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N Station 시즌 3 참여하기
1️⃣ TON Station이란?
• SIDUS HEROES와 SuperVerse가 만든 Web3 게임 플랫폼으로, 하나의 앱 안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게임, 커뮤니티 기능, 토큰 기반 리워드를 통합 제공 함
2️⃣시즌 3 요약 + 참여법
• 게임 지출 25% → 활동 유저에게 자동 분배
• 매일 PS5, 아이폰 등 추첨 보상 진행
• 파트너 게임 플레이 시 추가 보너스 제공
3️⃣ 최근 중요 흐름
• 누적 유저 2,100만+ / 깜짝 드롭 57만명 대상
• 시즌 2회 성공 완료 / TON 5만 개 이상 온체인 배포
• 일본어/한국어/중국어 지원 + 아시아 커뮤니티 확대
• 50개 파트너십 체결 + 추천 시스템 강화
4️⃣ 향후 포인트
• NFT/SBT → 플레이어 자산 소유 강화
• DeFi 연동으로 보상 유연성 확대
• 지역 캠페인 + 파트너 연계 마케팅 본격화
• Web3 게임 + 보상 플랫폼으로 포지셔닝 강화
🔥시즌3 참여하기🔥
➡️ 링크
📌 COMMENT
이번 시즌 3는 유저 활동 기반 보상 구조로 실질적 분배를 하는 시즌입니다. 온체인 지표와 아시아 커뮤니티 확장 흐름도 좋은 상태라, 참여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참고 링크
https://tonstation.io
https://t.me/tonstation
https://sidusheroes.com / https://superverse.games
#KOL
1️⃣ TON Station이란?
• SIDUS HEROES와 SuperVerse가 만든 Web3 게임 플랫폼으로, 하나의 앱 안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게임, 커뮤니티 기능, 토큰 기반 리워드를 통합 제공 함
2️⃣시즌 3 요약 + 참여법
• 게임 지출 25% → 활동 유저에게 자동 분배
• 매일 PS5, 아이폰 등 추첨 보상 진행
• 파트너 게임 플레이 시 추가 보너스 제공
3️⃣ 최근 중요 흐름
• 누적 유저 2,100만+ / 깜짝 드롭 57만명 대상
• 시즌 2회 성공 완료 / TON 5만 개 이상 온체인 배포
• 일본어/한국어/중국어 지원 + 아시아 커뮤니티 확대
• 50개 파트너십 체결 + 추천 시스템 강화
4️⃣ 향후 포인트
• NFT/SBT → 플레이어 자산 소유 강화
• DeFi 연동으로 보상 유연성 확대
• 지역 캠페인 + 파트너 연계 마케팅 본격화
• Web3 게임 + 보상 플랫폼으로 포지셔닝 강화
🔥시즌3 참여하기🔥
📌 COMMENT
이번 시즌 3는 유저 활동 기반 보상 구조로 실질적 분배를 하는 시즌입니다. 온체인 지표와 아시아 커뮤니티 확장 흐름도 좋은 상태라, 참여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참고 링크
https://tonstation.io
https://t.me/tonstation
https://sidusheroes.com / https://superverse.games
#KOL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
1. 트럼프는 왜 가상자산 수도를 꿈꾸나…‘프로젝트 크립토’로 보는 美 전략
News Link
미국 SEC는 '프로젝트 크립토'를 통해 금융시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환하고 가상자산의 증권성 여부를 명확히 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트럼프의 정책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규제 혁신을 통해 미국을 글로벌 가상자산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제도적 보수성에 머물러 있어, 전문가들은 '코리아 크립토 디스카운트' 고착화를 우려하며 혁신적인 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2. 골드만삭스 "스테이블코인 시장, 2027년까지 폭풍 성장 전망"
News Link
골드만삭스는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시장 확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며 수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USDC는 2027년까지 770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법제화와 거래소 내 점유율 증가에 기인합니다. 미국 재무장관 또한 스테이블코인이 글로벌 달러 사용을 촉진해 최대 2조달러 시장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3. 알트시즌 검색량 일주일 만에 50% 급락…비트코인 회복세 속 변화 감지
News Link
이번 주 전 세계적으로 알트코인에 대한 검색 관심이 급감하면서 '알트시즌' 검색량이 지난주 대비 50% 이상 하락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 강세에도 불구하고, 알트코인에 대한 시장 관심이 빠르게 식은 현상을 반영합니다. 일각에선 지난주 검색량 급등이 봇의 영향일 수 있으며, 검색량이 시장 흐름을 판단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4. 코인베이스 CEO “비트코인, 2030년까지 100만 달러 도달 가능” 전망
News Link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비트코인 가격이 2030년까지 100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해당 발언을 팟캐스트 홍보를 겸한 SNS 글을 통해 밝혔으며, 잭 도시 역시 비슷한 입장을 나타낸 바 있습니다. 두 인물 모두 비트코인의 장기적인 가치 상승 가능성에 강한 신뢰를 보이고 있습니다.
