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가켐바이오 IR/PR 공식 채널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40557
기사 제목만 보시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으신거 같아 말씀드립니다.
기사 제목에서 언급된 2,600억원은 LCB84(TROP2-ADC)의 얀센 옵션 행사 시 수령 가능한 금액 2억달러의 공시 시점(2023년 12월) 당시 환율을 적용한 원화 금액입니다.
제목에서 "3개 파이프라인서 수익"이라는 내용과 2,600억원을 연관 지어 당사의 올해 예상 기술료 수익이 2,600억원이고, 2025년 별도 기술이전은 부재할 것이라는 오해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만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2,600억원은 얀센의 옵션 행사 시 수령 가능한 금액 2억달러만을 의미하며(현재 진행 중인 임상 1/2상 진행 속도 및 결과에 따라 행사 시점은 얀센이 결정할 예정입니다), 그 외 기사 본문에서 언급된 2개 파이프라인(브릿지바이오에 기술이전된 BBT-877, Ono에 기술이전된 LCB97) 금액은 본문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고, 당사에서도 별도로 수치상 가이던스를 말씀드리지 않는 내용입니다.
그 외에도 지속적으로 시장에 소통드린 바와 같이 당사는 추가 기술이전을 위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5년에도 성과를 시장에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기술이전 파트너사들의 3자 기술이전도 빠르면 연내 가시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다수의 임상/전임상 결과 발표도 예정된 만큼 연중 다양한 파이프라인들에서의 성과 확인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불필요한 오해 없으시기 바라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당사에서는 기술이전 예상 시점을 특정해서 말씀드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계약이 '지연'됐다는 내용의 소문에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기사 제목에서 언급된 2,600억원은 LCB84(TROP2-ADC)의 얀센 옵션 행사 시 수령 가능한 금액 2억달러의 공시 시점(2023년 12월) 당시 환율을 적용한 원화 금액입니다.
제목에서 "3개 파이프라인서 수익"이라는 내용과 2,600억원을 연관 지어 당사의 올해 예상 기술료 수익이 2,600억원이고, 2025년 별도 기술이전은 부재할 것이라는 오해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만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2,600억원은 얀센의 옵션 행사 시 수령 가능한 금액 2억달러만을 의미하며(현재 진행 중인 임상 1/2상 진행 속도 및 결과에 따라 행사 시점은 얀센이 결정할 예정입니다), 그 외 기사 본문에서 언급된 2개 파이프라인(브릿지바이오에 기술이전된 BBT-877, Ono에 기술이전된 LCB97) 금액은 본문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고, 당사에서도 별도로 수치상 가이던스를 말씀드리지 않는 내용입니다.
그 외에도 지속적으로 시장에 소통드린 바와 같이 당사는 추가 기술이전을 위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5년에도 성과를 시장에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기술이전 파트너사들의 3자 기술이전도 빠르면 연내 가시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다수의 임상/전임상 결과 발표도 예정된 만큼 연중 다양한 파이프라인들에서의 성과 확인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불필요한 오해 없으시기 바라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당사에서는 기술이전 예상 시점을 특정해서 말씀드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계약이 '지연'됐다는 내용의 소문에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2.13 13:46:43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4조 2,724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계약상대방
: 주식회사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한국)
: 2022년 설립
2.계약의 주요내용
-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도입항체: 비공개 타겟 항체 (폐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 발현되는 항원단백질을 표적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02월 13일
4) 계약기간
- 계약일로부터 로열티 기간 만료일까지
5)계약금액
a. Upfront : 계약체결후 30일이내 지급
b. Milestone : 각 마일스톤 달성시점의 30일이내 지급
(임상/허가 및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로 지급하는 마일스톤)
c. Royalty 별도
=> 상기 금액은 계약서 비공개 조항에 따라 비공개됨.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90033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4조 2,724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계약상대방
: 주식회사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한국)
: 2022년 설립
2.계약의 주요내용
-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도입항체: 비공개 타겟 항체 (폐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 발현되는 항원단백질을 표적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02월 13일
4) 계약기간
- 계약일로부터 로열티 기간 만료일까지
5)계약금액
a. Upfront : 계약체결후 30일이내 지급
b. Milestone : 각 마일스톤 달성시점의 30일이내 지급
(임상/허가 및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로 지급하는 마일스톤)
c. Royalty 별도
=> 상기 금액은 계약서 비공개 조항에 따라 비공개됨.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390033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리가켐바이오,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와 항암 타겟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 높은 적응증 대상 ADC 개발 예정
- 글로벌 빅파마 수요 높은 타겟, 항체 및 ADC 플랫폼 차별성 기반 ‘Best-in-Class’ 가능성 확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13일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다안바이오’)와 ADC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항암 타겟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리가켐바이오는 해당 항체에 대한 ADC 개발에 대한 글로벌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는 선급금,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그리고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가 포함돼 있으며, 세부 계약내용은 영업상 비밀유지를 위해 비공개된다.
