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2.89K photos
59 videos
202 files
10.6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5🤣1
* 명태균도 울고갈 어제자 한길리서치 여론조사

@최병천
김문수가 1등 나온 한길리서치-쿠키뉴스 여론조사 로데이터를 보고 있는데, 가관이군요~

정당 지지율이
민주당 37.0%
국힘 36.3%인데,

심지어 30대에서 국힘이 앞서고 있네요~
국힘 : 42.6%
민주당 : 27.0%

서울과 경인도 국힘이 앞서네요~
서울) 국힘 36.2%, 민주당 32.5%
경인) 국힘 41.6%, 민주당 36.3%

황당무계한 수준으로,
명태균이 양반입니다.

조사방법) 유선 전화면접 9.2%, 무선 ARS 90.8% 병행
선정방법) 유ㆍ무선 RDD
😁3🤡1
Forwarded from [정치 모니터링]
[250109 김건희 숙대 석사 논문 관련]
- 21.7.6.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의혹 제기 이후 현재까지 관련 논란 지속
· 석사논문(숙명여대, 1998) / 학술지 논문 3편(2007) / 박사논문(국민대, 2008)
- 국민대, 연구윤리위·재조사위 거쳐 "김건희 여사 논문, 연구부정행위 해당하지 않는다"는 조사결과 발표(22.8.19.)
- 숙명여대, 논문 검증 착수(22.1.5.) 이후 현재까지 석사 논문 검증 결과를 공표하지 않고 있었음

- 25.1.7. 숙명여대, 김건희 석사 논문 '표절' 잠정 결론
· 김건희 측, 두 차례 논문 조사 결과 수취 거부

- 김건희 숙대 논문이 취소될 경우 국민대 박사학위도 취소될 것으로 전망
· 김건희, 1999년으로 숙명여대 석서학위 논문을 기반으로 2008년 국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 숙명여대 학칙, 학위논문에 대한 연구부정이 확인될 경우 해당 학위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함
· 「고등교육법」 제33조 : ‘대학원의 박사학위에 입학할 수 있는 사람은 석사학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규정
· 국민대 학칙, 박사과정에 입학하려는 자의 자격을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로 명시

※ 숙명여대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 관련 논란 및 주요 타임라인
- 21.12.27. JTBC, 김건희 숙명여대 미술교육학 석사 논문 표절 의혹 제기
- 22.1.5. 숙명여대, 교육부에 연구윤리위 운영안 보고하며 논문 검증 착수
- 22.3. 숙명여대 연구윤리위, 예비조사 결과 '본조사 필요' 결론 내렸으나 본조사 승인 안 함
· 규정상 예비조사는 30일, 본조사는 90일 이내에 끝내야 함. 다만, 연구윤리위가 본조사 승인을 언제까지 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음.
- 22.8.10. 숙명여대 민주동문회, 논문 표절 검증 "표절율 48.1~54.9%에 달해"
- 22.12. 10개월 동안 본조사 미착수에 대한 비판 쏟아지자 본조사 착수
· 이후 현재까지 검증 결과 발표하지 않고 있음
- 24.5.25.-6.9. 숙명여대 총장 선거
· 24.6.5. 총장 후보 정책토론회서 문시연 교수 "총장 된다면 진상 파악하고 규정과 절차에 따라 정리할 것,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 24.6.21. 숙명여대 이사회, 문시연 교수 신임 총장 선출
- 24.7.24. 숙명여대 이사회, 필요하다면 재검표 가능 입장 발표해 논란
- 24.9.3. 문시연 교수, 숙명여대 총장 취임
- 24.9.27. 국회 교육위, 장윤금 전 총장과 문시연 숙명여대 총장을 증인·참고인으로 채택
- 25.1.7. 숙명여대, 김건희 석사 논문 '표절' 잠정 결론
[속보] 당정 "중기 근로자 15만명에 국내여행경비 40만원 지원"

* 맨날 기본소득, 표퓰리즘 욕하더니 더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49956?sid=101
1👏1
[동아일보]前 美대사 “대통령이 어떻게 이런 일을… 계엄 직후 심각한 우려”[데스크가 만난 사람]

―미국대사로서 겪은 ‘계엄의 밤’은 어떤 것이었나.

“외교부의 누군가가 자고 있던 나에게 전화를 걸어 계엄 관련 성명서(statement)를 읽어줬다. 나는 이의를 제기했고, 반대를 표명했다. 이어서 대통령실의 누군가와 통화했는데 그는 계엄과 관련해 아는 게 없어 보였다. 나는 심대한 우려를 표시했고, 대통령이 어떻게 이런 일을 벌일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설명을 요구했다. 계엄이 한국의 명성을 크게 훼손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 중 고함을 질렀냐’는 질문에 답변이 끊겼다. 10초 넘게 침묵하던 골드버그 대사가 “조금 그랬다”며 무겁게 고개를 끄덕였을 때 그의 표정은 단호해져 있었다. 주한 미국대사관은 계엄 다음 날 곧바로 영문 웹사이트 메인 화면에 적색 경보(Alert)를 띄웠다. 같은 날 워싱턴에서는 “한국이 심각하게 오판했다”는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의 비판이 나왔다. 동맹국을 상대로 이례적으로 강경한 조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08849?sid=104
Forwarded from [정치 모니터링]
[한길리서치 여론조사(쿠키뉴스 의뢰)]
- 조사기간 : 1/4-6(토-월)
- 조사방법 : ARS(무선 90.8%, 유선 9.2% / RDD)
- 조사대상 : 만18세 이상 전국 남녀 1,000명
※ 이념성향 표집 : 보수층 358명 / 중도층 316명 / 진보층 285명

(정당 지지도)

- 더불어민주당 37.0%, 국민의힘 36.3%, 조국혁신당 4.9%, 개혁신당 2.1% 등의 順
· 30대 : 더불어민주당 27.0%, 국민의힘 42.6%
· 서울 : 더불어민주당 32.5%, 국민의힘 36.2%
· 인천/경기 : 더불어민주당 36.3%, 국민의힘 41.6%
▶️ 30대·수도권 결과를 보면 조사가 얼마나 엉망으로 됐는지 알 수 있음

(범보수 차기 대선주자)

- 김문수 15.6%, 오세훈 9.7%, 유승민 9.6%, 한동훈 9.4% 등의 順
· 30대 : 김문수 15.7%, 오세훈 13.1%, 홍준표 10.6% 등의 順
· 서울 : 김문수 16.9%, 오세훈 9.6%, 유승민 8.7% 등의 順
· 인천/경기 : 김문수 15.6%, 오세훈 10.9%, 한동훈 9.1% 등의 順
· 중도층 : 김문수 13.9%, 유승민 11.0%, 한동훈 10.1% 등의 順
▶️ 30대 김문수 1등, 위대한 약진

(범야권 차기 대선주자)

- 이재명 42.0%, 김동연 7.1%, 이낙연 6.2% 등의 順

(비상계엄 등 비상상황 대처방법)

- 알고 있다 69.3%, 모른다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