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4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Live stream finished (2 hours)
TNBfolio
<해외 IB 한국 투자 의견>
해외 IB는 한국의 구조적 디레이팅에 베팅 중....
불확실성의 Peak는 금요일 급락 당시에 보여진 것 같지만 아까 방송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제는 더욱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할 니즈가 있는 기업과 아닌 기업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을 것 같음.
🫡20👍1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미용 전력 바이오 조선/LNG AISW 밸류업
- 상대강도: 밸류업 2차전지 정테주 미용
- 신고가(60일 기준): 정테주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밸류업 미용 조선/LNG AISW 전력
- 금요일 22년 저점 깨고 내려가는 순간부터 유의미하게 주식을 오랜만에 매수했는데, 이때부터는 (https://t.me/mstaryun/7152) 여기에서 기록한 내용에 해당하는 종목들 중심으로 압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음. 무엇보다 한국 기업에 투자할 니즈가 분명히 존재해야되고 실적의 퀄리티가 나와야 함. 회사와 주주 간 이해관계가 일치한지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을 듯.
- 선행 PBR은 차후 북밸류가 낮아지면 같이 떨어질 룸이 남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있게 외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것보다는 이전 사례와 비교했을 때에도 많이 빠진 수준이구나 정도로 인지하는 중.

#그린플러스
- 자료참고: https://www.sa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2504
- 그린플러스가 호주 스마트팜 온실 구축 프로젝트를 약 550억 규모로 수주했다는 뉴스
- 연초 호주에서 스마트팜 관련 방한을 시작으로 호주에 대한 내용들이 조금씩 구체화되는 상황.

#서진시스템
- 자료참고: https://www.etoday.co.kr/news/view/2426706
- 스페이스X향 게이트웨이/웹 장비를 공급할 것으로 전망. 이번 달 양산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2,000~3,000억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 현재 ESS향으로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페이스X향으로 유의미한 매출(25E 1.9조)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P/E 측면에서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

#지누스
- 자료참고: https://t.me/stocktrip/4305
- 10월 매트리스 인니 미국 데이터 MoM+34.1%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DorisDD2033/297?single
- 자료참고: https://t.me/DorisDD2033/300?single
- 자료참고: https://t.me/DorisDD2033/318
- 미국/영국에서 연어정자시술 관련해 긍정적인 코멘트들 지속 발생. 글로벌 트랜드에서도 글로벌 스킨부스터 자체가 관심도가 매우 높아지는 것이 보이는 중.
- 회사에서도 미국 내 관심도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고 함. 현재는 합법 루트로만 판매하기 때문에 화장품 매출은 매우 미미한 상황이지만 나름 1Q24 대비 3Q24 매출 비중은 2배 이상 증가. 유럽쪽은 2H25 구체적인 계획 소통 가능할 것으로 전망.

#현대로템
- 자료참고: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0709
- 폴란드에서 계약은 진행할 것이나 가격 이슈로 K2PL 계약을 서두를 필요 없다고 함. 근데 여러 체크를 해보면 가격 이슈는 폴란드가 이상한거 같은데...흠. 제대로 글로벌리 이름값이 크게 있지 않은 쪽에 이렇게 시달리는 것도 노이즈라면 노이즈이긴 한듯.

#조선
- 신조선가는 완만한 하락세 후 소폭 반등했으나 하락폭이 유의미하지 않고 신조 발주 흐름이 지속되는 점을 고려할 때 글로벌 조선업황은 호조세 지속. 선종별로 Oil Tanker, Bulk Carrier, Containership 등이 횡보 혹은 상승을 기록하고 있음.
- 후반 가격은 10월 단기 반등 후 재차 하락 중. 수입 유통 가격 역시 소폭 하락한 상태로, 내수-수입 후판 가격 스프레드는 2개월 째 유지되고 있음. 다만, 현재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가 시작되고 있다는 점은 비용 상승 가능성을 열어둬야 할 것.
- P의 상승은 보이지 않고 C의 상승 가능성이 보이는 구간이지만 1) 실적 반영될 수주잔고가 매우 높은 고가 물량이라는 점, 2) 25년 예상 발주가 감소하더라도 셀러마켓을 위협할 수준이 아니며 추가 프로젝트 승인에 따른 발주 개화 시 발주가 증가할 수 있고, 3) LNG 시대 개화 과정에서 국내 조선업 밸류체인 신규 확대 및 관심 필요할 것.
- HD현대그룹, 삼성중공업, 동성화인텍, 한화엔진, 세진중공업 등.

