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리서치
19.3K subscribers
2.61K photos
13.9K links
하나증권 주요 소식 및 리서치 자료 공유
Download Telegram
◈하나금융투자 글로벌리서치◈

선진국 기업/리츠 이송희

◆ 아메리칸타워(AMT.US): 유럽 포트폴리오 확대

▶️자료: https://bit.ly/2LVPuvm


◆ 텔레포니카의 타워 사업부문 인수

-아메리칸타워는 텔레포니카의 타워 사업자인 Telxius Towers를 94억달러에 인수할 계획

-Telxius Towers는 독일, 스페인, 브라질, 칠레, 페루 및 아르헨티나에 약 3.1만개의 통신 사이트를 소유

- 인수 자산으로부터의 첫 해 매출액은 7.7억달러, 조정EBITDA는 3.9억달러를 기록할 전망

- 특히 이번 인수로 유럽 자산은 기존 5000개에서 약 3만개로 증가, 유럽의 2위 셀타워 사업자가 될 전망


◆ 자금조달 방식은 2015년 버라이즌 셀타워 인수 때와 비슷

- 동사는 2015년 버라이즌으로부터 약 1.1만개의 셀타워를 51억달러에 인수한 바 있음

- 이 중 23억달러를 보통주 증자를 통해 조달, 당시 시가증자 형태로 발행했고 자금조달 목적이 명확해 주가는 안정적 흐름을 보임

- 나머지 금액은 부채를 통해 조달했으며 순부채/EBITDA 비율은 일시적으로 소폭 상승했으나 EBITDA/이자비용 비율은 기존 4.4배에서 5배로 개선되는 흐름 시현

- 동사는 이번 인수를 위한 자금조달이 2분기에 이루어지며 2015년 방식과 유사하게 진행될 예정이라 언급


◆ 장기성장성 확보에 따른 긍정적 전망

- 현재 주가는 2021년 선행 P/AFFO 23.6배에 거래 중

- 미국 내 5G 인프라 투자 지연과 최근의 시장금리 상승 기대감에 따른 리츠 전반적인 매력 축소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아진 상황

- 동사의 경우 글로벌 포트폴리오 확장에 따라 5G 투자 확대 및 4G 투자 지속이라는 두 가지 성장 요소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매력 높다는 판단 유지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인터넷/게임(Overweight) : 위메이드, 더블유게임즈 업데이트

□위메이드 : 시장이 간과했던 “미르4” 성과

- 12월 모바일인덱스(MobileIndex)는 “미르의전설4” 매출이 구글플레이, 앱스토어, 원스토어 합산기준 6위를 기록했다고 밝힘

- 현재 “미르4”는 구글플레이 기준 매출 14위, 앱스토어 14위, 원스토어 1위를 기록하고 있음

- 실제 매출액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원스토어’ 1위 기준 일매출이 5억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갤럭시 스토어에서도 견조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출시 후 매출은 시장 기대치 대비 상당 수준 높을 것으로 판단

- 이를 기반으로 4분기 매출 역시 당사 추정치 뿐만 아니라 시장 컨센서스 대비로도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 보임, 여기에 과금구조의 특성에 힘입어 최근 일평균 매출이 상향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1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도 유효할 것으로 판단

- 향후 관전포인트는 두 가지 방향에서 점검할 필요가 있어 보임.

- 첫 째는 “미르4”의 해외 진출과 “미르M” 등의 후속작 출시

- “미르4”의 중국 진출은 최근 퍼블리셔 선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샨다와의 “미르2” 저작권 이슈가 해결된 만큼 상대적으로 시장지배력이 높은 기업과의 퍼블리싱 계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미르M”의 경우 개발은 상당부분 진척되어 있는 만큼 상반기 말 이후 시장환경을 고려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됨

- 두 번째는 라이선스 비즈니스 이슈

- 코로나19, 중국 현지 이슈 등으로 샨다의 불법 서브라이선스 게임 재계약, 37게임즈 최종심 판결, 킹넷과의 분쟁해결 등이 다소 지연되고 있으나, 연내 개선된 모습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최근 불법서버 양성화 작업은 진행중인 만큼 라이선스 매출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위메이드 : 시장이 간과했던 “미르4” 성과

- 최근 글로벌 1위 소셜카지노 기업인 플레이티카(Playtika)의 IPO 공모가가 밴드(22~24달러) 상단을 상회하는 27달러로 결정되며 성공적인 IPO를 실현

- 상장 후 분위기도 우호적임. 첫 거래일인 1월 15일 주가는 17.1% 상승한 31.62달러에 마감, 시가총액은 약 13.05십억달러로 14.4조원

- 플레이티카의 성공적인 IPO를 고려할 때 더블유게임즈의 자회사 더블다운인터랙티브(DDI)의 IPO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IPO 시장분위기도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

- 플레이티카의 3분기 누적매출액 대비 DDI의 매출액 규모는 약 15% 수준

- 단순비교를 할 경우 DDI의 상장 후 가치는 1.94십억달러, 2.14조원 규모이며 이중 더블유게임즈의 지분가치는 1.45조원


자세한 내용은 링크(https://bit.ly/3swVcEP)를 참조바랍니다.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감사합니다.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1/18일 하나금융투자 전략 이재만

[화수분전략] 그때와 지금(1) 금리와 인플레이션

▶️자료: https://bit.ly/38L9OIN


* 미국 GDP대비 재정적자 규모는 2020년 10월 초 -9.7%에서 현재 -10.3%까지 확대. 한편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이 2.1%(고점 2.5%)까지 상승, 연준의 자산 증가는 멈춤.

