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늘- 봄처럼 따뜻한 투자 이야기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는 방안이 기획재정부의 국회 업무보고에서 빠졌습니다.
기재부가 지난달 말 세제개편안을 발표한 지 보름이 지나도록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강화 방안을 사실상 접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54029?division=NAVER
기재부가 지난달 말 세제개편안을 발표한 지 보름이 지나도록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강화 방안을 사실상 접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54029?division=NAVER
biz.sbs.co.kr
[단독] 기재부 업무보고에 '주식 양도세 강화' 빠졌다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는 방안이 기획재정부의 국회 업무보고에서 빠졌습니다.기재부가 지난달 말 세제개편안을 발표한 지 보름이 지나도록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강화 방안을 사실상 접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오늘(1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는 이날 오전 기획재정위원회 등 일…
❤2
Forwarded from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https://sports.donga.com/ent/article/all/20250817/132198981/1
한남동 K피부과, H클리닉, 청담동 M피부과도 찾았다.
뷰티 업계의 한 관계자는 “뷰티와 웰니스 사업으로도 활동 반경을 넓히는 중인 킴 카다시안이 직접 한국의 뷰티 시술을 경험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기도 했다. K피부과는 눈 밑 지방 이식 관련 후기로 유명하고, H클리닉은 아름다워지는 생활습관에 집중하는 웰니스, M피부과 경우 주름 리프팅 시술에 특화된 곳으로 알려졌다.
한남동 K피부과, H클리닉, 청담동 M피부과도 찾았다.
뷰티 업계의 한 관계자는 “뷰티와 웰니스 사업으로도 활동 반경을 넓히는 중인 킴 카다시안이 직접 한국의 뷰티 시술을 경험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기도 했다. K피부과는 눈 밑 지방 이식 관련 후기로 유명하고, H클리닉은 아름다워지는 생활습관에 집중하는 웰니스, M피부과 경우 주름 리프팅 시술에 특화된 곳으로 알려졌다.
스포츠동아
K뷰티 제대로 체험하고 간 김해 김씨 ‘킴 카다시안’
‘킴 카다시안이 김해 김씨?’세계적인 랩 가수 카니예 웨스트의 전 부인이자, 리얼리티 쇼 스타인 킴 카다시안이 ‘대한민국’에 푹 빠진 모양새다. 언니 클로이 카다시안과 함께 한국을 방문에 나선 그는 개인 SNS을 통해 ‘추억 공유’에도 나서 눈길을 끈다.광복절인 15…
❤2
Forwarded from 조기주식회 공부방 (리아멍거)
최근 스터디에서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OTT의 출현이 서브컬쳐였던 애니메이션이 대중화가 되며 진입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다고 발표를 했었습니다.
아래의 뉴스에 이러한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네요.
한번 정독하시면 좋을거 같네요.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3배 증가 "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애니메이션 엑스포에서 넷플릭스는 애니메이션 시청률이 지난 5년 동안 3배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전 세계 넷플릭스 가입자 중 50% 이상인 1억 5천만 명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간 넷플릭스의 비영어권 글로벌 Top 10 순위에는 애니메이션 작품이 33개 포함되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미국 애니메이션 팬들은 응답자의 40%가 지난 1년간 애니메이션 IP를 활용하여 제작된 상품에 200달러 이상을 지출했다고 응답했습니다.
20%는 500달러 이상을 소비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도 중국과 태국의 시청자 반응이 뜨겁습니다. 중국에서는 22%, 태국에서는 16%의 응답자가 200달러 이상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https://jeremyletter.com/animation-contents-is-no-longer-niche-and-global-phenomenon-netflix-150-million-subsribers-are-watch-animation-weekly/
아래의 뉴스에 이러한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네요.
한번 정독하시면 좋을거 같네요.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3배 증가 "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애니메이션 엑스포에서 넷플릭스는 애니메이션 시청률이 지난 5년 동안 3배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전 세계 넷플릭스 가입자 중 50% 이상인 1억 5천만 명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간 넷플릭스의 비영어권 글로벌 Top 10 순위에는 애니메이션 작품이 33개 포함되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미국 애니메이션 팬들은 응답자의 40%가 지난 1년간 애니메이션 IP를 활용하여 제작된 상품에 200달러 이상을 지출했다고 응답했습니다.
