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7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친환경 공법 기반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한국의류섬유재활용협회와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9일 밝혔다.코오롱인더가 개발 중인 폴리에스터(PET) 재생기술은 기존 열처리를 통한 기계 공정보다 에너지 소모량은 33%,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38% 이상 줄일 수 있다.회사의 PET 재생기술은 재활용 원료 종류나 오염도와 상관없이 초고순도 PET 원료 수준까지 분해해 재생한 PET를 어떤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코오롱인더는 이번 협약으로 한국의류섬유재활용협회의 폐의류·폐섬유 관리 네트워크로 재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EukH1I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소프트웨어 서비스 기업 티에토가 ST 솔루션인 '텔레매코3P'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중앙제어장치(CCU: Central Control-Unit) 소프트웨어 개발을 협력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차량전자화와 커넥티비티 요구가 높아지면서 커넥티비티,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보안, OTA(Over-The-Air) 업데이트 요건을 충족하는 CCU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ST 텔레매코3P 자동차용 시스템온칩(SoC)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내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PU)이다. 이 모듈을 사용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PAHn6F
자일링스가 바이두 프로덕션-레디 ACU(Apollo Computing Unit) 플랫폼에 자동차 등급 징크 울트라스케일+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온칩(MPSoC)이 채택됐다고 19일 밝혔다. ACU는 바이두에서 만든 자율 주행을 위한 차량 내 플랫폼이다. 자동 주차(AVP) 기능을 위해 설계됐다. 그래픽처리장치(GPU) 대신 징크 울트라스케일+ MPSoC인 'XAZU5EV'를 적용했다. 이 플랫폼은 바이두의 딥러닝 프레임워크인 '패들패들'과 호환된다. 5대 카메라와 12개 초음파 레이더를 갖췄다. -40℃ ~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5CRGwS
온세미컨덕터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0'에서 스마트 홈, 커넥티드 빌딩, 개인용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선보인다고 19일 밝혔다.온세미컨덕터는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UI)를 지원하는 'LC823455'를 사용해 데모를 선보인다. 블루투스 스트레오 스피커로 터치 센서 기반 볼륨 컨트롤과 음성 명령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시연한다. 커넥티드 조명 솔루션에서는 'RSL10 시스템인패키지(SIP)' 기반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통신과 고전력 유선 통신용 파워 오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PzWf5i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10 5G 아우라 화이트(Aura White) 색상을 다음달 3일 출시한다. 20일부터 31일까지 삼성전자 홈페이지와 네이버에서 사전판매한다.갤럭시노트10 5G 아우라 화이트는 순백의 눈을 표현했다. 빛에 따라 은은한 광택을 내는 후면 글래스를 적용했다. 갤럭시노트10 5G는 기존 아우라 글로우, 아우라 블랙, 아우라 핑크 색상에 아우라 화이트를 추가해 총 4개 색상 라인업을 완성했다.아우라 화이트 모델은 이동통신 3사와 자급제 제품으로 출시된다. 삼성전자 홈페이지, 전국 디지털프라자, 이동통신사 매장, 하이마트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MaZdLu
12월 20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도시바 회장 "호야 반도체 장비 사업 인수는 불가능"(東芝会長、HOYAによる子会社買収提案「応じない」) | 니혼게이자이얼마전 호야가 도시바의 반도체 장비 자회사(뉴플레어)를 TOB 방식으로 M&A 하겠다고 밝혔죠. 이에 대해 구마타니 노부아키 도시바 회장은 호야의 제안에 응할 생각이 없다고 공개적으로 말했습니다. 결국 서로 지분싸움을 해야 하는 상황인데, 호야가 도시바보다 훨씬 자금 상황이 좋습니다. 재미있게도 캐스팅보트는 뉴플레어의 지분 16%를 가지고 있는 도시바기계입니다. 모기업인 도시바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4B7Q8J
