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회가 새롭습니다. 위 글은 21년도 말에 호주 레드백 기사가 처음 나오면서 블로그에 적어놨던 글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라는 종목을 제대로 팔로우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때 시총이 약 5조 중반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금일 약 52조를 기록하며 황제주를 찍었습니다. 많은 어려움이나 소외가 있었지만 큰 그림에서의 우상향입니다.
이번 실적발표 및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느껴지는 건 천무의 엄중함, 미사일 활용방안 확대, 25년~26년 나올 거대한 계약 등 아직 갈길이 멀었다는 것입니다.
종전 내러티브 혹은 수급 등으로 주가는 다시 꺾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상향에 대한 믿음과 방향성이 있다면 그대로 가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방향성, 변곡점 등이 있을 시,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내용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컨퍼런스콜에서 언급된 주요 내용 요약입니다. 정량적인 내용 요약이니 투자판단은 각자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리포트를 통해 직/간접 도움을 주시고 있는 많은 방산 위원님들 감사드립니다.
- 2Q25 지상방산 마진 31%. 다만, 일부 개발비 및 비용 등이 하반기로 이연됨에 따른 영향. 해당 사항 고려 시 28% 수준 추정.
- 25년 K9 70문 이상(현재 약 38문), 천무 80대 이상(기존 50대에서 상향, 현재 약 51대) 가이던스 상향.
- 루마니아 보병장갑차 결정안 공개. 해당일정에 따라 입찰 참여할 것. 예상일정은 26년.
- 26년에는 이집트 물량이 드디어 크게 반영될 예정이며 호주 물량도 하반기부터 반영 시작.
- 사우디 관련해서는 빠르면 25년 내 관련 내용 공개 기대. 미국 장약 투자도 검토중이나,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공개.
- KOTRA를 통한 방산 수출은 상대방이 비공개 요청. 앞으로도 이러한 수출은 지속될 수 있음.
- 현재 수요 속도가 공급을 넘고 있어 가격 파워가 강해지는 상황.
- 환 헷지는 특별하게 그룹사 차원에서 많이 하지는 않음.
한화에어로스페이스라는 종목을 제대로 팔로우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때 시총이 약 5조 중반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금일 약 52조를 기록하며 황제주를 찍었습니다. 많은 어려움이나 소외가 있었지만 큰 그림에서의 우상향입니다.
이번 실적발표 및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느껴지는 건 천무의 엄중함, 미사일 활용방안 확대, 25년~26년 나올 거대한 계약 등 아직 갈길이 멀었다는 것입니다.
종전 내러티브 혹은 수급 등으로 주가는 다시 꺾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상향에 대한 믿음과 방향성이 있다면 그대로 가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방향성, 변곡점 등이 있을 시,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내용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컨퍼런스콜에서 언급된 주요 내용 요약입니다. 정량적인 내용 요약이니 투자판단은 각자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리포트를 통해 직/간접 도움을 주시고 있는 많은 방산 위원님들 감사드립니다.
- 2Q25 지상방산 마진 31%. 다만, 일부 개발비 및 비용 등이 하반기로 이연됨에 따른 영향. 해당 사항 고려 시 28% 수준 추정.
- 25년 K9 70문 이상(현재 약 38문), 천무 80대 이상(기존 50대에서 상향, 현재 약 51대) 가이던스 상향.
- 루마니아 보병장갑차 결정안 공개. 해당일정에 따라 입찰 참여할 것. 예상일정은 26년.
- 26년에는 이집트 물량이 드디어 크게 반영될 예정이며 호주 물량도 하반기부터 반영 시작.
- 사우디 관련해서는 빠르면 25년 내 관련 내용 공개 기대. 미국 장약 투자도 검토중이나,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공개.
- KOTRA를 통한 방산 수출은 상대방이 비공개 요청. 앞으로도 이러한 수출은 지속될 수 있음.
- 현재 수요 속도가 공급을 넘고 있어 가격 파워가 강해지는 상황.
- 환 헷지는 특별하게 그룹사 차원에서 많이 하지는 않음.
