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3K photos
513 videos
472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시그널랩 실적속보] 케이카 (381970)
2025 1Q 개별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2000040

● 매출액: 6,047억원
- YoY: +0.0%
- QoQ: +14.4%
- 컨센대비: -3.6%

● 영업이익: 215억원
- YoY: +21.8%
- QoQ: +40.5%
- 컨센대비: +7.9%

● 당기순이익: 144억원
- YoY: +22.5%
- QoQ: +54.6%
- 컨센대비: +9.8%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양 시장 상승 출발했지만, 매물 출회하며 KOSPI는 상승폭 반납, KOSDAQ은 하락 전환하였습니다. 주말 사이 있었던 미중 협상과 관련한 기대감과 함께 오늘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미중 공동성명에 대한 경계심이 동시에 작용한 모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가 다수인 가운데, 우크라이나 재건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이 15일 튀르키예에서 직접 만나 평화회담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휴전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9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클래시스 (21415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2000140

● 매출액: 771억원
- YoY: +53.1%
- QoQ: +3.6%
- 컨센대비: +3.8%

● 영업이익: 388억원
- YoY: +46.3%
- QoQ: +8.3%
- 컨센대비: +7.7%

● 당기순이익: 297억원
- YoY: +13.9%
- QoQ: +4.7%
- 컨센대비: -1.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 우리 증시는 지난 4월 초 저점을 기록한 이후 한 달 넘게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하는 국면인 점이 모멘텀의 주 재료로 작용하는 상황인데, 앞으로 미중 협상 기대감도 존재하는 만큼 상승 모멘텀이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장 모멘텀이 유지될 경우, 개별종목 차원에서도 최근 모멘텀을 유지하는 종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오늘은 어떤 종목이 모멘텀이 살아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시그널종목] 모멘텀 포착주 (매수/국내주식) - 2025/05/12
https://naver.me/5asmFCWf
[시그널랩 실적속보] SK텔레콤 (01767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2000156

● 매출액: 4조 4,537억원
- YoY: -0.5%
- QoQ: -1.3%
- 컨센대비: -1.3%

● 영업이익: 5,674억원
- YoY: +13.8%
- QoQ: +123.3%
- 컨센대비: +6.1%

● 당기순이익: 3,616억원
- YoY: -0.1%
- QoQ: -8.4%
- 컨센대비: +4.7%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지난주 금요일에 있었던 연준 위원들의 발언 내용입니다. 다섯 명의 연준 위원 중 일부는 다소 원론적인 이야기를 했지만, 일부는 관세 및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마이클 바 연준 이사의 경우 관세 우려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특히 관세 인상이 글로벌 공급망에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인플레에 지속적인 상승 압력을 가할 우려가 크다고 언급했습니다. 다만, 현재 미국의 경제는 양호한 상태이며, 현재 통화정책 위치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서 시장의 불안을 동시에 달랜 점도 특징적인 부분이었습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관세 관련 내용을 언급한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관세와 관련하여 기업들이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일은 아니며, 소비자들의 인내심도 한계에 도달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관세 영향이 장기화되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경우 소비 둔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 발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바 이사와 마찬가지로 현재 미국 경제가 양호한 상태이며, 소비 지출과 기업 투자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는데, 이 부분은 시장의 불안을 달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경제에 불확실성이 퍼져 잇고, 올해 초 예상했던 것보다 불확실성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방향성이 불확실한 상태에서는 통화정책을 조정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면서 현재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성을 언급한 점이 특징이었습니다.

그외에 아드라이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노동시장과 관련한 이야기를,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중앙은행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해당 내용들은 원론적인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