20%는 500달러 이상을 소비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도 중국과 태국의 시청자 반응이 뜨겁습니다. 중국에서는 22%, 태국에서는 16%의 응답자가 200달러 이상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https://jeremyletter.com/animation-contents-is-no-longer-niche-and-global-phenomenon-netflix-150-million-subsribers-are-watch-animation-weekly/
Jeremyletter
OTT 핵심 장르가 된 애니메이션의 반란
애니메이션은 한때 하드코어 팬들만의 틈새 장르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현재 애니메이션은 OTT의 핵심 장르로 부상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3배 증가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애니메이션 엑스포에서 넷플릭스는 애니메이션 시청률이 지난 5년 동안 3배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전 세계 넷플릭스 가입자 중 50% 이상인 1억 5천만 명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6
Forwarded from KCGI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다시 찾아온 동박의 시간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8/19): 25,650원
Upside : -
Overview, 글로벌 동박 전문 기업
동사는 글로벌 동박 전문 기업으로, 국내 익산과 말레이시아 공장을 거점으로 총 8만 톤 규모의 CAPA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노스볼트, CATL 등 글로벌 톱티어 배터리사를 고객사로 확보하며 기술 신뢰성을 입증했다. 1H25 기준 ESS용 동박 비중이 약 15%로 향후 수요 확대에 따른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동사는 4㎛ 초극박 동박과 하이브리드 동박을 비롯한 차별적 기술 역량을 확보하여, AI 가속기와 차세대 배터리 산업 수요에 대응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공급 안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시장 진입 가능성을 넓히고 있으며, 단순한 동박 공급사를 넘어 전지소재 밸류체인의 핵심 플레이어로 도약하고 있다.
2Q25 Review
동사의 2Q25 실적은 매출액 2,049.5억 원(-22%, YoY), 영업적자 311.0억 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하였다. 환율 약세 및 구리 가격 상승 등 부정적 외부환경에도 불구하고, 판매량 확대에 따른 가동률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가 약 150억 원 축소되었다. 2024년까지 과잉재고가 유지되었으나, 올해는 재고 축소 기조를 이어가며 2Q25 기준 적정 재고 수준을 하회하였다. 1분기 43.9%의 가동률 대비 4.2%p 상승한 48.1%을 기록하였고, 선제적 재고조정에 따른 하반기에는 가동률이 추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박 산업, 지금은 국내 업체들에게 기회
동박 산업은 전지박과 회로박으로 구분되며, 특히 전기차용 초극박 전지박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2024년 글로벌 CAPA 약 240만 톤 중 중국이 80%를 차지하지만, 품질 신뢰성 한계로 글로벌 배터리사는 공급 다변화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미국 관세와 IRA 정책은 한국, 일본, 유럽 기업에게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며, 초극박 기술 경쟁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
Investment Point
동사는 미국 공장 설립을 통한 전략적 우위,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 공장은 관세 회피와 IRA 보조금 수혜, 글로벌 고객사의 강력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 여전히 핵심 과제로 평가된다. 다만 구리 가격 변동성, 대규모 투자 부담, 고객사 집중도는 단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글로벌 동박 시장의 구조적 성장, 중국 업체들의 진입 제약, 그리고 AI 가속기용 동박 수요 확대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상쇄할 요인으로 작용한다. 향후 북미 현지화가 본격화되면 매출 성장과 마진 안정화가 동시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는 단순한 소재 공급사를 넘어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도약할 잠재력을 지닌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fKC8Mo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다시 찾아온 동박의 시간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8/19): 25,650원
Upside : -
Overview, 글로벌 동박 전문 기업
동사는 글로벌 동박 전문 기업으로, 국내 익산과 말레이시아 공장을 거점으로 총 8만 톤 규모의 CAPA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노스볼트, CATL 등 글로벌 톱티어 배터리사를 고객사로 확보하며 기술 신뢰성을 입증했다. 1H25 기준 ESS용 동박 비중이 약 15%로 향후 수요 확대에 따른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동사는 4㎛ 초극박 동박과 하이브리드 동박을 비롯한 차별적 기술 역량을 확보하여, AI 가속기와 차세대 배터리 산업 수요에 대응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공급 안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시장 진입 가능성을 넓히고 있으며, 단순한 동박 공급사를 넘어 전지소재 밸류체인의 핵심 플레이어로 도약하고 있다.
