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2.91K photos
59 videos
202 files
10.6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윤석열 대통령 미국 국빈 방문 때 블랙핑크 국빈만찬 공연 논란이 대통령실 안보실장 등 외교 안보 라인 교체까지 불러왔는데, 이 공연은 애초부터 현실성이 없었습니다.

미 백악관이 윤 대통령 국빈 초청 계획과 국빈만찬 일정을 발표한 건 3월 7일인데, 한미정상회담 시기 블랙핑크의 멕시코시티 공연 일정은 그 전인 2월 1일에 발표됐습니다. 티켓도 2월 5일부터 팔리기 시작했습니다.

거액의 위약금 부담이나 글로벌 팬들의 반발을 무릅쓰지 않으면 사실상 블랙핑크 공연은 백악관 국빈만찬 때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질 바이든이 멕시코시티 공연이 예정된 블랙핑크를 백악관 만찬에 불러오라고 제안하고, 비용도 초청국인 한국에 전가했다는 것인데 뭔가 앞뒤가 맞지 않습니다.

백악관 국빈만찬 공연 행사가 어떻게 기획되고 추진되는지를 취재해봤더니, 미국 외교상 초청국에 비용을 전가하거나 섭외 부담을 주는 전례는 없다고 합니다.

질 바이든 미스터리일까요, 대통령실 미스터리일까요?

전체기사는 뉴스버스 (https://www.newsverse.kr/news/articleView.html?idxno=3246)에서 볼 수 있습니다.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맹성규 의원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가 맞습니까?"
한덕수 총리
"절대 아닙니다"
카메라 터지고, 웅성웅성
"아, 죄송합니다. 일본의 땅이 절대 아닙니다"
내란의힘과.윤건희🖕
https://v.daum.net/v/20230407033900151
불경스러운 핫 마이크 디스에도 불구하고 의회에 초청된 한국 대통령 (뉴욕포스트, 스티브 넬슨)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지난해 미국 의원들을 핫마이크에 대고 욕설로 조롱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달 말 의회 합동 회의에 연설하도록 목요일 초청을 받았습니다.

미 하원과 상원의 공화당과 민주당 최고위원들은 4월 27일 워싱턴과 서울의 70년 우정을 기리기 위해 윤 총장에게 의원 연설을 공식 요청했습니다.

올해 62세인 윤 장관은 지난 9월 뉴욕을 방문했을 때 의원들을 '바보' 또는 '멍청이'(번역에 따라 다르지만)라고 지칭해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윤 의원은 사진 촬영을 마치고 나오면서 보좌관들에게 바이든 대통령의 글로벌 보건 프로젝트에 대한 60억 달러 공약이 의회에서 거부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의 번역에 따르면 윤 전 대변인은 "이 바보들이 의회에서 통과시키지 못한다면 바이든에게는 너무 굴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다른 번역본에 따르면 윤은 "이 멍청이들이 의회에서 통과시키지 않으면 바이든이 어떻게 망할 체면을 잃지 않을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국내 발언에 영어 문구를 자주 섞는 윤 장관은 지난 5월 취임했으며 정치적 보수주의자로 간주됩니다. 그는 이전에 미국 최고의 검사로 재직했습니다.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케빈 매카시, 캘리포니아주),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척 슈머, 뉴욕주), 하킴 제프리스 하원 소수당 원내대표(하킴 제프리스, 뉴욕주), 미치 매코넬 상원 소수당 원내대표(미치 매코넬, 켄터키주)가 윤 총장에게 초대를 요청했습니다.

이들은 "미국 하원과 상원의 초당적 지도부를 대표해 2023년 4월 27일 목요일에 열리는 의회 합동회의에 여러분을 초청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양국 동맹 7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 양국 파트너십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민주주의, 경제 번영, 세계 평화에 대한 공동의 약속을 재확인하는 데 특히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역사적인 행사에 여러분을 초대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두 위대한 국가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대통령님의 리더십과 헌신에 감사드립니다. 곧 미국을 방문하시게 되기를 고대합니다."

한국전쟁 휴전 1년 후인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을 시작으로 6명의 한국 대통령이 미 의회에서 연설한 적은 있지만 외국 지도자가 미 의회에서 연설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입니다. 약 36,000명의 미군이 공산주의 북한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습니다.

지난 10년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와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아슈라프 가니 당시 아프간 대통령, 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프란치스코 교황,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옌스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 키리아코스 미토타키스 그리스 총리 등 외국 정상 10명만 미 의회 연설에 나섰습니다.

Translated with www.DeepL.com/Translator (free version)
윤 대통령은 이날 김건희 여사와 함께 서울 중구에 위치한 영락교회에서 진행된 부활절 연합예배에 참석해 "자유민주주의라는 우리의 헌법정신, 우리 사회의 제도와 질서가 다 성경 말씀에 담겨 있다"며 "진실에 반하고, 진리에 반하는 거짓과 부패가 우리의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없도록 헌법정신을 잘 지키는 것이 하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33115?sid=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