테이퍼링 가능성도 생각하는 시기


* 2013년 5월 연준 버냉키 의장은 테이퍼링 언급, 12월 발표. 2013년 5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2.1%에서 12월 3.0%까지 상승.

현재 바이든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정책과 연준의 테이퍼링 가능성이 맞물리면 시중금리 상승 가속화도 염두


* 2013년 3분기 주식시장 변화: 중소형주 중심으로 되어 있는 러셀2000지수가 10%나 상승, 상대적으로높은 수익률 기록.

원자재와 자본재와 같은 인플레 관련주가 2013년 3~4분기를 미국 증시 상승을 주도.

국내 증시도 2분기 금리 상승 충격을 벗어나 코스피와 인플레 관련주 중심으로 빠르게 반등


* 주식시장은 디플레 보다는 인플레를 선호.

그러나 시중금리 상승 과정에서 나타나는 레벨 변화에는 상당히 민감한 편.

2006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 돌파, 2011년, 2013년, 2018년 3% 돌파, 2015년과 2016년 2% 돌파 과정에서 코스피 조정 경험(고점 대비 저점: 최소 -3%~최대 -13%)


*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 상회. 주식시장은 새로운 금리 레벨에 적응하는 과정 진입, 이 과정은 지수 조정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


* 2021년 연초 이후 미국 증시에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에 기반해 러셀2000지수 강세.

성장주인 Tech섹터의 경우 S&P500지수 내(YTD -2%)에서는 부진, 러셀2000지수(YTD +5%)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세


* 한편 러셀2000지수 내에서도 에너지(YTD +9%)와 같은 인플레 관련 섹터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음.

이런 현상은 S&P500지수에서도 마찬가지(에너지 YTD +13%)


* 단기적으로는 기존 성장주(또는 주도주: Tech H/W, 자동차, 화학)의 관심 영역은 중소형까지 확산 염두. 2021년 매출 추정치가 상향 조정되면서 동종 업종과 비교 시 ROE는 상대적으로 높고, PBR은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들 부각(표5 참고)


* 중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향후 시중금리의 상승이 지속된다면 기업 가치는 무형자산이 아닌 유형자산에 대한 재평가로 관심이 이전될 가능성 있음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안녕하세요. 하나금투 최정욱입니다.

1월 셋째주 은행업종 Weekly 보내드립니다.


◆ 돌아오는 외국인. 추세 전환 기대 ◆


1) KOSPI 조정 국면 속에서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수로 은행주는 하락 폭 적었던 편. 미국 국채금리 변동성 확대 중

2) 전주 특징주는 지방은행들. 반면 KB금융은 가장 저조했는데 특이 요인 없었음. 하나금융은 외국인 매수세 파죽지세

3) 은행 예대율 상승 우려에 대한 코멘트. 아직까지는 우려할만한 상황 아님

4) 매파에 가까웠던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시장의 예상과 우리의 견해

5) 미국 국채금리 변동성으로 단기 국내 은행주 센티멘트 약화 가능성 있음. 다만 외국인 매수세와 중장기 금리 방향성 감안해야. 궁극적으로 Multiple Re-rating 기대


금주 은행 주간 선호 종목으로는 하나금융(매수/TP 47,500원)과 BNK금융(매수/TP 7,500원)을 제시합니다.

감사합니다


리포트 ☞ https://bit.ly/2LGda75


* 위 문자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하나금투/화학/윤재성] Weekly Monitor: 12월 NB Latex 급등. 금호석유 Strong Buy

▶️ 보고서: https://bit.ly/3szkYZa


[총평]

▶️ 유가 상승 불구, 춘절 이전 수요 관망세 나타나며 제품 전반 가격/마진은 전반적으로 조정입니다.

이번 주 주목할 점은
1) 12월 NB Latex 수출 단가 초강세
2) 중국 Sionpec SBR/BR 화재
3) MEG 강세
4) 미국/유럽 에틸렌/프로필렌, PE/PP 강세
5) BPA 급락 입니다.

Top Picks는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효성티앤씨입니다.


