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이수페타시스 - 3Q 매출액 2,064억, 영업이익 265억 기록. - 본사의 경우 매출액이 3Q23부터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엔비디아/구글/아리스타/메타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짐. 엔비디아는 2Q24 174억=>3Q24 225억(QoQ+29%) 증가하는 모습. H100 들어가고 B100도 25.01월부터 들어갈 것. 아리스타는 24.09월 기존 400G+800G 초도양산 진행 중에 있고 4Q24 800G 유의미한 매출 발생 전망. META는…
기존 유증에서 제이오 인수가 빠진다면 나머지 유상증자는 시설 투자 및 CAPA 확대를 위한 것으로 좁혀짐.
내가 외국인이라면? 이라고 생각해봤다가
진짜 국가 신뢰도 내려가는 목소리가 남아메리가 대륙의 아르게리따군에게서 여기까지 들려오네
진짜 국가 신뢰도 내려가는 목소리가 남아메리가 대륙의 아르게리따군에게서 여기까지 들려오네
👍26❤🔥6💯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미용 바이오 밸류업 전력 AISW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전력 방산 에너지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미용
- 매도압이 줄면서 강하게 튄건 미용 전력 바이오.
- 일단 계엄해제요구안 가결, 금융/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무제한 유동성 공급. 하루만에 왜 한국이 EM인지 증명해버림.
#이수페타시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05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0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3800178
- 오늘 디일렉 기사와 함께 미확정 공시가 나옴. 보통 이런 결정들은 아닐 경우 부인공시가 일반적인데 미확정 공시라는 점에서 시장은 디일렉 취재쪽이 더 맞다고 판단한 듯.
- 디일렉 취재가 맞을 경우 1) 제이오 인수는 취소되면서 희석 우려는 해소되고, 2) 유상증자가 진행되지만 해당 내용은 업황이 좋아서 투자를 위한 증자라는 점을 고려할 때 테크쪽에서 현재 분위기가 좋은 소수의 주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 확정이라는 전제 하에서는 최소한 유증 갭은 메꿀 수 있고 레거시 테크들도 9~10배(이수페타도 10배)는 받는데 1) NVDA 직접적으로 수혜이며, 2) 그 이외 후발주자들에도 수혜를 받는 관점에서 내년 실적 기준으로 10배 중반 정도는 부여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효성중공업
- 현일렉에 따르면 미국 대기수요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며, 23년 초 수주분이 현재 매출로 반영되고 있는 단계에서 이익률이 20%대를 유지하고 있음. 대형 유틸리티 중심으로 20년 장기플랜이 나오고 있는데, 해당 업체들이 구체적인 미국 내 계획안이 나오기 전부터 상향조정하고 있다는 점이 북미 시장의 특징.
- 한편, 현일렉에 따르면 수주 강도가 가장 강한 곳은 미국, 장기 전망이 가장 확실한 곳은 유럽. 현재 유럽은 23년 초부터 사이클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격적으로 좋아지면서 미국에서 유럽으로 전력망 확충이 확산되는 그림을 보이고 있음. 이에 현일렉은 중국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 중동 물량은 유럽으로 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효성중공업은 미국이 본격적으로 올라오는 궤도에 위치하고 수주도 28~29년 물량도 있는 등 리드타임 쌓이고 있음. 유럽 시장 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유럽도 23년 초 수주분이 본격 인식되면서 OPM이 올라올 수 있는 구간임. 현일렉처럼 20%대는 당분간 어려울 수 있어도 그 추세를 따라가는 건 맞는듯.
- 가장 훌륭한 회사와 상대적인 룸 측면에서 매력적인 회사 모두 관심.
#에스앤디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3900259
- 회사에서도 이전에 현재 시설은 부족하며 연내 증설 공시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는데, 시설투자공시 나옴.
- 서구권(유럽/북미 등)에서 브랜드로 인식되는 불닭. 매우 중요한 소스이기 때문에 증설 필수.
#기아
- 자료참고:https://t.me/meritz_research/39312
- 중장기 TSR 35% 제시하면서 기업가치제고공시. 24년 시가배당률 6.7%, 총 주주환원 금액 총액 약 3.1~3.6조원. 24년 자사주 매입/소각은 25.01~03월 정도로 추정. 25~27년 중장기 총 주주환원 최대 4조원 예상.
