것에 불과
- 그간 증권 업종은 실적 성장에도 수익성 악화와 주주환원 부진 등으로 PBR과 주가가 줄곧 하락했으나,
- 향후 주주환원 확대 시 자본 효율성 향상에 따른 리레이팅이 충분히 가능할 것
- 주가 급등에 따른 피로감으로 단기 조정은 있을 수 있으나 중장기 구조적 리레이팅이 기대
- 증권 업종 최선호주 유지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51
채널: https://t.me/yj_financial
Forwarded from [키움 화장품/섬유의복] 조소정
에이피알 (278470)
➡️1Q25 Review
● 매출 2,660억원 (+79%), 영업이익 545억원 (+49%, OPM 20.5%), 시장예상치 상회.
● 미국/일본/글로벌 B2B 채널이 성장을 이끈 가운데, 화장품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예상치를 상회
➡️세부
● 국내 768억원 (-7%): 뷰티 사업은 전년과 비슷했으나 의류 사업이 축소된 영향
● 해외 1,893억원 (+186%): 미국/일본/글로벌 B2B 채널이 성장을 견인. 채널별 성장률은 B2B +992%, 일본 +198%, 미국 +186%, 중화권 +39% 기록.
- 글로벌 B2B는 유럽/중동/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확장, 100여개 국가에 진출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
- 일본은 온오프라인 동시 공략 중. 온라인에서는 큐텐/메가와리 행사에서 최대 매출 기록, 오프라인은 채널 확장 통해 성장 중
- 미국은 SNS내 바이럴 효과 덕분에 히트 제품이 계속 증가하면서 매출이 크게 성장 중.
➡️투자의견
● 25년 매출 1조 1,959억원 (+65%), 영업이익 2,338억원 (+91%) 예상, 해외 채널 비중은 24년 55% > 25년 74% > 26년 78% 확대 예상.
● 최근 보여지고 있는 강한 성장 모멘텀을 반영하여 실적 전망치 변경. 목표주가 상향조정.
➡️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RDetailView?sqno=11350
➡️1Q25 Review
● 매출 2,660억원 (+79%), 영업이익 545억원 (+49%, OPM 20.5%), 시장예상치 상회.
● 미국/일본/글로벌 B2B 채널이 성장을 이끈 가운데, 화장품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예상치를 상회
➡️세부
● 국내 768억원 (-7%): 뷰티 사업은 전년과 비슷했으나 의류 사업이 축소된 영향
● 해외 1,893억원 (+186%): 미국/일본/글로벌 B2B 채널이 성장을 견인. 채널별 성장률은 B2B +992%, 일본 +198%, 미국 +186%, 중화권 +39% 기록.
- 글로벌 B2B는 유럽/중동/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확장, 100여개 국가에 진출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
- 일본은 온오프라인 동시 공략 중. 온라인에서는 큐텐/메가와리 행사에서 최대 매출 기록, 오프라인은 채널 확장 통해 성장 중
- 미국은 SNS내 바이럴 효과 덕분에 히트 제품이 계속 증가하면서 매출이 크게 성장 중.
➡️투자의견
● 25년 매출 1조 1,959억원 (+65%), 영업이익 2,338억원 (+91%) 예상, 해외 채널 비중은 24년 55% > 25년 74% > 26년 78% 확대 예상.
● 최근 보여지고 있는 강한 성장 모멘텀을 반영하여 실적 전망치 변경. 목표주가 상향조정.
➡️ 보고서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AnalCRDetailView?sqno=11350
Kiwoom
키움증권 | 대한민국 주식시장 점유율 1위
대한민국 주식시장 점유율 1위, 키움증권에서 국내주식,해외주식, 금융상품 등 폭넓은 투자를 함께 하세요.
[키움 디지털자산 김현정]
Kiwoom Digital Asset Weekly 05/09
▶ 소상공인 기반 투자계약증권 유통플랫폼 혁신금융서비스 신규 지정
- 금융위원회, 지난 5월 2일 진행된 정례회의에서 신규로 지정된 혁신금융서비스 공개. 지정된 서비스 중 하나는 백년가게 (업력30년 이상의 소상공인으로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선정한 가게) 소상공인의 공동사업에서 발생하는 매출을 기초자산으로서 투자계약증권으로 발행하고 다자간 상대매매 방식으로 장외에서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국ST거래의 플랫폼. 이와 관련하여 금융위원회는 관련 서비스가 실제로 시장에 도입될 경우 소상공인 자금조달 수단의 다변화와 개인 투자자 투자 저변 확대 등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
▶ 비트코인, 5월 8일 기준 $102,616.64로 5월 1일 대비 +6.4%(Bloomberg)
- 이번주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달러를 돌파하며 상승. 이는 주중 미국 뉴햄프셔 주정부에서 미국 최초로 '비트코인 준비자산법'이 통과되었고, 이어서 애리조나 주정부에서도 비트코인을 공식 준비자산으로 채택하였다는 소식이 전달되었기 때문. 이러한 가운데, 미국과 영국의 관세 협상 타결로 글로벌 무역 긴장감이 완화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된 점도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 한편, 두바이에서 개최된 TOKEN2049 컨퍼런스에 참여한 에릭 트럼프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당한 양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 이는 비트코인에 친화적인 환경이 지속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시장에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BC1320
Kiwoom Digital Asset Weekly 05/09
▶ 소상공인 기반 투자계약증권 유통플랫폼 혁신금융서비스 신규 지정
- 금융위원회, 지난 5월 2일 진행된 정례회의에서 신규로 지정된 혁신금융서비스 공개. 지정된 서비스 중 하나는 백년가게 (업력30년 이상의 소상공인으로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선정한 가게) 소상공인의 공동사업에서 발생하는 매출을 기초자산으로서 투자계약증권으로 발행하고 다자간 상대매매 방식으로 장외에서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국ST거래의 플랫폼. 이와 관련하여 금융위원회는 관련 서비스가 실제로 시장에 도입될 경우 소상공인 자금조달 수단의 다변화와 개인 투자자 투자 저변 확대 등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
▶ 비트코인, 5월 8일 기준 $102,616.64로 5월 1일 대비 +6.4%(Bloomberg)
- 이번주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달러를 돌파하며 상승. 이는 주중 미국 뉴햄프셔 주정부에서 미국 최초로 '비트코인 준비자산법'이 통과되었고, 이어서 애리조나 주정부에서도 비트코인을 공식 준비자산으로 채택하였다는 소식이 전달되었기 때문. 이러한 가운데, 미국과 영국의 관세 협상 타결로 글로벌 무역 긴장감이 완화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된 점도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 한편, 두바이에서 개최된 TOKEN2049 컨퍼런스에 참여한 에릭 트럼프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당한 양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 이는 비트코인에 친화적인 환경이 지속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시장에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비트코인 가격에 긍정적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BC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