👍40🫡5
#삼양식품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삼양식품은 미국 내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관세가 기존 10%에서 15%까지 인상된 것을 고려하면 가격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삼양식품은 그동안 태스크포스(TF) 팀을 구성하고 미국 법인과 관세 부과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대응책을 논의해왔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31_0003273425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삼양식품은 미국 내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관세가 기존 10%에서 15%까지 인상된 것을 고려하면 가격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삼양식품은 그동안 태스크포스(TF) 팀을 구성하고 미국 법인과 관세 부과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대응책을 논의해왔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31_0003273425
뉴시스
[단독] K라면 美관세 15% 확정… '불닭' 삼양식품 "미국서 가격인상 불가피" 가닥
[서울=뉴시스]동효정 기자 = 한국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8조 원)를 투자하기로 하고 한국에 적용되는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다. 식품업계는 관세 인상 여파 등을 분석하며 제품 가격 인상 등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삼양식품은 미국 내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6👍5
#롤스로이스 #엔진 #SMR #항공엔진
- 훌륭한 엔진 사업부 실적과 이를 견인하는 데이터센터, 정부 수익, BESS 사업. 무려 89%의 성장. 특히 성장률을 미드틴 수준에서 투더블 디짓으로 상향.
- SMR 사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전략 제시 및 영국 정부 단독 공급자 선정.
- 민수항공 사업의 약 25% 수준의 높은 수익성과 63%의 높은 성장률. LTSA 및 AM 수익 증가.
- SMR 영국 정부 단독 공급자 및 구체적인 전략 제시.
- 기존 가이던스의 상향조정.
——————————————-
롤스로이스 실적이 엔진, SMR, 민수항공 등에서 전반적으로 잘 나오면서 9% 상승 중.
LTSA 사업의 중장기 성장성 및 수익성, 데이터센터 중심의 엔진 사업부 성장, SMR 사업 등 당양한 사업들의 엄중함이 글로벌리 보이고 있음.
- 훌륭한 엔진 사업부 실적과 이를 견인하는 데이터센터, 정부 수익, BESS 사업. 무려 89%의 성장. 특히 성장률을 미드틴 수준에서 투더블 디짓으로 상향.
- SMR 사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전략 제시 및 영국 정부 단독 공급자 선정.
- 민수항공 사업의 약 25% 수준의 높은 수익성과 63%의 높은 성장률. LTSA 및 AM 수익 증가.
- SMR 영국 정부 단독 공급자 및 구체적인 전략 제시.
- 기존 가이던스의 상향조정.
——————————————-
롤스로이스 실적이 엔진, SMR, 민수항공 등에서 전반적으로 잘 나오면서 9% 상승 중.
LTSA 사업의 중장기 성장성 및 수익성, 데이터센터 중심의 엔진 사업부 성장, SMR 사업 등 당양한 사업들의 엄중함이 글로벌리 보이고 있음.
❤🔥12
더 올라갈 욕심을 부리지 말고 안분지족하기 위해 남들까지 끌어내리는 버러지들이 하루빨리 죽길 빕니다
분릭과세 해줘도 연말에 팔아서 받을게 없어지고 진짜 대주주들은 가짜 대주주 파니까 좋아지고
???: 국민의 명령이다
분릭과세 해줘도 연말에 팔아서 받을게 없어지고 진짜 대주주들은 가짜 대주주 파니까 좋아지고
???: 국민의 명령이다
❤🔥78👍15😁6💯3
Forwarded from TNBfolio
대주주 양도소득세 하향 반대에 관한 청원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registered/3A82F1F5AB7E52D0E064ECE7A7064E8B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registered/3A82F1F5AB7E52D0E064ECE7A7064E8B
✍22
#수출데이터 8월 잠정치
- 건기식: 중국향 기준 20일까지는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우려가 있었지만 막판에 크게 나가며 ATH 경신
- 전선: 미국향 기준 ATH에 준하는 수준을 기록. 여기도 생각보다 막판 수출이 잘 나감.
- 라면: 무난하게 추세 잘 유지하면서 견조한 성장 중.
- 톡신: MoM으로 무난하게 성장 중. 역대 2~3번째 수준으로 잘 나옴.
- 필러: 20일까지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우려가 있었지만 막판에 크게 나가며 역대 2~3번째 수준으로 잘 나옴.
- CCL: 20일까지 매우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우려가 있었지만 막판에 크게 나가서 MoM 성장.
- 창상피복재: 7월 오랜만에 매우 좋은 수준으로 데이터 나옴. 좋을 때 수준 언저리.
- 전차/장갑차 등: 7월도 무난한 수출데이터를 보여주면서 연속성 있는 데이터 시현 중.
- 화장품: 폴란드향 수출이 MoM으로 빠지긴 하는데 5월에서 6월로 이연된거 감안해야 되긴 함. 그 외 유럽 일부 국가들도 굿.
- 건기식: 중국향 기준 20일까지는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우려가 있었지만 막판에 크게 나가며 ATH 경신
- 전선: 미국향 기준 ATH에 준하는 수준을 기록. 여기도 생각보다 막판 수출이 잘 나감.