[석유화학]

▶️ 1) NB Latex

- 한국 12월 NB Latex 수출금액은 1.5억$로 YoY +150% 급증하며 사상 최대치를 갱신했습니다. 12월 수출 물량이 YoY +20% 증가한 것은 금호석유의 6만톤/년 증설 분이 반영된 영향입니다.

- 특히, 수출판가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평균 판가는 1,822$/톤으로 YoY +110% 급등했네요.

특히, 최근 장갑 라인 증설 지속에 따른 중국의 NBL 수요 폭증을 반영해 중국향 수출단가는 2,300$/톤에 육박합니다.

중국향 판매 물량에는 평균 수출가 대비 26%의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셈입니다.

중국 내 폭발적인 장갑 수요 및 증설, 낮은 인당 사용량 등을 감안하면 중국향 판가 프리미엄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 반면, BD가격은 급락해 1Q21 실적은 호조가 예상됩니다.


▶️ 2) 중국 SBR/BR 화재사고

- 중국 Sinopec Yangzi PC의 SBR/BR 각각 10만톤/년 설비가 화재로 최소 1개월 이상 가동중단될 예정입니다. 이는 글로벌 Capa의 2% 입니다.

중국 타이어 업체들의 SBR/BR 수입량 확대 언급과 동시에 중국 가격은 108$/톤 급등했습니다.


▶️ 3) MEG 가격은 7주 연속 상승(WoW +6.6%)했습니다. 동중국 MEG 재고가 뚜렷하게 하락한 영향입니다.


▶️ 4) 미국 에틸렌/프로필렌 가격은 각각 6년/3년 래 최대치입니다. 강한 수요와 낮은 재고 덕입니다.

PE 또한 추가 강세가 나타납니다. 남미/아프리카/터키 등에서의 공급부족 영향입니다.


▶️ 5) BPA 급락(-28.7%)은 춘절 이전 관망세 등에 따른 전방 PC업체의 가동률 조정 등 영향입니다.

춘절 전후 수요 회복과 더불어 재차 가격 급반등을 전망합니다.


* 위 문자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1/19일 하나금융투자 전략 이재만

[선진국전략] 테슬라(무형자산)와 엑슨모빌(유형자산)

▶️자료: https://bit.ly/2LXRhjy


* 1/11일 ‘[화수분전략] 그때와 지금(1) 금리와 인플레이션’ 자료에서 제시된 투자 전략 아이디어를 미국 증시에 반영


* 2021년 연초 이후 미국 증시에서 시중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에 기반해 러셀2000지수의 상대적 상세 현상이 나타나는 중.

성장주인 Tech섹터의 경우 S&P500지수 내(Tech YTD -2%)에서는 부진하지만, 러셀2000지수(Tech YTD +5%)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임


* 한편 러셀2000지수 내에서도 에너지(YTD +9%)와 같은 인플레 관련 섹터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음.

이런 현상은 S&P500지수에서도 동일(에너지 YTD +13%). Tech섹터를 중심으로 한 성장주는 대형주에서 중소형주로 관심이 이전되고 있고, 에너지섹터를 중심으로 한 인플레 관련주는 대형주 중심의 상승이 시작되는 중


* 중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향후 시중금리의 상승 지속 시 기업 가치는 무형자산이 아닌 유형자산에 대한 재평가로 관심이 이전될 가능성이 있음.

예를 들어 2021년 이후 PBR이 7.7배 되는 테슬라 주가 수익률은 +20%인 반면 PBR 1.1배인 엑슨모빌의 주가 수익률은 +22% 기록.

테슬라의 숨겨진 무형자산 가치는 시가총액 대비 98%(엑슨모빌 9%).

한편 엑슨모빌의 자기자본은 시가총액 대비 91%(테슬라 2%)에 육박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알파시황]기대와 현실의 간극

하나금융투자 주식시황 이재선(T.3771-3624)

▶️자료: https://bit.ly/3oWJC3s


★ 금번 조정의 단초를 제공한 재료는 미국 장기물의 가파른 상승세

> 금리 변수에 따른 경계심리 확산. 위험자산가격의 1차 변곡점은 27일 예정되어있는 FOMC회의


★ 2021년 국내 증시 전망은 여전히 흐림보다는 맑음

> 주요국 증시 중 KOSPI의 21년 EPS 증가율은 상위권 & 연초 이후 이익 상향조정 정도는 대만, 중국, 인도 대비 빠른 편


★ 다만 최근 금리 상승이 주식 매력도를 낮춘 건 사실

> 연초 이후 국내 증시의 일드갭 하락폭은 여타 증시 대비 상대적으로 가팔라

> KOSPI 일드갭은 -1SD을 돌파,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 신용융자잔고 상승도 조정장과 맞물리며 불안 심리를 자극. 연초 이후 KOSPI의 신용융자잔고 월간 증가폭은(+14조원), 지난 3월 이후 상승속도가 가장 빠름

