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1K subscribers
3.22K photos
61 videos
205 files
11.4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또 대선 뛰어들 준비하는 안철수
🤮7🤣1
받) 탄핵 이후 후보들 움직임

■ 국민의힘
-김문수 : 7일(월) 장관직 사퇴,
8일(화) 복당신청 및 출마선언 예정
-홍준표 : 8일(화) 대구시장 퇴임 인사.
한동훈과 같은 '대하빌딩'에 캠프차릴듯
-한동훈 : 캠프 사무실 가계약 완료 (대하빌딩)
-안철수 : 6일(일) 출마 시사 페북글 작성
-나경원 : 5일(토) 윤통 면담
-원희룡 : 특별한 움직임 X
-오세훈 : 특별한 움직임 X
-유승민 : 특별한 움직임 X

■ 민주당
-이재명 : 특별한 움직임 X
-김부겸 : 8일(화) 출마선언 예정
-김두관 : 7일(월) 출마선언 기자회견
-김동연 : 다음주중 출마 시사
-박용진 : 불출마 선언

■ 기타
-이준석 : 대선후보확정, 6일(일) TK 방문중
-이낙연 : 특별한 움직임 X
🤮2
@한동훈

시대를 바꾸기 위해 개헌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87헌법은 우리를 선진국과 민주국가로 만들어 준 위대한 헌법이었지만, 한쪽에서는 탄핵 30번, 한쪽에서는 계엄으로 이미 통제력을 잃었습니다.

내각제는 국민들께서 싫어하시니 안됩니다.

‘대통령 4년 중임제, 국회 양원제(현 비례대표 대신 중대선거구제의 상원 도입하여 국회의 권한남용 견제/의원총수 늘리지 않고 유지),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 시작과 끝을 맞춰 책임정치 구현’이 저의 권력구조 개헌 의견입니다. 권력구조 외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개정사항들도 많습니다. (한두달 안에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제가 처음부터 말씀드린 ‘3년 임기단축’은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의 시작과 끝을 맞추기 위한 목적 외에 개헌의 실현가능성을 크게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재명 민주당은 개헌을 반대하는 ‘호헌세력’이지만, 만약 3년 임기단축을 약속하고 그것을 지킬 국민의힘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3년 만에 다시 선거를 할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개헌에 동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오직 국민을 먼저 생각한다면 개헌은 반드시 해내야 하고 그것을 위해 저는 3년 임기단축을 약속하고 지킬 것입니다.

기사: [속보]한동훈 “이재명 민주당은 호헌 세력…4년 중임, 양원제 개헌할 것”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1/0002701232?ntype=RANKING
🖕7
잠깐 악귀들렸던 거라고 하자ㅋㅋ

https://cafe.naver.com/hangilhistory/901354
1
Forwarded from [정치 모니터링]
[4월 1주 한국갤럽 여론조사(자체조사)]
- 조사기간 : 4/1-4/3(화-목)
- 조사방법 : 전화면접(무선 100% / 안심번호)

(정당 지지도)

-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35%(2%p▲), 조국혁신당 4%(2%p▲), 개혁신당 2%(-) 등의 順
· 중도층 : 더불어민주당 45%(3%p▲), 국민의힘 23%(2%p▲)

(장래 정치지도자 선호도)

- 이재명 34%(-), 김문수 9%(1%p▲), 한동훈 5%(-), 홍준표 4%(1%p▲), 오세훈 2%(1%p▼) 등의 順

(다음 대통령 선거 결과 기대)

- 정권 유지/여당후보 당선 37%(3%p▲), 정권 교체/야당후보 당선 52%(1%p▼), 모름/무응답 11%

(尹대통령 탄핵)

- 찬성 57%(3%p▼), 반대 37%(3%p▲), 모름/무응답 6%
· 중도층 : 찬성 67%(3%p▼), 반대 27%(5%p▲)

(한덕수 총리 탄핵안 기각)

- 잘된 판결 48%, 잘못된 판결 37%, 모름/무응답 15%
· 중도충 : 잘된 판결 43%, 잘못된 판결 39%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2심 무죄)

- 잘된 판결 40%, 잘못된 판결 46%, 모름/무응답 14%
· 중도충 : 잘된 판결 45%, 잘못된 판결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