5. 가상자산 ETF 도입, 국정과제로…블록체인 지원도 법제화
News Link
이재명 정부는 가상자산 현물 ETF와 토큰증권(STO) 도입을 국정과제로 추진하며, 블록체인산업 성장을 위한 기본법 제정을 예고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고려해 관련 규율체계를 마련하고, 블록체인 특구 조성과 혁신서비스 시험 환경 조성도 함께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는 디지털 통화 시대에 선제 대응하고 지급결제 편의성과 투자자 편익을 높이겠다는 방침입니다.
6. 빅컷 기대감 꺾이자 암호화폐 급락…파월의 입 ‘주목’
News Link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최근 최고점 대비 8~10% 급락했습니다. 이는 예상보다 높은 7월 생산자물가지수 발표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경제 지표가 엇갈리는 가운데, 오는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파월 Fed 의장의 연설에 세계 금융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7.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0...공포→중립
News Link
Alternative 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6 포인트 오른 50을 기록했습니다. 투심이 개선되며 공포 단계에서 중립 단계로 전환됐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Forwarded from 졸업준비위원회🎓
이번주는 미국 잭슨홀 심포지엄이 21일부터~23일까지 진행될예정. (목~토)
이게 왜 중요하냐?☕️
전 세계 금융시장과 중앙은행이 주목하는 매우 중요한 경제 정책 회의인데,
1.미국 연준(Fed)의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임.
예: 파월 의장의 연설에서 금리 인상 또는 인하의 힌트를 주는 경우가 많음.
(더군다나 요즘 트럼프 압박이 강한데, 과연 무슨 스탠스일지)
2.세계 경제 및 금융 시장에 큰 영향
달러, 금리, 주식, 암호화폐, 부동산 등 모든 자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3.미래 경제 정책의 ‘사전 안내’ 역할
공식적인 정책 발표 전에 중앙은행의 철학과 방향성을 읽을 수 있는 기회
✍️ 잭슨홀 사례로는 2010년에 벤 버냉키 의장이 양적완화하겠다고 암시해서 시장이 폭등한적있고, 22년 파월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강력히 대응하겠다해서 증시가 폭락한바있음.
#잭슨홀 #경제일정
이게 왜 중요하냐?
전 세계 금융시장과 중앙은행이 주목하는 매우 중요한 경제 정책 회의인데,
1.미국 연준(Fed)의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임.
예: 파월 의장의 연설에서 금리 인상 또는 인하의 힌트를 주는 경우가 많음.
(더군다나 요즘 트럼프 압박이 강한데, 과연 무슨 스탠스일지)
2.세계 경제 및 금융 시장에 큰 영향
달러, 금리, 주식, 암호화폐, 부동산 등 모든 자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줌.