이번에 도입된 항체 타겟은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다양한 고형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해당 타겟대상 상용화된 ADC는 없으나,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해당 타겟 신약 개발에 관심이 높다. 다수의 임상 파이프라인들을 통해 임상적으로 차별성이 검증된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과 다안바이오의 차별화된 항체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해당 타겟 ADC 시장 내에서 ‘Best-in-Class’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리가켐바이오는 VISION 2030 조기달성 전략에 따라 매년 3~5개의 신규 ADC 후보물질을 확보, 이를 신속하게 임상 단계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기술도입 계약 역시 이러한 신규 후보물질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해당 항체를 기반으로 한 ADC의 신속한 임상 진입 및 지속적인 신규 후보물질 확보에 집중할 예정이다.
리가켐바이오 김용주 대표이사는 “폐암 신약 분야에서 독보적인 임상 경험과 항체 개발 역량을 보유한 다안바이오의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VISION 2030 조기달성 전략에 따라 이번 계약을 비롯해 지속적인 신규 ADC 후보물질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며, 이미 다수의 임상 프로그램들을 통해 입증된 우수한 ADC 플랫폼을 바탕으로 시장 내 차별화된 ADC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 조병철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은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의 항체 기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이번 계약의 의의를 강조했다. 이어 “이번 계약과는 별도로,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는 독자적인 TACTIC (Tumor targeting conditionally activated T cell engager) 기반 기술을 이용해 고형암 타겟 T 세포 인게이저 및 T 세포 수용체 기반 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주자가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 높은 적응증 대상 ADC 개발 예정
- 글로벌 빅파마 수요 높은 타겟, 항체 및 ADC 플랫폼 차별성 기반 ‘Best-in-Class’ 가능성 확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13일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다안바이오’)와 ADC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항암 타겟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리가켐바이오는 해당 항체에 대한 ADC 개발에 대한 글로벌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는 선급금,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그리고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가 포함돼 있으며, 세부 계약내용은 영업상 비밀유지를 위해 비공개된다.
이번에 도입된 항체 타겟은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다양한 고형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해당 타겟대상 상용화된 ADC는 없으나,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해당 타겟 신약 개발에 관심이 높다. 다수의 임상 파이프라인들을 통해 임상적으로 차별성이 검증된 리가켐바이오의 ADC 플랫폼과 다안바이오의 차별화된 항체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해당 타겟 ADC 시장 내에서 ‘Best-in-Class’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리가켐바이오는 VISION 2030 조기달성 전략에 따라 매년 3~5개의 신규 ADC 후보물질을 확보, 이를 신속하게 임상 단계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기술도입 계약 역시 이러한 신규 후보물질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해당 항체를 기반으로 한 ADC의 신속한 임상 진입 및 지속적인 신규 후보물질 확보에 집중할 예정이다.