2Q25 Review
동사의 2Q25 실적은 매출액 2,049.5억 원(-22%, YoY), 영업적자 311.0억 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하였다. 환율 약세 및 구리 가격 상승 등 부정적 외부환경에도 불구하고, 판매량 확대에 따른 가동률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가 약 150억 원 축소되었다. 2024년까지 과잉재고가 유지되었으나, 올해는 재고 축소 기조를 이어가며 2Q25 기준 적정 재고 수준을 하회하였다. 1분기 43.9%의 가동률 대비 4.2%p 상승한 48.1%을 기록하였고, 선제적 재고조정에 따른 하반기에는 가동률이 추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박 산업, 지금은 국내 업체들에게 기회
동박 산업은 전지박과 회로박으로 구분되며, 특히 전기차용 초극박 전지박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2024년 글로벌 CAPA 약 240만 톤 중 중국이 80%를 차지하지만, 품질 신뢰성 한계로 글로벌 배터리사는 공급 다변화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미국 관세와 IRA 정책은 한국, 일본, 유럽 기업에게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며, 초극박 기술 경쟁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
Investment Point
동사는 미국 공장 설립을 통한 전략적 우위,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 공장은 관세 회피와 IRA 보조금 수혜, 글로벌 고객사의 강력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 여전히 핵심 과제로 평가된다. 다만 구리 가격 변동성, 대규모 투자 부담, 고객사 집중도는 단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글로벌 동박 시장의 구조적 성장, 중국 업체들의 진입 제약, 그리고 AI 가속기용 동박 수요 확대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상쇄할 요인으로 작용한다. 향후 북미 현지화가 본격화되면 매출 성장과 마진 안정화가 동시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는 단순한 소재 공급사를 넘어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도약할 잠재력을 지닌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fKC8Mo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Telegram
KCGI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한양증권 리서치센터 입니다.
❤4👏1
Forwarded from KCGI한양증권 제약/바이오 오병용
바이킹테라퓨틱스가 경구용 GLP-1/GIP 펩타이드 이중작용제 ‘VK2735’의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하고 주가가 -42% 급락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2.5조원 증발했습니다.
13주차 고용량군(120mg)에서 -12.2% 체중감소로 유효성은 괜찮았으나, 전체 투여 환자의 20%가 부작용으로 인해 투약을 중단한 것이 문제가 됐습니다.
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의 3상에서 부작용으로인한 치료중단비율은 5~10.3% 수준이었습니다.
사실 바이킹테라퓨틱스의 ‘VK2735’는 oral위고비/오포글리프론 이후에 가장 빠른 속도로 개발(임상 2상) 되던 약물이고,
GLP-1/GIP 2중작용제라는 점에서 우수한 효과가 기대됐던 약입니다.
강력했던 경쟁자가 약해지면서 다른 경구용 GLP-1 개발사들에게 더 큰 기회가 생겼습니다.
한국에는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이 임상시험단계 경구용 GLP-1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일동제약의 36명 대상 1상 시험 중, 24명(저~중용량군)에서 부작용으로인한 투약중단은 한 건도 없었습니다. 오는 9월 발표할 12명 고용량군 결과발표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https://www.forbes.com/sites/tylerroush/2025/08/19/viking-therapeutics-shares-nosedive-toward-worst-day-ever-after-obesity-trial-data/
13주차 고용량군(120mg)에서 -12.2% 체중감소로 유효성은 괜찮았으나, 전체 투여 환자의 20%가 부작용으로 인해 투약을 중단한 것이 문제가 됐습니다.
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의 3상에서 부작용으로인한 치료중단비율은 5~10.3% 수준이었습니다.
사실 바이킹테라퓨틱스의 ‘VK2735’는 oral위고비/오포글리프론 이후에 가장 빠른 속도로 개발(임상 2상) 되던 약물이고,
GLP-1/GIP 2중작용제라는 점에서 우수한 효과가 기대됐던 약입니다.
강력했던 경쟁자가 약해지면서 다른 경구용 GLP-1 개발사들에게 더 큰 기회가 생겼습니다.
한국에는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이 임상시험단계 경구용 GLP-1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일동제약의 36명 대상 1상 시험 중, 24명(저~중용량군)에서 부작용으로인한 투약중단은 한 건도 없었습니다. 오는 9월 발표할 12명 고용량군 결과발표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https://www.forbes.com/sites/tylerroush/2025/08/19/viking-therapeutics-shares-nosedive-toward-worst-day-ever-after-obesity-trial-data/
Forbes
Viking Therapeutics Shares Nosedive Toward Worst Day Ever After Obesity Trial Data
The company is the latest facing historic losses as pharmaceutical firms compete to develop a weight-loss pill.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지엔씨에너지, 네이버 각세종 데이터센터에 627억 원 비상발전기 공급 역대 최대 수주 달성
계약 상대: 네이버 주식회사
계약 금액: 627억 원 (작년 매출 대비 27.71%)
공급 대상: 네이버 세종시 집현동 데이터센터 ‘각세종’ 2·3차분 비상발전기
계약 기간: 2025년 8월 20일 ~ 2029년 3월 31일 (약 3년 7개월)
📌지엔씨에너지는 최근에도 SK그룹 울산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서 422억 원 규모의 비상발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음.
향후 국내외 클라우드·AI 데이터센터 증설 트렌드에서 추가 수주 가능성 확대.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계약 상대: 네이버 주식회사
계약 금액: 627억 원 (작년 매출 대비 27.71%)
공급 대상: 네이버 세종시 집현동 데이터센터 ‘각세종’ 2·3차분 비상발전기
계약 기간: 2025년 8월 20일 ~ 2029년 3월 31일 (약 3년 7개월)
📌지엔씨에너지는 최근에도 SK그룹 울산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서 422억 원 규모의 비상발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음.