3.미래 경제 정책의 ‘사전 안내’ 역할
공식적인 정책 발표 전에 중앙은행의 철학과 방향성을 읽을 수 있는 기회
#잭슨홀 #경제일정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
Forwarded from 토니의 아무거나 리서치
1. BTC vs ETH 매수 주체의 차이
- BTC: MSTR 같은 기업 → 들어온 돈으로 즉시 매수, 가격 신경 안 씀 → ‘바닥’ 만들어줌
- ETH: 최근 등장한 코인 전략 비축 기업(DAT) → 전략적으로 가격 구간을 보며 매수
2. ETH 비축 기업 매수 패턴 (컵 패턴)
- 특정 구간에서 강력하게 방어 → $3,000 / $3,300~3,500 / $4,000
- 하지만 중간 구간은 비어 있음 → 리테일 투자자(특히 ETF) 자금이 메꿔줘야 상승세 유지
3. 시장 구조 변화
- ETH 매수 주체들은 실패 시 자본을 보존하며 후일을 기약 → 무조건 매수하는 구조 아님
- 이 때문에 ETF 같은 신규 자금이 들어오지 않으면 가격 급락 가능성 존재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
Forwarded from 불개미 CRYPTO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
Datagram이 Full Core Node 세일을 기념하여 커뮤니티 대상 퀴즈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번 퀴즈는 노드 세일 구조와 혜택, 운영 및 보상 방식 등 핵심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습니다. 커뮤니티에 입장한 뒤 퀴즈를 모두 풀고 제출하면 응모가 완료됩니다.
~ 2025년 8월 27일 14시(KST)까지
1. Datagram 한국 커뮤니티 입장
2. 퀴즈 풀이 (OX, 객관식 혼합) 및 제출
Datagram Full Core Node의 기능, 판매 수량 및 구매 한도, Capsule 보상 시스템 등
- 1등: Full Core Node 1개 (2명)
- 2등: Qi2 3in1 무선 충전기 (10명)
- 3등: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30명)
🎈 당첨자 발표
2025년 8월 30일
퀴즈 참여하기 ㅣ Datagram 커뮤니티 ㅣ 노드 세일 소개 페이지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
1. 코인베이스 CEO, AI 도입 거부한 직원 즉각 해고
News Link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인공지능 도구 사용을 거부한 엔지니어들을 해고하며 AI 도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는 AI 활용을 필수로 강조하며, 올해 말까지 전체 코드의 절반을 AI로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AI가 모든 것을 대체할 수 없다는 점도 인정하며, 인간의 검토와의 조화를 강조했습니다.
2. 로이터 "亞 부호, 포트폴리오 5% 암호화폐 투자"
News Link
아시아 지역 부호들이 암호화폐에 포트폴리오의 약 5%를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수요 증가와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UBS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계 패밀리 오피스의 차세대들이 암호화폐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홍콩 해시키 거래소의 거래량도 전년 대비 85% 급증했습니다. 자산 관리자들은 아시아 부호들 사이에서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관심과 구체적인 문의가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3. 이더리움 기업 보유량 176억 달러 돌파…'디지털 금고' 전략 확산
News Link
전 세계 69개 기관이 보유한 이더리움이 410만 개를 넘어서며, 이는 전체 공급량의 3.39%에 해당하는 약 176억 달러 규모입니다. 특히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는 비트코인 채굴에서 이더리움 보유로 전략을 전환해 업계 1위에 올랐습니다. 이는 암호화폐 업계가 단기 수익보다 장기 가치 축적 중심으로 전략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4. 칸예 웨스트, 암호화폐 'YZY' 출시…바이낸스 상장 후 급등
News Link
미국 래퍼 칸예 웨스트가 솔라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YZY'를 출시하고, 이를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에 상장시켰습니다. YZY는 밈코인 성격을 가지며, 자체 결제 생태계인 'YZY 머니'에서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토큰명은 그의 브랜드 'YEEZY'에서 따온 것으로, 해당 토큰은 솔라나 기반 DEX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5. 美 잭슨홀 첫날 잇단 금리인하 신중론…비트코인 11만2천달러대 후퇴
News Link
미국 잭슨홀 회의를 앞두고 연준 인사들이 금리 인하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자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화폐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은 글로벌 시장에서 11만 2460달러, 국내에서는 1억 5781만 원대로 떨어졌으며, 이더리움과 리플 등도 동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연준 총재들은 금리 인하를 위해선 결정적인 경제 지표가 필요하다고 밝혀 시장의 기대를 낮췄습니다.