리가켐바이오 김용주 대표이사는 “폐암 신약 분야에서 독보적인 임상 경험과 항체 개발 역량을 보유한 다안바이오의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VISION 2030 조기달성 전략에 따라 이번 계약을 비롯해 지속적인 신규 ADC 후보물질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며, 이미 다수의 임상 프로그램들을 통해 입증된 우수한 ADC 플랫폼을 바탕으로 시장 내 차별화된 ADC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 조병철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은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의 항체 기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이번 계약의 의의를 강조했다. 이어 “이번 계약과는 별도로,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는 독자적인 TACTIC (Tumor targeting conditionally activated T cell engager) 기반 기술을 이용해 고형암 타겟 T 세포 인게이저 및 T 세포 수용체 기반 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주자가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리가켐바이오 IR/PR 공식 채널
리가켐바이오,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와 항암 타겟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 높은 적응증 대상 ADC 개발 예정 - 글로벌 빅파마 수요 높은 타겟, 항체 및 ADC 플랫폼 차별성 기반 ‘Best-in-Class’ 가능성 확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13일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다안바이오’)와 ADC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항암 타겟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참고로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는 국산 항암신약 ‘렉라자(성분 레이저티닙)’ 개발의 주역 중 한 명이자 폐암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조병철 대표가 2022년 설립한 바이오텍입니다. 이번 도입한 항체 역시 폐암, 대장암 등 다수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타겟입니다.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2.14 16:28:39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4조 3,31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335억(예상치 : -)
영업익 : -137억(예상치 : -)
순이익 : -5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335억/ -137억/ -54억
2024.3Q 304억/ 5억/ 112억
2024.2Q 308억/ -106억/ -74억
2024.1Q 311억/ 29억/ 94억
2023.4Q 92억/ -252억/ -162억
* 변동요인
- 신약개발부문 기술이전 매출액 증가 : 기술이전 계약 선수금의 매출인식 및 연구개발단계 진척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90107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4조 3,310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335억(예상치 : -)
영업익 : -137억(예상치 : -)
순이익 : -5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335억/ -137억/ -54억
2024.3Q 304억/ 5억/ 112억
2024.2Q 308억/ -106억/ -74억
2024.1Q 311억/ 29억/ 94억
2023.4Q 92억/ -252억/ -162억
* 변동요인
- 신약개발부문 기술이전 매출액 증가 : 기술이전 계약 선수금의 매출인식 및 연구개발단계 진척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90107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 2024년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 달성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당사의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공시가 발표됐습니다.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14일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25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8.7% 증가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20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적자 폭이 599억원 축소됐으며, 당기순이익은 7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당기순이익은 2019년 첫 흑자 달성 이후 5년만의 흑자전환이다.
2023년 12월 얀센과의 TROP2-ADC ‘LCB84’ 기술이전 당시 수령한 계약금의 기간인식 매출 반영, 2024년 10월 오노약품과의 패키지 기술이전에 따른 계약금 기간인식 매출 및 1차 단기 마일스톤이 반영됨에 따라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의 영향으로 연구개발비가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은 적자를 지속했으나, 계약금 및 마일스톤 매출 증가를 바탕으로 영업적자는 큰 폭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사상 최대 매출액 달성 및 보유현금에 대한 이자수익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2019년 이후 첫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리가켐바이오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박세진 사장은 “올해도 다수의 파트너사들과 논의 중인 신규 ADC 기술이전들을 통한 계약금 수령이 기대된다”고 전하며, “기존 기술이전 파이프라인들의 개발이 진척됨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및 제3자 기술이전에 따른 수익배분 등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당사의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공시가 발표됐습니다.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14일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25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8.7% 증가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20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적자 폭이 599억원 축소됐으며, 당기순이익은 7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당기순이익은 2019년 첫 흑자 달성 이후 5년만의 흑자전환이다.
2023년 12월 얀센과의 TROP2-ADC ‘LCB84’ 기술이전 당시 수령한 계약금의 기간인식 매출 반영, 2024년 10월 오노약품과의 패키지 기술이전에 따른 계약금 기간인식 매출 및 1차 단기 마일스톤이 반영됨에 따라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의 영향으로 연구개발비가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은 적자를 지속했으나, 계약금 및 마일스톤 매출 증가를 바탕으로 영업적자는 큰 폭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사상 최대 매출액 달성 및 보유현금에 대한 이자수익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2019년 이후 첫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리가켐바이오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박세진 사장은 “올해도 다수의 파트너사들과 논의 중인 신규 ADC 기술이전들을 통한 계약금 수령이 기대된다”고 전하며, “기존 기술이전 파이프라인들의 개발이 진척됨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및 제3자 기술이전에 따른 수익배분 등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감사합니다.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radiance-rolls-ror1-race-paying-15m-adc-rival-mercks-frontrunner
중국 CSPC Megalith Biopharmaceutical, 미국 소재 바이오텍인 Radiance Biopharma에 ROR1-ADC 기술이전 계약 체결 발표(계약금 1,500만달러, 계약총액 11.65억달러 규모).
