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7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SK텔레콤은 유럽 최대 통신업체 도이치텔레콤과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5G RF(Radio Frequency) 중계기'를 올해 2분기내 독일 주요 도시에 구축해 고객 체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RF 중계기는 외부 무선 신호를 증폭·확산해 통신 가능영역(커버리지)을 넓히는 장비다. SK텔레콤은 "유선 네트워크 환경이 한국보다 열악한 독일 등 유럽지역에서 이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여 왔다"고 했다. 유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광중계기가 사용된다. RF 중계기는 보통 건물 창문에 1-2개씩 층마다 설치된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If5YtD
엠플러스가 중국 S볼트에 전기차(EV) 배터리 소재를 계단처럼 층층이 쌓는 스태킹(Stacking) 공정용 장비를 공급했다. S볼트는 CATL, 삼성SDI와 같은 각형 배터리를 주로 생산한다. 엠플러스는 그동안 파우치형 배터리 위주로 사업을 펼쳤다. 중국은 각형 배터리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현지 시장 대응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28일 업계에 따르면 엠플러스는 중국 S볼트에 스택 공정 장비를 공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우치형 배터리에서 각형 배터리로 장비 종류 다양화에 성공했다. 주고객사인 SK이노베이션은 파우치형 배터리만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vnsJsj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에프엔에스테크가 다음달 2일부터 정상 업무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직원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지난 26일이후 에프엔에스테크는 임시폐업에 들어갔었다.에프엔에스테크 관계자는 28일 "확진자는 최근 중국 방문이력이 없는 지역 감염자로 밝혀졌다"며 "2차 감염자는 없다"고 말했다. 밀접 접촉한 직원 40명 모두 음성판정을 받았다. 음성판정된 밀접접촉 직원은 다음달 10일까지 자가격리한다는 방침이다. 에프엔에스테크 임직원은 모두 161명이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I3Bz18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프랑스에 2억유로(2700억원)를 들여 무선 통신장비 생산공장을 짓는다고 지난 27일 발표했다. 화웨이는 "4G·5G 장비 생산에 특화된 공장에서 유럽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제품을 출하할 것"이라며 "화웨이의 첨단 생산 기술이 적용된 유럽 첫 공장"이라고 했다. "프랑스 공장에서 연간 10억유로(1조3400억원) 상당의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며 "직접 고용 인원은 500여명"이라고도 했다.프랑스 공장에는 전시센터도 들어설 예정이다. 전시센터에서 무선 기지국 생산, 소프트웨어 로딩, 테스트 과정까지 선보일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veDhKr
전자부품 유통 전문회사인 마우저일렉트로닉스는 텍사스스트루먼트(TI) '심플링크 LPSTK-CC1352R 런치패드 센서태그' 킷을 공급한다고 28일 밝혔다.빠르게 시제품 제작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내장했다. 사물인터넷(IoT) 개발자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처음부터 개발할 필요 없이 신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평가할 수 있다. 멀티 밴드, 멀티 프로토콜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이 결합됐다. 1GHz 이하와 2.4GHz 주파수를 제공한다. MCU는 저전력 블루투스, 지그비, 802.15.4 PHY, MAC와 호환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cluvuT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인공지능(AI) 성능을 높인 신형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PU) 'STM32MP1' 제품군을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ARM 코어텍스 A7 듀얼코어, 코어텍스 M4 중앙처리장치(CPU)를 내장했고 머신러닝을 위한 AI 기능을 탑재했다. 그래픽처리장치(GPU)도 쓰였다. 800MHz 클록을 제공하고 STM32MP1 아키텍처를 활용하면 인증을 통한 보안 부팅, 고객용 OTP 퓨즈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하드웨어 보안 모듈(STM32HSM)로 고객 기밀을 디바이스 내에 안전하게 보관한다.STM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PuroHa
