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8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LED 드라이버 평가보드와 메인 입력 드라이버(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본 프로그램) 제품군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평가보드는 ST의 통합 역률보상(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인 STCMB1와 LCC 토폴로지(네트워크의 배치 형태)로 동작하는 고전압 공진 하프 브리지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출력 전압과 별개로 정전류를 전달할 수 있어 LED 구동에 적합하다.사진 촬영시 초당 최대 10매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버스트 모드에서는 PFC와 하프 브리지가 동기화돼 경부하(밤 11시~오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6Sw5lu
KT가 5G(세대) 이동통신 기반 머신비전 서비스 '5G 스마트팩토리 비전(5G Smart Factory Vision)'을 미국 머신비전 업체 코그넥스와 함께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KT의 정보통신기술(ICT) 역량과 코그넥스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결합했다. KT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검사작업을 진행하는 '룰(Rule) 기반의 머신비전' 솔루션과 비정형 항목의 검사가 가능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머신비전' 솔루션으로 구성돼 있다"며 "자동차, 반도체, 식품, 의료제약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gRAqtU
NXP반도체는 마이페어 데스파이어(MIFARE DESFire) 집적회로(IC) 3세대 버전인 'EV3'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신제품은 기존 제품과 역 호환된다. 또 성능과 처리 속도를 높였다. 더 긴 작동 거리도 제공한다. 고급 보안 기능을 결합해 주차비 결제, 사무실이나 캠퍼스 출입 등을 비접촉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광범위한 보안 기능셋(Feature Set)은 데이터 보호와 사생활 보장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보안 국제공통 평가 기준(CC)에서 EAL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TO9HQ
"그린밸런스2030을 악착같이 실행하며 본질적이고 구조적인 혁신을 이뤄 내야만 사회적 가치 창출은 물론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 것"2일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 사장은 사회적 가치(SV)를 창출에 매진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린밸런스2030은 SK이노베이션이 에너지·화학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상쇄하겠다는 전략이다.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창출한 사회적 가치는 2018년(1조1815억원)의 14% 수준인 1717억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크게 줄어 든 분야는 배당, 납세 및 고용 등을 평가하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cstBLF
앤시스코리아는 세계적인 인증 전문기관인 독일 TUV라인란드의 한국지사 TUV라인란드코리아와 전기차·자율주행차 분야 공동 연구 및 기술 교류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세계 표준에 맞는 전기차·자율차 개발 환경 제공▲전기차·자율차의 기능 안전 ▲제품 개발·생산에서 요구되는 시뮬레이션 기반 검증 기법 공동 연구 등을 위해 체결됐다.앤시스는 전기차·자율차 솔루션과 기술 교육을, TUV라인란드는 관련 기능 안전 컨설팅 교육을 제공한다. 양사는 솔루션·기술 지원 자료를 공동 제작하고 협력사 기술 지원을 분기별 1회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YL3lK
아날로그디바이스(ADI)는 절연형(Isolated) 전력 송수신기 ‘ADM2867E’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신제품은 적은 예산으로도 전자기파(EMC) 적합성을 충족할 수 있게 해준다. 인쇄회로기판(PCB) 레이아웃도 간단하다. 최종 시스템의 설치와 디버깅(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내 수정하는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한 기능들을 통합했다. 안전성이 검증된 디지털 절연 기술도 구축했다.신제품은 5.7킬로볼트(kV) rms(1분) 절연형 전이중(Full Duplex) 네트워크 통신(RS-485·RS-422 송수신기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3PniB
'뉴 메모리'가 현재 주력인 D램과 플래시 메모리 시장 일부를 대체하면서 2030년에는 36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미국 메모리 시장조사업체 오브젝티브애널리시스(Objective Analysis)와 디지털 스토리지 전문 조사업체 코플린어소시에이트(Coughlin Associates)는 2일(현지시간) 공동 발간한 리포트(Emerging Memories Find Their Direction)에 이 같은 전망치를 담았다고 밝혔다.뉴 메모리는 저항변화메모리(Re램), 상변화메모리(P램), 자성메모리(M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gLjWmN