>단기적으로 밸류에이션 상승, 신용 리스크 부각에 따른 증시 숨고르기 국면이 필요


★ 조정 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생각

> 1) 금리 상승과 무관하게 전기/수소차 기업 관련 글로벌 ETF는 BM 대비 아웃퍼폼 중. 관련 테마 기업들의 분할 매수 대응이 유효한 시점

> 2) 업종별로는 밸류에이션 상승 부담이 낮고, 신용융자 증가율이 BM 대비 낮은 업종이 상대적으로 선방할 가능성. 해당 업종은 은행, 디스플레이, IT하드웨어, 화장품, 소프트웨어. 매도보다는 유지하는 전략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전략 김경환(T.02-3771-7616)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HANAchina


◈[김경환의 탄탄(談談)대륙] 중국경제, 강한 이유와 앞으로 기대되는 것

▶️자료: https://bit.ly/38SzqU1


>2020년 중국 연간 2.3% 성장, 4분기에는 코로나19 이전 추세 회복


>2021년 연간 9% 성장, 경기 모멘텀과 지속력 시장 예상 상회 전망


>세 가지 근거

(1)생산자물가와 기업이익 회복세가 시장 예상 상회

(2)2021년 새로운 CAPEX 사이클 진입

(3)상반기 수출, 서비스, 경기소비가 성장의 견인차 역할


>1분기 중국증시(CSI300/항생)와 시클리컬/금융/테크주(수출)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 유지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하나금융투자 중국/신흥국기업 백승혜(T.02-3771-7521)

◈하나금융투자 중국 1등주 포트폴리오

▶️자료: https://bit.ly/3nUt3nq


★ 하나금융투자 중국 1등주 확장 포트폴리오 주간 수익률 +1.3%, 누적 수익률 +173.9% 기록


★ 금주 업데이트 종목: 중국면세, BAT, BYD, CATL, SMIC, 금풍과기, 바이두


★ 포트폴리오 단기 유망 종목: 텐센트, 바이두, SMIC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하나금융투자 글로벌리서치◈

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 홈디포(HD.US): 2021년 기대감 높다

▶️ 자료: https://bit.ly/2LWlQ9k


◆ 2021년 투자매력도 높음

- 1)수요 여전히 견고한 추이 지속 전망

-미 정부의 경기부양 지원금 수혜 2021년에도 효과 클 것

-지원금 수혜 대상이면서 실직 비율이 낮은 중간소득층이 주택관련 지출 비중 높은 그룹

-미국 주택 공급부족 & 주택가격 상승세 여전, 집의가치 상승은 주택개량 수요 상승


2)HD Supply 인수, MRO 사업 경쟁력 상승으로 성장 동인

-HD Supply, 건물이나 시설을 수리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MRO 제품들을 다세대 빌라나 상업용 건물 관리 업체를 대상으로 전문적으로 유통하는 사업자

-미국 MRO 시장 550억 달러 규모의 큰 시장, 다수의 사업자가 ~5% 이내 점유율을 가지고 경쟁, 홈디포 MRO 매출 규모 약 20억 달러

-HD Supply 인수로 MRO 시장에서 약 10% 점유율 차지, 규모 경쟁력을 통한 입지 강화
MRO 사업 자산 통합으로 레버리지 효과 기대

-홈디포 대비 HD Supply 영업마진이 높기 때문에 2021년 수익성 상승에 기여 전망

-DIY 대비 Pro향 사업 부진했는데 2021년 반등 본격적으로 시작 전망


◆ 주가 상승 잠재력 충분
- 주가는 12M FWD PER 22배 거래중

1)긍정적인 수요환경,
2)옴니채널 전략 성공에 따른 성장 기대감,
3)2021년 수익성 개선

PER 밴드 상단(26배)까지 업사이드 충분

2021년 다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사주 매입 또한 긍정요인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1/19(화)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해성디에스가 4Q20 실적발표를 했습니다.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30% 하회했는데, 환율 하락, 구리가격 급등, 일회성 비용 때문입니다.

외부변수에 의한 실적 리스크를 체감한 실적이지만, 본업은 리드프레임이 견조했습니다.

현재 자동차 반도체의 타이트한 수급으로 고객사들이 부품의 장기 공급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차량용 리드프레임의 매출액의 성장 가시성이 보다 높아졌고, 이에 따라 실적도 상향했습니다.

높아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CAPA 증설도 고민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최근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가가 급등했는데, 국내 차량용 IT부품 업체 중에서 매출/영업이익 모두 탑클래스입니다.