- IR자료에서 기업가치제고계획과 함께 유의미하게 보였던건 중장기 매출 그로스 10%로, 최근 달성했던 두자리 매출 성장을 향후에도 이어가겠다고 언급한 점.
#알테오젠
- 키트루다 임상 3상 1차 완료일이 기존 9.23에서 7.12로 당겨진 것을 알 수 있음. 임상 발표, 허가신청 등도 일정이 단축될 수 있음.
- 25.01월에도 좋은 소식이 있다고 하니 매도압이 줄면서 유동성 도니 추세 안쪽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모습.
#현대로템
- 폴란드 정부가 자금 조달. 이에 5.9조 한화에어로 2차 계약이 발효됨.
- K2도 폴란드쪽에서 자금도 배정해놨고 지금 여론가지고 싸우는 중인데, 여러 채널을 보면 거의 마무리 단계인 것은 사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미용 바이오 밸류업 전력 AISW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전력 방산 에너지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미용
- 매도압이 줄면서 강하게 튄건 미용 전력 바이오.
- 일단 계엄해제요구안 가결, 금융/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무제한 유동성 공급. 하루만에 왜 한국이 EM인지 증명해버림.
#이수페타시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05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06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3800178
- 오늘 디일렉 기사와 함께 미확정 공시가 나옴. 보통 이런 결정들은 아닐 경우 부인공시가 일반적인데 미확정 공시라는 점에서 시장은 디일렉 취재쪽이 더 맞다고 판단한 듯.
- 디일렉 취재가 맞을 경우 1) 제이오 인수는 취소되면서 희석 우려는 해소되고, 2) 유상증자가 진행되지만 해당 내용은 업황이 좋아서 투자를 위한 증자라는 점을 고려할 때 테크쪽에서 현재 분위기가 좋은 소수의 주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 확정이라는 전제 하에서는 최소한 유증 갭은 메꿀 수 있고 레거시 테크들도 9~10배(이수페타도 10배)는 받는데 1) NVDA 직접적으로 수혜이며, 2) 그 이외 후발주자들에도 수혜를 받는 관점에서 내년 실적 기준으로 10배 중반 정도는 부여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효성중공업
- 현일렉에 따르면 미국 대기수요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며, 23년 초 수주분이 현재 매출로 반영되고 있는 단계에서 이익률이 20%대를 유지하고 있음. 대형 유틸리티 중심으로 20년 장기플랜이 나오고 있는데, 해당 업체들이 구체적인 미국 내 계획안이 나오기 전부터 상향조정하고 있다는 점이 북미 시장의 특징.
- 한편, 현일렉에 따르면 수주 강도가 가장 강한 곳은 미국, 장기 전망이 가장 확실한 곳은 유럽. 현재 유럽은 23년 초부터 사이클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격적으로 좋아지면서 미국에서 유럽으로 전력망 확충이 확산되는 그림을 보이고 있음. 이에 현일렉은 중국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 중동 물량은 유럽으로 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효성중공업은 미국이 본격적으로 올라오는 궤도에 위치하고 수주도 28~29년 물량도 있는 등 리드타임 쌓이고 있음. 유럽 시장 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유럽도 23년 초 수주분이 본격 인식되면서 OPM이 올라올 수 있는 구간임. 현일렉처럼 20%대는 당분간 어려울 수 있어도 그 추세를 따라가는 건 맞는듯.
- 가장 훌륭한 회사와 상대적인 룸 측면에서 매력적인 회사 모두 관심.
#에스앤디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3900259
- 회사에서도 이전에 현재 시설은 부족하며 연내 증설 공시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는데, 시설투자공시 나옴.
- 서구권(유럽/북미 등)에서 브랜드로 인식되는 불닭. 매우 중요한 소스이기 때문에 증설 필수.
#기아
- 자료참고:https://t.me/meritz_research/39312
- 중장기 TSR 35% 제시하면서 기업가치제고공시. 24년 시가배당률 6.7%, 총 주주환원 금액 총액 약 3.1~3.6조원. 24년 자사주 매입/소각은 25.01~03월 정도로 추정. 25~27년 중장기 총 주주환원 최대 4조원 예상.
