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2.91K photos
59 videos
202 files
10.6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내란의힘과.윤건희🖕
[12.7 탄핵박제 김미애] "바보죠, 윤석열은 바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60177
오마이뉴스 [105인 보이콧]

강대식(대구 동구군위군을) : "내 이마빡 주홍글씨 유승민..." https://omn.kr/2bcpd

강명구(경북 구미시을) : 윤석열의 말 "당신이 시키는 대로 하겠다" https://omn.kr/2bdna

강민국(경남 진주시을) : 그가 12월 7일 올린 글 "오늘은 대설" https://omn.kr/2bejw

강선영(비례) : '이재명 레닌' 빗댄 그가 계엄 후 내놓은 말 https://omn.kr/2bf3a

강승규(충남 홍성군예산군) : '이것' 두고 "위헌적 일탈"이라 했다 https://omn.kr/2bfrg

고동진(서울 강남구병) : 한동훈과 셀카 찍던 그가 이틀 전 한 일 https://omn.kr/2bhqc

곽규택(부산 서구동구) : "계엄? 민주당이 퍼뜨린 괴담" https://omn.kr/2bi9i

구자근(경북 구미시갑) :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전했던 그의 짝사랑 https://omn.kr/2bjep

권성동(강원 강릉시) : "대통령 헌법 위반? 중학교만 나와도 알아" https://omn.kr/2bjey

권영세(서울 용산구) : 국힘 비대위원장, 그는 '특전사방' 목격자 https://omn.kr/2bl0x

권영진(대구 달서구병) : "배신자 한동훈" 어깨에 손 올렸던 그 이유 https://omn.kr/2bmil

김건(비례) : 추경호 재신임 반대로 존재감... '갓대사' https://omn.kr/2bru0

김기웅(대구 중구남구) : 그렇게 '디스'하던 홍준표와 이제 와서 https://omn.kr/2bru7

김기현(울산 남구을) : 그의 아버지는 쿠데타 세력의 '희생자'였다 https://omn.kr/2bsd5

김대식(부산 사상구) : 윤석열 시계 차고 "함부로 내란이라 하지 말라" https://omn.kr/2bsy3

김도읍(부산 강서구) : 윤석열 '팩폭' 5회, "지금 이 순간도 거짓말" https://omn.kr/2buul

김미애(부산 해운대구을) : "바보죠, 윤석열은 바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60177
👎2
< 문자풀 >

❍ 지난 1. 18.~19. 이틀간 서부지법 및 헌법재판소 내‧외부에서 발생한 집단 불법행위로 총 90명을 현행범체포하여 19개 경찰서에서 수사 중에 있음

❍ 현행범체포한 90명 중,

- 서부지법에 침입한 46명 전원과 공수처 차량 저지 등 공무집행을 방해한 10명, 경찰관 폭행 등 공무집행방해 또는 서부지법 월담자 중에서 혐의가 중한 10명, 총 66명에 대하여 어제(1. 19)부터 서부지검에 순차적으로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있음

- 구속영장을 신청한 66명 중 5명은 서부지검에서 어젯밤 구속영장을 청구하여 오늘 10:30경 구속전심문 절차가 진행 중에 있음

❍ 현행범체포한 90명 중에는

- 10대부터 70대까지 분포되어 있고, 20대와 30대가 46명으로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 서부지법에 침입한 46명 중 유튜버는 3명으로 확인되었음

❍ 경찰은 현행범체포한 90명 이외에도

- 휴대폰, 채증자료, 유튜브 동영상 등을 철저히 분석하여 여타 불법행위자 및 교사‧방조 행위자 등을 끝까지 확인, 엄정하게 사법처리할 계획임
👍5😱1
선관위, 부정선거 음모론 보도에 언론중재위나 법적대응 없다

선관위는 왜 단호하게 대처하지 않았을까. 선관위는 강 의원에게 "부정선거 의혹 제기에 대해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중재 등 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이유는 조정·중재 절차 진행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해당 기사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어렵고, 공식적인 대응이 부정선거 의혹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 대응의 실효성이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선관위는 "다만 지난 12·3 비상계엄 이후 보도된 부정선거 관련 기사 중 악의적인 허위 기사에 대해서는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청구 등 적극적인 대응도 검토 중에 있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28193?sid=10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