지속 관심 가져야할 종목이며 목표주가 35,000원으로 상향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기사>

# 해성디에스: 2021년 자동차로 일낸다

· 4Q20 Review: 외부 변수로 기대치 하회
· 2021년 차량용 리드프레임 실적 상향
· 밸류에이션 재평가 진행중. 상단이 열릴 가능성도 상존

https://bit.ly/2NfLk28


# 애플 '아이폰13'에 지문인식 재도입 전망

애플이 지문인식 기술을 아이폰13에 적용할 전망이다.

https://bit.ly/3nW4yqf


<기타 뉴스>

# 대만 미디어텍 '고속성장'…퀄컴도 넘본다

대만 시스템 반도체 업체인 미디어텍이 괄목 성장하고 있다. 5세대(G) 이동통신 전환을 발판 삼아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https://bit.ly/3bJWDtE


# "애플, 폴더블 아이폰 초기 작업 시작"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위해 초기 작업을 시작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https://bit.ly/2XRRw2o


# "미 상무부, 인텔의 화웨이 수출면허 취소"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정권 교체 직전까지 중국에 대한 제재의 끝을 바짝 조이고 있다.

https://bit.ly/3ipt7dT


# 89조원 美5G 중대역 주파수 경매끝…본격 5G 투자 시동

미국 5세대(5G) 이동통신용 중(中)대역 '메이저' 주파수 경매(옥션107)가 연방통신위원회(FCC) 사상 최대인 809억달러(89조원)을 기록하며 현지시간 15일 마무리됐다.

https://bit.ly/38UoiGw


# 드라이버 IC 공급 부족, TV 대형화에도 영향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칩인 '드라이버 IC' 공급 부족이 TV 패널 대형화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https://bit.ly/3iou4Db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샤오미 +2.05%
ZTE +3.50%
레노버 +4.32%

무라타 +0.40%
타이요유덴 -0.18%
야교 0.00%
Ibiden +0.80%
Shinko -0.56%

인텔
마이크론
TSMC +1.00%
퀄컴
미디어텍 -0.71%

UDC
BOE +0.59%
AUO +0.68%

Tesla
CATL +0.88%
Umicore +1.74%
Albemarle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Global ETF Weekly] ETF 시장에서 감지되는 포트폴리오의 변화
▶️ 하나 Global ETF / FI 박승진(T.3771-7761)
▶️ https://bit.ly/3il8jEu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글로벌 ETF 시장으로의 전반적인 자금 유입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부 포트폴리오 조정 움직임 감지

- 달러 반등과 금리 상승 가운데 단기적인 모멘텀 소진 가능성에 따른 차익 매물 출회 추정. XLC(통신 서비스)와 VUG(성장주), GLD(금)에서 투자 자금이 이탈

- 전반적인 시장 대응 측면에서는 방향성보다 속도 조절의 변화 관점에서 살펴 볼 필요. 증시 전반을 추종하는 VTI, SPY, IVV에는 자금 유입 기조 지속. 펀더멘털 회복 과정에서의 완만하고 자연스러운 금리 상승 이어질 전망

- 긴축 경계를 늦추어 가며 모습을 드러낼 부양책들이 향후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 친환경 ETF와 더불어 인프라 관련 ETF인 PAVE(미국), IGF(글로벌)에도 관심 필요

- 포트폴리오 대응 관점에서는 미국 금융업 ETF인 XLF를 편입. 차익실현과 단기적인 금리 조정 과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 대형 IB들의 자사주 매입에 따른 수급 영향과 더불어 NIM 회복, 운용 및 대출 수익 증가 등 실적 개선 요인 늘어날 전망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투 은행/지주 최정욱 ◆


★ JPMorgan Chase(JPM.US) : 주가상승률 높았지만 투자매력 여전히 높음


▶️ 대부분의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 나타내며 호실적 시현

- JPM 4분기 순익은 117.0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무려 44.6%나 증가해 컨센서스를 큰폭 상회

- 실적 호조의 배경은 소비자금융·투자은행·상업은행 등 대부분의 사업부에서 순익이 개선됐고 대손충당금이 19.0억달러나 환입되었기 때문. 대손충당금 환입은 코로나 백신 보급과 바이든 정부의 추가 재정 부양 계획을 근거로 향후 경기 전망 개선을 반영했기 때문

- 사업부문별로 보면 자산관리부문은 3분기 8.8억달러에서 4분기 7.9억달러로 소폭 감소. 소비자금융은 38.7억달러에서 43.3억달러로 코로나 발생 이전 수치를 회복했고 투자은행과 상업은행 부문도 각각 53.5억달러와 20.3억달러로 3분기보다 큰폭 개선된 순익을 기록


▶️ 실적과 Multiple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블루 웨이브

- 2020년 10월말 이후 최근 약 3개월간 JP모건의 주가상승률은 43.6%에 달해 주가가 큰폭 상승. 2020년 1~2분기 대규모 충당금 추가 적립에 따른 어닝쇼크 시현 이후 하반기 중 어느정도의 순익 증가는 기정사실화되었던데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완연한 상승세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금리모멘텀까지 부각되고 있기 때문

- 1월초 블루웨이브가 현실화 되고 주가 상승세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 상황. 미 10년물 금리가 지난주 한때 1.19%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며 요며칠 다시 1.1%를 하회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인 금리 방향성은 추가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

- 금리 상승이 지속될 경우 실적 개선 폭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고, 이익 상향 추세가 현실화될 경우 결국 multiple 상향도 동반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바이든 정부의 규제 재개 가능성은 부담 요인이지만...