- IR자료에서 기업가치제고계획과 함께 유의미하게 보였던건 중장기 매출 그로스 10%로, 최근 달성했던 두자리 매출 성장을 향후에도 이어가겠다고 언급한 점.
#알테오젠
- 키트루다 임상 3상 1차 완료일이 기존 9.23에서 7.12로 당겨진 것을 알 수 있음. 임상 발표, 허가신청 등도 일정이 단축될 수 있음.
- 25.01월에도 좋은 소식이 있다고 하니 매도압이 줄면서 유동성 도니 추세 안쪽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모습.
#현대로템
- 폴란드 정부가 자금 조달. 이에 5.9조 한화에어로 2차 계약이 발효됨.
- K2도 폴란드쪽에서 자금도 배정해놨고 지금 여론가지고 싸우는 중인데, 여러 채널을 보면 거의 마무리 단계인 것은 사실.
👍22❤🔥6🫡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전력 밸류업 AISW
- 상대강도: 전력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민주당, 밸류업
- 주식시장은 12.3 사태를 잊지 않을 것이다. 민주당 폭주를 알리기 위해 비상계엄이라....
- 몬가 이번주 주말에 처음으로 라이브 방송 함 킬까 하는데 주제 없으면 알아서 안킬 예정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https://t.me/DorisDD2033/267
- 미스USA 출신 인스타 555만명 인플루언서가 연어정자를 얼굴에 시술했다고 함.
#브이티
- 일본 분기 400억에서 현재 오프라인 시장 채널 믹스 확대하고 있음. 향후 확대 여력 존재. 국내는 일본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올리브영/다이소/약국 등 중심으로 판매. 주요 채널 내 입점 확대 여력이 존재하는 상황. 특히 면세점에서의 QoQ 매출 확대는 향후 중국 성공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
- 미국은 현재 대부분 아마존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주요 이벤트마다 성과 우상향 중이며 3Q24 코스트코 온라인 입점하여 일주일 내 완판 및 재발주 진행. 얼타 온라인 진출 확정되어 향후 물량 확보 기대. 중국은 기존 파트너사가 왓슨 3.8천개 매장에 수딩 제품 입점시키며 판로 확대하고 있음. 리들샷 위생허가는 25년 초 기대하며, 이때 영업확대 본격화. 현재 역직구 수요 테스트는 우호적인 수준.
- 유럽은 북유럽을 시작으로 인허가 절차 내 등록 제품을 확대할 것. 동남아도 자연스럽게 매출 확대 이러안고 있으며 진출 국가 확대할 것.
#효성중공업
- 현일렉에 따르면 미국 대기수요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며, 23년 초 수주분이 현재 매출로 반영되고 있는 단계에서 이익률이 20%대를 유지하고 있음. 대형 유틸리티 중심으로 20년 장기플랜이 나오고 있는데, 해당 업체들이 구체적인 미국 내 계획안이 나오기 전부터 상향조정하고 있다는 점이 북미 시장의 특징.
- 한편, 현일렉에 따르면 수주 강도가 가장 강한 곳은 미국, 장기 전망이 가장 확실한 곳은 유럽. 현재 유럽은 23년 초부터 사이클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격적으로 좋아지면서 미국에서 유럽으로 전력망 확충이 확산되는 그림을 보이고 있음. 이에 현일렉은 중국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 중동 물량은 유럽으로 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효성중공업은 미국이 본격적으로 올라오는 궤도에 위치하고 수주도 28~29년 물량도 있는 등 리드타임 쌓이고 있음. 유럽 시장 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유럽도 23년 초 수주분이 본격 인식되면서 OPM이 올라올 수 있는 구간임. 현일렉처럼 20%대는 당분간 어려울 수 있어도 그 추세를 따라가는 건 맞는듯.
- 가장 훌륭한 회사와 상대적인 룸 측면에서 매력적인 회사 모두 관심.
#정부주
- 윤석열 정부가 밀던 주요 섹터 원전 대왕고래 방산 밸류업 등. 기본적으로 정부 주도 주식은 주의할 필요 있음.
- 여기서 방산 밸류업은 다음 정부에서도 크게 방향성이 바뀌지 않을 것 같음. 과대한 낙폭은 기회가 될 수도.