6. 알트코인 시즌 지수 42...전일比 1포인트↓
News Link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보다 1 포인트 내린 42를 기록했습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됩니다.
7.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0...전일과 동일
News Link
Alternative 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과 같은 50을 기록했습니다. 중립 단계가 지속됐습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Forwarded from 코인하는 해달 정보 공유방
싸이클 투자의 대가 하워드 막스의 투자 메모 "The Calculus of Value"요약
* 하워드 막스의 투자 메모란?
워렌 버핏도 즐겨 읽는다는 시장 상황, 투자 철학, 경제 흐름에 대한 통찰을 정리해 투자자들에게 주기적으로 보내는 에세이
📌에세이 요약
📌지난 4월 메모와 달라진 점
* 막스옹의 데프콘 단계를보면 아직 한참 남은거 아냐?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상 1, 2번은 실행하지 않을 단계로 보면... 확실히 시장에 광기가 더해질수록, 내가 보유한 위험 자산이 올라갈수록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크립토 시장이 아닌 위험 자산 시장 전체를 봤을 때)
이번에는 "과거 통계상 향후 10년 S&P500의 기대수익률은 연평균 0~2%다"가 제일 눈에 띄네요
(지금은 기회를 쫓을 때가 아니라, 과열의 소용돌이 속에서 방어 태세를 강화할 때다)
👉원문 읽기
#경제
* 하워드 막스의 투자 메모란?
워렌 버핏도 즐겨 읽는다는 시장 상황, 투자 철학, 경제 흐름에 대한 통찰을 정리해 투자자들에게 주기적으로 보내는 에세이
📌에세이 요약
1️⃣ 투자에서 “가치”란 무엇인가?
- 자산의 *가치(Value)는 “펀더멘털(현금창출력, 성장 가능성, 재무 건전성, 경쟁력 등)”에서 파생됨.
- *가격(Price)은 시장 심리가 만들어낸 합의이며, 가치와는 다르게 언제든 심리에 의해 급변할 수 있음.
- 투자는 결국 “가치 대비 가격(Valuation)”의 문제임.
- 가격과 가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 투자 기회가 생기며, 이는 인간의 비이성적 심리가 반복해서 만들어냄.
2️⃣ 가격과 가치의 상호작용
- 장기적으로 가격은 가치에 수렴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심리가 좌우함.
- 따라서 저평가/고평가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음.
- “시장은 오랫동안 비이성적으로 남을 수 있다” (케인즈) → 단기 베팅보다는 장기적 균형에 주목해야 함.
연산적 규칙:
- 가격이 가치 위 → 미래 수익률은 낮음
- 가격이 가치 아래 → 미래 수익률은 높음
- 따라서 투자자는 가격/가치 괴리를 찾아내는 능력이 필수다.
3️⃣ 현재(2025년 중반) 시장 상황
- S&P 500 PER (Forward) : 23배 수준 → 과거 통계상 향후 10년 기대수익률은 연평균 0~2%에 불과.
- 4월 트럼프 고율 관세 쇼크 후 증시는 15% 급락했지만, 4월 초의 저점 이후 29% 반등 → 연중 +9%
반등 이유:
- 관세 영향이 초기보다 “덜 나쁨” (일부 완화, 유예조치)
- 기업 실적 개선 기대, 감세·지출 확대, 외국 투자 유입
- AI에 대한 기대감
- 하지만, 팬덤형 심리가 투자 흐름을 지배:
- 기업 펀더멘털보다 투자자 낙관 심리·FOMO가 중심
- 밸류에이션 고평가 수준에 더해, 투자자들이 위험을 대수롭지 않게 보는 모습 존재
4️⃣ “지표들이 보여주는 과열 신호”
- S&P 500 시총 / GDP : 사상 최고치
- S&P 500 P/S 비율 : 3.3배 → 역사상 최고
- 밸류에이션 지표 (PER, 배당수익률 대비 국채수익률) 모두 “고평가 시그널”
- Barclays ‘Equity-euphoria indicator’ : 두 배 상승 → 버블 구간 근접
- 크레딧시장 스프레드도 좁아져 → 투자자들의 “위험 허용”이 과도해짐
5️⃣ “매그니피센트 7 (Big Tech)” 효과
- S&P 500의 최근 2년 상승분(58%) 절반 이상이 Magnificent 7 (MSFT, AAPL, NVDA 등) 덕분.
