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2.91K photos
59 videos
202 files
10.6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단독]이 시국에... 국방위 계엄 질의장서 공군 장성 '폰 게임'

국회 소식통은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것을 봤을 때 국방위 정회 중에 폰 게임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4/12/10/KGQ5TWMB5FGRHIKF2XY733ABJA/?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단독] 한동훈 "대통령 권한 못 뺏는 게 맹점‥문서로 尹 약속받자"

"대통령의 선의에 기댈 수밖에 없다"면서, "윤 대통령에 문서로 약속을 받자는 게 당내 정국안정화 TF의 제안"이라고 해결책을 제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국가권력이 무슨 부동산 거랜가요?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214/0001392697
Forwarded from 찌라시發
[알림]

오늘(12.10.) MBC "[단독] 한동훈 "대통령 권한 못 뺏는 게 맹점‥문서로 尹 약속받자""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기사에 나온것처럼 ‘문서로 약속을 받자’는 부분은 오보이며 그런 발언을 한 적 없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당사자의 확인없는 추측보도를 지양해 주시고, 객관적 사실에 입각하지 않는 보도는 강력 대응하겠습니다.

- 국민의힘 공보실 -
Forwarded from 찌라시發
@이양수
-퇴진 시점에 대해 가닥?
=탄핵보다 빠르고 명확한 시점이라는 점에서 공감대 형성. 다양한 의견들 주셨어. 오늘 뭐 결론을 투표로 해서 결론을 도출하는 게 아니고, 그런 다양한 견해들을 지도부에서 듣고 지도부에서 인제 향후 대응 방안이라든가 계획이라든가 수립하는 데 참고로 쓰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수 의견은 입장.
=어떤 의견
-퇴진 시점
=퇴진 시점에 대해선 2월 3월 안은, 분리해서 생각치 않고. 2월이 더좋다 3월이 더 좋다가 아니고, 2~3월에 퇴진하게 되면 4~5월에 대선을 치르게 된다, 그런 점에서 구분하지 않고 대화를 하셨어.

-내란 혐의자 군 통수권자, 2~3개월 기다려야 하는 이유
=즉각 하야 하는거?
-조경태 의원도 그 안을 넣어달라고 햇는데
=즉각 하야를 하게 되면, 60일 뒤에 대선이 치러지게 됩니다. 60일 뒤에 대선 치러지게 되면 양당 모두 대선 후보를 선출할 시간적 여유라든가, 선거운동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겠죠.
-왜요?
=없죠. 60일 내에 그걸 어떻게 하겠어요.
-헌법 절찬데
=제 답변은 이걸로 마무리
-의총장에서 한 대표가 선의에 기댈 수 없다, 2선 후퇴 사실상 부정하는 거아냐?
=선의에?
-대통령 선의에 기댈 수 없다고
=그니까 이 안이 대통령실과 협의를 해서 또 그쪽으로부터 합의를 인정 받아야 되는 거죠. 그런 호의가 있어야만 실질적으로 확정이 된다, 그런 이야기.

-대통령실에선 차라리 탄핵 하는 게 낫지 않냐. 이런 기류도.
=대통령실 기류는 아직 확인하짐 ㅗㅅ했고. 오늘은 의원님들의 의견을 들었고. 지도부에서 참고해서 그걸 대통령실과 상의할 ㅓㅅ으로.

-의총장 내에선 탄핵이 더 낫다는 의견.
=그런 이야기는 없었어. 질서 있는 퇴진으로 의원들이 의견을 모았는데, 질서있는 퇴진이라는 것이 곧 하야를 의미하는 거기 때문에. 현재까지 질서 있는 퇴진이 탄핵으로 바뀌거나 하진 않았습니다.

-즉각 하야가 후보 선출 양당 모두 부족하다, 솔직히 야당 대표 사법처리 때문에 시간 끄는 거 아니냐는 지적
=야당 대표의 사법처리가 끝나려면 아마 5월 이상이 돼야 할 것 같습니다. 한 6월 정도. 633원칙에 의하면, 3개월 3개월 이면 6월 정도 돼야 하기 때문에. 지금 대선 치르는 시점이 4~5월로 예정했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가 3심까지 끝나서 출마 자격을 상실하게 되는 그런 사법리스크와는 관련 없을 것 같습니다.

