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7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LG화학이 전기차(EV) 배터리 생산 공정 고도화에 성공했다. 6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초극박 동박을 처음으로 적용한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중국 난징 공장에서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초부터 시험생산에 들어간 이후 1년여 만에 성과를 냈다.동박은 배터리 음극의 집전체로 쓰이는 재료다. 그동안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용으로 7~15㎛ 두께의 제품을 주로 썼다. 동박이 얇아지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지만, 동박이 금방 뜨거워져 열 발산이 쉽지 않아서다.생산 공정도 난제였다. 동박 두께가 워낙 얇아 음극 코팅과 건조 공정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NMG8jB
LG전자가 명품 사운드를 갖춘 프리미엄 무선 이어폰 'LG 톤 프리'(국내명:LG 톤플러스 프리)를 미국 시장에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LG전자는 이 제품을 앞으로 유럽, 아시아에서도 판매할 계획이다. 국내에는 지난해 말 출시했다.LG 톤 프리는 명품 오디오 업체 메리디안 오디오의 신호처리 기술과 고도화된 튜닝 기술(EQ:Equalizer)을 적용했다. 풍부한 저음, 깨끗한 중·고음, 입체감 있는 음향을 구현한다. 디지털 소음을 줄여 음 왜곡도 최소화한다.LG전자는 이어폰을 보관·충전하는 케이스에 대장균 등 유해 성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0DOCyT
포스코케미칼이 LG화학과 대규모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전기차(EV) 배터리 소재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21일 포스코케미칼은 LG화학과 1조8533억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이다.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가 대상이다.이번 계약으로 포스코케미칼은 하이니켈계 양극재 대규모 수주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사업 도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LG화학은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앞두고 배터리 핵심소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했다. 양사는 포스코케미칼이 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7gkmwi
애플 협력사인 미국 광학필터 업체 비아비솔루션즈가 LG전자와 LG이노텍을 상대로 제기했던 특허 소송을 합의 종결했다. 삼성전자 광학필터 공급업체인 옵트론텍과의 미국 특허 소송은 아직 진행 중이다.비아비솔루션즈는 21일(현지시간) LG전자 및 LG이노텍을 상대로 제기했던 두 건의 미국 특허소송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비아비는 지난해 11월 자사 3D ToF(Time of Flight) 특허를 침해했다며 LG전자와 LG전자 미국 법인, LG이노텍, 옵트론텍 등을 상대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캘리포니아북부지법에 특허 소송을 제기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fY3s5
<�자막 원문>한: 안녕하세요. 디일렉의 한주엽 기자입니다. 오늘 이수환 차장 모시고 ESS 화재 사고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얘기를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이: 안녕하십니까. 이수환입니다.한: ESS 사고 관련해서는 굉장히 오랜 기간 말이 많았던 것 같은데. 사고 경과에 대해서 한번 얘기를 해주세요.이: 일단 2017년 이후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펼쳤고요. 동반적으로 뭔가 에너지를 만들면 저장해야 될 장소가 필요하니까. 그래서 ESS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쳤는데. 문제는 그 이후부터 대략 1년 반에서 2년이 안되는 기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G6Vqvt
1월 22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20명도 안되는 이 회사, 일본 반도체 패키징 시장 강자가 되다(ファンアウトやRFフィルターで業界標準握る、愛知発の半導体装置メーカー) | 리모 라이프&머니TTS라고 부르는 기업이 주인공입니다. 직원이 18명에 불과한데 팬아웃 패키징이나 RF 필터용 장비에서 표준으로 쓰일 만큼 강소기업이라네요. 매출은 7~10억엔 정도입니다. 1995년 설립 초기부터 테이프 라미네이터 장비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워낙 인지도가 낮고 회사 규모가 작아서 고객사를 확보하지 못했다네요. 마지막으로 반도체 오사카 전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RHHBJh
