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2.89K photos
59 videos
202 files
10.5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https://www.yna.co.kr/view/AKR20230613098551001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통령실에서 열린 비공개 국무회의에서 "싱하이밍 대사의 태도를 보면 외교관으로서 상호 존중이나 우호 증진의 태도가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이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전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86670?sid=101

13일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민간단체 보조금이 지난 정부에서 늘어나는 동안 제대로 된 관리·감독 시스템이 없어 도덕적 해이와 혈세 누수가 만연했다”며 “각 부처는 무분별하게 늘어난 보조금 예산을 전면 검토해 내년도 예산부터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보조금 사업에서 부정·비위가 발생할 경우 사업자뿐 아니라 담당 공직자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시·도교육청이 운용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도 해당하는 발언이다. 윤 대통령은 “학령인구는 줄어드는데 세수가 증가해 교육교부금이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보조금을 남발하고 검증과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아 부정과 비리의 토양이 됐다”며 제도 개편을 강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03277

국가정보원이 최근 1급 간부 7명에 대한 보직 인사를 냈다가 1주일 만에 번복하고 직무 대기발령을 낸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인사를 재가한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원 특정 간부가 인사에 깊이 관여한 사실을 파악한 뒤 문제가 있다고 보고 뒤늦게 이번 인사를 뒤집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 당국의 고위 간부 인사가 대통령실 인사 검증은 물론이고 대통령 재가까지 거친 뒤 번복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https://v.daum.net/v/20230614112600468

“대한민국 교육계는 공급자들의 이권 카르텔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3일 국무회의에서 ‘교육 개혁’을 화두로 꺼내며 한 말이다. 당시 현장에 있던 복수의 참석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같이 말한 뒤 이주호 사회부총리에게 “혁신하는 대학은 과감히 지원하고, 그렇지 못한 대학은 퇴출당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선별적 지원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 중 교육 개혁의 모범 사례로 서울대가 추진 중인 문·이과 통합선발 제도 등을 들며 “일부 대학에선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공 간의 칸막이를 허물고, 학교 간에도 벽을 허물어 대학에서부터 혁신의 바람을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주문이 이어졌다고 한다.
🤣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43842

윤석열 대통령이 “태양광 사업 의사결정 라인 전반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하라”고 14일 말했다. 전날 감사원이 문재인 정부의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반에 대한 중간 감사 내용을 토대로 전·현직 공직자 등의 비위 사실을 발표하자 윤 대통령이 추가 지시를 내린 것으로, 사실상 문재인 정부를 겨냥한 셈이다.
김준일 뉴스톱 대표 페북글

#윤석열 #국민제안 #문재인 #국민청원

——————————

링크: https://www.facebook.com/100003535967355/posts/pfbid02iNd4FJ196XKEhqTiS4ZaEY88QSCJFGFy2f8gbogQz75hQ4cpjkeVA79yfCX5Uiubl/?mibextid=cr9u03

———

<'따봉'으로 여론조사하는 용산>
.
최근 '집회시위 요건 제재 강화' 토론이 <대통령실 국민제안 홈페이지>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뉴스를 보고 해당 홈페이지에 들어갔다가 충격을 받았다. 그 조악함과 비논리적 방식에 황당함을 넘어 참담함을 느꼈다.
.
앞서 'KBS 수신료 징수방식'를 놓고 대통령실은 "국민 96.5% 분리징수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이 여론조사가 사실은 이랬다 .엄지척(추천)을 누르면 찬성, 엄지내림(비추천)을 누르면 '반대'로 합산해 여론이라고 내놓은 것이다. 총 5만8251명이 이 주제에 반응을 했는데 '추천'을 누른 사람은 5만6226명, '비추천'은 2025명이었다. 전체 인원중 '따봉 누른 사람' 비율이 96.5%니 국민 96.5%가 분리징수에 찬성한다는 주장이다.
.
결혼정보회사도 '엄지척'으로 여론조사를 하지 않는다. 백번 양보해 온라인 여론조사를 하더라도 보통은 몽키서베이 같은 '온라인 폴' 방식을 사용한다. 대한민국을 대표한다는 용산 대통령실 공직자들이 이런 조악한 방식을 도입해 여론조사라고 포장해 약을 팔았다는게 황당하다. 국민토론이라고 포장을 한 것도 내용을 보면 불만 혹은 배설에 가까운 한줄 댓글쓰기다.
.
현 방식은 윤석열 정부 출범시 전 정부의 '청와대 국민청원'이 문제가 많다며 개선해 내놓은 시스템이다. 당시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은 "특정 정치 세력이나 이념활용을 위한 공간이 되지 않도록 원칙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금 방식이 국민들 선전선동하기 더 용이해 보인다.
.
지난 4월 19일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여론조사가 표본 설정과 질문 내용, 방식이 과학적, 객관적이고 공정해야 한다"며 최근 여론조사에 불만을 토로했다. 스스로에게 적용해서 '따봉 여론조사'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지 용산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사실 이걸 여론조사라고 부르는게 맞는지도 모르겠다. 여론조사 종사자들에 대한 모독이라고 본다).
.
사회적으로 민감하고 복잡한 주제를 다룰 때는 '공론조사'란 방식을 사용한다. 최근 김진표 국회의장 주도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시민참여단 500명이 이틀간 모여 공론조사를 했다. 선거제도 개편 원칙과 목표, 소선거구제/중대선거구제/권역별 비례대표제 등 제도의 장단점을 전문가로부터 듣고 토론을 한 뒤 여론조사를 했다. 국회의원 정수 감축의 경우 사전여론조사에는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사후 여론조사에선 정수 유지 혹은 확대 여론이 크게 높아졌다. 예를 들어 국회의원 정수를 3분의 1로 줄이면 각 상임위에서 예닐곱명 의원이 중요 의사결정을 하고 100명의 기득권이 더 강화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은 것이다.
.
공영방송 수신료 통합징수/분리징수는 해외에서도 엇갈리는 사례가 여럿 있으니 장단점을 비교분석하면 된다. 집회 시위 규제 강화도 여론 청취를 해 필요하면 개선안을 찾으면 된다. 중요한 것은 정부가 국민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수렴하려는 의지가 있느냐다. 이슈 찬반에 상관없이 지금의 '따봉 여론조사' 방식이 틀렸다는 건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https://twitter.com/newspaper3859/status/1668810772640829440?s=46&t=3RVBISJEGyUtRH0B59Tv2A

2023서울국제도서전 홍보대사에 블랙리스트 실행자 오정희 소설가 선정에 항의 방문한 작가와 예술가들이 폭력에 무참히 쫓겨나고 있습니다. 국제도서전에 김건희 여사 방문으로 어느때보다 많은 경호 인력이 배치되었으며 문학기자들은 개화식에 입장조차 불가한 상황입니다.
尹, 올초부터 “수능 쉽게 내라”… 이행 안한 교육부 大入국장 경질
출처 : 조선일보 | 네이버

https://naver.me/5rMKNFet

#수능 #킬러문항 #카르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