향후 국내외 클라우드·AI 데이터센터 증설 트렌드에서 추가 수주 가능성 확대.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한투 제약/바이오 위해주 (다용 이)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제약·바이오: 먹는 비만 치료제 - 몸무게도 복용량도 적은 게 좋다
보고서: https://vo.la/4VSzQs
최근 비만 치료제 개발 기업들의 주가 변동이 큰 폭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먹는 비만 치료제 시장 성장에 대한 의구심을 반증하며, 미국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섹터 언더퍼폼을 가중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만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 목적이 ‘복용 편의성’ 향상임을 상기한다면 릴리의 올포글리프론은 개발 의도에 맞는 임상 결과를 확보했으며 생산/보관/운송/원가/복용 편의성 측면에서의 장점으로 경구 세마글루타이드를 앞설 수 있습니다.
한편, 펩타이드계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에서는 생산 부담을 가중하지 않는 저용량 필요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판단합니다. 저용량에서 효과적인 체중 감소를 보인 펩타이드계 비만 치료제가 원가와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입니다.
바이킹의 경우 최고용량 120mg 기준 13주차 평균 10.9% 체중 감소, 이상반응에 의한 임상 중단율은 13%로 확인됐는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펩타이드 복용량은 월 3,600mg, 즉 경구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필요량이 5배 높아 실질적인 상업화 가능성과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한편 멧세라 CSO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최종적으로 복용량 10mg 미만의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을 목표하고 있으며, MET-097o/024o 임상 1상 4주차 체중 감량 결과를 연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보고서: https://vo.la/4VSzQs
최근 비만 치료제 개발 기업들의 주가 변동이 큰 폭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먹는 비만 치료제 시장 성장에 대한 의구심을 반증하며, 미국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섹터 언더퍼폼을 가중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다만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 목적이 ‘복용 편의성’ 향상임을 상기한다면 릴리의 올포글리프론은 개발 의도에 맞는 임상 결과를 확보했으며 생산/보관/운송/원가/복용 편의성 측면에서의 장점으로 경구 세마글루타이드를 앞설 수 있습니다.
한편, 펩타이드계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에서는 생산 부담을 가중하지 않는 저용량 필요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판단합니다. 저용량에서 효과적인 체중 감소를 보인 펩타이드계 비만 치료제가 원가와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입니다.
바이킹의 경우 최고용량 120mg 기준 13주차 평균 10.9% 체중 감소, 이상반응에 의한 임상 중단율은 13%로 확인됐는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펩타이드 복용량은 월 3,600mg, 즉 경구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필요량이 5배 높아 실질적인 상업화 가능성과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한편 멧세라 CSO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최종적으로 복용량 10mg 미만의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을 목표하고 있으며, MET-097o/024o 임상 1상 4주차 체중 감량 결과를 연말에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K-변압기, 1600억 원대 관세 폭탄…美 현지화 투자 속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39042
📌1. 관세 부과 배경과 규모
• 미국 상무부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407개 품목에 고율 관세를 추가.
• 대상: 용량 1만kVA 초과 유입식 변압기 및 관련 부품.
• 한국 대미 수출 규모:
• 2024년 약 6억 달러(8,392억 원)
• 2025년 상반기만 3.86억 달러(5,400억 원)
• 국내 업체가 매년 부담해야 할 관세: 800억~1,600억 원 수준.
📌현지화 가속
• 미국 내 생산 CAPA(생산능력) 확대.
• 효성과 HD현대 모두 2026~2027년 증설 완료 시 북미 수요 대부분 현지에서 대응 가능.
• 이는 장기적으로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면서 미국 인프라 투자 정책에도 부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39042
📌1. 관세 부과 배경과 규모
• 미국 상무부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407개 품목에 고율 관세를 추가.
• 대상: 용량 1만kVA 초과 유입식 변압기 및 관련 부품.
• 한국 대미 수출 규모:
• 2024년 약 6억 달러(8,392억 원)
• 2025년 상반기만 3.86억 달러(5,400억 원)
• 국내 업체가 매년 부담해야 할 관세: 800억~1,600억 원 수준.
📌현지화 가속
• 미국 내 생산 CAPA(생산능력) 확대.
• 효성과 HD현대 모두 2026~2027년 증설 완료 시 북미 수요 대부분 현지에서 대응 가능.
• 이는 장기적으로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면서 미국 인프라 투자 정책에도 부합.