-당에서 결정해도 야당이 수용 안하면 무의미
=야당이 수용안해도 뭐 무용이 되는 거고. 대통령실과의 협의 과정에서도 변동이 있을 수 있고. 그것도 변수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오늘이 화요일인데 민주당에서 탄핵 본회의를 예고한게 토요일이잖아요. 금요일 정도까지, 계속 협의를 해야되는 상황.

-14일 표결 부쳐질 거로 보이는데. tf 상황.
=지금 질서있는 퇴진을 저희가 하는데, 가장 탄핵보다 빠르고 탄핵보다 시점이 명확하게 하는 안을 오늘 마련해서 오늘 의총에 부쳐서 의원들 의견을 구한거고. 지도부가 이걸 가지고 용산과 협의도 하고 야당과 협의도 할 것으로 보고. 저희 tf에선 또 다시 그것뿐만 아니라 국정 안정화할 수 있는 도 다른 분야들. 과연 대통령제를 어떻게 견제와 균형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느냐 그런 문제, 그담에 임기단축 개헌도 자꾸 수요가 잇는 거같아요. 그런 문제. 이런 문제들을 하나하나 논의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정도 하시죠 오늘 다했는데.

-2월이나 3월 군 통수권 유지. 대통령한테 있는데. 탄핵 하는 게 더 안전하고 빠른 거 아닌가 명쾌하고.
=그 탄핵을 한번 겪어본 세대로서, 탄핵을 하게 되면 일단 헌재 심의가 진행되는 동안 국가가 엄청나게 혼란스러습니다. 양분되고 이념적 진형이 나눠져서 계속 싸우고. 국가신용도 떨어지고 엉망이 됩니다. 질서 있는 퇴진 이야기하는 이유는, 국가적 혼란을 막아보자, 어쨌든 계엄이라고 한 대통령을 직에서 내려오게 하는 효과는, 탄핵이나 질서 있는 퇴진이나 마찬가지인데, 그 과정에서 겪는 국가적 혼란 대외신인도 하락 경제혼란, 이런 것들을 막아서 서민이나 민생 어려워지는 걸 막아보자, 그런 취지에서 질서 있는 퇴진 하는 거. 너무 정략적인 부분으로만 이해해주시면 곤란.

-대통령 하야하기전에 구속. 그게 더 큰 혼란.
=구속이 되는 사태가 벌어진다면 그것은 또 권한대행체제로 바뀌게 되겠죠? 그렇게 된다 그러면은 또 그때가서 그건 저희들이 어케 대응해야할지. 추가로 의논해야지 제가 답변드릴 문제는 아냐. 이정도 하시죠.

-2~3월 퇴진 통실이 안받으면
=일단 적극적으로 협의해볼게요.
어제 국방위 종합

[국방위①]특전사령관 "문 부수고 의원들 끌어내라, 윤 대통령이 지시" / SBS 특집 8뉴스 (홍영재 기자)
https://www.youtube.com/watch?v=phNlbUtEwUs

[국방위②]"여인형, 주요인사 벙커 구금 지시"…'국회 해산' 노렸다 / SBS 특집 8뉴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
https://www.youtube.com/watch?v=Mce8DEvohZc

[국방위③]계엄 이틀 전부터 '대기' 지시…'선관위 서버 사진' 보고 / SBS 특집 8뉴스 (김수영 기자)
https://www.youtube.com/watch?v=Y01d5lxsdl0

[국방위④]"끄집어내" 잇단 군 내부 폭로…"국민 안전 최우선" 거짓인가 / SBS 특집 8뉴스 (최재영 기자)
https://www.youtube.com/watch?v=ILiz-A7seh8
Forwarded from 찌라시發
[구속영장 실질심사 결과]
1. 피의자명: 김용현
2. 피의죄명: 내란중요임무종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3. 결과: 발부[증거를 인멸할 염려(①검찰청법 제4조 제1항 제1호 나,다목에 의해 검사가 수사를 개시할 수 있는 범죄의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됨. ②범죄혐의 소명정도, 범죄의 중대성, 증거를 인멸할 염려 고려)]
4.담당법관 : 남천규 영장전담 부장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