12월 20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브로드컴, RF 반도체 사업 매각 검토...100억달러 예상(Broadcom Looks to Sell Unit That Could Fetch $10 Billion) | WSJ브로드컴이 무선주파수(RF) 반도체 사업부를 100억달러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크레딧 스위스가 RF 반도체 사업부 인수자를 찾고 있습니다. RF 반도체는 스마트폰이 신호를 명확히 하는 데 필요한 필터 제작에 사용됩니다. 반도체 기업에서 소프트웨어 업체로 탈바꿈하려는 움직임을 확대하고 있다고 WSJ은 평가했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YhUvG
텔레칩스는 자사 차량용 반도체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TCC803x'(돌핀+)가 차량 시스템 안전기준인 ASIL-B 인증을 취득했다고 20일 밝혔다.돌핀+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클러스터, 콕핏 시스템에 사용되는 14나노 시스템온칩(SoC)이다.국내외 자동차 회사들이 요구하는 기능안전을 만족하는 자동차용 반도체를 개발·공급할 수 있게 됐다. 유럽 대형 자동차 회사들에 납품하기 위해선 필수적인 인증이다. 자동차 기능 안전성 국제 표준 ISO 26262는 최근에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 사용되는 반도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Ezy4Oc
SK하이닉스가 환경부로부터 10나노급 LPDDR4 D램 제품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이 인증은 원료채취, 제조, 사용, 폐기 등 제품 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한다. 소비자가 친환경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이번에 인증 받은 제품은 전 과정에서 기존 20나노급 제품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6% 줄어들었다.SK하이닉스는 작년 말, 친환경 반도체 생산공장을 표방해 '2022 ECO비전'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2022년까지 온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4EoKTT
삼성전자가 1기가비트(Gb) 대용량 임베디드 M램(eM램)을 개발했다. 기존에 사용되던 임베디드 플래시메모리(e플래시)를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일본 IT 전문매체 와치임프레스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IEDM 2019' 학회에서 이 같은 성과를 알렸다. 기술은 28나노 완전공핍형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FD-SOI) 공정을 활용했다. 8메가비트(Mb) M램 128개를 한 다이에 밀집시켰다. 올해 3월 양산을 시작한 8Mb eM램보다 128배 큰 용량이다. 테스트칩 수율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88sA1
중국 화친(Huaqin, 华勤)이 생산자개발생산(ODM) 방식으로 만든 첫 번째 삼성 스마트폰이 공개됐다. 10만원대 제품이다.삼성전자는 화친을 통해 ODM 생산한 스마트폰 갤럭시A01을 지난 18일 공개했다. 갤럭시A01은 2018년형 보급형 퀄컴 스냅드래곤439, 2GB 램 등을 적용했다. 안드로이드 9.0에서 구동하고 무게는 168g이다. 화친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마친 제품이다.삼성전자 공식 모바일 프레스에 따르면 갤럭시A01은 5.7인치 인피니티-V 디스플레이, 후면 1300만·200만 화소 듀얼 카메라, 전면 500만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YCxbn
천보가 배터리 핵심소재 가운데 하나인 전해질을 일본 센트럴글라스에 공급했다. 센트럴글라스도 배터리 전해질을 만든다. 일부 제품은 천보와 경쟁함에도 계약을 맺었다.20일 천보는 센트럴글라스의 국내 법인인 한국센트럴글라스와 862만달러(약 100억원) 규모의 배터리 전해질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4월부터 오는 2022년 3월까지 진행된다. 규모는 최소 물량 기준이다. 향후 배터리 시장 확대에 따라 공급량이 더 늘어날 수 있다.구체적으로 어떤 제품이 대상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천보와 센트럴글라스는 리튬 디플루오로 옥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4R3Wsx
빠르고 가벼운 스타트업이 세상을 바꾸고 있습니다. 반짝이는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전자부품과 디바이스가 우리 삶을 바꿉니다. 한 주간 세계 각지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전자부품 분야 스타트업과 투자 정보를 정리해 전해 드립니다. 자율주행차의 눈 4D 레이더 센서...이스라엘이 만들고 한국이 투자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4D 이미지 레이더 센서를 만드는 이스라엘 스타트업 알베이가 3200만달러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4D 이미지 레이더란 거리와 높이, 깊이, 속도 등 4가지 요소를 분석해 주변 환경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aj3zQ
