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조투자가 개인 아카이브:일기장
3.47K subscribers
1.93K photos
9 videos
361 files
7.59K links
지극히 개인적인 개인투자 자료 아카이브 채널입니다.
고정된 메세지를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투자 구호 시작!

매수는 지조있게!
매도는 기조있게!
투자는 곤조있게!
그냥 뇌피셜만 하는 사람입니다.

https://blog.naver.com/twozaga
블로그
Download Telegram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AfCFTA) 시범운영 확대 발표 -요하네스버그무역관 김예슬 2024-01-26
#아프리카 #AfCFTA #경제 #무역 #투자 #물류 #농업 #제약 #안보 #방산 #인프라 #자동차
#요약
-아프리카자유무역협정(AfCFTA) 시범운영 7개국에서 31개국으로 확대
-세계경제포럼 아프리카 내 주요산업 기반으로 구체적인 목표 발표

스위스 다보스에서 올해 1월 15~19일 개최한 제 24차 세계경제포럼에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는 농업, 운송 및 물류, 자동차, 제약 분야에서 산업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

#시사점
1. 농업은 아프리카 전역에서 노동 인구의 절반이상이 종사하는 주요 산업으로 아프리카 대륙 GDP의 35%를 차지한다. 아프리카 내 식품 및 농업 시장은 AfCFTA로 수입 관세 철폐 시, 2023년 연간 2800억 달러에서 2030년 1조 달러로 시장확대 및 농업 산업 관련 무역이 574% 증가할 것으로 예측

2. 운송 및 물류 산업은 아프리카 내 무역을 가속화하고 전반적인 투자 및 수출 활동을 증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이다. AfCFTA는 아프리카의 수입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중요 목표로 꼽았다. 이에 따라 AfCFTA의 시행으로 역내 교역이 증가하면서 역내 운송 및 물류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측

3. 모잠비크산 알루미늄이나 코트디부아르산 고무와 같은 현지 재료에 대한 관세 인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됨에 따라 AfCFTA를 통해 자동차 산업에서의 부가가치가 높아지며 관련 분야에서의 협력을 기대

4. 아프리카는 의약품 수요의 1%만을 자체 생산으로 충당하고 있으며, 2040년까지 아프리카 대륙에서 필요한 백신의 60%를 현지 생산화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현지 의약품 제조 시설의 부족과 턱 없이 부족한 의료 서비스, 인프라, 취약한 규제 시스템 등 아프리카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로 인해 자체적인 의료 생산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2023년 브라질 무역통계 분석-상파울루무역관 곽영서 2024-01-31
#브라질 #무역 #수출 #알타시아 #공급망 #무역
#요약
-2023년 브라질은 역사상 최대 수출액, 무역수지 흑자 기록
-원자재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감소함
-중국과의 교액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교역규모는 전년대비 감소함
-큰 내수시장, 글로벌 공급망 허브로서의 강점으로 인해 브라질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기업도 브라질과 협력을 강화해야 함

1. 역대 최대 수출액과 전년 대비 감소한 수입액으로 브라질은 2023년 무역수지 988억 39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는 2022년 614억 달러에 비해 약 37.8% 증가한 금액이며, 1989년 이후 역대 최대 흑자

2. 특히 브라질의 총 수출액 중 중국 비중은 2017년부터 매년 20%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3. 브라질의 주요 수입 대상국으로는 중국, 미국, 독일, 아르헨티나, 러시아

#시사점
1. 2023년 대한민국의 對브라질 수출액은 4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년대비 13% 감소한 수치

2. 한국과의 교역의 경우 브라질은 대한민국에 농산물, 광물, 에탄올, 육류, 펄프 등을 많이 수출하기에 공급망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다. 실제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이후 브라질 원자재 수입이 크게 증가하여 對브라질 무역수지가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

3. 브라질은 기존의 큰 내수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허브’로 부상하며, 많은 국가들이 브라질과의 협력을 강화
US24_3_주요_기관이_바라본_지정학과_무역의_상관관계_워싱턴20240130.pdf
503.5 KB
[미국-경제통상리포트(US24-03) 주요기관이 바라본 지정학과 무역의 상관관계-워싱턴무역관 2024-02-01

