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6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리튬이온배터리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개발됐다.26일 전자재료 전문 기업 엘피엔(LPN)은 배터리 용량과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나노 실리콘 기반의 고용량 음극재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내외 주요 기업에 공급하기 위한 테스트 과정을 거치는 중이다. 기존 실리콘계 음극재보다 더 높은 용량과 효율을 검증받았다. 가공시 버려지는 천연흑연을 음극재 원료로 재활용하는 기술도 확보했다. 포스코케미칼에 이어 국내 두 번째로 천연·인조흑연을 모두 생산할 수 있게 됐다.음극재는 양극에서 발생한 리튬이온을 받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zmaXrB
SK이노베이션이 환경부와 친환경 사업을 펼친다.26일 SK이노베이션과 환경부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단법인 신나는조합과 함께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기술과 제품을 가진 소셜벤처·사회적경제 기업을 발굴하는 '환경분야 소셜 비즈니스 발굴 공모전'을 다음달 10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이번 공모전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가진 소셜벤처, 사회적경제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해, 환경문제를 개선하기위해 마련됐다. 공모 대상은 환경문제를 해결할 기술, 제품, 서비스 등을 가지고 있거나 사업화 가능한 사업 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gqpcMo
코스모신소재가 SK텔레콤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코스모신소재 충주 공장 내 태양광발전설비인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다. 전기를 생산해 신재생에너지공급방식인 RPS 방식으로 한국전력이나 자회사에 판매한다. 공사는 10월 완료하고 11월부터 본격적인 사업활동을 진행한다. 구축되는 설비 용량은 2.7메가와트(MW)다.20년이상 안정적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고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환경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발전과 연계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해 수익을 높이는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M1h1IK
LG화학이 환경·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사업은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기존 사업도 환경·안전 문제가 있으면 철수까지 고려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잇따라 발생한 사고의 후속 조치다.26일 LG화학은 환경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전 세계 40개 모든 사업장(국내 17개, 해외 23개)을 대상으로 6월 말까지 한달간 고위험 공정 및 설비에 대해 우선적으로 긴급 진단에 착수한다. 긴급 진단에서 나온 개선사항은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한다. 만약 단기간에 조치가 어려운 공정, 설비에 대해서는 해결될 때까지 가동을 잠정 중단한다는 방침이다.사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ggLgcm
<�자막원문>한: 오늘 이기종 기자 모시고 삼성전자와 BOE 얘기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이: 안녕하세요.한: 중국 BOE. 이 회사는 뿌리를 원래 한국에 두고 있는 예전에 하이디스를 인수해서 기술을 다 습득하고. 굉장히 많이 치고 올라온 중국 최대의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인데. OLED는 사실 격차가 좀 있을 거라고 얘기를 했었거든요.이: 네. 맞습니다.한: 근데 약간 쇼킹한 얘기이긴 한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가 BOE에 견적의뢰서를 보냈다고 해요.이: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서 내년 갤럭시S시리즈에 들어가는 패널용 견적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c9DCgU
SKC가 26일 서울 종로 본사에서 신소재 기술 공모전 'SKC 스타트업 플러스' 3기 워크숍을 개최했다. SKC 스타트업 플러스는 유망기술 기업을 선발해 유무형 자원으로 사업화를 돕는 프로그램이다.SKC 스타트업 플러스 선발 기업도 지난해 10곳에서 올해 16곳으로 늘었다. 사업 분야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 친환경 소재, 디스플레이 소재 등이다. 이들 기업은 SKC 등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 참여기관 15곳에게서 유무형 인프라를 제공받는다.이날 SKC는 선발 기업에 사업화 지원금 총 1억6000만원을 전달하고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eokWv1