LG디스플레이가 경북 구미 사업장 내 은행 직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사업장 일부를 폐쇄했다.29일 LG디스플레이는 해당 직원이 근무하는 은행이 입주한 구미사업장 1단지 복지동을 폐쇄하고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LG디스플레이는 복지동 이용 직원들이 근무하는 일부 모듈 공장도 폐쇄·방역할 예정이다. 이곳에선 모바일 및 차량용 중소형 패널 등을 제작한다. 해당 시설은 다음달 3일 정상 가동한다.회사 측은 "문자메시지와 사내 게시판으로 임직원에게 해당 사실을 알렸다"며 "접촉 가능성이 있는 임직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b033d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 직원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2차 검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29일 전해졌다.삼성전자 관계자는 "현재 생산 차질은 없다"며 "임직원 건강을 최우선에 두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해당 확진자는 삼성전자 경북 구미1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직원으로 최근 경기 수원사업장을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구미1사업장에 있던 통신 장비 생산라인을 수원사업장으로 이전했다. 구미에는 지원 업무 인력이 상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botW3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에서 세 번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구미사업장 가동 중단은 지난주에 이어 두 번째다.업계에 따르면 29일 삼성전자 구미 2사업장 무선사업부 소속 생산직 직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는 가족이 확진 판정을 받자 전날인 28일 회사에 알린 뒤 자신도 검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29일 삼성전자는 이 직원과 함께 근무한 동료는 자택에서 대기하도록 조치했다. 작업 중이던 나머지 직원도 모두 귀가했고 구미 2사업장은 방역했다. 구미 2사업장 전체는 1일 저녁까지, 확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Vxfb8h
LG이노텍 경북 구미 공장 직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1일 LG이노텍은 구미1A공장 직원 한 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근무 중이던 직원 전원은 자택 대기 조치했다. 공장 전체는 폐쇄 후 방역을 진행 중이다. 구미1A공장은 카메라 모듈을 생산한다.LG이노텍은 임직원에게 확진자와 이동경로가 겹치거나 발열, 기침, 호흡곤란, 근육통 등이 있으면 출근하지 말고 회사 보고 후 지침에 따라 행동하라고 안내했다. 회사는 방역 후 보건 당국과 협의해 안전하다고 판단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b2QcK
3월 2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쇼와덴코, 히타치케미칼 인수 지연(昭和電工、日立化成のTOB開始3月以降 審査に遅れ) | 니혼게이자이일부 국가에서 반독점 심사가 늦어지고 있는 게 원인입니다. 당초 예상했던 5월이 아닌 6월에 완전 인수합병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네요. 심사 지연 국가에는 우리나라도 있습니다. 미국, 대만도 아직 명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쇼와덴코는 TOB를 통해 히타치케미칼 주식을 주당 4630엔에 취득하는 방식으로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인수 총액은 약 9600억엔에 달합니다.캐논, 큐슈 공장 우한 코로나로 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uSqzi
3월 2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올해 반도체 출하 7% 상승" IC인사이츠(IC insights: Semiconductor shipments to grow by 7% in 2020) | 세미미디어올해 반도체 출하량이 7% 상승할 것이라고 IC인사이츠가 예상했습니다. IC와 광전자(O:Optoelectronics), 센서(S:Sensor), 개별(D:Discrete) 반도체를 모두 더한 수치입니다. 전체 반도체 출하량은 7% 늘어난 1조363억개로 예상됩니다. 2018년(1조460개)에 이어 두 번째로 1조개를 웃돌 전망입니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PFs4cF
디일렉은 국내 업계 종사자가 놓치지 말아야 할 중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분야 소식을 정리해 매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우시에서 150억위안 반도체 프로젝트 서명식◎창신메모리, DDR4 8GB D램 공식 발표◎글로벌웨이퍼즈-글로벌파운드리 300mm 웨이퍼 공급 계약 체결◎허페이시, 300억위안(5.2조원)넘는 메모리 패키지 등 프로젝트 체결◎유니SOC 2세대 5G 칩셋 T7520 발표◎SK하이닉스 성명 “한국 다녀온 우시직원 모두 격리조치”<< 디스플레이 >>◎2020년 2월 TV용 패널 가격 동향◎이노룩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dpnBn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가 독점하다시피 했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구동드라이버IC(DDI) 시장에 대만 등 중국권 업체가 속속 진입하고 있다. 중국이 중소형 OLED 패널 생산을 늘리면서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시장 파이가 커진다는 의미다.2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노바텍은 지난해 출시된 화웨이 스마트폰에 OLED용 DDI를 공급했다. 중국 BOE OLED 패널을 탑재한 화웨이 스마트폰에는 노바텍 DDI가 탑재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에버디스플레이와 비전옥스는 대만 레이디움에서 OLED용 DDI를 공급받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p06mA