#미국 #중국 #러시아 #공급망 #석유 #에너지 #신냉전 #무역 #경제

◦ 지정학적 요인으로 분리된 경제 진영* 추구, 중도 개도국 편입 노력 지속

* 중국과 서부권 국가를 각각 중심으로 한 동부, 서부 경제 진영

- 동부 진영 내 무역 가치는 100%, 서부 진영 내 무역 가치는 40% 증가하나, 진영 간 무역 비중은 ’35년까지 70% 감소할 전망

- MGI는 현재 모델로는 세계 GDP가 ’35년까지 약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며, 더 큰 경제 규모를 보유한 서부 진영이 적은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

- 다만, 서부 진영 내에서도 무역 비중이 높은 일부 국가는 중국이 중도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을 늘리며 단기적인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
인도, 휴대폰 제조 부분품 수입관세 인하-뉴델리무역관 윤승현 2024-02-08
#인도 #제조 #스마트폰 #수출 #무역 #규제 #공급망 #투자
#요약
-인도 정부, 스마트폰 자국 내 생산 위한 글로벌 기업 유치 노력 지속
-인도 재무부, 2024년 1월 30일 휴대폰 제조 부분품 수입관세 인하 발표

*수입관세 인하 배경

1. 본 조치에 따라 휴대폰 제조에 사용되는 부분품에 대한 관세가 10%로 인하

2. 2023년 기준 인도(417억 달러)는 중국(1192억 달러), 미국(620억 달러)에 이어 세계 3위의 스마트폰 제조국이며 향후 5년간 연간 4% 이상의 고성장을 통해 2028년에는 연간 2억3500만 대의 스마트폰이 생산될 것으로 기대

#시사점
1. 인도 정부는 자국 내 제조업을 육성해 인도를 글로벌 제조 허브로 만들겠다는 “Make in India” 정책 기조에 따라 다양한 인센티브 및 규제정책을 시행

2. 인도 정부는 “Make in India” 정책 기조에 따라 자국 내 제조업 투자유치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최근 탈중국 움직임이 가속화됨에 따라 인도 내 제조기반을 유치하고 수입의존도가 높은 제품들의 인도 자국 내 생산을 유도하고자 수입제품에는 신규 규제를 부과하고 인도 제조제품에 대해서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

#같이보기
인도 카르나타카 주정부 외국기업 투자진출 여건-벵갈루루무역관 이윤진 2023-12-12
https://t.me/twozaga/7675

인도 동부 제조업 투자진출 가능 경제특구 현황 -콜카타무역관 박병국 2023-05-18
https://t.me/twozaga/4848

인도 오디샤주 투자진출 환경-뉴델리무역관 신기리시 2023-10-31
https://t.me/twozaga/7053

인도 북부지역 투자진출 동향-뉴델리무역관 한송옥 2023-09-22
https://t.me/twozaga/6657

인도 외국인 직접투자(FDI) 증가세 지속 -콜카타무역관 박병국 2023-04-21
https://t.me/twozaga/4416
그리스 해상운송의 현주소와 IMO 규제의 강화-아테네무역관 박혜윤 2024-02-08
#그리스 #유럽 #해운 #조선 #해양 #무역 #물류
#요약
-IMO, 2023년 감축목표 강화하기로 결정
-2023년부터 CII와 EEXI 지수 새로이 발효해
-CII 지수가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조선업계의 사전 대응 필요

1. 2050년 해운분야 탄소배출 감축목표를 기준 50%에서 100%로 상향조정하는 개정안을 통과하였다. 이 문서는 2030년까지 40%, 2040년까지 70%, 그리고 2050년 100%를 달성하는 단계적 목표치를 포함

2. 코로나 팬데믹 이전의 경제활동의 재개와 동시에, 유럽 등지가 러시아로부터 들여오던 오일 및 천연가스의 대체 거래선을 발굴하다 보니 석유의 해상을 통한 운송량은 6%, 천연가스는 4.6%가 증가 (홍해 사태 이전 데이터)

3. 전세계 선단이 노후화되며 해양오염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2023년 초, 선단의 평균 연령은 22.2년이었는데, 이는 10년 전의 평균연령에 비해 2년 노후화

#시사점
1. 그리스 해운은 EU의 경제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스 선박 수는 EU가 관리하는 선대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유럽 해운의 기본 축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벌크선, 유조선,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있어서는 EU 전체 선박의 약 70%정도를 소유