- 원전과 대왕고래는 정권이 바뀌면 방향성이 크게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금일 낙폭이 컸던 것으로 추정.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전력 밸류업 AISW
- 상대강도: 전력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민주당, 밸류업
- 주식시장은 12.3 사태를 잊지 않을 것이다. 민주당 폭주를 알리기 위해 비상계엄이라....
- 몬가 이번주 주말에 처음으로 라이브 방송 함 킬까 하는데 주제 없으면 알아서 안킬 예정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https://t.me/DorisDD2033/267
- 미스USA 출신 인스타 555만명 인플루언서가 연어정자를 얼굴에 시술했다고 함.
#브이티
- 일본 분기 400억에서 현재 오프라인 시장 채널 믹스 확대하고 있음. 향후 확대 여력 존재. 국내는 일본 수준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올리브영/다이소/약국 등 중심으로 판매. 주요 채널 내 입점 확대 여력이 존재하는 상황. 특히 면세점에서의 QoQ 매출 확대는 향후 중국 성공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
- 미국은 현재 대부분 아마존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주요 이벤트마다 성과 우상향 중이며 3Q24 코스트코 온라인 입점하여 일주일 내 완판 및 재발주 진행. 얼타 온라인 진출 확정되어 향후 물량 확보 기대. 중국은 기존 파트너사가 왓슨 3.8천개 매장에 수딩 제품 입점시키며 판로 확대하고 있음. 리들샷 위생허가는 25년 초 기대하며, 이때 영업확대 본격화. 현재 역직구 수요 테스트는 우호적인 수준.
- 유럽은 북유럽을 시작으로 인허가 절차 내 등록 제품을 확대할 것. 동남아도 자연스럽게 매출 확대 이러안고 있으며 진출 국가 확대할 것.
#효성중공업
- 현일렉에 따르면 미국 대기수요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는 상황이며, 23년 초 수주분이 현재 매출로 반영되고 있는 단계에서 이익률이 20%대를 유지하고 있음. 대형 유틸리티 중심으로 20년 장기플랜이 나오고 있는데, 해당 업체들이 구체적인 미국 내 계획안이 나오기 전부터 상향조정하고 있다는 점이 북미 시장의 특징.
- 한편, 현일렉에 따르면 수주 강도가 가장 강한 곳은 미국, 장기 전망이 가장 확실한 곳은 유럽. 현재 유럽은 23년 초부터 사이클이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격적으로 좋아지면서 미국에서 유럽으로 전력망 확충이 확산되는 그림을 보이고 있음. 이에 현일렉은 중국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 중동 물량은 유럽으로 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효성중공업은 미국이 본격적으로 올라오는 궤도에 위치하고 수주도 28~29년 물량도 있는 등 리드타임 쌓이고 있음. 유럽 시장 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유럽도 23년 초 수주분이 본격 인식되면서 OPM이 올라올 수 있는 구간임. 현일렉처럼 20%대는 당분간 어려울 수 있어도 그 추세를 따라가는 건 맞는듯.
- 가장 훌륭한 회사와 상대적인 룸 측면에서 매력적인 회사 모두 관심.
#정부주
- 윤석열 정부가 밀던 주요 섹터 원전 대왕고래 방산 밸류업 등. 기본적으로 정부 주도 주식은 주의할 필요 있음.
- 여기서 방산 밸류업은 다음 정부에서도 크게 방향성이 바뀌지 않을 것 같음. 과대한 낙폭은 기회가 될 수도.
- 원전과 대왕고래는 정권이 바뀌면 방향성이 크게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금일 낙폭이 컸던 것으로 추정.
👍18
도PB의 생존투자
더이상 "이랬으니깐 이럴거야"라는 말이 안 통하는 시대인 듯 합니다.
남이, 부모님이, 선배님이, 선생님이 하는 말씀 보다는 본인만의 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남이, 부모님이, 선배님이, 선생님이 하는 말씀 보다는 본인만의 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 이후로 "이랬으니깐 이럴거야"가 깨지는게 좀 많네요
💯10
#CCL
대만 CCL 업체들 데이터가 흥미롭네요. 특히 NVDA향 데이터 잘 튀는 모습.
국내 peer 데이터도 궁금해짐.