#테크(모건스탠리)
- 25년은 Non-AI 테크 기업들에 주목할 것으로 권고. 25년은 AI CAPEX의 상대적 둔화 및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Non-AI 테크의 경우 주가적으로 이미 큰 저평가 위치에 도달했고 바닥으로 간주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음. 여기서 Non-AI 테크 기업들의 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가속화될 수 있다고 전망.
- AI 테마의 모멘텀이 둔화됨에 따라, 개별 성장 스토리가 다시 주식 성과의 차이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

#전력기기(JP모건)
- 유럽의 전력 수요 증가로 아시아 수출 업체들에게 구조적 순풍이 예상됨.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 역시 유럽은 주요 성장 시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보고 있음. 효성중공업은 24.09월 기준 누적 유럽 주문 수주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HD현대일렉트릭도 중동 물량으로 유럽으로 옮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사견: 실제 전력 업체들 IR 들어보면 수주 강도는 미국이 강하지만, 유럽이 장기적인 구조적 성장 측면에서 현재 매력적이라고 함. 유럽은 23년 초부터 사이클이 시작해서 현재 강해지고 있는 국면으로 보임.

#은행(골드만)
- 계엄령 전후로 은행주 주가는 10% 이상 하락하며 25년 예상 TSR은 8.7%를 기록.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법인세 인센티브 통과가 지연될 수 있으나 주주가치 향상과 자본 효율성 증대에 대한 강한 의지, 잉여 자본 창출 능력, 안정적인 대차대조표를 바탕으로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밸류업 테마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금리 인하 주기가 예상되며 마진 압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한국 은행들은 약 10% ROE를 유지하며 안정적 수익 흐름을 창출할 것. 자본시장 변동성이 증가하면서 잉여 자본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한국 은행들은 외부 변동성을 견디고 TSR 확장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수준으로 안정적.
- 사견: 1) 정치적 불확실성 등 리스크 요인으로 투심 위축, 2) 밸류업 정책의 불확실성 및 차익실현 욕구, 3) 외환 급등이 은행 펀더멘탈에 부정적 영향 등으로 우려가 존재하지만 금감원장도 정치여부에 관계없이 밸류업은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고 직접 언급. 다만, 주된 키팩터인 외국인이 정책 신뢰도 회복을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음.

#CDMO
- 자료참고: https://www.biocentury.com/article/654396/biosecure-compromise-in-the-works-fate-uncertain-as-deadline-nears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01582
-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생물보안법과 관련해서 중국 기업을 겨냥하는 것을 유지하되, 제재를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무리하는 것으로 보임. 그리고 연내 통과 가능성이 많이 희박해짐.
- 중국 관련 기업들의 주가를 보면 해당 뉴스 이후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음. 한국에게는 아쉬운 것은 사실이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 IR에 따르면 해당 관련 법안 이후 CDO뿐 아니라 CMO 수주 문의도 50% 전후로 증가했다는 것을 고려할 때 향후 수주 흐름은 긍정적으로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
👍12
投資, 아레테
선행 PBR은 차후 북밸류가 낮아지면 같이 떨어질 룸이 남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있게 외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것보다는 이전 사례와 비교했을 때에도 많이 빠진 수준이구나 정도로 인지하는 중.
국가 P/E 디레이팅이 나오는 전제에서,
지수를 유의미하게 견인할 수 있는 주요 섹터의 EPS 하향조정이 추가적으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지수의 급반등 및 함부로 바닥을 예측하는 행위는 자제하는 것이 좋을 듯.

극단적인 비관론/낙관론 모두 경계하는 중.
👍26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7297?sid=101
#스킨천사 #한국화장품제조
곽인승 크레이버코퍼레이션 스킨1004 총괄은 8일 기자와 만나 “올해 말까지 매출 2700억원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 목표 매출은 올해의 두 배인 5000억원으로 잡았다”고 밝혔다.