에프엔에스테크가 삼성디스플레이 신규 퀀텀닷(QD)디스플레이 생산라인(Q1)에서 컬러필터 현상(develop)장비까지 수주한 것으로 2일 확인됐다.에스프엔에스테크는 지난달 20일 삼성디스플레이와의 112억원 상당 장비 공급계약을 공시했다. 컬러필터 현상장비 물량이다. 작년 말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694억원 상당 장비 공급계약을 맺었다. 박막트랜지스터(TFT) 공정용 웨트(Wet)장비다. 기존에 절반씩 나눠 공급하던 삼성전자 자회사 세메스가 디스플레이 웨트장비 사업을 접으며 대부분 물량이 에프엔에스테크로 돌아갔다.공시된 삼성디스플레이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alkTOQ
3월 3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애플, '아이폰 배터리 성능 저하' 5억달러 지불키로 합의(Apple to pay up to $500 million to settle U.S. lawsuit over slow iPhones) | 로이터애플이 구형 아이폰의 배터리 성능을 몰래 저하한 것과 관련한 미국 소송에서 최대 5억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애플은 당시 아이폰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구형 아이폰 배터리 성능을 떨어뜨려 아잉폰이나 배터리 교체를 유도한 바 있습니다. 5억달러는 아이폰 한 제품당 25달러에 해당합니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KyYif
삼성전자가 대만 플레이나이트라이드와 중국 산안에 이어 대만 에피스타에서도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칩을 공급 받는다. 하반기 출시를 약속한 마이크로 LED TV 공급망 확대 및 가격 경쟁력 확보 차원으로 보인다.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에피스타를 마이크로 LED 칩 공급망에 포함했다. 지난해까지는 플레이나이트라이드와 산안 두 곳에서만 마이크로 LED 칩을 조달했다. 에피스타가 공급망에 진입하면서 마이크로 LED 칩 납품업체도 세 곳으로 늘었다.마이크로 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광원으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전력 사용량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MMCbY
3월 3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한일 갈등 여파? 일본 화학 업계 한국에 공장 짓는다(韓国向け半導体材料 日系サプライヤーの現地化進む) | 화학공업일보지난해 불화수소 등 수출 문제로 한국과 일본이 갈등을 겪었죠. 이 와중에 일본 기업들도 피해가 적지 않았는데요. 조용히 불화수소 수출을 재개하는 한편 한국에 공장을 증설하고 있습니다. 아데카(ADEKA)가 대표적인데 전주시를 반도체 재료 거점으로 삼았다네요. 이바라키현 카시마시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는 일부 반도체 재료를 한국으로 이전하는 겁니다. 간토덴카코교의 경우 천안에 신공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9jDcDZ
삼성전자가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8K TV 신제품 출시에 앞서 16일까지 사전 판매한다.행사 모델은 QLED 8K TV 신제품 최상위 라인업 2개 모델(85·75인치) 300대다. 출고가 기준 85인치(85QT950)가 1940만원, 75인치(75QT950)가 1390만원이다.QLED 8K TV는 진화한 인공지능(AI) 기술로 화질, 사운드, 스마트 기능으로 새로운 8K 경험을 제공한다. 베젤 최소화로 화면 99%를 활용하는 '인피니티 스크린'을 탑재했다. 새 AI 퀀텀 프로세서는 딥러닝 방식을 적용했다. 어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IfF4By
중국 전기차(EV) 배터리 업체 CATL이 공격적으로 생산라인 증설에 나선다. 오는 2023년까지 배터리 생산량을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높인다.2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160억위안(약 2조73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중국 내에 3개 더 짓기로 했다. 연구·개발(R&D) 비용을 더한 총 투자액은 200억위안에 달한다. 신규 배터리 공장은 후베이성, 장쑤성, 쓰촨성에 건설한다. 생산량은 각각 16GWh, 24GWh, 12GWh다. 고성능 전기차(380㎞ 이상 주행) 70만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지난해 기준 CA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cn9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