최근 중국 임상 1상 IND 승인 받은 단계에서도 1조원이 넘는 규모의 기술이전을 체결했습니다. 당사의 ROR1-ADC ‘CS5001(LCB71)’ 파트너사인 CStone 역시 연내 3자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는 만큼 현재 임상 중인 ROR1-ADC 중에서 가장 좋은 임상 결과를 발표한 바 있고, 임상 1b상 진행 중인 CS5001의 계약규모도 관심있게 지켜봐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Stone이 3자 기술이전할 경우 당사는 합의된 비율에 따라 수익배분을 받게 됩니다.
중국 CSPC Megalith Biopharmaceutical, 미국 소재 바이오텍인 Radiance Biopharma에 ROR1-ADC 기술이전 계약 체결 발표(계약금 1,500만달러, 계약총액 11.65억달러 규모).
최근 중국 임상 1상 IND 승인 받은 단계에서도 1조원이 넘는 규모의 기술이전을 체결했습니다. 당사의 ROR1-ADC ‘CS5001(LCB71)’ 파트너사인 CStone 역시 연내 3자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는 만큼 현재 임상 중인 ROR1-ADC 중에서 가장 좋은 임상 결과를 발표한 바 있고, 임상 1b상 진행 중인 CS5001의 계약규모도 관심있게 지켜봐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Stone이 3자 기술이전할 경우 당사는 합의된 비율에 따라 수익배분을 받게 됩니다.
Fierce Biotech
Radiance rolls into ROR1 race, paying $15M for ADC rival to Merck’s frontrunner
Radiance Biopharma is heating up the ROR1 race. The U.S. | Radiance Biopharma is heating up the ROR1 race. The U.S. biotech is paying China’s CSPC Megalith Biopharmaceutical $15 million upfront for rights to an antibody-drug conjugate, securing itself a shot…
당사 ROR1 ADC 'CS5001' 파트너사 CStone은 CS5001 임상 1b상 기대감 및 제3자 기술이전 기대감으로 신고가 경신중입니다.
CStone에서는 연내 CS5001 제3자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최근 JPM HC Conference에서도 미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 우시 XDC(WuXi XDC)와 ADC개발 가속화를 위한 확장MOU 체결
- 리가켐바이오의 초기 ADC 연구과제 개발 가속화 목표 협력분야 확장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26일 우시 XDC(WuXi XDC)와 차세대 ADC 치료제 개발을 위한 확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2021년 체결했던 기존 임상시료생산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까지 협력분야를 확대한 것으로, 리가켐바이오의 차세대 ADC 치료제 개발 가속화가 목적이다.
이번 협력은 리가켐바이오의 ADC플랫폼이 적용된 개발파이프라인 조기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내부연구와 동시에 우시 XDC의 연구인력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개발후보 발굴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가켐바이오는 VISION 2030 조기달성을 통해 매년 5개 전후의 개발후보물질을 발굴한다는 목표로 국내 및 해외 CRO들과도 신규항체 발굴 계약을 체결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리가켐바이오 김용주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에 대해 “오랜 기간 파트너십을 유지해 온 우시 XDC와의 협력을 강화하게 돼 기쁘다”며 “그 동안 3년여가 걸렸던 후보물질 발굴기간을 이번 협력을 통해 1년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ADC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임상파이프라인 확보가 가장 중요한 바, 시간과의 전쟁을 한다는 각오로 신속하게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시 XDC 지미 리(Jimmy Li) 대표이사는 “이번 리가켐바이오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양사의 오랜 기간 이어져온 파트너십을 더욱 굳건하게 할 것으로 믿는다”며 “우시 XDC의 연구, 개발, 제조로 이어지는 원스톱 서비스를 활용해 리가켐바이오의 차세대 ADC 후보물질들이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리가켐바이오의 초기 ADC 연구과제 개발 가속화 목표 협력분야 확장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2월 26일 우시 XDC(WuXi XDC)와 차세대 ADC 치료제 개발을 위한 확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2021년 체결했던 기존 임상시료생산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까지 협력분야를 확대한 것으로, 리가켐바이오의 차세대 ADC 치료제 개발 가속화가 목적이다.