1월 22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IBM "올해 이익 전망, 시장추정치 상회"...클라우드 덕분(IBM forecasts full-year profit above estimates on cloud growth) | 로이터IBM이 올해 이익 전망치가 시장 추정치를 상회한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도 21% 성장한 클라우드 사업(68억달러) 덕에 깜짝 상승(0.1%)를 기록했습니다. IBM의 올해 이익 전망치는 주당 13.35달러입니다. 시장 추정치 13.29달러보다 높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0.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aH81DI
한미반도체는 22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전체 주식의 10%인 516억원 규모 자사주를 소각한다고 공시했다.소각 대상 주식은 전체 발행주식 5722만3890주의 10%인 572만2389주다. 21일 종가(9020원) 기준 516억원 규모다. 소각 예정일은 1월 30일이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6eKl6e
마우저일렉트로닉스는 22일 코르보(Qorvo)의 전력증폭기 QPA3069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100W QPA3069는 국방, 항공우주 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2.7~3.5GHz 무선주파수(RF) 기반 회로를 설계할 때 고출력 밀도, 높은 전력 효율을 제공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58dBm 이상 포화 출력 전력과 25dB 이상 대신호 이득을 제공한다. 전력 부가 효율(PAE)은 53% 이상이다. 양의 게이트 전류(PSAT)를 인입하기 시작하는 RF 출력 전력은 50dBm으로 측정된다. 입력 반사 손실은 최저 13d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6jdFZ4
<�자막 원문>한: 안녕하십니까. 디일렉 한주엽 기자입니다. 오늘 광학부품 전문업체인 옵트론텍에 대해서 이기종 기자와 얘기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이 기자 안녕하세요.이: 안녕하세요.한: 옵트론텍을 광학부품 전문업체라고 소개했는데 이름에서도 느껴지는 이미지가 광학관련된 어떤 걸 하는 회사구나라는게 느껴져요. 이 회사는 주로 뭘 하는 회사입니까?이: 옵트론텍은 광학필터를 주력으로 하는 업체입니다. 광학필터라는 것은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에서 빛의 특정 파장이나 파장 범위를 선별적으로 투과하거나 차단하는 필터인데 지금 삼성전자 스마트폰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NQXifZ
SK이노베이션 전기차(EV) 배터리에 사용될 양극재 전용 공장이 만들어진다. 에코프로비엠이 전량 담당한다. 중국 창저우, 헝가리 코마롬, 미국 조지아 등 해외 배터리 공장이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라 충분한 양의 양극재 확보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조만간 포항 영일만1일반산업단지에 SK이노베이션 전용 양극재 신공장 'CAM5-N' 착공을 시작한다. 이르면 1분기 내에 본격적인 공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SK이노베이션 전용 양극재 공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니켈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0KOMEC
애플이 지난해 출시한 아이폰11 시리즈가 미국에서 전작보다 좋은 반응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4분기 미국에서 판매된 아이폰 중 신제품 점유율이 70%에 육박했다.22일 시장조사업체 CIRP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에서 판매된 아이폰 중 아이폰11 시리즈 비중은 69%였다. 한해 전인 2018년 4분기 전작 아이폰 시리즈(아이폰XR·XS·XS맥스)의 미국 내 아이폰 판매 점유율 65%보다 4%포인트 높다. 당초 애플에선 아이폰11 시리즈 판매 부진을 예상해 부품 주문도 전년비 10% 줄였다. 하지만 실제 아이폰 판매가 회사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GeUVzm
올해 '잉크젯 프린팅'과 '스트레처블 패널'을 주제로 한 디스플레이 분야 대형 통합 국책과제 2개가 동시에 추진된다. 2012년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이후 8년만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성장동력(반도체,디스플레이,임베디드)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지난 21일 공고했다.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각각 1개씩 맡아, 위기감이 팽배한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차세대 기술 개발에 힘쓸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100억원이 넘는 총 정부출연금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0KOT30
