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증권 Tech 서승연, 조현지
3.76K subscribers
397 photos
22 files
2.03K links
Download Telegram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전기전자 조현지]

6월 대만 Tech 매출: 또 기승전 AI

■ 6월 대만 주요 Tech 품목의 MoM 및 YoY 증감률

- Positive: ① 카메라 +29%·+4%, ② 팹리스 +17%·+22%, ③ MLCC +13%·+10%, ④ 노트북ODM +7%·+57%, ⑤ 메모리 +7%·+4%, ⑥ 반도체 후공정 +1%·+5%
- 혼조: ① PCB -1%·+16%, ② EMS -12%·+10, ③파운드리 -16%·+25%
- Negative: ① LCD패널 -6%·-7%

■ 대만 주요 Tech 매출 동향

- TSMC의 2Q25 매출액은 NT$9,338억(+11% QoQ, +39% YoY), 6월 매출액은 NT$2,637억(-18% MoM, +27% YoY)을 기록. 견조한 AI 수요에 기반한 3/5nm 공정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하는데 기여했으며 2Q25 매출 가이던스(US$284~292억)에 부합

- Nanya의 2Q25 매출액은 NT$105억(+46% QoQ, +6% YoY), 6월 매출액은 NT$41억(+22% MoM, +21% YoY)을 기록. 2Q25 b/g +70% QoQ, ASP –한자릿수 중반% QoQ으로 출하 강세가 매출 증가에 기여함. 다만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ASP 하락과 비우호적인 환 영향으로 전분기에 이어 영업이익 적자가 지속됨. 2Q25 실적 발표를 통해 Nanya는 DDR4/LPDDR4 공급 부족 이슈가 1개 분기 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하는 한편 고객사들에게 지속 해당 제품들을 공급할 것이라 밝힘

- Yageo의 2Q25 매출은 NT$317.4억(+5%QoQ, +4%YoY), 6월 매출은 NT$111억(+8%MoM, +11%YoY)을 기록. 호실적의 원인은 1) 고사양 MLCC와 탄탈륨 커패시터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AI 서버 관련 수혜 강도가 세다는 점과, 2) 관세 면제 기간 중 부품 조기 비축 수요, 3) 영업일수 증가의 영향이다. Yageo는 2H25E 전망에 대해 여전한 대외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동시에 고객 재고 수준은 정상 범주 내로 회복되고 있음을 강조하며 시장 변화에 적시 대응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 ABF 기판 업체(Unimicron, Nanya PCB, Kinsus)의 2Q25 합산 매출은 NT$516.1억(+9%QoQ, +19%YoY), 6월 매출은 NT$172억(+1%MoM, +23%YoY)을 기록. 17개월 연속 YoY (+) 기록 중인 Unimicron의 경우 AI GPU 및 ASIC 기판용 수요가 증가하며 ABF 기판 물량 수주가 지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HDI 기판의 경우 수주가 생산능력을 초과하고 있으며, Unimicron은 ABF와 HDI 모두 하반기에 상반기 대비 실적 성장할 것으로 전망. 양 제품 모두에서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보이고 있는 만큼 수율 개선시 마진 개선세는 더욱 가파라질 것으로 예상됨

■ 투자전략

- 반도체- 견조한 AI 수요 재확인. 메모리 판가 상승세는 3Q25까지 지속될 전망: 6월 대만 반도체 관련 품목 매출액은 전월 대비 5% 감소, 전년 대비 33% 증가. 파운드리 매출이 전통적인 비성수기 효과로 전월 대비 감소함. AI 서버 수요를 가늠할 수 있는 Aspeed, Wiwynn의 6월 매출은 견조한 AI 수요로 전월 및 전년 대비 공히 증가함. DRAM 판가는 관세 및 레거시 공급 부족 우려로 3Q25까지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4Q25~1Q26은 선제적 비축 수요의 높은 기저 효과, 계절적 비성수기로 일반 DRAM의 단기 판가 하락 가능성에 무게를 둠. 다만 1) 2Q26 계절적 성수기 재개, 2) DRAM 산업 내 낮은 재고를 고려하면 업황 둔화가 단기에 그칠 것이라 전망

