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4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2분기 실적시즌 직전에 좀 쉬다 오겠습니다. 참고로 저의 마지막 여행은 24년 8월 5일 지수 -12% 주간입니다 감사합니다
💯33🫡12👍10❤‍🔥6😁2
곧 1.5년짜리 여행가실텐디
🫡23💯8😁2
Forwarded from MZ타뇽 긴축모드 ON
ㅋㅋ이제 휴가 4~5번만 더 왔다갔다면 전역 금방임
👍11
아 레테 재밌겠다 부럽다
😁18
흠………
😁6
아레테 이렇게 좋은 곳에서 잠을 잔다고?
😁8
이거보고 들오갔다가 개실망할거 같은데 그래도 일단 희망회로 돌려봄
😁35💯5
몇몇 채널장들의 저의 여행에 대한 불만이 많으신데 짤로 대답해드리겠습니다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36
Forwarded from 신영증권 박소연
(위) "암호화폐·사모펀드로 퇴직연금 굴려라"…트럼프, 행정명령 추진

퇴직연금은 워낙 안전하게 운용하는게 목저기라 주식, 채권 등 전통자산에만 문호가 개방됐었죠.

그런데 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사모펀드와 가상자산에도 문호를 열어줄 방침이라고 합니다.

======================

파이내셜타임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대표적인 개인 퇴직연금 401(k) 운용시, 주식이나 채권 등 기존 전통자산 외에 암호화폐, 금, 사모펀드 등에 대한 투자도 허용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이르면 이번 주 서명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행정명령은 블랙스톤, 아폴로, 블랙록 등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들에게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연기금과 대학 기금 등 기존 기관투자자로부터의 자금 유치가 어려워진 가운데, 일반 투자자의 퇴직연금 유치를 핵심 성장 전략으로 삼아온 사모펀드 업계에 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출처 : 파이낸셜타임즈, 뉴시스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18_0003257011
* 중국 과잉생산 산업 공급측 구조조정 스타트

=========================

• 중국 공신부: 빠른 시일 내에 철강, 비철, 석화, 건자재 등 10대 중점분야 안정 성장 업무 방안 출시. 구조전환, 공급최적화, 낙후 생산능력 퇴출에 집중

工业和信息化部总工程师谢少锋在7月18日国新办新闻发布会上表示,钢铁、有色金属、石化、建材等十大重点行业稳增长工作方案即将出台,工业和信息化部将推动重点行业着力调结构、优供给、淘汰落后产能。
초고압 업체들이 국내 관급 이슈로 빠지기엔 너무 먼 길을 달려오지 않았나 생각을 쪼매 해봅니당
😁49
시미의 생각 아카이브
저같은 아주 젊은 MZ도 사는거면 성공한거죠.
정보
마냥 아주 젊다고 하기엔 코리안 에이지로 3x세
😁15
投資, 아레테
초고압 업체들이 국내 관급 이슈로 빠지기엔 너무 먼 길을 달려오지 않았나 생각을 쪼매 해봅니당
요 내용으로 갈음.
JPM 의견과 이하동문.
당장 하루하루 주가는 몰라도 흘러가듯 흘러가기
❤‍🔥15👍7
난기류와 태풍 등의 이슈로 예상보단 늦게 도착완
#수출데이터 20일 잠정치
- 초고압변압기/전선: 미국향 중심으로 ATH 추세를 유지하면서 오르는 중.
- HRSG: BHI, SNT에너지로 들어가는 수출데이터 25년 들어서 꾸준히 양호함.
- HBM 소재(수입): 닉스향 소재 수입이 견조함.
- D램: 물량 데이터는 아직 더 봐야되지만, ASP는 견조하게 나오는 중.
- 창상피복재: 지속되던 감소 추세는 어느정도 마무리 된 듯한 모습. 이제 잘 올라주는 지 관심.
- 전차/장갑차: 지속적으로 양호한 수출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다들 무난한 추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이상으로 보여주는 품목이 7월은 일단 현재까진 제한적입니다.
성장주 및 숫자를 기반으로 주가가 상승 중인 곳들은 YoY 이상의 숫자를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Q는 여러 복합적인 이슈도 많았고 아직 더 봐야되는 점들이 있으니 2Q 실적부터 일단 봐보고 전망을 보면 될 것 같습니다.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