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리서치
11.2K subscribers
13.8K photos
11 videos
725 files
15.6K links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IV Research]
IV Research_에스티큐브(052020)_20241211.pdf
578.8 KB
[IV Research]

에스티큐브(052020)-넬마스토바트 1b/2상 데이터 기대

넬마스토바트 업데이트


① 동사는 Immune checkpoint인 BTN1A1을 저해하는 후보물질 넬마스토바트의 임상1상 임상을 마치고 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임상1b/2상을, MSS 대장암 환자 대상 IIT(연구자주도임상) 1b/2상을 진행 중이다. 임상1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 47명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Grade 3 이상 TRAE 2.1%로 높은 안전성을, SD 19명, PR 3명으로 DCR 51.2%의 높은 유효성을 확인했다. 주목할 부분은 PR 환자들은 MSI-H 대장암 환자 2명, MSS 대장암 환자 1명으로 3명 모두 대장암 환자였다. 특히 Responder 환자 모두 IHC 검사 결과 BTN1A1 발현율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② 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임상1b/2상은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 중이다. 동사의 미국 연구소에서 암종 별 발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소세포폐암에서 BTN1A1 발현율이 70%, PD-L1 발현율 5%를 나타내었다. 넬마스토바토 임상 1상에 참여한 소세포폐암 환자 3명에서 SD 2명을 확인했으며 IHC 분석을 통해 BTN1A1 발현율과 유효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특히 SD 환자 1명은 PFS 24개월 이상을 기록했다. 1차 치료제로 치료되는 Tecentriq+Carboplatin+Etoposide PFS가 5.2개월인 것을 감안할 때 의미 있는 결과라는 판단이다. 임상1b상은 Paclitaxel과 넬마스토바트 병용투여 임상이며, 400mg, 800mg 각각 3명씩 진행했다. 임상2a상은 넬마스토바트 400mg, 800mg 각각 28명씩 투약을 진행 중이다. 종양평가를 진행한 2a상 환자 3명 중 PR 2명, SD 1명의 유의미한 반응률을 확인했다.

③ IIT 임상1b/2상은 MSS 대장암 환자 대상으로, 기존 면역항암제가 듣지 않는 MSS 대장암에서 유의미한 생존율 연장 효과를 기대한다. Capecitabine(1,000~1,250mg)과 넬마스토바트를 병용투여 하는 임상으로 진행한다. MSS 대장암은 4차 치료까지 진행되는 경우 폐 또는 간 등으로 상당히 많이 전이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넬마스토바트 임상1상에서 PR 환자 3명 중 1명 환자가 MSS 대장암이고, PFS 13.8개월이 확인되었다. 넬마스토바트는 MSS 대장암 3차 치료제 시장으로 Positioning하며 넬마스토바트의 mPFS가 Fruquintinib의 PFS 3.7개월 이상으로 확인되며 의미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임상1b상 12명, 2상 35명 대상 투약을 진행 중이며, BTN1A1 발현율이 높은 환자들을 중심으로 반응률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유상증자 완료

동사는 지난 8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발표하였고, 약 684억원 조달에 성공했다. 동시에 최대주주인 에스티큐브앤컴퍼니에 대한 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하여 약 130억원을 추가로 조달했다. 이로 인해 법차손 이슈를 해결하였으며, 1Q25 감사보고서 제출을 기준으로 관리종목이 해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무 리스크 해소와 임상자금을 확보한 현재 시점에서 주가의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일 것으로 기대한다.

https://t.me/IVResearch

https://orangeboard.co.kr/insight/zACzM

https://blog.naver.com/ivresearch/223688871916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시기적으로 많이 빠르긴한데 내년 2월 MSCI후보 종목으로 당장은 삼양식품, 현대미포가 꼽힙니다.
시총이 6조정도 가야 안정권입니다.

조선쪽에서 선택할거면 현대미포는 괜찮은 선택지가 되어주겠네요. 차트도 괜찮고.

그리고 고환율(원화약세) 수혜
조선, 반도체, 자동차, 수출위주종목(삼양식품 등)
•중국 11월 자동차•부품 수출 증가율 급락

•유럽 관세 불확실성 부각되며 11월 YoY-7.7% 로 1-10월 평균 YoY+18.6% 크게 하회

•중국 신규 효자 품목인 태양광, 배터리, 자동차 등 불확실성 상승
Forwarded from 가치투자클럽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11개 분기 연속 매출 YoY 증가
Forwarded from 루팡
에이피알, 美 ‘블랙프라이데이’ 대박…“아마존 매출 2343% ↑”

에이피알이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서 2300%가 넘는 아마존 매출 등 역대급 흥행을 거두며 사상 최대 성과를 냈다고 11일 밝혔다.