자료출처: https://t.me/merITz_tech
메리츠 테크팀
대만 CCL 업체들 데이터가 흥미롭네요. 특히 NVDA향 데이터 잘 튀는 모습.
국내 peer 데이터도 궁금해짐.
자료출처: https://t.me/merITz_tech
메리츠 테크팀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미용 바이오 전력 조선/LNG AISW
- 상대강도: 테크 AISW 전력 미용 바이오
- 신고가(60일 기준): AISW 정테주 코인
- 정량적으로 금일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바이오, 미용, AISW, 전력.
- 설마 6개월 내내 하락만 하는 장일까?(라고 할뻔)
#휴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19
- 현재까지는 비즈니스 잘 진행되고 있고 주가를 받치는 자사주 매입 공시도 꾸준히 나오는 중.
#두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22
- 대만 PEER가 데이터 튀는데 테크 중에 업황 좋은 소수 관점에서 CCL 관심.
#파마리서치
- 3분기 호주에서 유의미한 실적 확인. 백인종 대상의 긍정적인 데이터를 받기 시작.
- 회사에서도 미국 내 관심도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고 함. 현재는 합법 루트로만 판매하기 때문에 화장품 매출은 매우 미미한 상황이지만 나름 1Q24 대비 3Q24 매출 비중은 2배 이상 증가.
#우리기술투자
- 두나무 지분 매각 추진 기사에 대해 구체적인 진행사항 없다고 공지 팝업 띄움.
#제테마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5900482
- 보툴리튬 독소A형 톡신 '제테마더톡신주100단위' 국내 품목허기 정식 획득. 20년 수출용 허가 이후 4년 만에 첫 정책 허가를 획득한 제테마 톡신. 국내 필러 영업망 활용해서 번들로 판매하겠다는 계획.
- 해당 톡신은 국내 유일하게 유전자 서열정보를 미국 국림생물정보센터에 등록할만큼 균주 출처 리스크가 없는 제품. 이미 시장 추정치에는 12월 허가가 반영되어 있어서 새로운 내용은 아니지만 회사에서 가이드하는 그림이 이제 본격적으로 그려질 수 있음. 25년에는 국내 본격 판매, 2Q25 튀르키예 출시, 25년 중국 임상3상 종료, 미국 25년 임상 2상 종료, 브라질 25년 품목허가 신청 등 이벤트 가능.
- 다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차입성 부채 1,250억(전환사채 560억/16,443원) 등 금융비용 부담이 크고 전솬사채 전환 등 주식적인 부담은 남아있는 상황.
#조선
- 업황이 좋아서 기존 계약 구조를 변화하려는 등 다양한 시도가 보이는 것 같음.
- 회사들은 현재 3년 이상의 백로그를 보유하고 있어 이 정도 유지할 수준의 수주만 받아도 현재 수준의 수주잔고와 실적 성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입장. 추가 수요 발생 시 더 수주 가능.
- 선가에 대해서는 선종별로 다르지만 국내 업체들은 이미 28년도 일부 채운 상황에서 인콰이어리가 들어오는 것에 대해 선가 떨어뜨릴 이유 없다는 입장.
- 엔진쪽은 중국 CAPA 및 여력을 고려하면 계속 좋은 업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전반적으로 조선, 방산 등의 업종은 외국인들이 생각보다 팔지는 않고 유지하거나 금일 급락에 대량매수함.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미용 바이오 전력 조선/LNG AISW
- 상대강도: 테크 AISW 전력 미용 바이오
- 신고가(60일 기준): AISW 정테주 코인
- 정량적으로 금일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테크, 바이오, 미용, AISW, 전력.
- 설마 6개월 내내 하락만 하는 장일까?(라고 할뻔)
#휴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19
- 현재까지는 비즈니스 잘 진행되고 있고 주가를 받치는 자사주 매입 공시도 꾸준히 나오는 중.
#두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222
- 대만 PEER가 데이터 튀는데 테크 중에 업황 좋은 소수 관점에서 CCL 관심.
#파마리서치
- 3분기 호주에서 유의미한 실적 확인. 백인종 대상의 긍정적인 데이터를 받기 시작.
- 회사에서도 미국 내 관심도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고 함. 현재는 합법 루트로만 판매하기 때문에 화장품 매출은 매우 미미한 상황이지만 나름 1Q24 대비 3Q24 매출 비중은 2배 이상 증가.