Naver
K-변압기, 1600억 원대 관세 폭탄…美 현지화 투자 속도
인공지능(AI) 산업 급성장과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로 '역대급 호황'을 누리던 국내 전력기기가 미국 관세에 발목이 잡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 50% 파생관세에 '수출 효자'인 변압기를 포함하면서 매년
Forwarded from 프렌즈씨앤엠
#HRSG #나노 #촉매필터
키움증권 레포트 中
- 고밀도 촉매는 주로 데이터센터 비상발전기, 복합화력 발전(HRSG) 등에서 사용. 기존 제품 대비 단가 2.5배 높은 것으로 파악
- 고밀도 SCR 촉매 전용 신공장 증설 중. 11월 완공 예정
- 글로벌 시장 내 제한된 플레이어(고밀도 촉매), 안정적인 생산 능력 확보 등으로, 글로벌 고객사 확보 기대
- 최근 글로벌 HRSG 제조사향 수주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추가적인 수주 기대
https://www.etoday.co.kr/news/flashnews/flash_view?idxno=2498517
키움증권 레포트 中
- 고밀도 촉매는 주로 데이터센터 비상발전기, 복합화력 발전(HRSG) 등에서 사용. 기존 제품 대비 단가 2.5배 높은 것으로 파악
- 고밀도 SCR 촉매 전용 신공장 증설 중. 11월 완공 예정
- 글로벌 시장 내 제한된 플레이어(고밀도 촉매), 안정적인 생산 능력 확보 등으로, 글로벌 고객사 확보 기대
- 최근 글로벌 HRSG 제조사향 수주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추가적인 수주 기대
https://www.etoday.co.kr/news/flashnews/flash_view?idxno=2498517
이투데이
비에이치아이, 476억 규모 여수 복합화력 HRSG 공급 계약 체결…"누적 신규 수주 1.3조"
비에이치아이는 476억 원 규모의 여수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HRSG)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
❤7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8.21 14:47:44
기업명: 한전KPS(시가총액: 2조 2,995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한국수력원자력(주)
계약내용 : ( 공사수주 ) 루마니아 설비개선사업 Retubing 및 Refurbishment 공사
공급지역 :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계약금액 : 4,850억
계약시작 : 2025-08-21
계약종료 : 2030-06-30
계약기간 : 4년 10개월
매출대비 : 31.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21800242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5160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1600
기업명: 한전KPS(시가총액: 2조 2,995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한국수력원자력(주)
계약내용 : ( 공사수주 ) 루마니아 설비개선사업 Retubing 및 Refurbishment 공사
공급지역 :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계약금액 : 4,850억
계약시작 : 2025-08-21
계약종료 : 2030-06-30
계약기간 : 4년 10개월
매출대비 : 31.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21800242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5160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1600
Forwarded from 오늘의 핵씸
250814_브이티
글로벌 확장: 2분기 해외 매출 비중 67%(+9%p YoY), 7월 미국 ULTA 전점 입점 개시, 러시아, CIS,유럽, 동남아 진출 확대
미국 성장: 미국 비중 12%, ULTA 초도 물량 반영(약 45억), 미국 매출 +146% QoQ, Amazon +300% YoY 성장, 하반기 ULTA 리오더, 코스트코 진출 예상
제품 믹스 개선: 고단가 리들샷 , PDRN 라인 비중 확대, ASP 상승으로 GPM 61.9%(+8.5%p YoY)
일본, 국내: 일본 매출 +6% YoY(-13% QoQ), 오프라인 +27% YoY / 국내 매출 +10% YoY(+11% QoQ), 면세 +83% YoY, 다이소 / 올리브영 신제품 출시
마케팅 비용 이슈: 마케팅비 매출 대비 7.7% 수준, 2Q25 광고판촉비 86억(전분기 78억)으로 큰 폭 증액 없음, 하반기에도 10% 이상 확대 가능성 낮음
밸류에이션: 2026F PER 11.3배로 기초 중심으로 SKU 확대되어 있는 PEER 대비 낮은 밸류
글로벌 확장: 2분기 해외 매출 비중 67%(+9%p YoY), 7월 미국 ULTA 전점 입점 개시, 러시아, CIS,유럽, 동남아 진출 확대
미국 성장: 미국 비중 12%, ULTA 초도 물량 반영(약 45억), 미국 매출 +146% QoQ, Amazon +300% YoY 성장, 하반기 ULTA 리오더, 코스트코 진출 예상
제품 믹스 개선: 고단가 리들샷 , PDRN 라인 비중 확대, ASP 상승으로 GPM 61.9%(+8.5%p YoY)
일본, 국내: 일본 매출 +6% YoY(-13% QoQ), 오프라인 +27% YoY / 국내 매출 +10% YoY(+11% QoQ), 면세 +83% YoY, 다이소 / 올리브영 신제품 출시
마케팅 비용 이슈: 마케팅비 매출 대비 7.7% 수준, 2Q25 광고판촉비 86억(전분기 78억)으로 큰 폭 증액 없음, 하반기에도 10% 이상 확대 가능성 낮음
밸류에이션: 2026F PER 11.3배로 기초 중심으로 SKU 확대되어 있는 PEER 대비 낮은 밸류
❤4
이재준 일동제약 사장(최고운영책임자, COO)은 "ID110521156은 안전성 측면에서 강점이 확인된 만큼 데일리로 복용하는 약으로뿐만 아니라 복합제 등 다양한 방향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서 "대사 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영역 등으로도 확장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뉴스1>에 전했다.