- 금리 모멘텀은 미국 금융주에 호재이지만 반면 법인세 인상과 볼커룰 강화, 금융소비자 보호 등 규제에 보다 적극적일 수 있다는 점은 부담 요인

- 다만 미국 은행들의 1분기 자사주 매입 재개 발표에서 볼 수 있듯이 규제가 원칙에 입각한 합리적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막연한 규제리스크는 부각되지 않을 듯. 투자매력은 여전히 높다고 판단


리포트 ☞ https://bit.ly/3qyzgqW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CrediVille] 실질금리와 실제금리
국내크레딧 김상만(T.3771-7508)
https://bit.ly/3nXVmBI

우리가 실제로 상대해야 할 대상은 실질금리가 아니라 명목금리이다

-최근 금융시장에 가장 핫한 논쟁거리 중 하나가 인플레이션도래 및 그에 따른 금리상승 여부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고 보는 입장에서는 각국 정부의 부양책에 따른 경기회복 및 코로나종식에 따른 대기수요 가세로 시중물가 및 금리상승을 야기시켜 자산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

-반대입장에서는 높은 실업률, 산업밸류체인변화에 따른 생산비용통제, 고령화에 따른 잠재수요 감소 등을 사유로 이 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시각

-현 시장의 컨센서스는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어도 금융시장에 부담은 주지 않을 것이며 실질금리만 낮게 유지된다면 문제가 될 것은 없다라는 시각. 그런데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주장

-왜냐하면 첫째, 기대인플레이션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고 있기에 실질이 아닌 기대에 의한 실질금리라는 것. 둘째, 투자자입장에서는 명목금리가 실제로 맞닥뜨리게 되는 금리라는 것. 실질금리부담이 낮다는 것은 경제가 전반적으로 완화적 자본조달환경에 있다는 의미이지 구성원 모두가 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담보하는 것은 아님

-주식투자자 또한 자본의 공급자로서 인플레이션과 고금리가 오면 내가 투자한 기업의 현재가치가 낮아지기에 꼭 유리한 입장은 아님. 결론적으로 실질금리하락의 직접적인 수혜자는 자금을 조달하는 주체(채권발행자 등)가 될 것이며 이는 크레딧에 긍정적

-한편, 실질금리의 하락이 자산시장에 주는 시사점 및 영향은 저금리 현상이 지속되는 한 조달 주체의 (주로 차입에 기반한) 조달 욕구 및 위험선호가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점

-중요한 포인트는 통화당국의 입이 아니라 정책주도권이 통화에서 재정으로 넘어갈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 기업분석팀

★ 한독크린텍(256150.KQ) : 4Q20 탑픽 Preview #1: 2021년 필터 수요 지속 + 신규 고객사 확보로 연간 최대 실적 또 다시 갱신! ★

원문링크: https://bit.ly/3bTg4jx


1.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3,300원으로 상향

-한독크린텍은 정수기 필수 소모품인 카본블록필터 국내 점유율 1위 공급자로 실적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

-한독크린텍은 2021년 예상 실적기준 PER 8.8배 수준으로 저평가 되어 있어 투자매력도가 높음


2. 21년 필터 수요 지속 + 신규고객사 확보로 최대 실적 예상

- 국내외 정수기 렌탈 시장은 코로나19에도 비대면 영업채널 확장, 자가관리형 모델 출시로 계정 수 지속 증가

- 국내는 가성비 높은 자가관리형 모델 출시로 인한 1인가구 이용자 유입 + 해외 주요 지역 대면 마케팅 또한 재개되며 신규 가입자 수 증가세가 회복 될 전망

- 한독크린텍은 2021년 상반기 신규고객사(국내 대형 가전업체) 정수기 출시에 따른 신규 필터 매출 반영 또한 기대

- 2021년 정수기 필터 관련 매출액은 전년 대비 28.3% 증가한 803억원 예상


3. 2021년 매출액 825억원, 영업이익 144억원 전망

- 한독크린텍은 필터 완제품 매출 비중 증가를 통한 ASP 상승과 자동화설비를 통한 공정효율화로 수익성 개선 또한 계속 되며 2021년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1.7%p 상승한 17.4% 달성 예상



하나금융투자 기업분석팀 중소형주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금융투자 기업분석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리서치 투자정보

유럽 자동차 12월
하나금융투자 자동차 Analyst 송선재 (02-3771-7512)


1. 한국 완성차

- 현대차 4.4만대(+0%), MS 3.6%(+0.1%p)

- 기아: 3.0만대(-11%), MS 2.5%(-0.2%p)

- 합산 판매 -5%

- 2020년 연간 현대차 42.5만대(-24%), MS 3.6%(-0.0%p)