#우리기술투자
- 두나무 지분 매각 추진 기사에 대해 구체적인 진행사항 없다고 공지 팝업 띄움.
#제테마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05900482
- 보툴리튬 독소A형 톡신 '제테마더톡신주100단위' 국내 품목허기 정식 획득. 20년 수출용 허가 이후 4년 만에 첫 정책 허가를 획득한 제테마 톡신. 국내 필러 영업망 활용해서 번들로 판매하겠다는 계획.
- 해당 톡신은 국내 유일하게 유전자 서열정보를 미국 국림생물정보센터에 등록할만큼 균주 출처 리스크가 없는 제품. 이미 시장 추정치에는 12월 허가가 반영되어 있어서 새로운 내용은 아니지만 회사에서 가이드하는 그림이 이제 본격적으로 그려질 수 있음. 25년에는 국내 본격 판매, 2Q25 튀르키예 출시, 25년 중국 임상3상 종료, 미국 25년 임상 2상 종료, 브라질 25년 품목허가 신청 등 이벤트 가능.
- 다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차입성 부채 1,250억(전환사채 560억/16,443원) 등 금융비용 부담이 크고 전솬사채 전환 등 주식적인 부담은 남아있는 상황.
#조선
- 업황이 좋아서 기존 계약 구조를 변화하려는 등 다양한 시도가 보이는 것 같음.
- 회사들은 현재 3년 이상의 백로그를 보유하고 있어 이 정도 유지할 수준의 수주만 받아도 현재 수준의 수주잔고와 실적 성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입장. 추가 수요 발생 시 더 수주 가능.
- 선가에 대해서는 선종별로 다르지만 국내 업체들은 이미 28년도 일부 채운 상황에서 인콰이어리가 들어오는 것에 대해 선가 떨어뜨릴 이유 없다는 입장.
- 엔진쪽은 중국 CAPA 및 여력을 고려하면 계속 좋은 업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전반적으로 조선, 방산 등의 업종은 외국인들이 생각보다 팔지는 않고 유지하거나 금일 급락에 대량매수함.
👍17❤🔥3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1533
#비전옥스 #선익시스템
5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관계자는 비전옥스가 이르면 내년 1분기나 2분기에 IT 8세대 OLED V5 라인 장비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들은 V5 라인용 장비 공급을 놓고 비전옥스와 논의 중인 장비업체 소속이다.
지난 9월 비전옥스 V5 기공식에는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와 야스, 일본 캐논토키와 선익시스템 등 증착기 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AMAT와 야스는 ViP 방식 증착기, 캐논토키와 선익시스템은 FMM 방식 증착기 납품업체 후보로 거론된다.
한편, BOE는 B16의 1단계 라인용 장비를 내년 초부터 순차 반입한다. 선익시스템이 만들고 있는 증착기는 내년 초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5월 중하순 B16 라인에 입고될 예정이다. 2단계 라인용 장비 입고일은 1단계 라인용 장비 입고일보다 1년여 뒤로 잡혀 있다.
#비전옥스 #선익시스템
5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관계자는 비전옥스가 이르면 내년 1분기나 2분기에 IT 8세대 OLED V5 라인 장비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들은 V5 라인용 장비 공급을 놓고 비전옥스와 논의 중인 장비업체 소속이다.
지난 9월 비전옥스 V5 기공식에는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와 야스, 일본 캐논토키와 선익시스템 등 증착기 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AMAT와 야스는 ViP 방식 증착기, 캐논토키와 선익시스템은 FMM 방식 증착기 납품업체 후보로 거론된다.
한편, BOE는 B16의 1단계 라인용 장비를 내년 초부터 순차 반입한다. 선익시스템이 만들고 있는 증착기는 내년 초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5월 중하순 B16 라인에 입고될 예정이다. 2단계 라인용 장비 입고일은 1단계 라인용 장비 입고일보다 1년여 뒤로 잡혀 있다.
www.thelec.kr
"비전옥스, IT 8G 장비업체 이르면 내년 1분기 선정 가능성"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비전옥스의 IT 8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라인 장비투자 시기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비전옥스가 차별화 요소로 부각 중인 '비(non)-파인메탈마스크(FMM)' 방식 'ViP'...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