- 전기전자- 또 기승전AI: 대만 전기전자 업체들은 분기중 환율 변동에 의한 영향이 있었지만 주요 업체 대부분의 2Q25 실적이 YoY 증가하며 양호한 실적을 시현 (2Q25 매출액 노트북ODM +51%YoY, EMS +16%YoY, MLCC +5%YoY, PCB +16%YoY, FPCB +9%YoY, 카메라 +3%YoY, 리드프레임 +10%YoY). 공급망 전반에서는 래거시 세트와 AI 서버향 출하의 간극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전통적인 노트북 ODM인 Quanta, Compal 등은 공통적으로 노트북 출하량이 북미향 조기선적의 영향으로 양호했음에도 논PC 포트폴리오 확대에 더욱 비중을 두는 모양새임. 래거시 세트의 경우 수요 부진 속 관세 변동성까지 맞물리며 ODM, OEM의 발주 패턴이 일관되지 않고 단기적 재고 확보와 소진을 반복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음. 하반기 수요 회복에 대한 가시성이 부족한 만큼, 비래거시 제품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는 업체들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실적 호조 및 주가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6entuv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전기전자 조현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16(수)
22:00 ASML

7/17(목)
15:00 TSMC
16:00 Disco

7/18(금)
05:45 Netflix
16:00 Electrolux

7/22(화)
21:00 NXP

7/23(수)
LG이노텍

05:30 TI
06:00 Segate(E)
09:30 ASMPT
22:00 ASM

7/24(목)

05:30 Alphabet
06:00 IBM
09:00 SK 하이닉스
14:00 LG디스플레이
16:30 STMicro
21:30 Teradyne
23:00 BESI

7/25(금)
06:00 Intel
16:00 LG전자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전기전자] 전기전자 6월 수출: 기판의 대반격

- 2025년 6월 전기전자 주요 품목 전국/지역별 수출 데이터 확정치:

MLCC 6월 $8,203만 (-20%YoY, +3%MoM), 2Q25 $30,485만 (-3%YoY, -4%QoQ)

PCB 6월 $15,541만 (-24%YoY, -30%MoM), 2Q25 $62,218만 (-2%YoY, +5%QoQ)

FPCB 6월 $10,915만 (-41%YoY, -27%MoM), 2Q25 $42,427만 (-22%YoY, -9%QoQ)

리드프레임 6월 $2,156만 (-35%YoY, -29%MoM), 2Q25 $8,690만 (-8%YoY, +10%QoQ)

CCL 6월 $5,487만 (+86%YoY, -16%MoM), 2Q25 $17,594만 (+90%YoY, +34%QoQ)

- 6월 전기전자 주요 품목들에 대한 수출 데이터는 전국과 개별지역 사이에 온도차 확인됨

- 주요 부품인 MLCC, PCB, FPCB, 리드프레임 모두 2Q25 합산 전국 수출액은 YoY로 감소한 반면 대표성을 갖는 기업들이 공장을 두고 있는 일부 지역에서는 이와 다른 흐름이 포착

- PCB는 충북 청주에서 +64%YoY, 대구 달성에서 +41%YoY, 리드프레임은 경남 창원에서 +14%YoY의 증가세를 시현하며 양호한 수출액이 확인됨 (도표1, 도표3 참고)

- 이는 전반적인 세트수요 부진에서 비롯된 업황 둔화 속에서도 기술 경쟁력 또는 공급망 내 점유율을 확고히 구축하고 있는 일부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실적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

- 전국 단위 데이터보다는 거점별 반등 시그널을 더욱 유심히 살펴야 하는 지점

- CCL은 전국과 충북 증평에서 각각 +90%YoY, +204%YoY를 기록하며 고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음

- 전기전자 섹터에 대해 단기 실적 기반 접근을 권고한다는 기존의 의견을 유지

- 통상적인 계절적 성수기/비수기에 따른 수요 예측은 과거보다 유효성이 떨어지고 있음

- 재고 확보와 소진이 짧은 사이클 내에서 반복되고 있어 부품 수급에 대한 분기단위 예측이 더욱 어려워진 영향

- 더욱이 이어져온 트럼프 정부발 대외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래거시 세트 환경을 낙관하기는 어려움