SK텔레콤이 한국오므론제어기기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방역로봇'을 올해 하반기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코로나19 방역로봇은 이날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스프레이·UV램프 방역에 투입됐다. 출입객 체온 검사, 손소독제 제공,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권유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 관련 활동도 시작했다.코로나19방역로봇에는 5G, AI 등 첨단 ICT 기술과 로봇 자율주행, IoT 센싱 등 공장 자동화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5G 네트워크를 이용해 서버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로봇이 측정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ekJnJX
삼성전자 장비 자회사 세메스의 실적 그래프가 ‘V’자형으로 반등하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투자가 재개되고 있다는 의미다. 세메스 실적 반등으로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와 거래하는 다른 협력사 역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세메스는 1분기 매출 5363억원, 영업이익 80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 지표는 흑자 전환했다. 작년 1분기 세메스는 317억원 적자를 냈었다.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사업장, 중국 시안 사업장 장비 공급건이 1분기 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tEyY6
5월 27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파나소닉, 반도체 사업 매각 3개월 연기(パナソニック、半導体事業売却を3カ月延期 コロナ影響で) | 니혼게이자이당초 6월 1일 매각할 예정이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9월 1일로 3개월 미뤘습니다. 매각 일정만 늦어졌고 나머지 부분은 차질이 없다네요. 파나소닉 반도체 사업은 지난해 11월 대만 누보톤에 매각된다고 알려졌죠. 매각 비용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누보톤은 MCU와 관련 파운드리 사업을 하는 기업입니다. 윈본드가 대주주입니다.소니, 올해 이미지센서 사업은 '흐림'(ソニー、20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6zplc3
5월 27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인피니언, 10억유로 자금조달(German chipmaker Infineon raises 1.06 billion euros with capital increase) | 로이터독일 인피니언이 10억6000만유로(11억6000만달러)를 신주 발행으로 조달했습니다. 미국 사이프레스 인수(100억달러)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26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인피니언은 이달 초 코로나19 영향으로 이번 회계연도(9월까지) 매출이 5%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당초 목표는 5% 상승이었습니다.화웨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A7IwO6
LG전자는 가정용 미용 제품 'LG 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가 공공 시험인증기관 안전성 규격 시험을 통과했다고 27일 밝혔다.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모델명:BWL1)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시험원 K마크 규격 시험을 통과했다. K마크는 성능, 안전, 전자파 등 공산품 품질을 보증한다. 국내 판매 중인 발광다이오드(LED) 마스크 중 처음으로 K마크 시험을 통과했다.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는 이번 시험에서 △전기·기계 안전성과 외장 상한온도 기준 △전자파 안전성 △피부·안구 안전성 확보를 위한 광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5HQ4U
퀄컴이 통신사들과 협업해 내년 확장현실(XR) 뷰어를 출시한다고 27일 밝혔다.퀄컴은 26일(현지시각) 미국에서 열린 증강현실(AR) 엑스포 'AWE(Augmented World Expo)'에서 글로벌 통신사, 스마트폰 제조사, XR 뷰어 제조사 등과 협력해서 만든 XR 뷰어를 소개했다. XR은 가상현실(VR)과 AR, 혼합현실(MR)을 포괄하는 용어다.XR 뷰어는 퀄컴 스냅드래곤 855나 865 칩셋이 탑재된 5G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경량 헤드셋 디바이스 형태다. 국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를 비롯해 해외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6zZvos
ARM이 차세대 모바일 솔루션 4종을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신제품은 중앙처리장치(CPU 코어텍스(Cortex) A78, 그래픽처리장치(GPU) 말리(Mali) G78, 신경망처리장치(NPU) 에토스(Ethos) N78와 코어텍스-X 커스텀 프로그램 등이다.코어텍스 A78은 전작 코어텍스 A77 대비 1와트(W)당 20% 높은 유지성능(Sustained Performance)을 제공한다. 컴퓨팅 워크로드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더 높은 온디바이스(On-Device) 머신러닝 성능을 낼 수 있다.코어텍스-X 커스텀 프로그램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gsB8NW
