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7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KT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 현실(AR:Augmented Reality) 기술로 원거리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 솔루션 '기지국 트윈(Twin)'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국내 중소기업 버넥트(VIRNECT)와 협업했다.지상에서 스마트폰으로 건물 옥상 기지국 사진을 찍는게 기지국 트윈의 첫 단계다. 이후 사진과 스마트폰내 관성 측정 센서(IMU) 데이터 등을 인터넷 '포즈 추정(Pose Estimation) 서버'로 전송한다. 포즈 측정 서버의 분석결과 기지국 안테나의 경사각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3rRQqD
삼성SDI가 전기차(EV) 배터리 핵심소재인 프리커서(전구체) 사업을 코스모신소재에 매각했다. 양극재 자회사인 에스티엠(STM)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업계에 따르면 삼성SDI 자회사 에스티엠은 지난 2월 코스모신소재에 연산 2400톤 규모의 전구체 생산라인을 매각한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양사 논의는 작년부터 진행됐다. 에스티엠은 울산사업장의 유휴 설비 매각을 통한 양극재 사업 집중, 코스모신소재는 전기차 배터리 사업 진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 매각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수십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IVmEqj
LG그룹 계열 팹리스 반도체 기업 실리콘웍스가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시장에 첫 진출한다. 그간 실리콘웍스는 MCU 같은 ‘디지털 반도체’ 제품군은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시장 진출을 계기로 MCU를 회사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전략을 세웠다.19일 업계에 따르면 실리콘웍스는 지난해 개발 완료한 ARM 코어텍스 M3 코어 기반 MCU를 올해 상용화한다. 칩 생산은 대만 TSMC가 맡았다. 실리콘웍스의 MCU 영업 대상은 LG전자에서 가전 사업을 맡는 홈어플라이언스(HA) 사업본부다. LG전자 HA사업본부는 냉장고,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MfTEJ
전자부품 유통 전문업체 마우저일렉트로닉스는 19일 연결 및 센서 전문업체인 TE커넥티비티의 루마와이즈 인듀런스 S(LUMAWISE Endurance S) 커넥터 장치를 공급한다고 밝혔다.센서와 기타 제어 시스템용으로 설계된 제품이다. 키 입력 방식으로 도로 및 구역 조명, 철도 조명, 상용 야외 조명, 도시 관리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표준 인터페이스의 멀티 키 조합을 제공한다. 40mm 및 80mm 중앙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동일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갖춰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자가 북 18(Zhaga Book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ZKxr5
<�자막원문>한: 이수환 차장하고 실리콘웍스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이: 안녕하세요. 이수환입니다.한: 실리콘웍스 뭐 하는 회사인지 압니까?이: DDI(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로 많이 알려져 있고 LG와 굉장히 밀접한.한: “밀접한”이 아니고 LG 계열사잖아요.이: 그렇죠. 과거의 LG 출신들이 만들어서 다시 LG로 들어간 여러 가지 히스토리를 안고 있는 회사죠.한: 팹리스 회사이기도 하고 국내 대기업집단에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국내 업체들 중에서는, 국내 팹리스 중에서는 가장.이: 가장 크죠.한: 매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b9Sn2R
3월 20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하마마츠, 한국에 반도체 장비 판매 법인 설립(浜ホト、韓国に現法設立 半導体向け拡販) | 하마마츠 공식 뉴스룸하마마츠포토닉스가 계측 기기 판매를 위한 법인을 한국에 설립했습니다. 기존에는 지사가 아닌 대리점 형태로 있었는데, 이 대리점 지분의 55%를 인수했습니다. 약 5억엔 정도라네요. 자본금은 1000만엔이고요. AI와 5G에 대한 반도체 수요로 한국 내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목표입니다. 화상 계측 장비 연간 매출은 약 10억엔이고 4년후 한국 법인 매출 목표는 20억엔으로 잡았습니다. 입주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3Br0MS
3월 20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넥스페리아, 말레이시아·필리핀 패키징 테스트 공장 가동 중단(Nexperia temporarily closes two packaging test plants due to city lockdown in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 세미미디어중국 윙텍이 인수한 표준형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가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의 국경 봉쇄로 현지 패키징 테스트 공장 두 곳을 일시 폐쇄합니다. 코로나19 영향입니다. 공장은 말레이시아의 세렘반, 필리핀의 카보야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ah4yv3
3월 20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넥스페리아, 말레이시아·필리핀 패키징 테스트 공장 가동 중단(Nexperia temporarily closes two packaging test plants due to city lockdown in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 세미미디어중국 윙텍이 인수한 표준형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가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의 국경 봉쇄로 현지 패키징 테스트 공장 두 곳을 일시 폐쇄합니다. 코로나19 영향입니다. 공장은 말레이시아의 세렘반, 필리핀의 카보야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ah4yv3
이석희 SK하이닉스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수요 공급 환경이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 "시황 개선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이 대표는 20일 오전 경기도 이천 본사에서 열린 제7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회사는 올해 시황이 완만하게나마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SK하이닉스는 구성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추구할 것"이라면서 "끊임없이 원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자산효율화를 극대화해 불확실성에 대비할 수 있는 체력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nCW0d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이 정기 주주총회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경쟁력 강화 중점 과제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정호영 사장은 20일 경기 파주사업장에서 열린 제35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 서한을 통해 "대외 여건 불확실성과 산업 내 치열한 경쟁에서도 OLED 중심 핵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점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영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며 "사업 운영의 핵심 리스크 외에 새로운 기회요인까지 종합 고려해 체계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그는 "코로나19 확산 초기 우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98hwto