인쇄회로기판(PCB) 업체 대덕전자가 손자회사 위매스 매각을 추진한다.3일 업계에 따르면 대덕전자 자회사로 편입된 와이솔의 자회사 위매스가 매물로 나왔다. 무선주파수(RF) 부품업체 와이솔은 화학정밀업체 위매스 지분 80%를 보유하고 있다. 위매스 매각가는 수십억원으로 알려졌다.업계에 따르면 PCB가 주력인 대덕전자는 위매스와의 사업 시너지 효과가 미미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위매스는 전자재료 소재를 생산한다. 고집적 반도체에 필요한 포토레지스트(PR)의 구성물 PAG(Photoacid Generator) 등이 주요 품목이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Bt96BS
지난 1분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의 최신 세계 반도체 장비시장 통계 분석에 따르면, 1분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155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3% 확대됐다.반도체 장비 매출액 1위 국가는 대만이었다. 이 기간 내 대만에서 소화된 장비 매출은 40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 상승했다. 중국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35억달러로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같은 기간 매출액이 33억6000만달러로 16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ADsxas
LG유플러스가 최근 다년계약으로 10G(기가) 인터넷 장비 계약을 맺은데 대해 해당 장비업체들은 "주요 공급사 지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단가협상에도 긍정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KT, SK브로드밴드보다 10기가 인터넷 서비스 상용화가 늦은 LG유플러스가 올해 10기가 인터넷 장비 확충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SK브로드밴드는 작년 12월 최진환 사장의 신규 대표 취임이후 올해 장비 공급업체와의 단가 협상이 예년대비 길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다산네트웍스는 연결종속회사인 다산네트웍솔루션즈가 LG유플러스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AyZ3dY
필옵틱스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파인메탈마스크(FMM) 제조기술 개발 국책과제에 참여한다고 3일 밝혔다.필옵틱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비에칭법에 의한 고해상도 OLED용 6세대급 또는 8세대급 FMM 제조 기술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회사 측은 FMM 기술과 개발 경험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필옵틱스는 단순 개발을 넘어 FMM 제조·인장 및 용접·증착 등 기술 연관성이 큰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디스플레이 제조 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양산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필옵틱스가 개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7265Ef
삼성가 방계 그룹 계열사인 한솔케미칼이 삼성SDI와 손잡고 배터리 4대 핵심 재료 중 하나인 음극재 시장에 진출한다. 삼성으로부터 기술을 받아 차세대 음극재라 불리는 실리콘계 제품을 개발, 양산,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한솔케미칼은 배터리 내부 점접착제로 쓰이는 바인더 사업을 보유하고 있긴 하나 핵심 재료 사업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으로부터 모든 기술을 제공받는 '전략 동반자' 관계를 형성했다. 개발에 성공하면 곧바로 매출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전문가는 설명했다.3일 업계에 따르면 한솔케미칼은 삼성SDI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7pzlw
머크 기능성 소재(PM) 사업부가 1일 새 출발했다.머크는 지난해 인수한 버슘 머트리얼즈와 인터몰레큘러 조직을 PM 사업부 내 반도체 소재 부문에 통합했다. 기존에 머크와 버슘, 그리고 버슘 안에서도 반도체 소재와 공급시스템·서비스(DS&S) 부문으로 나뉘었던 것을 하나로 묶었다. 회사는 고객 중심 통합이라고 설명했다.머크 PM 사업부 포트폴리오도 확대된다. 시장 점유율 증가와 공급망 강화, 지역 인프라도 뒤따를 예정이다. 머크는 조직 개편으로 신속한 의사 결정, 협업·소재 혁신 가속, 기기 통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카이 베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eNuDDs