- 기아 41.7만대(-17%), MS 3.5%(+0.3%p)


2. 유럽시장

- 12월 유럽 자동차 판매 -4%

- 독일(+10% (YoY)) vs. 스페인(-0%), 영국(-11%), 프랑스(-12%), 이탈리아(-15%) 감소

- 폭스바겐/토요타 양호 vs. 르노/포드 부진


3. 판단

- 2020년 유럽 자동차 1,196만대(-24%)

- 코로나19로 상반기 부진. 하반기는 친환경차 부양책으로 개선되다가 코로나 재확산으로 회복 지연

- 2021년은 누적된 대기수요 분출되며 판매가 증가하고 친환경차 침투율이 추가적으로 상승할 것


전문: https://bit.ly/3syAJ2B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자동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2nKHlh6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1/20(수) 하나 테크 헤드라인

🚀 안녕하세요. 김록호입니다.

LG이노텍 목표주가를 235,000원으로 상향하며 톤을 높였습니다.

북미 고객사향 카메라모듈 공급구조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에 수개월간 추천을 못 드렸었습니다.

다만,
1) 해당 이슈가 이미 노출된 악재로 주가에 반영되어 있는 점과
2) 기판소재 사업부의 영업가치 상승,
3) 전장부품의 적자 탈피를 감안하면 이제는 다른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해성디에스 목표주가를 하루만에 35,000원에서 42,000원으로 상향했습니다.

차량용 반도체의 타이트한 수급 속에서 수혜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매년 차량용 반도체의 실적 기여도가 갱신되는 상황에서 과거 최고 PER보다는 글로벌 동종업체와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저희 콜라보(자동차/반도체/전기전자) 자료 보고서 링크입니다. https://bit.ly/2LBTjpT


어제 일본 MLCC 업체 Taiyo Yuden 주가가 7.7% 상승했습니다. 증권사의 목표주가 상향보고서가 주요인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기사>

# LG이노텍: 기판소재 가치 상승 vs 광학솔루션 불확실성

· 4Q20 Preview: 영업이익 3,571억원으로 상향
· 밸류에이션 하락 감안해도 현재 주가는 저평가
· 기판소재와 전장부품의 실적 기여도에 주목

https://bit.ly/38TR4qv


# Digitimea: Car PCB makers may see shipments dented by labor shortage despite clear order visibility

PCB 제조업체들의 자동차향 주문은 최소 4~5개월까지 확대되었지만, 인력 부족으로 실제 출하량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ttps://bit.ly/2M1QQF5


# Gizchina: GALAXY A32 5G COMING NEXT MONTH TO THE UK, GALAXY A12 LAUNCHES TODAY

영국에 갤럭시A12가 공식적으로 출시된다.

https://bit.ly/3p17KlN


<기타 뉴스>

# 맥북·아이패드도 생산 다변화...폭스콘, 베트남 공장 신설

애플 최대 협력업체 폭스콘이 노트북·태블릿 등 생산을 위한 공장을 베트남에 신설하는 등 ‘탈중국’에 속도를 내고 있다.

https://bit.ly/2XTqM1p


# LG 스마트폰 사업 철수 전망 잇달아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 정리에 나섰다는 루머가 업계에 떠돈다.

https://bit.ly/2LLUzXp


# 동운아나텍, 미래차 곳곳에 '햅틱 IC' 심는다

토종 팹리스 동운아나텍이 자동차 전자장치용 햅틱 구동 집적회로(IC) 국산화에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https://bit.ly/3sExgzy


#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 320만대…신차 효과로 예상 웃돌아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EV) 판매량이 320만대로 집계됐다.

https://bit.ly/3isb7zt



<글로벌 업체 주가 동향>

애플 -0.03%
샤오미 +5.02%
ZTE -1.29%
레노버 +1.42%

무라타 +2.48%
타이요유덴 +7.71%
야교 +1.00%
Ibiden +2.17%
Shinko +0.45%

인텔 +0.71%
마이크론 +5.92%
TSMC +3.29%
퀄컴 +4.25%
미디어텍 +4.15%

UDC +3.87%
BOE -4.68%
AUO -0.68%

Tesla +2.23%
CATL -4.63%
Umicore -1.60%
Albemarle +2.84%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하나IT텔레그램: https://t.me/ITforYouFromHana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하나금융투자 퀀트/파생 이경수] 개인 수급의 핵심은 '실적'

▲ 현실 도피성 영끌 재테크는 주식시장으로 갈 수 밖에...

