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30727 12:56:13
기업명: LG화학(시가총액: 48조 2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145,415억(예상치: 154,428억)
영업익: 6,155억(예상치: 8,746억)
순익: 5,248억(예상치: 6,541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145,415억 / 6,155억 / 5,248억
2023.1Q 144,863억 / 6,907억 / 6,690억
2022.4Q 138,523억 / 1,913억 / -59억
2022.3Q 141,777억 / 9,012억 / 7,139억
2022.2Q 122,268억 / 8,790억 / 7,18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8002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1910
기업명: LG화학(시가총액: 48조 2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145,415억(예상치: 154,428억)
영업익: 6,155억(예상치: 8,746억)
순익: 5,248억(예상치: 6,541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145,415억 / 6,155억 / 5,248억
2023.1Q 144,863억 / 6,907억 / 6,690억
2022.4Q 138,523억 / 1,913억 / -59억
2022.3Q 141,777억 / 9,012억 / 7,139억
2022.2Q 122,268억 / 8,790억 / 7,18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8002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1910
Naver
LG화학 - 네이버페이 증권 : 네이버페이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20230727 12:56:13 기업명: LG화학(시가총액: 48조 2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145,415억(예상치: 154,428억) 영업익: 6,155억(예상치: 8,746억) 순익: 5,248억(예상치: 6,541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145,415억 / 6,155억 / 5,248억 2023.1Q 144,863억 / 6,907억 / 6,690억 2022.4Q 138,523억…
👉LG에너지솔루션 약 1500억원 규모 충당금 감안하면 컨센서스 부합
Forwarded from 엄브렐라리서치 Anakin의 투자노트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TC-NCF vs MR-MUF의 구도로 HBM 기술이 전개되는데, 결국 국내 후공정 업체들이 함께 성장하는 사이클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차피 삼성이 추가적인 AI GPU 수주를 위해서는 2.5D 아이큐브 캐파 구축이 필수적이며, HBM 수주를 위해서라도 TSV 캐파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MR-MUF의 주도권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선두권을 당분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어찌되었든 현재는 MR-MUF가 TC-NCF대비 뛰어난게 맞기 때문입니다.
삼성은 MR-MUF가 HBM 단수가 높아질수록 휘어짐(warpage)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걸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추측) 그러나 SK하이닉스가 이번 HBM3에서 warpage 문제를 해결하면서 엔비디아향 수주를 따냈습니다.
warpage 문제만 해결한다면, MR-MUF는 액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TC-NCF 방식대비 더 열관리가 용이함에 따라, 더 많은 범프를 탑재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 일일이 필름을 이용해야하는 TC-NCF보다 생산성도 MR-MUF가 앞선 것은 사실입니다.
어째든 전자가 확실히 이제 HBM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원래 전자는 게이밍 분야로 개발된 HBM보다 그래픽 GDDR DRAM을 더 선호했습니다. 애초에 HBM이 AI서버가 아닌 게이밍 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전자도 HBM이 확실히 AI GPU에 사용되고, 이게 그만큼 향후 메모리 수요를 이끌어나갈 중요한 팩터임을 깨달았습니다.
결국 삼성과 SK하이닉스가 HBM에 대한 선의의 경쟁을 지속할수록, 마이크론이 침투할 영역은 더욱 좁아질 것입니다. 그리고 삼성이 HBM과 2.5D 패키징 캐파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엔비디아나 다른 부분 수주를 따올수록, TSMC에 대응할 수 있는 영역도 커지게 됩니다.
개인적으론 전자가 아예 AI GPU 파운드리 생산 수주까지 뺏어오면 좋겠으나, 이는 좀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이번 AI반도체 테크 사이클은 삼성전자까지 뛰어듦으로서 완성되었습니다. 종목들도 어느정도 라인업이 정해진 것으로 보입니다. 남은건 계속 체크하고 스터디를 하면서 생성형AI와 AI GPU의 지속되는 사이클, 그리고 삼성과 하이닉스의 지속되는 capa 확장을 업데이트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하반기내로 업체들의 '발주 사이클'이 진행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제 전자/닉스가 확실한 의사표명을 한 만큼, 다음은 장비 업체들의 수주 및 발주 사이클입니다.