- 라면: 무난하게 추세 잘 유지하면서 견조한 성장 중.
- 톡신: MoM으로 무난하게 성장 중. 역대 2~3번째 수준으로 잘 나옴.
- 필러: 20일까지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우려가 있었지만 막판에 크게 나가며 역대 2~3번째 수준으로 잘 나옴.
- CCL: 20일까지 매우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우려가 있었지만 막판에 크게 나가서 MoM 성장.
- 창상피복재: 7월 오랜만에 매우 좋은 수준으로 데이터 나옴. 좋을 때 수준 언저리.
- 전차/장갑차 등: 7월도 무난한 수출데이터를 보여주면서 연속성 있는 데이터 시현 중.
- 화장품: 폴란드향 수출이 MoM으로 빠지긴 하는데 5월에서 6월로 이연된거 감안해야 되긴 함. 그 외 유럽 일부 국가들도 굿.
✍15
#롯데관광개발
7월 월별 업데이트 공유드립니다. 6월에 이어 핵심 지표들은 높은 성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드랍액도 6개월 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방문객 숫자도 YoY 65~80%를 유지하면서 성장 중에 있습니다. 순매출도 당연히 성장했습니다.
6월 문제가 되었던 홀드율은 다시 기존 밴드 안쪽으로 들어서면서 일시적 이슈라는 것을 보였습니다.
특히 두번째 시트를 보면 7월 데이터부터 total 매출액이 5자를 처음으로 뚫어내며 성장을 크게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호텔과 카지노 모두 매출액 월별 ATH입니다. 2Q25뿐 아니라 3Q25도 출발이 좋습니다. 지속 업데이트드리겠습니다.
7월 월별 업데이트 공유드립니다. 6월에 이어 핵심 지표들은 높은 성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드랍액도 6개월 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방문객 숫자도 YoY 65~80%를 유지하면서 성장 중에 있습니다. 순매출도 당연히 성장했습니다.
6월 문제가 되었던 홀드율은 다시 기존 밴드 안쪽으로 들어서면서 일시적 이슈라는 것을 보였습니다.
특히 두번째 시트를 보면 7월 데이터부터 total 매출액이 5자를 처음으로 뚫어내며 성장을 크게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호텔과 카지노 모두 매출액 월별 ATH입니다. 2Q25뿐 아니라 3Q25도 출발이 좋습니다. 지속 업데이트드리겠습니다.
👍17🫡3
#실적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실적시즌 주말 업데이트 공유드립니다. 기준일은 8월 1일입니다.
서프섹터: 제약/바이오, 조선, 건설, 철강
쇼크섹터: 테크, 2차전지, 석유/화학
서프섹터에서 기존에 좋았던 것 외 바텀아웃 혹은 턴어라운드 느낌이 드는 섹터 및 개별종목들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잘 파악하며 좋을 것 같습니다. 서프섹터에서 글로벌리 주가가 좋은 것들은 관심을 가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쇼크섹터 혹은 혼재섹터로 분류되는 것들의 경우 기존에 좋지 않았거나 기존에 좋았던 것들이 하향된 것으로 보이나, 이는 1) 개별적으로 바텀아웃 혹은 일회성 이슈, 2) 현재 섹터를 이끄는 띰과 거리가 있는 회사 및 개별이슈, 3) 투자포인트 미실현 등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쇼크인 반면 개별적으로 내용이 좋은 것드로 파악되어 추후 실적시즌이 지나감에 따라 추가로 판단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실적시즌 주말 업데이트 공유드립니다. 기준일은 8월 1일입니다.
서프섹터: 제약/바이오, 조선, 건설, 철강
쇼크섹터: 테크, 2차전지, 석유/화학
서프섹터에서 기존에 좋았던 것 외 바텀아웃 혹은 턴어라운드 느낌이 드는 섹터 및 개별종목들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잘 파악하며 좋을 것 같습니다. 서프섹터에서 글로벌리 주가가 좋은 것들은 관심을 가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쇼크섹터 혹은 혼재섹터로 분류되는 것들의 경우 기존에 좋지 않았거나 기존에 좋았던 것들이 하향된 것으로 보이나, 이는 1) 개별적으로 바텀아웃 혹은 일회성 이슈, 2) 현재 섹터를 이끄는 띰과 거리가 있는 회사 및 개별이슈, 3) 투자포인트 미실현 등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쇼크인 반면 개별적으로 내용이 좋은 것드로 파악되어 추후 실적시즌이 지나감에 따라 추가로 판단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