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4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1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投資, 아레테
#신고가 최근 장에서 신고가인 목록입니다. 조건식은 표 참고바랍니다. 신고가인 종목 중에 언급되지 않은 종목들 중 유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종목들은 업데이트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현대엘리베이
- 동사의 원재료 구성은 철강이 약 88.6%를 차지. 이에 철강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성 민감도가 높아지는 구조. 또한 동사 제품 특성상 수주~납기까지 리드타임이 평균 1~2년 소요되며 원재료가 단가에 반영되기까지 1년의 시차가 존재. 이에 원가 급등이 즉각적으로 가격에 전가되기 쉽지않았음. 그러나 22년부터 본격적으로 판가 인상 국면에 진입함. 동사는 총 3차례에 거쳐 내수 승강기 판매가를 인상했으며, 이는 원가 상승분을 상쇄하고도 남는 수준이 됨. 실제 21년 대비 24년 철강가격은 41% 하락한 데 비해 승강기 내수 판매가는 50% 상승하여 원가율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25년 역시 10% 내외의 철강가격 하락과 함께 판매가 상승을 10% 내외로 전망.
- 한편, 이미 연차가 21년이 넘은 승강기들은 상당히 노후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승강기 안전관리법 전부 개정에 따라 정밀검사 의무화 및 7대 안전부품 적용 의무화가 쉽지 않은 상황. 3차 정밀대상인 04년 이전에 설치된 국내 승강기 대수는 약 15만대로 추산하는데, 25년부터 이 15만대가 교체 수요로 나타날 것. 동사의 M/S 38%를 적용할 시 7.5만대가 동사의 교체 영업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이때 약 2.8조원에 달하는 잠재 교체 매출 발생 가능. 현재 동사의 24년 리모델링 매출 4,500억의 5배에 달하는 수준. 동사 수주 가이던스 역시 24년 3,800억>25E 5,174억으로 높은 성장을 타겟하고 있음.
- 설치 이후 서비스 매출 비중도 확대 추세에 들어서고 있음. 동사의 서비스 부문 연결 이익률은 15%, 별도 이익률은 20%를 상회하는 수준. 유지보수 업체들은 설치 시장 대비 경쟁이 높아 M/S가 낮았으나, 안전 및 서비스 품질 부문에서 여러 행정 제제를 받는 중소업체가 증가하면서 진입장벽이 높아지고 있음. 동사 서비스 매출액 비중도 24년 20.5%>25E 23.6%로 증가할 전망. 사측의 유지보수 수주 가이던스도 24년 3,880억>25E 4,410억으로 13.8% 성장 제시.
- 동사 중국 법인은 한때 20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했으나 가격 경쟁력 및 중국 건설 부진으로 273억 적자를 기록. 이에 24년을 기점으로 내수 사업을 중단함. 20개 이상의 지점을 모두 폐쇄하고 조직 슬림화를 단행해 24년 중국 법인 순이익 43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25년에도 50억 내외 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내수 적자 사업 중단을 통해 연결 기준 연간 200억 이상의 순이익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현재 중국 법인은 제3국(동남아) 진출을 위한 생산기지 역할을 하고 있음.
- 현재 동사가 보유중인 비핵심자산은 1) 반얀트리 혹텔 5,000억, 2) 양평 블룸비스타 호텔 1,200억, 3) 나진상가 1,500억, 4) 연지동 사옥 4,000억, 5) 지분 2,200억으로 총 1.4조원 수준. 이 중 나진상가는 26년 재건축 인허가를 받아 착공에 들어가며 현재 가치 대비 2배 이상 평가될 것으로 기대하며 연지동 사옥은 향후 매각 가능 대상으로 평가됨. 비핵심 자산에 대해 일회성 이익을 수취할 경우 배당을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기에 매각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현재 가격 기준으로 매각 대상의 평가액은 5,500억 수준.
- 또한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높은 배당률을 예상했는데, 그것을 상회하는 규모로 배당이 증가하고 있음. H&Q와 KCGI 모두 기업가치를 제고한다는 방향성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당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 현재 홀딩스가 H&Q로부터 조달한 자금은 3,188억으로 1) RCPS 1,058억, 2) CB 1,330억, 3) EB 800억 규모. 이 중 RCPS와 CB는 전환 대상인 반면, EB 800억은 현대엘리베이 주식이 교환 대상임. CB와 EB에 대해 H&Q에 지급해야 하는 쿠폰 이자가 연 130억에 달하며 만기 보장 수익률이 10%에 달하기 때문에 RCPS 콜 행사를 위한 자금이 필요하고 CB또한 26년부터 콜행사가 가능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함. 이에 25년 중간 배당을 포함해 최소 주당 6,000억 배당이 예상되며 배당수익률은 10%에 육박.
- 한편, 동사의 자회사인 현대아산은 국내 기업 중 가장 포괄적이고 독점적인 대북 사업권을 보유하고 있음. 여기는 미국 트럼프가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던 원산 리조트 단지도 포함됨. 해당 권리는 기획~운영까지 포함하는 독점적 권한. 향후 대북 프로젝트에 있어 현대 아산의 독점적 대북사업에 대한 재평가가 예상됨.
- 25E 매출액 2.86조, 영업이익 2,750억(YoY+21%) 전망. 전방 산업인 건설 및 부동산 시장 부진이 있었으나, 마진이 높은 서비스 매출이 YoY+14% 성장할 것으로 전망. 여기에 원가율 개선 시 이익은 20% 이상 성장 가능. 26년부터는 매출 증가가 기대되는데, 1기 신도시 재건축에 따른 발주 물량 증가에 기인. 회사가 목표하는 25년 수주 규모는 약 9,855억으로, 24년 대비 11% 성장 전망. 리드타임을 고려할 시 26~27년에 인식될 것. 전체 수주 규모도 YoY+22% 증가할 것으로 기대.
- Target P/E 17배 제시. 이는 Peer 22배 대비 20% 할인된 수치로, 글로벌 Peer 평균 OPM 11%인 반면, 동사는 7.8%에 그치기 때문. 승강기 시장 압도적 1위 사업자인 동시에 22년 기점으로 26년까지 이익 개선 사이클에 진입한 상황. 다만, 동사는 현재 OPM이 낮은 미쓰비시 전기 대비해도 P/E가 낮은 상황.
- 주요 리스크로는 1) 현대 아산 책임준공 이행 보증, 2) 쉰들러 Exit에 따른 추가 지분 매각 가능성 등이 있음. 1번의 경우 규모가 감소하고 있으며 2번은 배제할 수 없는 가능성.
👍21
#원텍
- 4/11 장내매수
- 인바운드 미용관광
- 브라질, 태국 회복 및 고성장.
- 미국과 관세프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동사의 사업 진출 방향성을 고려하면 탄 공급 안정성 및 지속성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선택지
- 폴란드뿐 아니라 중동, 유럽, 북미 등 다양한 지역에서 탄 수요 지속 증가 중.
- 25년 탄 관련 내용은 계속 이슈가 될 수 있음.
14일 폴란드 공영 방송사인 폴스키 라디오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5일(현지시간) WB그룹 WB일렉트로닉스와 천무용 유도탄 현지 생산을 위한 계약을 체결한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5846
👍8❤‍🔥2
#메디톡스
- 추정치 업, 티피 업
#HD현대마린엔진
선수금 30% 많이 받네용
👍14
#파마리서치
이번에도 글로벌리 진출 국가 전반적으로 잘 나오면서 ATH급 기록