2. IMO 규제 강화에 대한 도전과 대응 전략: 탄소집약도를 저감시킬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이다. 2024년 중순에 IMO의 계획에 따라 CII의 발표가 있을 예정인데, 이러한 계획에 따라 CII E등급을 받은 선박의 선주는 C등급으로 개선을 위해 선박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운항을 포기하고 폐선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2024년 선복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문가들은 선복량 감소가 해상운임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견된다고 언급

#같이보기
전 세계 해운업 1위 그리스, 해운산업 동향 및 전망 -아테네무역관 박혜윤 2023-02-20
https://t.me/twozaga/3397

그리스, 홍해 해상물류 차질에 따른 영향 및 현지 반응-아테네무역관 박혜윤 2023-12-26
https://t.me/twozaga/7843
필리핀 괴상피부병(LSD) 발병국으로부터 수입 중단 행정명령 발표-마닐라무역관 김진형 2024-02-15
#필리핀 #아세안 #식품 #무역 #규제
#요약
-괴상피부병(LSD) 발병국 태국, 러시아, 한국, 리비아로부터 살아있는 소를 비롯한 부산물의 수입 중단
-행정명령 발효시점인 2024년 2월 1일부터 즉시 수입을 중단하며 규제 종료는 별도의 발표가 있기 전까지 유지

#시사점
1. 필리핀 축산업 관계자 C씨는 필리핀이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한 돼지고기 생산량 감소와 수입 확대로 필리핀의 식품 공급망 악화와 식품 인플레이션을 대처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은 전례가 있었음

2. 이번 괴상피부병과 같은 가축 전염병에 필리핀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사전 대비를 하고자 이러한 행정명령을 추진했으나 백신접종과 더불어 확산 위협이 감소한다면 수입 재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
WTO, 진통끝에 전자상거래 관세유에 2년 연장[뒷북경제] 240302 서울경제 유현욱
#WTO #무역 #신냉전

-미국 등 주요국이 자국 중심 보호주의 산업통상 정책을 추진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가 역할과 기능을 상실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 WTO 각료회의는 당초 예정한 2월 26~29일의 논의 일정을 넘기는 마라톤협상 끝에 전자상거래에 대한 관세 유예를 2년 연장하기로 잠정 합의했으나 또 다른 핵심 현안인 농업 및 수산업 보조금에 대한 합의는 끝내 무산됐습니다.
2024 중국 양회로 보는 중국 경제 6대 관전 포인트-베이징무역관 2024-03-04
#중국 #경제 #투자 #무역 #건설 #금융 #자동차
#요약
-경기둔화 심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성장률 목표치는 5% 내외 유지 전망
-투자·소비 부양보다는 전략 산업 육성에 초점 맞추고 내수중심의 회생 도모할 듯
-교역과 외자유치는 ‘안정’에 무게, 신흥시장 개척 및 수출경쟁력 강화에 총력 예상

1. 경제성장률 목표: 5% 수준 유지
2. 재정·통화정책: 기존 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비교적 완화 예상
3. 투자: ‘안정’을 강조하며 신SOC와 민생 인프라 투자에 무게
4. 산업정책: 전략산업 육성에 초점
5. 소비진작 정책: 신에너지차·서비스 소비진작에 주력
6. 교역·외자정책: 수출경쟁력 강화 및 수출고도화에 주력

#시사점
1. 대대적인 부양보다는 정책 효과를 강조한 내용이 2024년 정부업무보고에 담길 것으로 전망
2. 단기적인 경기 상황보다는 구조 전환, 중장기적 성장을 강조할 것

#같이보기
다극화된 새로운 국제질서 출현과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전략의 확대 231104 정재흥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
https://t.me/twozaga/7102

2023 양회(兩會)를 통해 본 중국의 외교·안보 전망과 한·중 관계-표나리 아시아태평양연구부 조교수 발행일 2023-04-13
https://t.me/twozaga/4272

중국 정부 관계자에게 듣는 2024년 베이징시 경제정책-베이징무역관 2024-01-19
https://t.me/twozaga/8143

전문가에게 듣는 2024년 글로벌·중국 경제전망과 통상환경의 변화-베이징무역관 2023-12-18
https://t.me/twozaga/7742
美, 2023년 무역적자 감소 폭 2009년 이후 최고 기록-워싱턴무역관 이지연 2024-03-11
#미국 #무역 #물류 #공급망 #멕시코 #신냉전
#요약
-2023년 미국 최대 수입국은 중국에서 멕시코로 전환
-中, 멕시코를 통한 대미 우회수출이 영향을 미쳐