- 이들의 PER ≈ 33배 → 높은 수준이지만, 독점력·성장능력 감안하면 합리적일 가능성 있음.
- 오히려 문제는 나머지 493개 종목 (PER 22배) → 역사 평균(중후반 10배대)보다 한참 비싸다는 점.
6️⃣ 왜 이런 과열이 지속되나?
- 16년간 장기 강세장이 지속되며, 새로운 세대 투자자들(35세 이하)은 진짜 “베어마켓 공포”를 경험한 적 없음.
- “TACO (Trump Always Chickens Out)” 밈처럼 투자 낙관을 정당화하는 구호가 유행.
- 심리적 낙관, FOMO(기회 상실 공포), AI 기대감, 자산 가격 효과 → 투자자들이 부정적 지표를 외면.
7️⃣ 투자자의 행동 지침 (INVESTCON )
하워드 막스가 제안한 방어 태세 단계(Investcon) : 미국 군사 대비 태세(데프콘)와 비유해 지켜야 할 대비 태세 이름
6) 신규 매수 금지
5) 공격적 자산을 줄이고 방어적 자산 확대(현 단계 권장)
4) 남은 공격적 자산도 매도
3) 방어적 자산 비중도 축소
2) 완전 현금화
1) 공매도 (비현실적, 결코 안 함)
- 지금은 INVESTCON 5 : 비싼 주식 줄이고, 방어적 채권·신용자산으로 리밸런싱 추천.
- 채권금리는 역사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지만, 절대 수익률은 주식 못지않게 충분하며, 무엇보다 주식보다 안정성 보장.
8️⃣ 결론
- 시장은 “Elevated (높음)”에서 → “Worrisome (걱정스러움)” 수준으로 변경.
- 단기적으로 조정이 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과거 사이클 논리로 본다면 위험 대비 보상(리스크-리턴)은 매력적이지 않음.
- 따라서 지금은 기회추구보다 방어적 태도 강화가 합리적.
📌지난 4월 메모와 달라진 점
[4월(「Nobody Knows Yet Again」)]
- “아무도 모른다 → 불확실성(트럼프 관세 등)에 대응해 논리적 판단으로 움직여야 한다”
- 위기·공포가 클수록 기회가 숨어 있음 (“두려운 순간이 매수 기회”)
- 메시지 = 상황은 무질서하지만 용감히 움직여야 한다는 강조
[8월(「The Calculus of Value」)]
- 단기적 공포는 이미 완화 → 증시가 오히려 과열로 반전
- 지금은 “공포 속 기회”가 아니라 “낙관 과열 속 리스크 조심”의 단계
- 메시지 = 과도한 낙관과 밸류에이션을 경계하고 방어적 포지션을 취하라
4월은 “공포 때 사라”였고, 8월은 “과열 조심해라”로 축이 이동.
* 막스옹의 데프콘 단계를보면 아직 한참 남은거 아냐?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상 1, 2번은 실행하지 않을 단계로 보면... 확실히 시장에 광기가 더해질수록, 내가 보유한 위험 자산이 올라갈수록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크립토 시장이 아닌 위험 자산 시장 전체를 봤을 때)
이번에는 "과거 통계상 향후 10년 S&P500의 기대수익률은 연평균 0~2%다"가 제일 눈에 띄네요
(지금은 기회를 쫓을 때가 아니라, 과열의 소용돌이 속에서 방어 태세를 강화할 때다)
👉원문 읽기
#경제
❤1
Forwarded from ₿.R.E.A.M
로이터: 아시아 부자들 크립토 포트폴리오 확대 중.