미국 1020세대를 중심으로 스킨1004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콧대 높던 대형 유통업체들도 하나둘 문호를 열었다. 지난 7월엔 K뷰티 최초로 ‘미국판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울타뷰티 1400여 개 매장에 차례로 입점하기로 했다. 내년 1월에는 코스트코와 타깃 등 유통업체에도 들어갈 예정이다. 유럽과 중미·남미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영국 폴란드 슬로베니아 덴마크 등 유럽 지역은 물론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 등 중미·남미에서도 유통업체 입점 소식이 줄을 잇고 있다.
👍7💯1
어떻게 봐도 신고가 돌파 차트인데 눈물이 난다
👍5
#증안펀드
얘기가 많길래 생각해보면 관념의 허구가 아닐까.
정부는 만들지 않았지만 우리한테 만들었다고 말했으니 만들어진 걸로 합의보는 그런.
👍22❤‍🔥1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카리나 보시면서 힐링하고 하루 마무리하세요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미용 바이오 조선/LNG 밸류업 AISW 밸류업 전력 음식료 방산
- 상대강도: AISW 전력 조선/LNG 미용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정테주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미용 전력 조선/LNG AISW 음식료
- 조그마한 악재에도 강하게 반응하는 투매장. 그러나 이것이 과매도를 불러 손바뀜이 발생하는 지점인지는 생각해볼 필요 있음. 다만, 외국인이 한국 디레이팅을 감안하더라도 한국에 투자할 니즈가 있는 몇몇 주식 및 섹터는 상대적으로 강하거나 상승하는 모습.
- 중국 시장도 09~10시즌 이후 처음으로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로 변경하면서 증시가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중국 주택 거래면적도 과거 추세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모습.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royvalue/223687107821
- 미국에 기반을 둔 검색 서비스 업체에서 25년 주목할 가장 인기 있는 트렌드 중 하나로 연어 정액을 제시.
- 피부를 개선하는 스킨부스터 계열의 트렌드의 관심도가 매우 큰 폭의 증가를 보이는 중.

#브이티
- 자료참고: https://t.me/c/1370641552/40305
- 대표 블록딜은 개인 부채 상환으로 다른목적은 없으며 추가 오버행 이슈는 제한적. 이앤씨 추가 매입은 연결 편입 목적. 현재 이앤씨는 리들샷과 수딩마스크 등을 이앤씨에서 생산하고 있어 탑라인 계속해서 성장할 것.
- 온라인에서 입점 후 금방 소진되는 것을 보고 코스트코에서 먼저 연락옴. 코스트코 물량이 금방 소진되었는데, 큰 매출은 아니지만 시장 반응이 고무적이라는 점에 유의미. 리오더 물량은 연내 나갈 예정. 얼타뷰티도 최근 입점 확정. 일반적으로는 200~300개 점포 우선 입점 후 확장하는 방식이지만 동사는 1,400개 매장 입점으로 확정.
- 중국은 과거 독점 밴더를 통해 시장에서 성장했고 이번에 그 업체와 다시 협력하여 리들샷 등 제품으로 진행할 것. 현재는 중국 시장이 반드시 잡아야 하는 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마진을 글로벌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협의 완료. 25년 초에는 리들샷 위생 허가 나올 것으로 기대. 2Q25부터는 숫자가 어느정도 올라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국은 면세점 채널을 통해 어느정도 선제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현재 면세점 모습이 긍정적.

#클래시스
- 4Q24 매출액 676억, 영업이익 333억 전망. 1) 이루다 합병이 연결로 반영되는 첫 분기, 2) 해외향 몰뉴머 판매 목표 상향(300=>800대), 3) 해외향 소모품 선적 시기로 수익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25년 이루다 합병이 연간으로 반영되며 전체 의료기기 포트폴리오 보유, 24.10월 미국 런칭되어 미국 본격 판매 되면서 해외향 판매 호조 가능 및 연간 목표 판매 대수 상향 등이 있기 때문에 대주주 지분 매각설에도 펀더멘탈에 집중해볼 수 있을 것.