이번 3월에는 중국, 일본, 베트남, 미국, 대만 등의 증감이 유의미
👍15
#수출데이터 3월 확정치
- 파마리서치: 무난하게 ATH급 기록. 진출 국가 계속 다변화 중.
- 효성중공업: 지속적으로 견조한 데이터 기록. 특히 창원-미국 데이터는 Top3급 기록.
- 삼양식품: 데이터는 견조하게 유지 중.
- 메디톡스: 톡신+필러 데이터가 ATH급으로 급격히 올라옴. 4월에도 지속되는지 여부 관심.
- 주성엔지니어링: 증착 수출데이터가 12월 바닥을 찍고 다시 MoM으로 계속 개선 중.
- 두산: 증펑-대만 데이터가 2월 잠깐 쉬었지만 3월 다시 올라오면서 견조한 모습 유지.
- 원텍: 수출데이터 MoM으로 개선 추이 지속 중이며 ATH급 데이터.
- 티앤엘: 3월치는 아쉽지만 분기 기준 ATH기록. 회사 안내와 같이 향후 지속성이 있을지 관심.
- 한화에어로/현대로템: 폴란드 및 호주향으로 물량 꾸준히 잘 나가는 중.
- 인텔리안테크: 수출 물량 MoM으로 회복하는 중.
- 대상: 라이신 데이터 높은 수준에서 유지 중.
- 노바렉스: 건기식 수출데이터 월별로 과거 최고 수준까지 회복 중. 중국향도 과거 최고 수준까지 회복 중.
👍43💯3
탐방왔는데 시골 정류장에 유기됐네염!