https://www.news1.kr/bio/pharmaceutical-bio/5885446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뉴스1
[인터뷰] 이재준 사장 "10배 저렴 '먹는 비만약' 개발…이기는 정신 갖출 것"
일동제약 사장 "후보물질 부작용 낮아…계열내최고 비만 약 만들 것" P-CAB·TPD 분자접착제 등 차세대 치료제 R&D 파이프라인 확보 "먹는(경구용) GLP-1 비만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가 효능이 잘 나오고 부작용이 낮은 것으로 연구 데이터가 나오고 있습니다. 비용
FS리서치
비만치료제로만 개발될줄 알았던 ID110521156 파이프라인이 MASH로도 개발되면 파이프라인 가치가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3
Forwarded from IH Research
사피엔반도체와 라온테크 상승 이유 아닐까 합니다. 팍스콘이 내년 AR글래스가 대량양산에 돌입한다고 언급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8/22/news-foxconn-ar-glasses-could-enter-mass-production-as-early-as-next-year/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8/22/news-foxconn-ar-glasses-could-enter-mass-production-as-early-as-next-year/
TrendForce
[News] Foxconn: AR Glasses Could Enter Mass Production as Early as Next Year
Chiang Chih-Hsiung, General Manager of Foxconn’s Business Group B and Digital Health Division, recently stated that the company’s AR (Augmented Realit...
❤1
Forwarded from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뉴스핌
[GAM]최초 1만대 주문 성사, 中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시대로
이 기사는 8월 22일 오전 12시1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이 기사는 AI 번역에 기반해
Forwarded from [인베스퀴즈]
#SAMG엔터 #에스앤디
여기 나온 쌈쥐의 시각은 아마 투자자라면 내재된 마음 속에 다들 한번씩은 가지고 잇던게 아닐까 싶음. 일단 현재 메인인 티니핑의 IP는 내수에 국한되어 있다는건 팩트. '증명'이라고 말한 넥스트가 해외로 확장인데, 이걸 SAMG는 'K엔터'와 '글로벌브랜딩'로 활로를 뚫는 모습.
하투하는 어떻게 보면 '마루타'였고 오늘 에스파는 '에피타이저'인격. 트래픽 확장은 지금부터 체킹하는게 맞다고 보여지고, '메인디쉬'에선 어떠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냐가 '증명' 일듯. 캐릭터 IP가 K컬쳐 열풍과 상관없는지는 애매한데, 케데헌의 나비효과가 얼마만큼 작용할지 혹은 K컬쳐에 IP가 업어탈 수 있는지는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라 쉽게 판단하긴 일러보임. 개인적으로 K컬쳐의 확장을 애니/IP까지 그 저변이 확대됨을 예상하고 있으나, 그 스타트를 티니핑이 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느낌적 느낌. 단순 쌈쥐를 떠나 IP업계의 대표 '시험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에스앤디 또한 투자자들 마음 속 찜찜한 부분인건 확실, 허나 어제자 삼양NDR에선 소스 관련 에스앤디 부분에서 명확한 코멘트로 리스크 해소가 팩트. 현 케파/시장 상황이나 수요 측면 혹은 에스앤디 독자기술 측면에서 이원화 자체가 '불닭'에 리스크. 이원화 리스크는 ODM에게 언제나 항상 따라오는 수식어로, '찜찜함' 자체는 어쩔수 없는 ODM의 대명사라고 생각하는게.
현 상황에서 추가 업사이드 혹은 시장이 놓치고 있는건, 삼양이 넥스트로 포부를 밝힌 '불닭소스' 가 얼마만큼 포텐셜있고, 얼마만큼 확장가능하냐 인듯. 불닭소스에 있어 에스앤디는 현재 독점ODM이며, 소스의 확장은 매출/이익의 바로미터가 되고, 매출/이익은 주가의 함수다.
https://blog.naver.com/jay-diary/223979184623
여기 나온 쌈쥐의 시각은 아마 투자자라면 내재된 마음 속에 다들 한번씩은 가지고 잇던게 아닐까 싶음. 일단 현재 메인인 티니핑의 IP는 내수에 국한되어 있다는건 팩트. '증명'이라고 말한 넥스트가 해외로 확장인데, 이걸 SAMG는 'K엔터'와 '글로벌브랜딩'로 활로를 뚫는 모습.