#삼양식품
- 기저부담이 상당하지만 4Q24 역시 매출액 4,400억, 영업이익 877억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미국/중국 중심의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 인건비 및 마케팅비 등 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나 지역 mix 및 환효과로 이익률이 유지될 것.
- 25년은 익산/밀양 초과 생산분이 25.07월부터 밀양 2공장으로 이관되며 BEP 가동은 1개 분기 내 도달할 가능성이 높음. 2공장 증설분이 본격적으로 기여되는 시점에서 중남미/유럽 등의 메인스트림 채널 확장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

#SK하이닉스(노무라)
- 일반 메모리 가격 3Q24 이후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는 예상보다 더 심해질 가능성이 높음. D램은 중국 영향이 25년까지 지속될 것이며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25년 생산 확대를 위해 필요한 장비 조달에 성공한 것으로 보임. 따라서 주요 기업들은 전체 생산량을 줄이기보다 DDR5 전환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됨. 결과적으로 DDR4에서 DDR5(LPDDR5)로의 가격 약세가 1Q25부터 확산될 것.
- 일반 D램 가격은 26년 하락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5년 D램 평균 ASP는 HBM으로 인해 19% 상승할 것으로 전망. 낸드 역시 25년 이후 가격 안정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 그럼에도 불구하고 HBM 판매가 실적 상향 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25년 영업이익은 HBM 수익 증가로 인해 24년 대비 21% 증가한 2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26년에는 일반 메모리 시장 회복과 함께 HBM 매출 증가로 더 큰 이익 증가를 보일 것으로 전망.

#오스테오닉
- 자료참고: https://www.fnnews.com/news/202412090900384016
- 짐머와 스포츠메디신제품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한 후 국가별 샘플 공급이 확장되는 국면. 금일은 미국 FDA 승인 뉴스 발생.
- 미국은 글로벌 시장 47%를 차지하는 국가이며, 계약 당시부터 가장 핵심 지역으로 꼽혔던 만큼 금일 뉴스는 임플리케이션이 있었다고 판단. 25년부터 짐머향 매출이 크게 올라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22년 25억, 23년 45억, 24E 60억 이상, 25년 두자릿 후반~세자리 이익 기대 가능할 듯.

#방산
- 무산이 아닌 지연 뉴스에도 강하게 하방으로 움직이는 모습. 특히 대부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회사들도 같이 급락하는 모습
- 어느덧 주요 방산업체 25E P/E는 8~11배 수준으로 하락함.

#조선
- 1) 실적 반영될 수주잔고가 매우 높은 고가 물량이라는 점, 2) 25년 예상 발주가 감소하더라도 셀러마켓을 위협할 수준이 아니며 추가 프로젝트 승인에 따른 발주 개화 시 발주가 증가할 수 있고, 3) LNG 시대 개화 과정에서 국내 조선업 밸류체인 신규 확대 및 관심 필요할 것.
- HD현대그룹, 삼성중공업, 동성화인텍, 한화엔진, 세진중공업 등.
👍18
#잡썰
번외로 오늘 덕산네오룩스가 산업용 펌프를 주된 사업으로 하는 '현대중공업터보기계'를 인수했는데, 피인수 회사가 덕산네오룩스보다 ROE가 높네요
🫡15👍3
12월 9일 중앙정치국회의에서 발표된 정책 내용 중에서 이전보다 더 강력하고 적극적인 경기부양을 어필하는 "워딩"의 변화가 눈에 띕니다.


1) 재정정책 : 적극 -> "더" 적극
财政政策基调由“积极”调整为“更加积极”

2) 통화정책 : 안정 -> "적절한" 완화
货币政策基调由“稳健”调整为“适度宽松”
14년동안 지속된 '건전' 통화정책 기조에서 조금 더 완화강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재정정책과의 정책 조합 강조. 2025년 금리 추가 인하 예상

3) 역주기 조절 강도를 확대 -> "파격적인(超常规/현행 이상의)" 역주기 조절 강화
“加大逆周期调节力度”调升为“加强超常规逆周期调节”
경제 상황의 급변에 대응하기 위해 전통적인 방법을 넘어서는 다양한 정책 수단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의미, 다양한 경제 리스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정책 기대

4) 수요 : 내수 확대-> "전방위적" 내수확대
“扩大国内需求”拓展为“全方位扩大国内需求”