*미국 상무부는 '23년 미국의 무역 수지 적자 폭이 총 7,734억 달러로 전년 9,512억 달러에 비해 18.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수출이 350억 달러로 전년대비 1.2% 증가하고 수입이 1427억 달러로 3.6% 감소한 것이 무역적자 폭 감소에 기여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에서 적자폭이 2,794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26.9%(1029억 달러) 급감했다. 멕시코와의 적자폭은 1,524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219억 달러가 늘어 역대 최대 적자폭을 기록

1. ▲산업용 원자재(-12%) ▲식음료(-1%)의 수출은 감소한 반면 ▲자본재(+5%) ▲자동차·부품(+12%) ▲소비재(+6%)의 수출은 증가했고, ▲산업용원자재(-16%) ▲소비재(-0.7%)의 수입은 감소했으나 자동차·부품(+15%)의 수입은 증가

2. 산업용 원자재의 경우 수요 위축에 따른 천연가스 수출 감소, 국내 석유·천연가스 생산증대에 따른 원유 수입 감소로 수출(-12%)과 수입(-16%) 모두 크게 감소

3. 소비재의 수입은 7,609억 달러로 ’20년 6,396억 달러 이후 최소치

4. 자동차·부품은 수출 1,790억 달러, 수입 4,584억 달러로 모두 크게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첨단기술 제품 분야의 무역수지는 2,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 감소한 수치

5. 수출은 7% 증가한 4,182억 달러였고, 수입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인 6,371억 달러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무기 ▲바이오테크 ▲항공우주 등 순으로 수출이 증가했고 ▲바이오테크 ▲핵기술 ▲광학전자 ▲항공우주 분야를 중심으로 수입이 확대

#시사점
1. 중국과의 교역이 크게 감소했다. 수출액 4% 감소와 수입액 20% 감소로 대중 무역적자는 27% 감소하였는데 이는 ‘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2. 멕시코가 중국을 제치고 최대 수입국이 되었다. USMCA가 발효된 2020년 이후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여왔던 對멕시코 수입액은 올해 4.6% 증가한 4,756억 달러로 더욱 확대되어 對중국 수입액 4,272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로써 미국의 對멕시코 무역적자는 1,524억 달러로 사상 최고를 기록

#같이보기
[미국-경제통상리포트(US24-03) 주요기관이 바라본 지정학과 무역의 상관관계-워싱턴무역관 2024-02-01
https://t.me/twozaga/8275

한미 경협의 새로운 가능성? 코트라 워싱턴 무역관이 알려주는 CLEAN EDGE ASIA 프로그램!-워싱턴무역관 장석일 2023-09-19
https://t.me/twozaga/6543
2023년 한-캐나다 무역 분석 및 2024년 전망-토론토무역관 유혜리 2024-03-29
#캐나다 #에너지 #원자재 #공급망 #수출 #무역 #배터리 #식품
#요약
-2023 한-캐 교역액, 전년 대비 10.68% 감소한 146억2912만 달러
-2024년 한국의 저캐나다 수출 소폭 증가 전망

1. 2023년 한국의 대캐나다 10대 주요 수출 품목 중 6개 품목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그중 원유를 제외한 석유와 역청유 품목에서 107.9%의 가장 높은 수출액 증가가 있었고 그 뒤로는 은(+104.1%), 승용차(+43.9%), 비합금 평판압연제품(+31.7%), 드라이클리닝 기계(+16.4%), 액체펌프(+14.7%) 등의 품목에서 수출이 증가

2. 합금강관(-52.3%), 평판압연제품(-49.6%), 냉장고(-12.7%), 자동차 부품(-6.9%) 등 4개 품목에서는 수출이 감소

3. 칼륨비료(-49.3%), 니켈 덩어리(-35.8%), 유연탄(-32.4%), 화학 목재펄프(-32.0%), 철광(-28.4%), 의약품(-28.1%), 석유가스(-25.9%), 목재펄프(-17.4%), 동광(-15.1%) 등 9개 품목에서는 수입이 감소

#시사점
2024년은 과거 몇 년 동안의 경제 저성장으로부터 극복하는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최근 몇 년간 자동차 배터리 및 부품제조 관련 한국기업의 캐나다 시장에 대한 관심도와 진출 사례가 늘면서 이에 따른 기계설비·장치들의 수출로 이어져 2024년에는 양국의 더욱 활발한 경제 교류와 협력이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