집까지 3시간!
😁53👍115🫡3
에스데틱_섹터플레이구간_교보.pdf
2.1 MB
#파마리서치 - 1Q 실적 최선호주
- 1Q25 매출액 1,070억, 영업이익 432억 기록하며 컨센 상회 추정. 3월 외국인 환자 피부과 지출 금액 ATH를 갱신하면서 이에 대한 수혜 가능. 1Q25 TV 광고비는 16억 인식될 예정. 현재 인바운드를 주도하는 것은 일본인향 리쥬란 시술 수요인데, 이는 강남언지 재팬을 통해 리쥬란 랭킹이 상위 유지되고 있음.
- 인바운드는 1) 3Q가 중국인 최다 입국 시기이며, 2) 무비자 정책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2H25 인바운드 지표는 중국으로 인해 한 번 크게 레벨업이 예상됨. 중국인 객단가는 일본인 대비 5배 수준으로 한번 방문 시 다양한 시술을 진행하고 있음. 중국의 수출이 도포형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수자세 시술 수요가 클 것으로 기대.
- 2H25에는 중국 인바운드와 함께 유럽향 매출이 발생할 것. 동유럽 일부 중심으로 런칭 이미 시작. 의미 있는 수준의 숫자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나, 대리점/직판 채널 혼합해 판매하여 스킨부스터 시장을 형성할 것.

#메디톡스 - 단기 최선호주
- 1Q25 매출액 563억, 영업이익 44억 기록할 것으로 전망. 브라질향 파트너사의 의원 커버리지 확장 및 4Q 이연 선적 물량으로 수출 톡신은 YoY+12% 성장한 152억 추정. 내수의 경우 거래선 추가 및 코어톡스 판가 인상 영향으로 YoY+35% 성장한 133억 추정.
- 1Q25 법무비의 경우 항소심이 시작된 4Q24와 유사한 수준인 50억으로 전망. 다만, 일본향 초기 임상 비용이 제거되면서 QoQ-14% 기록한 293억 수준으로 전망. 한편, 3공장 가동률 20% 전후로 예상되면서 마진률 개선도 동시에 이뤄질 것.
- 2Q25 사우디 3공장 제조소 등록, 이연 물량 QoQ 증가, 뉴럭스 태국 및 페루 수출, 기존 브라질향 커버리지 확대로 수출입 및 실적 호조 지속. 관세 영향으로 미국 톡신 시술가 전반적으로 인상될 것으로 보이는데, 저렴한 시술로 최근 증가세를 보인 미용관광이 관세로 인해 가속화될 수 있다고 판단.
- 1) 1Q25 턴어라운드, 2) 2Q25 톡신 업체들의 전반적인 대량 선적과 뉴럭스 수출, 3) 브라질향 선적 및 이연수요의 하방으로 긍정적

#휴젤 - 25년 연간 최선호주
- 1Q25 매출액 915억, 영업이익 379억 전망. 톡신의 대량 선적 모멘텀이 부재했으나, 긍정적인 3월 필러 수출입으로 긍정적 전망. 톡신은 분기 대량 선적 특징으로 변동성이 있으나 연간 기준으로는 추정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 핵심은 2Q25 예정된 대량 선적 모멘텀. 연간 미국 톡신 매출액 290억 추정. 지난 3Q24 대량 재고 선적으로 통해 파악되는 미국향 마진을 고려할 때 미국 매출 15% 달성 시 전사 OPM 50% 달성 가능. 25년 연간 OPM 50% 상회 가능한 원년이 될 수 있음.
- 25년 연간 중국 추정치는 358억 추정. 1) 인당 1바이알, 2) 블랙마켓 규제 수혜 전망. 파트너사 사환제약은 2H24 실적 내 주요 사업부 미용의료기기 고성장을 발표. 현재 중국 내 레티보 M/S 15% 수준이기에 침투의 룸이 많이 남아있다고 판단.
👍16
안녕하세요, 다올투자증권 의료기기/화장품 담당 박종현 연구원입니다😌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습니다. 채널명은 <종빡의 뷰티 인사이트>입니다.(당분간 가제…)

금번 의료 관광 업종 보고서를 포함하여 좀 더 몸으로 체감되는 변화를 생생하게 담기 위해 방문기 위주의 쇼츠를 제작해서 공유할까 합니다.

영상 보시고 구독/좋아요/알람 설정 부탁드립니다🥳🥳

혹시나 이런 영상도 재밌을 것 같다하는 컨텐츠나 영상 피드백도 환영…! 오늘 하루도 마저 화이팅입니다!

채널 링크: https://youtube.com/@alexppak1117?si=U1hyLsB5xnocHzz7

영상 링크: https://youtube.com/shorts/vQbOfIsOSwo?si=ifKLNfMwktiUVa6y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