1월 23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애플, TSMC에 아이폰 칩 주문 확대(Apple Is Raising TSMC Chip Orders to Meet Strong iPhone Demand) | 블룸버그애플이 TSMC에 아이폰용 칩 주문을 늘렸습니다. 지난해 출시한 아이폰11 및 11프로 모델 판매가 당초 회사 전망을 웃돌았기 때문입니다. 중국 판매량도 전작을 상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아이폰11 시리즈 중에선 LCD 화면을 적용해 가장 저렴한 아이폰11 제품이 가장 인기입니다. 지난해 4분기 미국에서 판매된 아이폰 중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0T5q56
1월 23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반도체 상사, M&A에 다시 활기(国内半導体商社 M&A に再び脚光) | 상교타임스일본은 상사(商社)업이 잘 갖춰졌지요. 종합상사뿐 아니라 반도체와 같은 전자부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상사도 많습니다. 상교타임스가 주요 전자부품 상사 20개 업체의 실적(2019년 4월~9월, 상반기)을 종합한 결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일반 전자부품을 포함한 전자 기기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 늘어난 1조5500억엔으로 집계됐다네요. 삼성전자 대리점인 토멘디바이스가 큰 폭의 성장을 했습니다. 올해 도쿄올림픽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tJQZE3
SK실트론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웨이퍼 단결정(單結晶) 성장 연구개발(R&D) 과정에서 슈퍼컴퓨팅 기술 지원을 받게 됐다고 23일 밝혔다.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 기초 소재다. 단결정 성장 단계는 웨이퍼 생산 시 가장 기본이며 핵심이다.최근민 SK실트론 제조기술총괄은 "이번 협약으로 대규모 병렬 계산 기술을 지원받아 SK실트론 핵심 역량 중 하나인 '대구경 실리콘 단결정 성장’의 수치 해석 기반 기술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장익수 DGIST 슈퍼컴퓨팅·빅데이터센터장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aCrbdV
삼성전자의 인도 스마트폰 시장 선두 탈환이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인도 시장에서 1위 샤오미와의 격차가 오히려 커졌다.23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20% 내외로 지난해 3분기 수준을 유지했지만 1위 샤오미와의 격차가 9%포인트로 벌어졌다.삼성전자는 지난해 2분기 샤오미와의 점유율 격차를 2.4%포인트(스트래지티애널리틱스)로 좁혔지만 3분기에 다시 6%포인트(카운터포인트)로 늘어난 바 있다. 인구 14억명의 인도는 스마트폰 보급률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vKzal
전기차(EV) 배터리 양극재 시장에서 니켈·코발트·망간(NCM) 계열의 비중이 50%를 넘어섰다. 값비싼 코발트 대신 니켈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높여 전기차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늘리려는 시도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23일 배터리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시장에서 NCM622(니켈·코발트·망간 비중 6:2:2) 이상 하이니켈 양극재 시장점유율이20% 이상을 기록했다.특히 NCM523(니켈·코발트·망간 비중 5:2:3), NCM811(니켈·코발트·망간 비중 8:1:1)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vaPRcZ
<�자막 원문>한: 안녕하세요. 디일렉 한주엽 기자입니다. 오늘 배터리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수환 차장 모셨습니다.이: 안녕하세요. 이수환입니다.한: LG화학 얘기를 한 건데. 굉장히 얇은 동박을 전기차 배터리의 적용을 했다는 취재로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동박은 뭘 하는 겁니까?이: 배터리가 양극이 있고 음극이 있지 않습니까? 동박은 음극의 음극집전체. 말 그대로 에너지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고 앞단에 음극활 물질이 같이 달라붙게 되는데요. 양극에도 똑같이 양극집전체가 있습니다. 그거는 알루미늄을 씁니다. 그래서 보통 양극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NRW2sV
LG화학이 국내 충북 청주시 오창공장 편광판 생산설비 일부를 올해 2분기에 중국 장쑤성(江苏) 난징(南京)공장으로 옮기기로 결정한 것으로 27일 전해졌다. 최근 장비 업체에 설비 이전을 통보했다. LG화학은 편광판 사업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매각 대상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용 편광판 사업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사업은 매각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LG화학은 2018년 편광판 사업이 속한 당시 정보전자소재부문에서 연간 283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편광판 사업이 부문내 매출 비중 75% 가량을 차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GsEy2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