스위스 은행 UBS: 해외에 있는 여러 중국계 패밀리 오피스가 크립토 보유 비중을 총 자산의 약 5%로 늘릴 계획
패밀리 오피스의 2세, 3세들이 크립토에 대해 배우고 투자하기 시작
작년에는 비트코인 ETF에 소액으로 발을 담그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토큰을 직접 보유하는 차이를 배우는 중
넥스트젠 디지털 벤처: 몇 달 만에 1억 달러 이상을 모집했고, LP들의 반응도 고무적
피델리티: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점점 더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산’으로 취급하며, 주식과 채권과의 낮은 상관관계 덕분에 거시적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보는 중.
출처
스위스 은행 UBS: 해외에 있는 여러 중국계 패밀리 오피스가 크립토 보유 비중을 총 자산의 약 5%로 늘릴 계획
패밀리 오피스의 2세, 3세들이 크립토에 대해 배우고 투자하기 시작
작년에는 비트코인 ETF에 소액으로 발을 담그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토큰을 직접 보유하는 차이를 배우는 중
넥스트젠 디지털 벤처: 몇 달 만에 1억 달러 이상을 모집했고, LP들의 반응도 고무적
피델리티: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점점 더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산’으로 취급하며, 주식과 채권과의 낮은 상관관계 덕분에 거시적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보는 중.
출처
Forwarded from Trading Lab 한국 공식 채널🇰🇷
중국이 돈을 더 많이 풀수록 비트코인은 더 크게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국의 M2 통화공급량이 미국의 M2를 앞지를 때, 비트코인에는 종종 강한 상승 모멘텀이 나타났습니다. 또 다른 흥미로운 패턴은 미국 M2의 지배력이 약해질 때 비트코인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은 보통 몇 주 뒤 비트코인의 강한 상승으로 이어지곤 했습니다.
중국의 M2 통화공급량이 미국의 M2를 앞지를 때, 비트코인에는 종종 강한 상승 모멘텀이 나타났습니다. 또 다른 흥미로운 패턴은 미국 M2의 지배력이 약해질 때 비트코인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은 보통 몇 주 뒤 비트코인의 강한 상승으로 이어지곤 했습니다.
❤16
Forwarded from 텔레그램 코인 방,채널 - CEN
잭슨홀 미팅에 대한 미국 주요 IB 코멘트
👉자세히 보기
#경제
1) 골드만삭스: 파월, 7월 발언 수정하며 노동시장 하방 위험 강조. 관세는 일회성 물가 영향. 9월 금리 인하 암시 가능성, FAIT 등 2020년 정책 일부 철회 예상.
2) JP모건: 잭슨홀 영향 미미. 9월 금리 인하 여부는 고용지표(9/5)와 CPI(9/11)에 달림.
3) 도이체방크: 파월 연설, 정책 신호 중요. 2020년 평균 물가상승률 목표제 등 실패 인정, 선제적 대응 복원 예상.
👉자세히 보기
#경제
❤1
Forwarded from 취미생활방📮
1️⃣ 금리 인하 신호
👉 “조건부로 금리 인하 필요할 수 있다”는 메시지. 9월 FOMC서 25bp 인하 기대감 확대.
2️⃣ 고용시장 우려
👉 신규 고용 둔화(월 +3.5만명). 노동력 공급도 둔화, 이민 감소. “고용 리스크 커졌다” 강조.
3️⃣ 인플레이션 부담
👉 여전히 2% 목표 상회(핵심 CPI 약 3.1%). 관세로 일부 물가 압력 존재하지만 단기적일 수 있음.
4️⃣ 정치 압력 배제
👉 “데이터 기반으로만 결정한다” 재확인. 트럼프 행정부 요구와 선 긋기.
5️⃣ 중장기 프레임워크 개편
👉 중립금리 상향 가능성 언급. 최대고용 정의 업데이트: “지속 가능 고용 수준” 반영.
6️⃣ 시장 반응
👉 S&P500 +1%대 반등, 다우 상승. 채권 금리 하락, 달러 약세. 다만 이후 흐름은 데이터에 좌우.
연준, 인플레 완화 vs 고용 둔화 사이 균형 중.
단기적으로 금리 인하 기대 강화, 중장기적으로 정책 프레임워크 재정비가 핵심.
#국제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