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일렉(THEELEC)
10.2K subscribers
9.88K links
전자부품 전문 뉴스 미디어 디일렉
Download Telegram
로옴이 이륜·사륜차용 4채널 발광다이오드(LED) 드라이버IC 'BD183x7EFV-M'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정지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차폭등에 사용할 수 있고 모스펫(MOSFET)을 내장했다.인도와 같은 신흥 시장을 겨냥했고 독자적인 열 분산 회로와 LED 개별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LED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PCB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설계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특히 출력 채널 수만큼 필요했던 열 분산 회로를 1개로 주렸다. 4채널을 소형 16핀(Pin) 패키지로 제공한다.개별 제어 기능을 통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vANosM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조합의 활동을 방해한 혐의로 법정 구속된 이상훈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이 결국 자리에서 물러난다.삼성전자는 이상훈 의장이 포함한 이사회 의장직에서 사임하겠다는 의사를 이사회에 전달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의장의 사임으로 삼성전자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과 사외이사 6명 등 총 9명이 됐다. 이사회는 조만간 이사회 결의를 통해 후임 의장을 선임할 예정이다.앞서 이 의장은 지난해 12월 삼성전자서비스 노조 활동을 방해한 혐의로 1심에서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현재 사내이사는 김기남 부회장과 김현석 사장,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bAVRg5
보름을 간격으로 두 시장조사업체가 엇갈린 결과를 내놓았다.14일 카운터포인트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라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화웨이가 이 시장 1위라고 밝힌 바 있다.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5G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43%로 1위를 차지했다. 화웨이는 34%로 2위다. 업체별 출하량은 공개하지 않았다.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5일 5G 스마트폰을 지난해 670만대 출하해 시장 점유율 53.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당시 인용한 자료가 카운터포인트 조사였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9x2huG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EV)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과 관련해 SK이노베이션에 조기패소판결을 내렸다. 다만 최종판결이 나더라도 미국 정부와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소송전이 장기화 될 수 있다.14일(현지시간) 미국 ITC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 영업비밀침해 소송과 관련해 SK이노베이션에 조기패소판결을 내렸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증거개시절차 과정에서 SK이노베이션의 광범위한 증거인멸이 포착됐다며 조기패소판결을 ITC에 요청한 바 있다.ITC가 최종결정을 내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NwHlJ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전기차(EV)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과 고나련해 SK이노베이션에 조기패소판결을 내렸다. 아래는 판결 직후에 나온 SK이노베이션의 입장 전문이다. [美 ITC 예비결정과 관련한 SK이노베이션 입장]배터리 소송에 대한 ITC의 예비결정과 관련한 SK이노베이션 입장을 말씀 드립니다.SK이노베이션은 이번 소송이 시작된 이후 그간 법적인 절차에 따라 충실하게 소명해 왔습니다. ITC로부터 공식적인 결정문을 받아야 구체적인 결정 이유를 알 수 있겠습니다만, 당사의 주장이 충분히 받아들여지지 않은 점을 유감스럽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7DE70t
2월 17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LG그룹, 중국·베트남으로 사업 재구축(LG、反転へ事業再構築 中国・ベトナムに生産移転) | 니혼게이자이최근 LG그룹 상황을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국내 LCD 라인을 접고 중국으로 넘어가기로 했지요. LG전자 스마트폰은 베트남이 대상이고요. 니혼게이자이는 LG그룹의 부진 이유를 '투자 회수주기와 소비자의 수요를 오인했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뛰어난 인재의 자라나지 못하는 내부 문화도 지적했습니다. LG호의 운명이 젊은 오너인 구광모 회장의 손에 달려있다고 마무리지었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HvsbD6