12월 23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D램 업체, 2020년을 위한 시행착오(DRAM各社、「20年回復」に向け試行錯誤) | 리모 라이프&머니D램 업황에 대한 분석입니다. 각 업체들의 시행착오가 이어지고 있다네요. 감산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른 심리전 양상도 엿보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수요 자체가 늘어나는 것이지요. 그러나 D램 수요 자체가 본격적인 회복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가장 큰 고객인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효율적인 시설투자 전략을 펼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상황을 종합하면 2020년 반등이 분명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paXhg
디일렉은 국내 업계 종사자가 놓치지 말아야 할 중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분야 소식을 정리해 매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 거리전기 회장 "중국산 반도체, 자국 시장 대신 해외 개척해야" ◎ 저장성 첫 3세대 반도체 재료 프로젝트 투자 계약 ◎ 중국, ArF 포토레지스트 개발에 속도 ◎ 즈광화즈, 충칭 양지앙신구에 공장 착공◎ 난징, 중국산 RF 칩 프로젝트 시작◎ UMC, 주문량 폭발 내년 상반기까지 풀가동 << 디스플레이 >>◎ 광저우시, 신형 디스플레이 산업 지원 방안 발표◎ 대만 이노룩스, 중국 HKC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fRapU
전자부품기업 드림텍이 카메라 모듈 기업 나무가를 인수했다. 드림텍은 나무가 인수로 카메라 모듈 및 3D ToF(Time of Flight) 사업에 진출한다드림텍은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공시를 통해 나무가 최대주주인 서정화 대표의 경영권 지분을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거래 지분은 서 대표가 보유한 주식 84만5000주(24.6%) 중 74만2620주(21.6%)다. 매매 금액은 주당 5만2414원이다. 총 매매 대금은 약 389억 원이다. 계약 후 드림텍은 나무가의 단일 최대주주가 된다.아울러 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MB1NLh
12월 23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애플 에어팟, 내년 150억달러 매출 올릴지도"...올해 60억달러(AirPods were a $6 billion business for Apple this year and will be even bigger next year, top analyst says) | CNBC애플의 무선이어폰 에어팟 매출이 올해 60억달러, 내년 150억달러를 기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투자은행 번스타인의 연구원 토니 사코나기의 추정치입니다. 그는 애플이 내년에 에어팟을 8500만대 팔 수 있다고 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rjq2Ga
<�자막 원문>한: 안녕하십니까. 디일렉의 한주엽 기자입니다. 오늘 이종준 기자 모시고 LCD 산업에 대해서 한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이: 안녕하세요.한: 너무 댓글에 상처받지 마세요. 우리가 항상 말이 좀 느려도 텍스트를 보면 얼마나 똑똑한지 잘 아니까.이: 댓글에 상처받기보다는. 댓글이 좀 달렸는데 실제로 편집이 돼서 더 잘 나온 거고요. 실제로는 더.. 편집에 더 심혈을 기울여서.한: 편집을 더 잘해달라는 얘기입니까? 근데 이런 기사는 아무나 못쓰는 거죠. 뭘 얘기를 할 거냐면 오늘 날짜가 12월 20일인데 엊그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EJV4dl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코윈디에스티가 올해 중국에서 현지 합작법인 이름으로 대부분 장비 낙찰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코윈디에스티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으로 선정됐다. 강소기업에는 5년간 최대 182억원이 지원된다.코윈디에스티는 20일 중국 디스플레이업체 HKC로부터 편광판 레이저 커팅 장비를 낙찰받았다. 지난해 말 중국 현지 합작법인 설립이후 중국 입찰정보사이트 차이나비딩(chinabidding)으로 확인되는 첫 국내법인 장비낙찰이다. 현재 코윈디에스티가 중국 디스플레이업체로부터 받은 올해 장비 낙찰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MmVV7Z
LG이노텍이 발광다이오드(LED) 사업 정리 수순을 밟고 있다. 일부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LED 사업은 내년 2분기까지 철수할 것으로 보인다.23일 복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LG이노텍은 지난 10월 LED 사업 구조조정을 결정하고 구체 행동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한 관계자는 "LG이노텍이 지난 10월 전국 주요 대리점에 LED 칩과 패키지 사업을 중단한다는 공문을 발송했다"며 "대리점별 공문은 취급 품목에 따라 다르지만 LG이노텍은 내년 2분기까지 LED 칩과 패키지 사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이어 "1월 30일로 예정된 칩과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pGq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