폴더블폰 중 제품을 위아래로 여닫는 클램셸 형태가 가장 많이 판매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시장조사업체 DSCC에 따르면 클램셸 형태 폴더블폰 패널 출하량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1위를 이어갈 전망이다.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과 모토로라 레이저가 클램셸 폴더블폰이다.DSCC 전망을 보면 클램셸 폴더블폰 패널은 올해 300만개 출하되고 2023년까지 전년비 두 배 내외 성장세를 이어간다. 2023년에는 출하량이 전년비 1100만개(84%) 급증하면서 매출도 57% 확대된다. 클램셸 패널 성장세는 인폴딩 패널 출하량이 급증하는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6ptfO
중국 주요 소재 업체들이 전기차(EV) 배터리 프리커서(전구체) 증설에 나섰다. 전구체는 배터리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양극재 생산을 위한 원료 가운데 하나다. 국내 양극재 업체 물량을 뒷받침하기 위한 투자로 풀이된다.2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코발트 업체인 화유코발트는 62억5000만위안(약 1조1000억원)을 배터리 핵심소재인 니켈과 전구체 사업에 투자하기로 했다. 연산 10만톤의 니켈, 전구체 생산 라인을 마련한다. 이 가운데 전구체는 NCM8×(니켈 비중 80% 이상)이 연산 2만5000톤, NCM9×(니켈 비중 90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6wTSHi
<�자막원문>한: 안녕하십니까. 디일렉 한주엽입니다. 오늘 이종준 기자 모시고 통신 부품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신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이거든요. 안녕하십니까.이: 안녕하세요.한: 통신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 맞습니까? 광트랜시버.이: 그렇죠. 맞습니다.한: 뭘 하는 부품인가요?이: 우리가 통신을 할 때 무선통신도 있고 유선통신도 있는데. 보통 유선통신은 광(光)을 쓰게 되고.한: 빛으로.이: 그렇습니다. 선에서 광(光)을 쏴서 통신을 한다고 그래서 그걸 꽂게 되면 데이터 처리라든지 통신 장비가 하게 되는데. 이쪽에 전기적 데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zEtSz
통신부품업체 에이스테크놀로지의 주가는 350억원 상당 전환사채를 발행 다음날인 27일 종가기준 0.91% 상승했다. 에이스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이날 "전환사채 발행은 지분 희석 가능성 때문에 통상 주주에게는 악재지만, 시장에서 좋게 반응했다"며 "성장 가능성에 중점을 둔 것 같다"고 말했다. 에이스테크놀로지는 지난 22일 전환사채발행을 결의 나흘뒤인 26일 350억원 무이자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350억원 가운데 258억원을 채무상환자금으로 쓰고 나머지 92억원을 운영자금에 사용할 계획이다. 에이스테크놀로지 주가는 22일 5.45%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G57Ic
로옴 그룹 라피스 세미컨덕터가 차량용 음성 합성 LSI 'ML2253x 시리즈'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신제품은 통신 인터페이스, 로직, 메모리, 앰프를 모두 내장해 메인 마이컴에 의존하지 않는 음성 출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에 소프트웨어 설계 공수를 삭감할 수 있어 오토모티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채용이 추진되고 있다.'ML2253x 시리즈'는 메인 마이컴에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재생음 이상 검출 기능을 탑재했다. 이에 따라 음 끊김 등 재생음 이상을 검출할 수 있어 자동차 음성 출력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eoNeFM
소니 이미지센서 사업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6일 일본 외신에 따르면 올해 소니 이미지센서 사업 매출은 작년 수준(우리돈 약 12조3000억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스마트폰 출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소니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회계연도(2020년 4월~2021년 3월) 전망치를 내놓지 않는다고 밝혔다.지난 1분기 말 기준 소니의 이미지센서 월 생산능력(300mm 웨이퍼 환산 투입 기준)은 12만3000장으로 풀 가동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영향 조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yFeTmQ
삼성전자는 글로벌 e스포츠 기업 'SK텔레콤CS T1(T1)'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7일 밝혔다.T1은 SK텔레콤과 미국 컴캐스트가 2019년 합작 설립한 e스포츠 기업이다. 리그오브레전드(LoL)와 배틀그라운드 등 10개 e스포츠 팀을 운영하고 있다.삼성전자는 T1의 e스포츠 선수에게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Odyssey) G9과 G7을 제공한다. 오디세이 G9(49형)과 G7(32·27형)은 △G2G 기준 1ms 응답속도 △240Hz 주사율 △아이 컴포트(Eye Comfort) 인증 △세계 최고 곡률 1000R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elKu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