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의힘과.윤건희
1.2K subscribers
2.9K photos
59 videos
202 files
10.6K links
김건희 여사, 윤석열 전 대통령, 그리고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사고를 모은 채널입니다.

* 프로필 사진 출처: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 중인 김건희, 용궁

* 제보: https://open.kakao.com/o/slgEB1jh
Download Telegram
[김문수 후보 승리캠프 보직 변경]

김문수 승리캠프에서 1명의 보직 변경이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김재원 '총괄선대본부장'은
'공보미디어총괄본부장' 으로 보직을 변경합니다.

김재원 본부장 입장
"장동혁 의원님의 합류를 진심으로 환영하며, 기쁜 마음으로 잘 모시고 함께하겠습니다. 저는 공보와 미디어 분야를 맡아 선거 공중전에서 반드시 승리하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알려드립니다]
안철수 의원이 페이스북에 <윤 전 대통령께서는 이제는 탈당 결단을 내리셔야 합니다>
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습니다. 전문을 올려드리오니 보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윤 전 대통령께서는 이제는 탈당 결단을 내리셔야 합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제 탈당 결단을 내리셔야 합니다.

첫째, 탄핵된 전직 대통령의 탈당은 책임정치의 최소한입니다.

대통령과 소속 정당은 제왕적 대통령제 하에서 운명공동체입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은 최고 수준의 정치적 심판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정치적 공동책임을 진 정당이 재정비할 수 있는 출발점입니다.

역대 대통령들도 임기 중 당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이유로 탈당했습니다.
하물며 탄핵된 전직 대통령에게 탈당은 국민과 당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입니다.
스스로 당을 떠나는 것이 우리당 쇄신의 첫 걸음입니다.

둘째, 당의 혁신과 대선 승리를 위해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불가피합니다.

이대로면 대선은 필패입니다.
전직 대통령을 방어하는 정당은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습니다.
탄핵의 강을 건너야만 당이 하나로 뭉칠 수 있고 승리의 가능성도 열립니다.

윤 전 대통령은 본인이 당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직시해야 합니다.
탄핵을 부정하는 후보들이 체제 전쟁에 몰두하면서 민생과 경제성장 의제는 이미 빼앗겼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해야만 정권 심판이 아닌 시대교체로 프레임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정권교체가 아닌 시대교체, 분열이 아닌 통합만이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입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책임 회피가 아니라 책임 이행입니다.

지금까지 결단을 기다렸습니다.
이제는 결단을 내리실 때입니다.
1🥴1
받 / 한덕수 출마 확정
어제 밤 최종 결심
🖕21🤮8
한덕수 카페가 개설됐다네요 ㅋㅋ🤣🤣🤣
https://cafe.naver.com/hereducksu
🤮1
내란 재판도 예능인 줄 아실 지귀연 판사니무
🤬4💩1
[EBS뉴스 박광주 기자] 쓰지도 못한 AI 교과서에 구독료가 '56억 원'…"비용감면 협상 중"

이번 학기부터 학교 현장에 AI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됐지만, 활용도는 여전히 낮습니다.

사용 여부를 둘러싼 논란도 있지만, 더 큰 문제는 복잡한 가입 절차입니다.

EBS 취재 결과, 새 학기 한 달이 지나도록 가입을 마친 학생은 절반을 겨우 넘긴 수준이었는데요.

그런데도 지난달 기준, 쓰지도 못한 AI 교과서에 지불될 예상 구독료가 5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광주 기자가 단독으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번 학기부터 학교 현장에 도입된 AI 디지털교과서.

학생들이 사용하려면 '교육디지털원패스' 시스템을 통해 개인 ID를 만들어야 하는데, 가입부터 쉽지 않습니다.

서지섭 교사 / 전남 A초등학교

"지금 3월 지나서 이제 4월이 됐잖아요. 그런데도 학교에서 아직도 가입이 힘들어서 가입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더라고요. 수업 시간에 학생들을 가입시키고 동의서를 지금 구하고 이런 과정이 있다보니까…."

모든 학생이 가입을 마칠 때까지 기다려야 해, 적게는 일주일, 길게는 한 달 넘게 걸린 학교도 많습니다.

특히 만 14세 이하 초·중학생은 보호자 동의서를 종이로 출력해 과목별로 일일이 받아햐 하는 절차 때문에 더 복잡합니다.

인터뷰: 김숙영 공동대표 / 정치하는 엄마들

"만 14세 미만이면 보통 초등학교랑 중학교 학생까지도 포함이 되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 경우에는 이제 학부모가 동의해야 하고 그다음에 학생 학적을 불러와야 하는데 학생 학적 불러오는 것부터 안 돼서 가입을 못 하신 분들이 있더라고요."

더불어민주당 정을호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3월 31일 기준, AI 디지털교과서 대상 학생 중 교육디지털원패스 가입률은 평균 59.9%에 불과했습니다.

충남, 서울, 전남, 부산, 전북 등은 절반에도 못 미쳤습니다.

AI 디지털교과서의 특성상, 한 교실 안에서 동의한 학생 일부와만 수업을 진행하긴 어렵습니다.

대구(가입률 95%)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도입 한 달이 넘도록 AI 교과서를 제대로 쓰지 못한 셈입니다.

그런데도 지난달 기준 16개 시도에서 지불해야 할 구독료는 약 56억 원.

사용도 못한 교과서에 예산만 낭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정을호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경기와 서울 등 16개 시도는 많은 학부모와 학생 반대에도 교육부가 무리하게 강행해 수업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절차 개선 이후 가입률이 72%까지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교과서 제작 업체 측은 사용하지 못한 AI 교과서에 대한 구독료 감면을 두고 일선 교육청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https://news.ebs.co.kr/ebsnews/allView/60591727/N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