- 따라서 하반기 내지는 내년을 낙관하며 업황 반등을 기대하기보다는 1) 단기 실적 모멘텀을 선제적으로 증명할 수 있고 2) 중장기 성장 내러티브 또한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을 중심으로 한 선별적 접근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

- 최근 주가 상승세는 단기적으로 투자심리에 다소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겠으나 구조적 실적 개선의 여지가 있는 종목에 대한 중장기 방향성은 우상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

보고서 링크: https://abit.ly/b5bocc
TSMC 2Q25 실적 발표 후 TSM ADR +4%대 상승 중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전기전자 조현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2(화)
21:00 NXP

7/23(수)
LG이노텍

05:30 TI
09:30 ASMPT
22:00 ASM

7/24(목)
05:30 Alphabet
06:00 IBM
09:00 SK 하이닉스
14:00 LG디스플레이
16:30 STMicro
23:00 BESI

7/25(금)

06:00 Intel
16:00 LG전자

7/29(화)
06:00 Cadence
06:00 Amkor
15:00 VIS
15:00 Advantest
21:00 Whirlpool

7/30(수)
05:30 Skyworks(E)
06:00 Segate
14:00 Murata
15:00 Unimicron
16:00 Mediatek
17:00 AGEO(E)
18:00 UMC
18:45 Hisense
21:30 Teradyne
22:00 Entegris

7/31(목)
05:30 WDC
05:45 Qualcomm
06:00 LAM Research
06:00 Meta
06:00 ARM
06:30 Microsoft
09:30 삼성전기
10:00 삼성전자

15:00 AUO
15:30 TEL
16:00 삼성SDI
16:00 ASE
21:00 Silicon Motion

8/1(금)
06:00 KLA
06:00 Amazon
06:00 Apple
06:00 UDC
13:30 Hoya
15:40 Ibiden
17:30 TDK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LG이노텍 2Q25 잠정실적 안내드립니다.

- 매출 3조 9,346억원 (컨센서스 3조 8,183억원)
- 영업이익 114억원 (컨센서스 421억원)

공시 링크: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723800295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LG이노텍(011070): 놀랍지 않은 2Q 부진, 안개 속 가까워가는 26년

- LG이노텍의 2Q25P 매출액은 3조 9,346억원(-13.6%YoY, -21.0%QoQ), 영업이익은 114억원(-92.5%YoY, -90.9%QoQ)으로 시장 컨센서스(421억원)를 크게 하회함

- 사업부별 영업이익률은 광학솔루션 -1.2%, 기판소재 -5.8%, 전장부품 -4.8% 수준으로 추정

- 광학솔루션의 실적 부진 영향이 컸음. 사업부 적자는 2Q23 이후 2년 만임

- 고객사 스마트폰 판매량은 우려 대비 YTD로 양호함. 다만 관세 변동성이 극대화되며 협상 환경이 우호적이기 힘들었을 것으로 보이고, 원달러 환율도 분기중 지속 우하향하며 QoQ로 평균환율이 약 50원 하락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임

- 3Q25E 매출액은 4조 8,138억원(-15.3%YoY, +22.3%QoQ), 영업이익은 1,615억원(+23.8%YoY, +1317.6%QoQ)으로 전망

- 현재의 눈높이(컨센서스 영업이익 1,686억원)에 부합하는 수준이 예상됨

- 전후면카메라의 화소수 상향과 센서단 업그레이드가 예상되는 만큼 Blended ASP 상승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 다만 대외 리스크가 지속될 경우 벤더 압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이는 우려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음

- 하반기 실적 성수기에도 기대감을 키우기는 쉽지 않은 환경임

- 단기적으로는 주가 횡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 다만 밸류에이션(12M Fwd P/B 0.6x, Trailing으로도 0.7x로 최저점에 가까움)은 부담이 없어 하방 경직성은 확보된 것으로 보임

- 또한 26E에는 폴더블 라인업 추가에 따른 물량 증분과 카메라 조립 측면의 부가가치 창출을 기대할 만하다는 점에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유지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t432al
(유가)LG전자 - 현금ㆍ현물배당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724800581
2025-07-24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SK하이닉스(000660): 단기 숨고르기 속 후발주자의 추격 주시