이번 협력은 리가켐바이오의 ADC플랫폼이 적용된 개발파이프라인 조기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내부연구와 동시에 우시 XDC의 연구인력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개발후보 발굴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가켐바이오는 VISION 2030 조기달성을 통해 매년 5개 전후의 개발후보물질을 발굴한다는 목표로 국내 및 해외 CRO들과도 신규항체 발굴 계약을 체결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리가켐바이오 김용주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에 대해 “오랜 기간 파트너십을 유지해 온 우시 XDC와의 협력을 강화하게 돼 기쁘다”며 “그 동안 3년여가 걸렸던 후보물질 발굴기간을 이번 협력을 통해 1년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ADC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임상파이프라인 확보가 가장 중요한 바, 시간과의 전쟁을 한다는 각오로 신속하게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시 XDC 지미 리(Jimmy Li) 대표이사는 “이번 리가켐바이오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양사의 오랜 기간 이어져온 파트너십을 더욱 굳건하게 할 것으로 믿는다”며 “우시 XDC의 연구, 개발, 제조로 이어지는 원스톱 서비스를 활용해 리가켐바이오의 차세대 ADC 후보물질들이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CStone Submits Clinical Trial Application in Australia for CS5001 (ROR1 ADC) in Combination with First-Line Standard-of-Care for DLBCL
https://www.cstonepharma.com/en/html/news/3783.html
https://www.cstonepharma.com/en/html/news/3783.html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에이비엘바이오 ROR1- ADC 파트너사 시스톤, DLBCL 1차 치료 병용 임상시험신청서 제출
- ‘CS5001+R-CHOP’ 병용 임상 1b상을 통해 DLBCL 1차 치료제로 확장 목표
- 단독 및 병용요법으로 혈액암, 고형암 임상 1b상 진행 중, 향후 허가 위한 임상 2상으로 확대 예정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3월 6일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개발한 ROR1-ADC ‘CS5001’ 파트너사인 시스톤 파마슈티컬스(CStone Pharmaceuticals, 이하 시스톤)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이하 ‘DLBCL’) 1차 치료제 병용 임상을 위한 임상시험신청서(Clinical Trial Application, CTA)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신청서는 지난해 12월 미국혈액암학회(ASH)에서 발표된 악성(aggressive) 및 지연성(indolent) 림프종 환자 대상 긍정적인 임상 1a상 결과를 바탕으로 DLBCL 치료 전 주기 및 고형암으로의 치료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출됐다. 이번 임상시험신청을 통해 아래 4개의 임상프로그램이 추가될 예정이다.