하투하는 어떻게 보면 '마루타'였고 오늘 에스파는 '에피타이저'인격. 트래픽 확장은 지금부터 체킹하는게 맞다고 보여지고, '메인디쉬'에선 어떠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냐가 '증명' 일듯. 캐릭터 IP가 K컬쳐 열풍과 상관없는지는 애매한데, 케데헌의 나비효과가 얼마만큼 작용할지 혹은 K컬쳐에 IP가 업어탈 수 있는지는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라 쉽게 판단하긴 일러보임. 개인적으로 K컬쳐의 확장을 애니/IP까지 그 저변이 확대됨을 예상하고 있으나, 그 스타트를 티니핑이 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느낌적 느낌. 단순 쌈쥐를 떠나 IP업계의 대표 '시험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에스앤디 또한 투자자들 마음 속 찜찜한 부분인건 확실, 허나 어제자 삼양NDR에선 소스 관련 에스앤디 부분에서 명확한 코멘트로 리스크 해소가 팩트. 현 케파/시장 상황이나 수요 측면 혹은 에스앤디 독자기술 측면에서 이원화 자체가 '불닭'에 리스크. 이원화 리스크는 ODM에게 언제나 항상 따라오는 수식어로, '찜찜함' 자체는 어쩔수 없는 ODM의 대명사라고 생각하는게.
현 상황에서 추가 업사이드 혹은 시장이 놓치고 있는건, 삼양이 넥스트로 포부를 밝힌 '불닭소스' 가 얼마만큼 포텐셜있고, 얼마만큼 확장가능하냐 인듯. 불닭소스에 있어 에스앤디는 현재 독점ODM이며, 소스의 확장은 매출/이익의 바로미터가 되고, 매출/이익은 주가의 함수다.
https://blog.naver.com/jay-diary/223979184623
NAVER
새로운 수급이 붙지 않는 SAMG엔터, 오로라, 에스앤디
SAMG엔터 주가 8만원대에서 6만원으로 단기간에 25%나 빠졌는데 구조대 오지 않음
Forwarded from Buff
[단독] 한수원·WEC 합작사, 美 넘어 전세계 노린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1400616
지재권 우회해 글로벌 수주 가능
K-원전 수출 제한 해제 효과 기대
수익배분·지분 문제 추가 협의 필요
한수원 단독행보에 한전 견제 나서
https://www.mk.co.kr/news/economy/11400616
지재권 우회해 글로벌 수주 가능
K-원전 수출 제한 해제 효과 기대
수익배분·지분 문제 추가 협의 필요
한수원 단독행보에 한전 견제 나서
매일경제
[단독] 한수원·WEC 합작사, 美 넘어 전세계 노린다 - 매일경제
지재권 우회해 글로벌 수주 가능 K-원전 수출 제한 해제 효과 기대 수익배분·지분 문제 추가 협의 필요 한수원·한전 사업영역 정리해야
❤3👌1
**그래피 (3D프린팅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기업)
[공모 개요]
- 공모금액: 293억원
- 공모주식수: 195만주(공모비율 17.8%)
- 공모희망가액: 17,000원~20,000원
- 확정공모가액: 15,000원
-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 기준시가총액: 1,877억원 ~ 2,206억원
- 자금사용목적: 시설자금(32억원), 운영자금(216억원), 채무상환(60억원), 해외법인설립(14억원)
- 특이사항: 기술평가기업 기술특례 트랙(각각 A ,A 획득)
[공모 관련]
- 상장(예정): 2025/08/25(월)
- 공모가 밴드 : 17,000원~20,000원
- 최종 공모 확정가 : 15,000원
- IPO 할인율 : 42.53%~32.39% (확정가 기준 할인율 49.29%)
[공모 후 주주구성]
- 지분현황: 최대주주등 28.77%, FI 및 기타 52.15%,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0.53%, 우리사주조합 0.88%, 공모주주 17.67%
- 의무보유: 최대주주등 전량 24개월
- 자발적보호예수: FI 보유지분 2.7% 제외, FI 및 SI 전량 보호예수(1개월, 3개월, 6개월)
- 공모 후 유통가능물량: 상장일(37.74%), 1M(58.86%), 3M(69.84%), 6M(69.94%)
[사업 내용]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 및 제품, 3D프린팅 방식으로 활용 가능한 형상기억 소재 제조
- 매출비중(25Q1): 형상기억 소재 등 제품 71%, 상품 25%, 기타 4%
; 제품매출: 형상기억 소재(투명교정장치 소재), 기타 소재, 질소경화기 등 장비, SMA 중심
; 상품매출: 3D프린터, 스캐너 등 중심
[재무실적]