어차피 삼성이 추가적인 AI GPU 수주를 위해서는 2.5D 아이큐브 캐파 구축이 필수적이며, HBM 수주를 위해서라도 TSV 캐파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MR-MUF의 주도권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선두권을 당분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어찌되었든 현재는 MR-MUF가 TC-NCF대비 뛰어난게 맞기 때문입니다.
삼성은 MR-MUF가 HBM 단수가 높아질수록 휘어짐(warpage)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걸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추측) 그러나 SK하이닉스가 이번 HBM3에서 warpage 문제를 해결하면서 엔비디아향 수주를 따냈습니다.
warpage 문제만 해결한다면, MR-MUF는 액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TC-NCF 방식대비 더 열관리가 용이함에 따라, 더 많은 범프를 탑재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 일일이 필름을 이용해야하는 TC-NCF보다 생산성도 MR-MUF가 앞선 것은 사실입니다.
어째든 전자가 확실히 이제 HBM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원래 전자는 게이밍 분야로 개발된 HBM보다 그래픽 GDDR DRAM을 더 선호했습니다. 애초에 HBM이 AI서버가 아닌 게이밍 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전자도 HBM이 확실히 AI GPU에 사용되고, 이게 그만큼 향후 메모리 수요를 이끌어나갈 중요한 팩터임을 깨달았습니다.
결국 삼성과 SK하이닉스가 HBM에 대한 선의의 경쟁을 지속할수록, 마이크론이 침투할 영역은 더욱 좁아질 것입니다. 그리고 삼성이 HBM과 2.5D 패키징 캐파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엔비디아나 다른 부분 수주를 따올수록, TSMC에 대응할 수 있는 영역도 커지게 됩니다.
개인적으론 전자가 아예 AI GPU 파운드리 생산 수주까지 뺏어오면 좋겠으나, 이는 좀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이번 AI반도체 테크 사이클은 삼성전자까지 뛰어듦으로서 완성되었습니다. 종목들도 어느정도 라인업이 정해진 것으로 보입니다. 남은건 계속 체크하고 스터디를 하면서 생성형AI와 AI GPU의 지속되는 사이클, 그리고 삼성과 하이닉스의 지속되는 capa 확장을 업데이트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하반기내로 업체들의 '발주 사이클'이 진행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제 전자/닉스가 확실한 의사표명을 한 만큼, 다음은 장비 업체들의 수주 및 발주 사이클입니다.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TC-NCF vs MR-MUF의 구도로 HBM 기술이 전개되는데, 결국 국내 후공정 업체들이 함께 성장하는 사이클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차피 삼성이 추가적인 AI GPU 수주를 위해서는 2.5D 아이큐브 캐파 구축이 필수적이며, HBM 수주를 위해서라도 TSV 캐파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MR-MUF의 주도권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선두권을 당분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어찌되었든 현재는…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30727 14:00:02
기업명: 기아(시가총액: 33조 1,68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262,442억(예상치: 257,546억)
영업익: 34,030억(예상치: 30,206억)
순익: 28,169억(예상치: 22,051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262,442억 / 34,030억 / 28,169억
2023.1Q 236,907억 / 28,740억 / 21,198억
2022.4Q 231,642억 / 26,243억 / 20,365억
2022.3Q 231,616억 / 7,682억 / 4,589억
2022.2Q 218,760억 / 22,341억 / 18,8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80028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270
기업명: 기아(시가총액: 33조 1,68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262,442억(예상치: 257,546억)
영업익: 34,030억(예상치: 30,206억)
순익: 28,169억(예상치: 22,051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262,442억 / 34,030억 / 28,169억
2023.1Q 236,907억 / 28,740억 / 21,198억
2022.4Q 231,642억 / 26,243억 / 20,365억
2022.3Q 231,616억 / 7,682억 / 4,589억
2022.2Q 218,760억 / 22,341억 / 18,8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80028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270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20230727 14:00:02 기업명: 기아(시가총액: 33조 1,68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262,442억(예상치: 257,546억) 영업익: 34,030억(예상치: 30,206억) 순익: 28,169억(예상치: 22,051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262,442억 / 34,030억 / 28,169억 2023.1Q 236,907억 / 28,740억 / 21,198억 2022.4Q …
👉기아도 어닝 서프라이즈.... 그런데 시장의 피크아웃 우려는 언제 불식되는겨??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Photo
👉 [에코프로]
하이브 상장때 환불글을 봤었는데.. 이걸 다시 보게 될줄이야😱😱
하이브 상장때 환불글을 봤었는데.. 이걸 다시 보게 될줄이야😱😱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000275 [OCI홀딩스] 약 4651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공시
👉어제 [OCI] 반도체, 2차전지 신사업으로 시외에서 띄워놓고 바로 그 다음날 장중에 주주배정 유증때리는 칼타이밍의 [OCI홀딩스]... 대단하다....😩
Forwarded from Buff
최규옥 전 오스템임플란트 회장, 주성엔지니어링 지분 9% 취득공시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무슨 일?