슈나이더일렉트릭이 4일 '이노베이션 데이 2020(Innovation Day 2020)'을 온라인에서 개최한다.'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회복 탄력성(Resilient Digital Transformation)'을 주제로 전문가들의 통찰력 있는 강연을 선보인다. 가장 최신의 디지털 솔루션을 제시한다. 기조연설은 '데이터센터의 전력공급과 디지털화(Powering & Digitizing Data Centers)'를 주제로 슈나이더일렉트릭 데이터센터 사업부 부사장인 판카즈 샤르마가 맡는다. 각 분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05oWNo
<�자막원문>한: 오늘 반도체산업협회 안기현 상무님 모시고 일본의 수출규제 건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안: 안녕하십니까.한: 반도체 쪽 산업. 한국 쪽 산업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제가 생각할 때는 안 상무님 만큼 넓고 깊게 아는 분들이 없는 것 같아요. 그쪽 일을 하시니까요.안: 이것만 해서...한: 원래 한국에서 수출규제 작년에 7월부터죠. 일본에서 불화수소, 폴리이미드, EUV 포토레지스트. 그것을 수출을 규제한다. 예전에는 그냥 줬는데 지금은 가려면.안: 정부의 승인을 맡아야죠.한: 허락받고 가라고 했는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Awdn7c
전자부품연구원은 전극 물질과 섬유 소재를 일체화해 내구성이 강하고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는 전극 구조체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기존 플렉시블 이차전지 전극은 기계 변형에 취약한 금속박을, 탄소 기반 기판이나 전도성 물질을 코팅한 고분자 직물로 변경하는 기술 중심으로 연구해왔다. 탄소 기반 기판이란 탄소 직물과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시트 등으로 제작한 기판을 말한다. 탄소 기반 기판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고분자 직물은 기계 변형 시 균열 등이 발생해 전극 구성 요소가 쉽게 분리되고 용량이 작았다.이번에 전자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5L0Uc
KT 주도로 지난 2월 출범한 인공지능(AI) 산·학·연 협의체 'AI 원팀(AI One Team)'에 LG유플러스, LG전자가 합류했다. 출범 4달만이다. 기존 AI 원팀 구성원은 KT를 비롯해 현대중공업그룹, 한양대, 카이스트(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5곳이었다.그보다 앞선 올해 1월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미국 CES 2020 전시회에서 "삼성전자, 카카오와 AI 분야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했었다. 아직 공식화하진 않았으나 업계는 SK텔레콤·삼성전자·카카오 '3자 AI 연합'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A2kV1k
LG유플러스가 3일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열차무선시스템 개량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지하철 4호선 26개 역사(남태령~당고개)에 대한 철도통합무선통신망 (LTE-R) 구축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이날 보고회에는 하현회 LG유플러스 대표(부회장)를 비롯해 LG유플러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한 한국전파기지국의 김문환 대표가 참석,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과 경영진에게 세부 진행사항을 설명했다.하 부회장은 "도시철도는 공공 영역인 만큼 오랜 기간 기술이 검증된 LTE 통신으로 안정성을 꾀했다"며 "한국전파기지국과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02sIHf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카테시암과 나노엣지(NanoEdge) 인공지능(AI) 스튜디오를 출시한다고 3일 밝혔다.카테시암은 인공지능 서비스의 고도화 훈련을 맡는 인력이 없는 회사들을 위해 스튜디오를 설계했다. 스튜디오에선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인 STM32로 인공지능에 기반한 솔루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데이터 기록·컴플라이언스(통제) 기능도 제공된다. 암(Arm)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을 사용하는 설계자들에겐 가전, 산업용 장비 등의 기계학습 연산 과정(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쉽고 빠르게 통합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7YeQ9
삼성디스플레이가 글로벌 인증업체 SGS로부터 자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끊김 없는 디스플레이'(Seamless Display) 인증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끌림 현상 없이 선명하고 빠른 화면 구동이 가능하다는 의미다.SGS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90헤르츠(Hz) 및 120Hz 주사율 스마트폰 OLED 패널 이미지 끌림 정도(Blur Length)는 각각 최대 0.9mm, 0.7mm 이하였다. 동영상 응답속도(MPRT)는 각각 최대 14ms, 11ms 이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업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XXJK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