- 국내 주식시장에 개인 수급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 그 이유는 최근 통화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증권예탁금과 은행예금은 반대의 방향성

- 낮은 예금 금리가 주식시장의 상승률에 비해 지나치기 낮은 점도 예금자산이 주식시장으로 옮겨지는 이유

- 많은 유동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경계로 부동산 이외의 자산에 대한 수요 급증 영향 간과할 수 없음
임금 상승률 정체, 자영업 부진 등으로 현실 도피성 '영끌' 재테크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

- 경기가 회복되고 유동성 공급의 필요성이 없어질 때까지는 주식시장에 개인들의 수급은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는 구조


▲ 피 같은 개인 수급, 면밀한 실적 분석으로 유입된다

- 이처럼 피와 같은 개인들의 수급은 면밀한 실적분석으로 주식시장에 들어오는 것으로 관찰

- 개인들의 국내주식시장 유입 강도와 실적모멘텀 팩터 성과는 밸류에이션, 테크니컬 등 다른 팩터 대비해서 상관성이 높음

- 개인들이 주로 실적 전망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종목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

- 최근 실적과 주가의 연동성 증가는 글로벌 트렌드이기도 함

- 올해 실적이 상향되는 업종은 디스플레이, 건설, 해운, 음식료, 철강, 기술하드웨어, 비철금속, 화학, 가전, 미디어, 반도체, 금융


▲ 기관 역시 Tracking Error가 높아질 것(중소형주 투자 늘릴 것)

- 개인 수급 특성상 종목에 대한 스크리닝이 더 중요할 것

- 기관 역시 종목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수 있는 환경 조성

- 기관 투자자들이 BM(코스피) 와 펀드간의 관계인 Tracking Error가 높아질 것으로 보기 때문

- T.E는 코스피의 기업이익 모멘텀과 역의 관계
실적이 높아질 때는 대형주 위주로 플레이를 하는 반면, 실적이 최근과 같이 다소 횡보하거나 하향조정될 때에는 중소형주 위주의 종목플레이(T.E상승)

- 실적이 상향(연간 실적 기준)되는 종목은 롯데케미칼, 제이콘텐트리, 테스, 한세실업, 현대제철, 기아차, 만도, POSCO, 대한유화, 금호석유, 롯데칠성, 현대차, SK하이닉스, 삼성SDI, 현대위아, 삼성전기, 연우, 실리콘웍스


▲링크: https://bit.ly/35U7qxA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함)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
[Global ETF/FI] ARK가 주목한 우주항공 ETF, UFO로 선제 대응
하나 Global ETF / FI 박승진(T.3771-7761)
https://bit.ly/3o718Ba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액티브 운용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쌓아가고 있는 ARK Invest는 지난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우주탐사(Space Exploration)’ ETF 상장 계획서를 제출

- 우주항공 산업은 주요 선진국들이 차세대 혁신산업으로 인식하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대표적 분야. 통신과 인터넷 서비스를 비롯해 국방, 여행산업, 자원 채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 창출의 시너지가 가능한 산업

- 예산 규모나 개발 현황을 고려할 때 가장 앞서 있는 국가는 역시 미국. 우주 산업의 수익 규모는 향후 20년 내에 1조 달러를 상회할 전망

- ARK사의 계획에 따르면 신규 ETF인 ARKX의 편입 기준은 1) Orbital Aerospace(궤도 인공위성), 2) Suborbital Aerospace(드론, 플라잉카 등), 3) Enabling Technologies(우주 관련 로봇, 자재 등), 4) Aerospace Beneficiary(수혜 가능군) 관련 기업들

- 상기 기준들과 더불어 우주항공 산업의 자체 성장 동력과 ARK발 수급 모멘텀을 고려시 UFO(Procure Space ETF)를 주목할 필요. 시장 주도업종과는 별개로, 혁신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글로벌 타이어 12월

하나금융투자 자동차 Analyst 송선재 (02-3771-7512)


1. 12월 현황

- OE 유럽/북미/중국 3%/5%/7% 증가

- RE 유럽/북미/중국 +4%/-1%/+0%

- 남미 OE/RE +30%/-18%


2. 분석과 전망

- 북미 OE는 자동차 판매증가율(+7%)와 동행. RE는 소비시장과 비슷하게 감소

- 유럽 OE는 자동차 판매증가율(-4%)을 상회. 재고확충 수요로 판단

- 유럽 RE 증가는 윈터시즌 늦게 시작되고, 수입 증가 영향

- 2020년 연간 미국 OE/RE 21%/8% 감소, 유럽 OE/RE 22%/11% 감소

- 중국 OE는 완성차 생산/소매판매(+6%/+11%)와 동행. RE는 전년 수준

- 2020년 연간 중국 OE/RE 4%/6% 감소

- 남미는 감소폭 완화 중. 2020년 연간 OE/RE 31%/22% 감소


3. 원재료 가격 동향

- 1월 중순 천연고무 가격 -1% (MoM), 합성고무 -6%

- 부타디엔/스티렌 -36%/+3%

-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코로나재확산에 따른 전방수요 우려 등이 부정적

- 고무가격 조정이 있으나 증가하는 수요/제한적인 공급으로 강세 예상


전문: https://bit.ly/35WBZ5M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자동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2nKHlh6

■ 하나금융투자 텔레그램
http://t.me/Hana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