■ 2Q25 Review – 메모리 출하 서프라이즈 vs 아쉬운 판가

- SK하이닉스 2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2.2조원(+26% QoQ, +35% YoY), 9.2조원(+24% QoQ, +68% YoY)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9%, 3% 상회했음

- 시장 예상을 능가한 메모리 출하에도 불구하고 저가 제품 판매가 증가한 탓에 메모리 판가는 약세를 기록함

- 견조한 AI 수요 속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선구매 수요로 DRAM, NAND 출하 b/g는 가이던스를 크게 상회함(DRAM +25%·NAND +71% QoQ)

- DRAM 판가는 HBM 대비 판가가 낮은 일반 DRAM 판매 증가로 전분기 대비 2% 상승했음

- NAND 판가는 대부분 제품의 판가 약세로 전분기 대비 8% 하락했으며 분기 영업적자 전환을 기록함

■ 목표주가와 괴리율 축소로 투자의견 Hold 하향

- 3Q25 영업이익은 HBM3e 12단 출하량 확대속 관세 우려에 따른 선구매 수요가 지속되며 전분기 대비 증가한 10.2조원(+11% QoQ, +45% YoY)으로 전망함

- 메모리 판가는 관세 및 레거시 공급 부족 우려로 3Q25까지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다만 4Q25~1Q26은 선제적 재고 비축 수요의 높은 기저 효과, 계절적 비성수기로 단기 판가 하락을 전망함

- HBM4 역시 SK하이닉스가 주요 GPU 고객사에게 선두 공급하겠으나 후발주자의 추격 속도를 주시해야 함

- 목표주가는 밸류에이션 구간 변경(2025년 → 2026년)과 메모리 Mid-cycle PBR(1.6배)를 적용해 290,000원을 유지하나 현재 주가와 괴리율 축소로 투자의견은 Hold로 하향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njaygs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LG전자(0666570): 관세 불확실성 크지만 밸류에이션 매력 지속

- LG전자 2Q25P 별도 기준 매출액은 16조 9,395억원(-2.3%YoY, -5.4%QoQ), 영업이익은 6,237억원(-40.3%YoY, -45.0%QoQ)

-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HS 4,399억원(OPM 6.7%), MS -1,917억원(OPM -4.4%), VS 1,262억원(OPM 4.4%), ES 2,505억원(OPM 9.5%)

- HS는 투트랙 전략 주효했고 수익성 좋은 D2C 매출 증가하며 양호한 실적 시현

- MS는 한정된 시장 내 중국 업체와의 경쟁 격화되며 OPM -4.4% 기록. LCD 패널가 부담도 지속되고 있어 TV 수익성 악화를 WebOS의 고수익성으로도 상쇄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임

- VS는 IVI 포트폴리오 개선에 말미암은 양호한 수익성 기록. 마그나는 EV캐즘에 따른 실적부진 지속되고 있을 것으로 보임

- ES는 국내 가정용 에어컨과 제습기 판매량 견조했음

- 3Q25P 별도 영업이익 4,581억원(-26.1%YoY, -26.5%QoQ) 전망

- VS 수익성 개선 속도 예상보다 빠르다는 점은 고무적이나 MS 수익성 부진 연내 지속될 것으로 전망

- LG전자는 완성품 제조사인 만큼 업종 내 관세 노출도 높은 편임

- 다만 그간 소비심리 둔화 속에서도 시장 대비 판매성과 지속 아웃퍼폼해왔다는 사실에 집중할 필요

- 관세를 포함한 비용 증가분에 상응하는 수준의 판가 책정 전략 기대해볼만 함

- LG전자는 지난 3년간 연간 1조원 수준 지분법손실 반영되어 왔음

- 그러나 관계사인 LGD의 흑자 전환 기대감이 커지며 연결 EPS 역시 2024년 2,245원→2026E 9,662원까지 증가 전망. 이는 배당가능재원의 증가를 의미

- 또한 LG전자는 이달 말 창사 이래 최초로 602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예정 중

- 단기 실적 부진은 불가피해 보이나, 주주환원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abit.ly/kfng5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