에이피알은 지난 11월부터 이달 초까지 진행한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서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을 통합해 한화 약 300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미국 시장 전체 매출액의 70% 이상을 프로모션 시즌 동안 거둔 셈이다.

아마존에서는 메디큐브 화장품과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홈 뷰티 디바이스의 실적이 두드러졌다. 메디큐브는 지난 11월 21일부터 12월 2일 진행한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서 인기를 끌며 전년 프로모션 대비 무려 2343% 성장을 달성했다.

특히 메디큐브는 미국 아마존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K-뷰티 브랜드로는 드물게 제품군이 아닌 ‘메디큐브’라는 브랜드명이 검색어 상위로 올랐다. 또 10개 이상 제품의 카테고리 랭킹에 진입해 K-뷰티 브랜드 중 산하 제품을 가장 많이 카테고리 순위에 올린 브랜드가 됐다.

꾸준한 인기를 이어온 ‘제로모공패드’와 ‘부스터 프로’는 이번 아마존 행사 기간, 토너&화장수(Toners&Astringents) 카테고리와 주름&항노화 디바이스(Wrinkle&Anti-Aging Devices) 카테고리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콜라겐 젤리 크림, 나이트 랩핑 마스크도 각 카테고리 내 상위 카테고리에 오르며 관심을 모았다.

에이피알의 또 다른 뷰티 브랜드 ‘에이프릴스킨’ 역시 성과를 거뒀다. 아마존 행사에 참여해 지난해 대비 670%의 성장률을 보였다. 대표 제품인 캐로틴 멜팅 클렌징 밤이 클렌징 크림(Makeup Cleansing Creams) 카테고리 2위, 카렌듈라 필 오프 팩이 필링(Facial Peels) 카테고리 3위에 올랐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글로벌 지향 사업 전략과 제품력, K-뷰티 열풍, 미국 유통 시장의 온라인 재편이 맞아떨어지며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며 “향후 온라인 유통 전략과 마케팅 전략 혁신으로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00404?rc=N&ntype=RANKING&sid=001
LS전선 공급계약입니다.
Forwarded from 탐방왕
한미반도체 CGSI

작성: 탐방왕(https://t.me/tambangwang)

한국 반도체 섹터 내 최선호주로 선정

SK하이닉스에서 90% 이상의 TC 본더 시장 점유율과 마이크론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FY25F-26F EPS를 상향 조정

고객사의 HBM 생산 능력 확장이 강력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최근 주가가 6개월간 62% 하락한 상황을 감안하면, 현재 주가는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제공

NVIDIA 데이터센터 GPU 주문 증가로 인해 마이크론의 HBM 생산 확장이 한미반도체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됨

삼성전자의 FY25F HBM 생산 능력은 수율 문제로 인해 이전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인 15-16만 웨이퍼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FY25F HBM 생산 능력을 더욱 공격적으로 확장할 가능성이 높아, 한미반도체의 TC 본더 출하량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특히 마이크론의 HBM 생산 확장과 NVIDIA GPU 주문 증가가 한미반도체의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매수 의견 유지
토모큐브 공급계약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2월 10일 화장품 수출 요약
- 발표일: 12월 10일, 영업일수 7일
- 전체 수출 2.27억 달러
- 전년동월비 25%, 전월비 4% 증가
- (영업일수 기준) YoY+25%, MoM-11% 기록

- 대미 수출 성장세 재차 강화
- 미국 +51%, 유럽 +69%, 홍콩 +303%, 기타 국가 +64%로 수출 성장세 견조
- 영업일수 기준 중국 외 모두 성장


---

- 주요 지역 (% YoY)
. 중국 -27%, 홍콩 +303% → 중국+홍콩 +8%
. 미국 +51%, 일본 +11%, 아시아 7개국 +3%, 유럽 5개국 +69%, 기타 +64%

- (% MoM)
. 중국 -22%, 홍콩 +37% → 중국+홍콩 -6%
. 미국 +17%, 일본 -6%, 아시아 7개국 -10%, 유럽 5개국 +24%, 기타 +27%

- 카테고리 (% YoY)
. 기초 +16%, 색조 +35%
. 기초: 중국 -44%, 홍콩 +349%, 일본 +47%, 미국 +16%
. 색조: 중국 +76%, 홍콩 -3%, 일본 -9%, 미국 +70%

- (% MoM)
. 기초 -8%, 색조 +11%
. 기초: 중국 -43%, 홍콩 +26%, 일본 -3%, 미국 +3%
. 색조: 중국 +81%, 홍콩 -38%, 일본 -32%, 미국 +9%


* HS Code 3304 기준

***
2024.12.11 16:51:58
기업명: 라이프시맨틱스(시가총액: 845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

* 합병방법
라이프시맨틱스(존속회사)가 스피어코리아(소멸회사)를 흡수합병
- 존속회사 : 라이프시맨틱스
- 소멸회사 : 스피어코리아
◎ 본 합병은 소멸회사인 스피어코리아의 총주주 동의를 득하여 진행하는 간이합병입니다.