- CS5001 + R-CHOP: 사전 치료 경험이 없는 DLBCL 1차 치료 목적
- CS5001 + SoC: 재발성 및 불응성 DLBCL 환자 대상
- CS5001 단독요법: ROR1 발현 고형암 환자 대상
- CS5001 + Sugemalimab(PD-L1 저해제): 진행성 고형암 대상 병용요법
CS5001은 10개의 용량군(dose level, DL)을 대상으로 진행된 용량증대(dose escalation) 임상 1a상을 통해 B세포 림프종(B-cell lymphoma) 및 고형암(solid tumor) 환자들에게서 우수한 내약성과 용량제한독성(DLT)이 관찰되지 않았다. 임상 1a상에서 도출된 잠정적인 임상 2상 권장용량(RP2D)인 DL8(125μg/kg)에서 CS5001은 진행성 B세포 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완전관해(CR) 4명, 부분관해(PR) 6명으로 76.9%의 ORR을 달성했으며,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에서는 완전관해 2명, 부분관해 1명으로 100%의 ORR을 달성했다. 그 외에도 비소세포폐암(NSCLC), 췌장암 등 다양한 진행성 고형암을 대상으로도 고무적인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ROR1-ADC 경쟁약물 ‘질로버타맙 베도틴(Zilovertamab Vedotin, 이하 ZV)’는 최근 DLBCL 1차 치료제 세팅으로 진행된 ‘ZV+R-CHP’ 병용요법 임상 2상 결과를 발표, 고무적인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 CR) 비율을 공개한 바 있다. ‘R-CHP’는 ‘리툭산 (Rituxan, rituximab)’+’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독소루비신(doxorubicin)’+’프레드니손(prednisone)’의 화학병용요법을 의미하며, 여기에 ‘빈크리스틴(vincristine)’을 추가한 R-CHOP은 현재 미국 내 DLBLC의 1차치료제 표준요법으로 처방된다. 현재 ZV는 DLBCL 1차 치료제 승인을 위한 ‘ZV+R-CHP’ 병용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시스톤은 임상 1a상에서 확인된 ZV 대비 단독요법에서의 우월한 효능 및 안전성 결과를 바탕으로 ZV가 집중하는 DLBCL 1차 치료세팅 뿐만 아니라 DLBCL 전 주기 및 고형암까지 확장해서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CS5001은 현재 미국, 호주, 중국에서 다수의 악성 및 지연성 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단독요법 임상 1b상을 진행 중이며, 허가를 위한 임상 2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임상시험신청서를 제출한 DLBCL 1차 치료 병용 임상을 포함한 다수의 고형암 단독 및 병용 임상 코호트 역시 조만간 개시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임상 1b상은 경쟁약물 포함 ROR1-ADC 및 PBD계열 페이로드가 적용된 ADC중 최초로 고형암을 대상으로 효능이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D-L1 저해제와의 병용요법으로 고형암에서의 허가시점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 ‘CS5001+R-CHOP’ 병용 임상 1b상을 통해 DLBCL 1차 치료제로 확장 목표
- 단독 및 병용요법으로 혈액암, 고형암 임상 1b상 진행 중, 향후 허가 위한 임상 2상으로 확대 예정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3월 6일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개발한 ROR1-ADC ‘CS5001’ 파트너사인 시스톤 파마슈티컬스(CStone Pharmaceuticals, 이하 시스톤)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이하 ‘DLBCL’) 1차 치료제 병용 임상을 위한 임상시험신청서(Clinical Trial Application, CTA)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신청서는 지난해 12월 미국혈액암학회(ASH)에서 발표된 악성(aggressive) 및 지연성(indolent) 림프종 환자 대상 긍정적인 임상 1a상 결과를 바탕으로 DLBCL 치료 전 주기 및 고형암으로의 치료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출됐다. 이번 임상시험신청을 통해 아래 4개의 임상프로그램이 추가될 예정이다.