5) 부동산, 주식시장 안정화
(이례적 언급으로 평가)
稳住楼市股市
👍5
나: 오늘 중국으로 가니?
상대1: 페이창 하오~
상대2: 시진핑이 ㄱㅈㅇ~~
나: 시진핑 주석님이라고 해라 너가 친구냐?
상대4: 우리 붉어지즈아~
👍5😁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958197?rc=N&ntype=RANKING&sid=001
#코나아이
작년에 코나아이 탐방 갔을 때 이제 지역화폐는 이재명 테마주 불명예고 다른거로 Make up 되고 지역화폐 안봐도 된다고 했는데 지역화폐로 여지없이 반응하는 모습.
👍3😁3
Moo three meals & life
다음은 유럽 그다음은 미국이 되겠네요
#파마리서치
중국에서 수요가 그렇게 좋아서 26년까지 OP 2,000억 찍고
그 사이에 유럽이 받아서 성장해서 레벨업하고
유럽이 레벨업 하는 동안 미국이 준비되고 미국이 받아서 다시 레벨업하는 계단식이라는 뜻.
👍16💯5❤‍🔥3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Kiss of life 하늘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화장품/미용 바이오 조선/LNG 전력 테크 삼양식품
- 상대강도: 조선/LNG 화장품/미용 바이오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화장품/미용 음식료 AISW 정테주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화장품/미용 바이오 조선/LNG 삼양식품
- 금투세 폐지 이후 장이 어떻게 될지는 신중하게. 과한 낙관/비관 모두 경계 유지 중. 리스크 관리를 하고 생존을 해야 자산 증식을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음.
- 대금이 잘 붙으면서 오르는 것들은 바이오, 화장품/미용 등이 있고 개별주들은 삼양식품/에스앤디, 지엔씨에너지, 루닛 등.
- 전반적으로 시장이 상승할 때 섹터 단위로 오르는 것도 있지만 섹터 내에서도 주가 차별화가 이뤄지는 모습.

#비올
- 자료참고: https://t.me/huhpharm/8724
- 비올과 제이시스메디칼 진영의 미국 ITC 소송 합의를 위해 심리 절차 중단. 예비 심결 일정이 12.20=>12.23 새로운 데드라인 설정.
- 합의했다는 내용으로 보임. 비올이 소송을 제기한 이후 합의금+로열티 수령 가능한 상황. ITC 노이즈 해결 구간.

#조선(BofA)
- 24년 글로벌 2,451억 신조 선박이 발주되었음. 이는 23년 대비 감소한 수치이나, 계약가치는 YoY+44% 상승. 이는 1) 신조 가격 상승, 2) 선박 톤수 증가에 기인함. 신조 가격 상승 요인을 제외하고도, 이는 대형 선박 발주 증가, 2) 이중 연료 추진 시스템 설계 업그레이드 등에 따른 수요 증가로 분석.
- 25년은 글로벌 신규 발주량은 약 1.57억 CG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여전히 인도량(1.46억 CGT)를 초과할 전망.
- 24.12.06 기준 신조 가격 지수는 189.14. 선종별로 컨선은 소폭 상승했으나, VLCC/벌크는 중국 이슈로 인해 조정. LNG는 중국 조선소 수 감소로, 25년 운반선 발주 재개 시 가격 격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사견: 금일 IMO 암모니아 뉴스까지 고려하면 앞선 내용에서 VLAC까지 사이클 강화를 생각할 듯.
-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세진중공업 등.

#화장품
- 한국화장품제조, 코스메카코리아 등 주요 운용사 중심으로 화장품 조정 기간 오히려 비중을 확대했다는 것이 공시로 나옴.
- 시장에서 선호하는 것들 중심으로 상승 차별화. 급등해도 25E P/E 기준으로 10배 언더인 것들이 좀 보임.
- OEM/ODM을 Base로 하고 브랜드를 보는 것 같은데, 지금 상황에서는 브랜드가 더 나아보이기도.

#밸류업
- 오히려 장 반등할 때도 빠지면서 수급이 비어보이긴하는데 외국인쪽 유동성은 계속 잡히는 상황.
- 한다고 하면 금융, 자동차, 통신쪽으로 생각해볼 수 있음. 이쪽은 그래도 최소배당금액이 정해져있거나 중장기 TSR이 나와있음. 또한 일부 종목들의 경우 중장기 매출 그로스를 더블디짓으로 제시하고 있어 편한선택지도 있는 듯.
- 다만, 배당기준일이 2~3월에 위치한 것들이 좀 있어서 연말~25.02월까지 잘 선택해야 할 것.
👍18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시기적으로 많이 빠르긴한데 내년 2월 MSCI후보 종목으로 당장은 삼양식품, 현대미포가 꼽힙니다.

조선쪽에서 선택할거면 현대미포는 괜찮은 선택지가 되어주겠네요. 차트도 괜찮고.

그리고 고환율(원화약세) 수혜
조선, 반도체, 자동차, 수출위주종목(삼양식품 등)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