- 주성엔지니어링의 최근 주가 흐름이 꽤 좋았는데, 수급의 정체가 드러남
- 바로 금일(7월 27일) 장 마감 이후 최규옥 전 오스템임플란트 회장임
(지분취득공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000338
- 금액으로는 대략 920억 가량인데, 작년 오스템임플란트 매각대금 약 3,750억 중 꽤 큰 부분을 한 종목에 지른 셈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2711360152489
- 지분율로는 지난 7월 20일부터 7월 26일까지 5거래일만에 무려 9%에 달함
- 일단 현 시점에서 보고된 보유목적은 '단순투자'
ㅁ 관전 포인트 및 뇌피셜
- 지분공시까지 하면서, 역사적 신고가에서, 평생을 바쳐 일군 회사를 매각한 대금 25% 가까이 태울 수 있는 설득 논리가 뭘까?
- 누군가의 투자 조언을 받았고, 그에 따른 의사결정일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을까?
작성: 버프 텔레그램 https://t.me/bufkr
ㅁ 무슨 일?
- 주성엔지니어링의 최근 주가 흐름이 꽤 좋았는데, 수급의 정체가 드러남
- 바로 금일(7월 27일) 장 마감 이후 최규옥 전 오스템임플란트 회장임
(지분취득공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27000338
- 금액으로는 대략 920억 가량인데, 작년 오스템임플란트 매각대금 약 3,750억 중 꽤 큰 부분을 한 종목에 지른 셈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2711360152489
- 지분율로는 지난 7월 20일부터 7월 26일까지 5거래일만에 무려 9%에 달함
- 일단 현 시점에서 보고된 보유목적은 '단순투자'
ㅁ 관전 포인트 및 뇌피셜
- 지분공시까지 하면서, 역사적 신고가에서, 평생을 바쳐 일군 회사를 매각한 대금 25% 가까이 태울 수 있는 설득 논리가 뭘까?
- 누군가의 투자 조언을 받았고, 그에 따른 의사결정일 가능성도 존재하지 않을까?
Telegram
Buff
버프받고 투자하자
- 내용은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없음
-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도 있음
-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음
문의: jelly@buf.kr
- 내용은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없음
-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의견도 있음
- 언급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음
문의: jelly@buf.kr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292828?sid=101
👉[랩지노믹스]
첫번째 클리아랩 인수 완료 기사 이후 크게 셀온뉴스 나왔던 모습, 바로 2번째 인수 진행 사실 보도
첫번째 클리아랩 인수 완료 기사 이후 크게 셀온뉴스 나왔던 모습, 바로 2번째 인수 진행 사실 보도
지엘리서치 GL RESEARCH_ 주식, 경제, 독립리서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539804?sid=101
👉뉴욕 증시 하락 원인 중 하나인 일본은행 긴축 시사 신호... 12시 나올 통화정책회의 결과 YCC 조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시장 변동성 가능성 점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