LG유플러스는 20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결제사업 매각을 위한 분할계획서를 승인했다. 작년 12월20일 이사회에서 결의했던 사항이다. 전자결제·밴(VAN:Value Added Network)·자금관리 등 사업을 분할·신설한 법인의 주식 전량을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의 운영업체 비바리퍼블리카에 팔 계획이다. 매각대금은 3650억원이다.LG유플러스의 지난해 매출 12조3819억원에서 결제사업 비중은 2.9%(3590억원)를 차지했다. △가맹점에 결제기관 통합 결제와 정산을 제공하는 서비스(전자결제) △신용카드 승인과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l3oHT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성과 중심의 연구·개발(R&D)과 특허,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조했다. 수평적이고 역동적인 조직문화를 갖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인력유출과 이에 따른 기술 유출 소송으로 갈등을 빚은 SK이노베이션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20일 LG화학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제19기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권영수 ㈜LG 부회장의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을 비롯한 4개 안건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주총은 감사와 영업보고 등을 거쳐 30분 만에 끝났다.신 부회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등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a4M0hb
한국화웨이가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와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10만장씩 모두 20만장의 마스크를 기부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화웨이가 기부한 마스크를 전국 장애인시설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는 대구광역시 교육청에 전달했다고 한다.화웨이는 이달 6일에도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와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에 각각 1억원씩 모두 2억원을 기부한바 있다. 멍 샤오윈 한국화웨이 CEO는 "(앞서) 기부를 했지만 마스크 확보가 어렵다는 얘기를 듣고 감염 예방에 취약한 장애인들과 학교의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WuUfzq
드림텍이 삼성전자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에 정전식 지문인식센서 모듈을 단독 공급했다고 20일 밝혔다.갤럭시Z플립 오른쪽 측면에 있는 지문인식 모듈이 드림텍 제품이다. 드림텍은 지난해 삼성전자 갤럭시폴드에도 정전식 지문인식 모듈을 단독 납품했다. 드림텍은 2016년 업계 최초로 삼성전자에 스마트폰 지문인식 모듈을 공급했다.지난해에는 카메라 모듈 업체 나무가를 인수했다. 드림텍은 나무가 인수로 파트론과 엠씨넥스 등 카메라 모듈 업체에 밀려 고전하던 광학식 디스플레이 내장형(FoD) 지문인식 모듈 사업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카메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y1p7NH
올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발광재료 시장이 19억달러(약 2조3000억원)로 41.8% 급성장할 것이라고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가 20일 전망했다.유비리서치는 올해 패널 업체 생산능력과 가동율이 모두 증가해 발광재료 소모량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발광재료 소모량은 지난해 73톤에서 올해는 102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재료별 예상 소모량은 HITL 재료가 16.9톤, 블루 호스트 재료가 4.15톤이다. 블루 호스트와 도판트 재료는 삼성디스플레이가 퀀텀닷(QD) OLED 양산에 들어가는 내년부터 급증할 예정이다.지난해 발광재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TJU5A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정장비 업체 한송네오텍이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 BOE에서 감사패를 받았다고 20일 밝혔다.한송네오텍은 코로나19로 위기를 겪고 있는 BOE 등 중국 고객사에 초기 방역용 마스크를 기부했다. BOE는 "진심어린 도움과 따뜻한 마음에 경의를 표한다"며 "협력관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송네오텍은 경북 구미시에도 마스크를 기부했다. 최영묵 대표는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해 경영환경이 어려워졌지만 대내외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8Hbhk
전자부품 유통 전문업체 마우저일렉트로닉스가 NXP가 만든 QN9090DK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20일 밝혔다.근거리무선통신(NFC)를 내장해 편의성을 개선하고 QN9090T 저전력 블루투스 시스템온칩(SoC) 제품을 평가할 수 있다. 캐리어 보드 1개, M10 모듈, 확장 보드로 구성된다. 캐리어 보드에는 NFC 태그 및 안테나, GPIO 커넥터, 외장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발광다이오드(LED), 확장 보드를 연결하는 아두이노 헤더가 포함됐다.QN9090, QN9030 SoC는 48MHz로 작동하는 ARM 코어텍스 M4 중앙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bgz6wS
지난해 모바일 제품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출하량이 6억대를 넘어섰다. 전년비 28% 성장했다. 중국 업체 비중도 두자릿수를 기록했다.22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형 OLED 패널 출하량은 6억1000만대를 기록했다. 2018년 4억6900만대보다 28.1% 늘었다.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등 모바일 제품용 패널 출하량을 더한 수치다.지난해 한국 업체의 중소형 OLED 패널 출하량은 4억8600만대로 전체의 81.1%다. 물량 기준으로는 전년비 13.4% 늘었지만 시장 점유율은 전년의 91.6%보다 1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dlXdft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EV)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 판결문을 2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ITC는 지난 2월 14일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조기패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ITC는 판결문에서 "SK이노베이션의 증거인멸 행위, ITC의 포렌식 명령 위반에 따른 법정모독 행위를 고려할 때 LG화학의 SK이노베이션에 대한 조기패소 판결 신청은 정당하다"며 "SK이노베이션이 소송과 관련이 있는 증거를 인멸하였고 그로 인해 LG화학에 피해를 끼친 것이 명백하다"고 적었다.특히 ITC는 이번 결정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QEMpPN
3월 23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글로벌 반도체 매출 전년비 6% 감소 예상"...IDC(IDC: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revenue expected to decline sharply in 2020) | 세미미디어시장조사업체 IDC가 올해 반도체 산업 매출이 급락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입니다. IDC는 올해 글로벌 반도체 산업 매출이 급락할 가능성이 80%에 가깝다고 밝혔습니다. 종전에는 2%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IDC는 올해 반도체 사업이 빠른 속도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y1DqB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