(연결)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 FY25 1Q 23억원/(36억원)/(38억원) vs FY24년 1분기 12억원/(38억원)/(40억원)
- FY24 161억원/(92억원)/(327억원)
- FY23 104억원/(70억원)/(54억원)
- FY22 43억원/(75억원)/(177억원)
[투자 하이라이트]
- 공모자금 활용한 미국 법인 설립 및 미국내 저명 교정의 "난다"교수와 협업을 통한 글로벌 빅마켓인 미국 시장내 빠른 침투를 통한 본격적인 매출 확대 전망
; 해외 매출 비중 81%로 이미 높으며, 해외 법인 설립을 통해 미국 등 주요 시장의 매출 본격화
- 차세대 투명교정장치로 교정학계에서 기술력을 인정 받았음. 주요 기술 및 제품의 포인트는 형상기억소재를 통한 "우수한 교정력", 어태치먼트가 필요 없어 "완벽한 심미성 구현"
; 타 사 대비 치아 교정에 이상적인 힘을 발휘하며 유지하는 기술력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SCI급 논문 60편 이상 및 국제 다수 교정 저널에 게재되어 검증됨
- 교정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만족도를 높여 교정 시장 침투율 증대 기대 가능
;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비슷한 판매가에 높은 마진, 짧은 시술 시간으로 교정의의 경제성 제고
; 짧은 교정 치료 기간, 높은 심미성, 관리 편리성으로 교정 환자의 만족감 증대
[공모 개요]
- 공모금액: 293억원
- 공모주식수: 195만주(공모비율 17.8%)
- 공모희망가액: 17,000원~20,000원
- 확정공모가액: 15,000원
- 상장예정주식수: 11,038,777주
- 기준시가총액: 1,877억원 ~ 2,206억원
- 자금사용목적: 시설자금(32억원), 운영자금(216억원), 채무상환(60억원), 해외법인설립(14억원)
- 특이사항: 기술평가기업 기술특례 트랙(각각 A ,A 획득)
[공모 관련]
- 상장(예정): 2025/08/25(월)
- 공모가 밴드 : 17,000원~20,000원
- 최종 공모 확정가 : 15,000원
- IPO 할인율 : 42.53%~32.39% (확정가 기준 할인율 49.29%)
[공모 후 주주구성]
- 지분현황: 최대주주등 28.77%, FI 및 기타 52.15%,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0.53%, 우리사주조합 0.88%, 공모주주 17.67%
- 의무보유: 최대주주등 전량 24개월
- 자발적보호예수: FI 보유지분 2.7% 제외, FI 및 SI 전량 보호예수(1개월, 3개월, 6개월)
- 공모 후 유통가능물량: 상장일(37.74%), 1M(58.86%), 3M(69.84%), 6M(69.94%)
[사업 내용]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 소재 및 제품, 3D프린팅 방식으로 활용 가능한 형상기억 소재 제조
- 매출비중(25Q1): 형상기억 소재 등 제품 71%, 상품 25%, 기타 4%
; 제품매출: 형상기억 소재(투명교정장치 소재), 기타 소재, 질소경화기 등 장비, SMA 중심
; 상품매출: 3D프린터, 스캐너 등 중심
[재무실적]
(연결)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 FY25 1Q 23억원/(36억원)/(38억원) vs FY24년 1분기 12억원/(38억원)/(40억원)
- FY24 161억원/(92억원)/(327억원)
- FY23 104억원/(70억원)/(54억원)
- FY22 43억원/(75억원)/(177억원)
[투자 하이라이트]
- 공모자금 활용한 미국 법인 설립 및 미국내 저명 교정의 "난다"교수와 협업을 통한 글로벌 빅마켓인 미국 시장내 빠른 침투를 통한 본격적인 매출 확대 전망
; 해외 매출 비중 81%로 이미 높으며, 해외 법인 설립을 통해 미국 등 주요 시장의 매출 본격화
- 차세대 투명교정장치로 교정학계에서 기술력을 인정 받았음. 주요 기술 및 제품의 포인트는 형상기억소재를 통한 "우수한 교정력", 어태치먼트가 필요 없어 "완벽한 심미성 구현"
; 타 사 대비 치아 교정에 이상적인 힘을 발휘하며 유지하는 기술력
; 형상기억 투명교정장치는 SCI급 논문 60편 이상 및 국제 다수 교정 저널에 게재되어 검증됨
- 교정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만족도를 높여 교정 시장 침투율 증대 기대 가능
; 기존 투명교정장치 대비 비슷한 판매가에 높은 마진, 짧은 시술 시간으로 교정의의 경제성 제고
; 짧은 교정 치료 기간, 높은 심미성, 관리 편리성으로 교정 환자의 만족감 증대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