2월 17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글로벌 웨이퍼 생산능력, 5개 업체가 53% 차지...삼성전자 1위(Five Chip Companies Hold 53% of Global Wafer Capacity) | EE타임스지난해 글로벌 웨이퍼 생산능력의 53%를 다섯 개 반도체 업체가 차지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 자료입니다. 삼성전자가 293만5000장(점유율 15%)으로 1위입니다. 다음으로 △2위 TSMC(250만5000장, 12.8%) △3위 마이크론(184만1000장, 9.4%) △4위 SK하이닉스(174만3000장,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BCUIi
중국 배터리 회사와 주로 거래했던 장비 업체 엠플러스가 올해 신규수주 목표를 2000억원 이상으로 잡았다. SK이노베이션과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지난해 대비 20% 가까이 수주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전기차(EV)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한 각 업체의 증설 경쟁을 성장의 기회로 삼겠다는 계획이다.17일 엠플러스는 SK이노베이션에 노칭(Notching) 장비 공급에 성공했다고 공식 밝혔다.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이사는 지난 14일 충북 청주 본사에서 투자자와 언론을 상대로 개최한 설명회에서 "엠플러스는 배터리 장비 턴키 공급이 가능한 만큼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P01CKF
SKC가 신소재기술 기반 오픈 플랫폼 'SKC 스타트업 플러스'를 올해 확대 운영한다. 선발 기업을 지난해의 두 배로 늘리고 각 분야 전문가 컨설팅 서비스를 시작한다.SKC는 17일부터 SKC 스타트업 플러스 3기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모빌리티, 친환경, 에너지 절약 등 고기능·고부가 산업소재에 대한 창의적 아이디어나 기술을 가진 예비 창업자, 스타트업, 중소기업이 대상이다.최종 선발팀은 지난해 두 배인 20개 팀이다. 서류 및 발표심사를 거쳐 다음달 31일 결정한다. 다음달 13일까지 '아이디어마루&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21PhuL
디일렉은 국내 업계 종사자가 놓치지 말아야 할 중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분야 소식을 정리해 매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전염병에도 더저우 반도체 프로젝트 강행◎미디어텍 5G 대외 구매 칩 시장에서 40% 점유율 목표◎화홍그레이스 팹2, 1월 웨이퍼 출하 6만1200장◎반도체 설계업체 XTX, 파운드리 업체 HLMC와 20억위안 전략협정 체결◎UMC, 중국 법인에 5900억원 증자<< 디스플레이 >>◎2019년 브랜드 TV 출하량 0.6% 증가◎1분기 LTPS 생산능력이 반토막이라고? TCL과기 “2월에도 풀가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z2qby
미국 프린팅 장비 업체 카티바(Kateeva)가 지난달 말 144명 임직원 해고 계획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고용개발부에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카티바는 최근 삼성디스플레이의 첫 퀀텀닷(QD)디스플레이 생산라인용 잉크젯 프린팅 장비 수주경쟁에서 공격적인 가격을 제시했으나 국내 세메스에 물량을 모두 뺐긴 바 있다.17일 미국 기업정보업체 크런치베이스(Crunchbase)에 따르면, 카티바의 최고 인사책임자(CPO, chief people officer)인 모니카 칼다니-나지프(Monica Kaldani-Nasif)는 지난달 27일 미국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C0xLj
지난해 시드 라운드로 총 91억원 자금을 조달한 세미파이브(SemiFive)가 수백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다. 세미파이브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V 코어 관련 칩 디자인 설계업을 주력으로 하는 회사다. 삼성전자와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17일 업계에 따르면 세미파이브는 올해 초부터 4월 말, 5월 초 마감을 목표로 주요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시리즈A다. 지난해 시드 라운드로 91억원 자금을 조달한 데 이어 1년이 채 안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UhFgJ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EV) 배터리 조립공정에 레이저 기술을 도입한다. 미국 조지아 공장에 레이저 '탭 웰딩(Tab Welding)'을 사용할 계획이다. 경쟁사 LG화학은 수년 전부터 레이저 탭 웰딩 공법을 쓰고 있다. 조지아 공장이 본격 가동되는 2022년 업계에서 두 번째로 레이저 탭 웰딩을 이용해 파우치형 배터리를 양산하게 될 전망이다.17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조지아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신규 생산라인에 레이저 탭 웰딩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생산공정에서 레이저 탭 웰딩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C878J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플라스틱(P)-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로 독일 기술평가 업체인 TUV 라인란드의 '아이 컴포트 디스플레이(Eye Comfort Display)'인증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차량용 패널이 '아이 컴포트 디스플레이' 인증을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신정식 LG디스플레이 오토사업담당 전무는 "이번 인증 획득은 P-OLED가 최적의 차량용 디스플레이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P-OLED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선도 기업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LG디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OZHqZ3