대상회사 : 스피어코리아(최대주주)
주요사업 : 기타 1차금속 제조 및 판매업
영업실적 : 매출 121억/ 순이익 9억

합병계약 : 2024-12-11
반대기한 : 2025-01-22
주주총회 : 2025-01-23
매수청구 : 2025-02-12
거래정지 : 시작
합병기일 : 2025-03-01
신주상장 : 2025-03-20

합병목적 : (주)라이프시맨틱스는 의료정보기술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디지털 헬스 플랫폼 선도기업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의 안정적 유지 및 발전과 함께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고자, (주)스피어코리아의 우주발사체 특수합금 사업의 높은 성장성과 수익성을 합병을 통해 사업다각화하고 수익원을 다변화하여 회사의 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실적개선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기업 및 주주가치 극대화를 하고자 (주)스피어코리아를 합병합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100037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47700
SK팜테코가 최대 2조원 규모 비만치료제 수주에 성공함에 따라 한국이 기존 항체의약품(삼성바이오로직스)뿐만 아니라 저분자·펩타이드 분야에서도 뛰어난 위탁개발생산(CDMO) 능력을 인정받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SK팜테코는 글로벌 5대 합성의약품 CDMO업체이자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업체로 꼽힌다. SK그룹이 2017년부터 글로벌 인수합병(M&A) 4건을 잇달아 성사시켜 짧은 기간에 SK팜테코를 세계적인 CDMO기업 반열에 올려놓은 것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미래 성장 산업인 바이오에 장기간 투자를 지속한 것도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8910
Forwarded from 재야의 고수들
🍼BabyMonster 월드투어 추가
규모 21만석/15회 (실모객17만명)
총모객 +93% 회당모객+93%
(9만명/15회 > 17만명/15회)

* 좌석수 ≠ 실모객수 (규모만 봅시다)
[2025]
01-25🇰🇷KSPO Dome 15,000석x2일
02-28🇺🇸Prudential Center 19,500석👈
03-02🇺🇸The Forum 17,500석👈
03-14🇯🇵Pia Arena MM 12,412석x3일
03-22🇯🇵Port Messe P1 15,000석x2일
04-03🇯🇵Asue Arena 12,000석x2일
04-12🇯🇵K-Arena 20,000석x2일
04-19🇯🇵Kokusai Center 10,000석x2일
👉신인팀으로는 이례적으로 큰 규모

출처(링크) : BabyMonster Official

#엔터 #하이브 #SM #YG #JYP
#신인런칭 #콘서트
Forwarded from 재야의 고수들
🌎 해외주식 뉴스모음 (2024-12-11)

▪️(GOOG) 구글 충격적인 양자컴퓨터 Willow 공개 (안될공학)
① 10의 25승년 걸리는 계산을 5분 만에
(예시) 0000~9999 비밀번호 푸는 문제
— 기존 : 하나씩 계산하고 확인함
— 양자 : 여러 경우를 병렬적으로 계산
② 양자오류수정 가능
: Qubit을 추가할수록 오류 줄어듦

▪️(OpenAI) AI가 수능 1%킬러 문제 풀고 내뱉은 한마디 (월텍남)
지금 o1-PRO 구독료가 200달러인데
앞으로 AI 없이 일을 하기 힘든 세상이
온다면 AI 비용이 얼마나 비싸질까?

▪️(TSLA) 테슬라 사이버트럭 중국 산업정보화부 사양 통과 (그로쓰리서치)

▪️(TSLA) 실적은 FSD가, 내러티브는 로봇이 (임은영)

▪️(TSLA) 전세계 무인택시를 부를 수 있는 도시는? (송선재)

▪️(xAI) xAI, 이미지 생성 모델 'Aurora' 출시 (올바른)

▪️(SpaceX) 머스크의 SpaceX, 최근 펀딩에서 3,500억 달러로 평가 (SA)

#해외주식 #뉴스모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비만치료제 가격 낮춰야"…머스크의 막대한 美 의료비 해법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인의 건강을 위해 비만 치료제의 가격을 크게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내년 1월 출범하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머스크는 정부 지출을 대폭 줄이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머스크는 11일 엑스(X·옛 트위터)에서 "GLP 억제제를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대중에 제공하는 것보다 미국인의 건강, 수명, 삶의 질을 더 개선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그 무엇도 근접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69008?rc=N&ntype=RANKING&sid=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