- CS5001 + R-CHOP: 사전 치료 경험이 없는 DLBCL 1차 치료 목적
- CS5001 + SoC: 재발성 및 불응성 DLBCL 환자 대상
- CS5001 단독요법: ROR1 발현 고형암 환자 대상
- CS5001 + Sugemalimab(PD-L1 저해제): 진행성 고형암 대상 병용요법
CS5001은 10개의 용량군(dose level, DL)을 대상으로 진행된 용량증대(dose escalation) 임상 1a상을 통해 B세포 림프종(B-cell lymphoma) 및 고형암(solid tumor) 환자들에게서 우수한 내약성과 용량제한독성(DLT)이 관찰되지 않았다. 임상 1a상에서 도출된 잠정적인 임상 2상 권장용량(RP2D)인 DL8(125μg/kg)에서 CS5001은 진행성 B세포 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완전관해(CR) 4명, 부분관해(PR) 6명으로 76.9%의 ORR을 달성했으며,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에서는 완전관해 2명, 부분관해 1명으로 100%의 ORR을 달성했다. 그 외에도 비소세포폐암(NSCLC), 췌장암 등 다양한 진행성 고형암을 대상으로도 고무적인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ROR1-ADC 경쟁약물 ‘질로버타맙 베도틴(Zilovertamab Vedotin, 이하 ZV)’는 최근 DLBCL 1차 치료제 세팅으로 진행된 ‘ZV+R-CHP’ 병용요법 임상 2상 결과를 발표, 고무적인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 CR) 비율을 공개한 바 있다. ‘R-CHP’는 ‘리툭산 (Rituxan, rituximab)’+’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독소루비신(doxorubicin)’+’프레드니손(prednisone)’의 화학병용요법을 의미하며, 여기에 ‘빈크리스틴(vincristine)’을 추가한 R-CHOP은 현재 미국 내 DLBLC의 1차치료제 표준요법으로 처방된다. 현재 ZV는 DLBCL 1차 치료제 승인을 위한 ‘ZV+R-CHP’ 병용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시스톤은 임상 1a상에서 확인된 ZV 대비 단독요법에서의 우월한 효능 및 안전성 결과를 바탕으로 ZV가 집중하는 DLBCL 1차 치료세팅 뿐만 아니라 DLBCL 전 주기 및 고형암까지 확장해서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CS5001은 현재 미국, 호주, 중국에서 다수의 악성 및 지연성 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단독요법 임상 1b상을 진행 중이며, 허가를 위한 임상 2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임상시험신청서를 제출한 DLBCL 1차 치료 병용 임상을 포함한 다수의 고형암 단독 및 병용 임상 코호트 역시 조만간 개시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임상 1b상은 경쟁약물 포함 ROR1-ADC 및 PBD계열 페이로드가 적용된 ADC중 최초로 고형암을 대상으로 효능이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PD-L1 저해제와의 병용요법으로 고형암에서의 허가시점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3/20-22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ESMO Sarcoma and Rare Disease" 학회에서 당사의 ADC Platform "ConjuALL"이 적용된 SOTIO사의 SOT106 전임상 포스터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3/21). SOT106은 당사가 2021년 11월 SOTIO에 ADC 플랫폼 기술이전(계약총액 1.2조원)에 따라 도출된 첫 후보물질입니다.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5.03.14 09:46:06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8,368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LCB97'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제목 : 'LCB97'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 주요내용
1)오노 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 CO., LTD.)에 기술 수출한 'LCB97(L1CAM-ADC)의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2)수령금액 : 비공개
3)단기 마일스톤 기술료의 금액은 당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3년 매출액 34,145,640,069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490011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8,368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LCB97'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제목 : 'LCB97'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 주요내용
1)오노 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 CO., LTD.)에 기술 수출한 'LCB97(L1CAM-ADC)의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 수령
2)수령금액 : 비공개
3)단기 마일스톤 기술료의 금액은 당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3년 매출액 34,145,640,069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490011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오노 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으로부터 단기 마일스톤 수령을 공시했습니다. 2024년 10월 오노 약품공업과의 패키지 기술이전 중 L1CAM-ADC 'LCB97' 기술이전에 따른 단기 마일스톤 수령입니다. 2024년 12월 첫 번째 단기 마일스톤에 이어 3개월 만에 두 번째 단기 마일스톤을 수령했습니다. 오노 약품공업과 기술이전 당시 말씀드렸던 약 1년 내 수령 가능한 단기 마일스톤들은 예정대로 조건을 충족함에 따라 수령 중입니다. 기술이전 당시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은 비공개였던 관계로 이번 마일스톤 수령 금액 역시 미공개이나, 2023년 당사 연결기준 매출액(341억원)의 10% 이상에 해당되는 금액으로 의무공시에 해당됩니다. 올해 1분기 실적에 해당 마일스톤 수령 금액은 반영될 예정으로 대략적인 규모를 유추하실 수 있는 수준의 유의미한 규모라는 점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잔여 단기 마일스톤들 역시 올해 추가적으로 반영될 예정으로 수령 시점에 공시를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매출액을 2024년이라고 잘못 표기했습니다. 혼동드려 죄송합니다.
*2023년 매출액을 2024년이라고 잘못 표기했습니다. 혼동드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