서울반도체가 올 상반기에 사이니지 분야에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매출이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했다.이종덕 서울바이오시스 대표는 17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마이크로 LED와 자외선(UV) LED, 빅셀(VCSEL) 등 2세대 LED 기술력에서 경쟁사와 차별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마이크로 LED는 사이니지와 스마트워치 분야에서 매출이 먼저 발생할 것"이라면서 "사이니지 분야는 상반기에 매출이 가시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객사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마이크로 LED는 100마이크로미터(㎛·0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UVgAFg
APS홀딩스가 파인메탈마스크(FMM, Fine Metal Mask) 사업에 대한 200억원 규모 신규 시설 투자를 이사회에서 결정했다고 17일 공시했다. 투자기간 종료일은 올해 8월말까지다. 상세 투자 계획과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APS홀딩스는 "FMM 레이저 장비 추가 입고 외 생산 라인에 필요한 제반 시설이 포함된 것으로 국내 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와의 협업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사업 진척 상황에 따라 추가 투자 역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했다.김치우 APS홀딩스 기술총괄 사장은 "자체 사업인 FMM은 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1ZoK17
<�자막 원문>한: 오늘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필름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기종 기자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이: 안녕하세요.한: 얼마 전에 삼성전자가 신형 폴더블폰을 내놨잖아요. ‘갤럭시Z플립’이: ‘갤럭시Z플립’이라는 제품을 이번에 내놨습니다.한: 거기에 세경하이테크라는, 상장한지 얼마 안 된 회사인데. 상장하기 전에도 실력이 대단한 회사다, 삼성전자와 거래가 많고 돈독하게 거래 관계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고 해서 부품업계에서는 필름 쪽에서는 굉장히 많이 알려져 있는 회사였는데 상장했고.그렇지만 모르는 분들도 계실 수 있기 때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OWzuYE
2월 18일자 일본 전자부품 업계 동향진격의 테슬라, 일본 ESS 시장 잠식(テスラの蓄電池価格、「普及期」視野 日本に変革迫る) | 니혼게이자이테슬라가 공격적인 가격으로 일본 ESS 시장 공략에 나섰다고 합니다. 13.5kW 용량에 99만엔 정도인데 일본 국내 업체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있다네요. 동일본 대지진 이후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지원 등이 겹치면서 ESS 시장이 급성장했습니다. 지난해 태풍이 연이어 지나갔을 때 전기차를 이용한 응급 지원 시스템이 재미를 봤지요. ESS도 같은 개념이라 전망이 밝습니다. 테슬라의 대량 생산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P3nQeD
2월 18일자 영어권 전자부품 업계 동향"삼성 갤럭시Z플립 커버윈도, 진짜 유리 아니다"(Samsung Galaxy Z Flip screen stumbles in durability tests) | 시넷[유튜브] "삼성 갤럭시Z플립 내구성 테스트...가짜 유리?"(Samsung Galaxy Z Flip Durability Test – Fake Folding Glass?!) | 잭 넬슨 유튜브유명 유튜버 잭 넬슨(Zack Nelson)이 갤럭시Z플립 디스플레이 커버윈도를 테스트한 끝에 '가짜 유리' 같다고 결론 내렸습니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2SzE4yk
전자부품 전문 유통업체 마우저일렉트로닉스는 노르딕세미컨덕터의 다중 프로토콜 시스템온칩(SoC) nRF52833를 판매 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노르딕 nRF52833은 블루투스 5.1, IEEE 802.15.4, 지그비 및 독자 2.4GHz 프로코톨을 지원한다. 방향 인식 기술이 탑재됐다. 작동 온도 범위는 산업용 제품 규격에 맞춰졌다. 저전력 블루투스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동시 지원한해 조명, 자산추적, 스마트홈 기기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64MHz 속도로 동작하는 ARM 코어텍스-M4 코어에 부동소수점유닛(F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38CAic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