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0172
#K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도가 내각안보위원회(CCS)를 열고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바지라(천둥의 힌디어)의 추가 도입을 논의한다. 이 안건은 현재 인도 내각안보위원회 의제로 올라와 있지만 인도 연방 하원 선거로 인해 승인이 미뤄진 상태다.
24일 인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인도 육군은 K9 바지라의 100문 추가 도입 안건이 조만간 내각안보위원회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각안보위원회의 승인이 떨어지면 인도군은 중국과의 국경 분쟁 지역인 라다크에 중국 제압용으로 K9 바지라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K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도가 내각안보위원회(CCS)를 열고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바지라(천둥의 힌디어)의 추가 도입을 논의한다. 이 안건은 현재 인도 내각안보위원회 의제로 올라와 있지만 인도 연방 하원 선거로 인해 승인이 미뤄진 상태다.
24일 인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인도 육군은 K9 바지라의 100문 추가 도입 안건이 조만간 내각안보위원회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각안보위원회의 승인이 떨어지면 인도군은 중국과의 국경 분쟁 지역인 라다크에 중국 제압용으로 K9 바지라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theguru.co.kr
[더구루] 인도, 내각안보위원회서 K9 자주포 100문 추가 도입 논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가 내각안보위원회(CCS)를 열고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바지라(천둥의 힌디어)의 추가 도입을 논의한다. 이 안건은 현재 인도 내각안보위원회 의제로 올라와 있지만 인도 연방 하원 선거로 인해 승인이 미뤄진 상태다. 24일 인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인도 육군은 K9 바지라의 100문 추가 도입 안건이 조만간 내각안보위원회에서
👍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유동성: 조선/피팅 바이오 밸류업 미용 엔터 테크 방산 전력
상대강도: 조선/피팅 방산 미디어/엔터 밸류업
신고가(60일 기준): 조선/피팅 엔터 밸류업
- 미장은 고배당/금융, 에너지, 산업재, 필수소비재, SW, 바이오, 미디어, 우주, 전력 등이 강세를 보임.
- 최근에는 돈이 산발적으로 튀는 구간이라고 판단됨. 이에 러프한 아이디어 스케치에 따른 아이디어 워킹이 생각보다 잘 되는 구간으로 판단됨.
- 종목 오르고 빠지고 그러는거 사담으로는 왈가왈부 사족을 달 수는 있지만 최소한 공개적인 공간에서는 사족을 안다는게 좋지 않나 생각함. 특히 "빠질 때 슬퍼하는 주주들한테 빠지면 업사이드 더 나오니까 좋은건데 왜 슬퍼함?" 이라고 하는 머저리가 한명있는거 같은데 1) 사회성 결여, 2) 눈치가 없거나, 3) 쿨찐이거나.
#대한항공
- 3Q 연료비가 YoY 소폭 감소했는데, 4Q에는 유가 하락 효과 더 크게 나타날 것.
- 예약 상황은 3Q 대비 계절적 이슈로 감소하겠으나, YoY로는 올라오고 있음.
- 아시아나는 유럽 요구사항 다 해결해서 유럽에서 승인 있을 것으로 전망. 미국은 법무부에서 특별한 이슈가 없으면 승인이 될 것으로 전망. 1년차에는 연결, 2년차부터 합병이 될 것.
- 관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더욱 크지 않을 것.
#성광벤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64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65
- 트럼프 관련한 트레이딩으로 LNG프로젝트 지속 관심.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강하게 LNG 터미널 프로젝트를 추진하려고 함. 현재에도 20개가 넘는 건설 및 승인 대기중인 터미널이 존재함.
- 트럼프 취임이 1월 20일, 통상정책을 발표하는 기점이 취임 후 100 이내이기 때문에 LNG 프로젝트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좀 남음. America First 기조를 통해 무역적자 축소 관점에서 한국의 미국 에너지 수입이 논의될 가능성이 높은게 현실적.
- 미국의 LNG 터미널 프로젝트, 국내에서 미국 에너지 수입이 진행될 때 LNG 터미널 및 저장탱크 등 많은 부분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어서 관심.
- 과거 호황기 당시 P/B 3배, P/E 20배 초중반이었던 것을 고려할 시 현재 P/B 약 0.9배, P/E 10배는 급등했음에도 절반 이하 수준.
#효성중공업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69
- 뜬금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인수 우려가 부각되었으나, 부인공시 진행.
- 왜 현일렉 언급은 없냐는 문의가 있는데...걘 알아서 존나 잘하기 때문에....
#CDMO
-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생물보안법 이슈로 CDO뿐 아니라 CMO도 수주문의가 50%가량 증가함.
- 1) 금리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면서, 2) 생물보안법으로 CDO/CMO 모두 수혜가 나오고 있고, 3)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물량증가의 낙수효과를 얻을 중소형 CDMO도 있기 때문에 CDMO에 대한 지속 관심 필요.
- 특히 최근에는 바이오텍과 CDMO 간 주가 차별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디지털교과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73
- 다음주 11월 29일 선정결과 발표
#GAP
- 3분기 매출액 소폭 하회했으나 조정EPS의 큰 폭 상회, 가이던스 상향으로 주가 강세.
- 24년 회계연도 가이던스를 매출액 YoY+1.5%=>YoY+2%, OPM 50%=> 60%대, 매출총이익률 증가폭 200bps=>220bps 등으로 이익률 지표가 10% 이상 상향하면서 강한 자신감. 모든 브랜드에서 M/S 확대가 이뤄지고 있으며 재고 관리도 지속적으로 훌륭하게 이뤄지는 중.
- 이번 GAP 어닝콜에서 관심이 있던 부분은 중저가 브랜드에서도 저소득층의 구매액이 감소한 반면, 중/고소득층의 중저가 브랜드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유동성: 조선/피팅 바이오 밸류업 미용 엔터 테크 방산 전력
상대강도: 조선/피팅 방산 미디어/엔터 밸류업
신고가(60일 기준): 조선/피팅 엔터 밸류업
- 미장은 고배당/금융, 에너지, 산업재, 필수소비재, SW, 바이오, 미디어, 우주, 전력 등이 강세를 보임.
- 최근에는 돈이 산발적으로 튀는 구간이라고 판단됨. 이에 러프한 아이디어 스케치에 따른 아이디어 워킹이 생각보다 잘 되는 구간으로 판단됨.
- 종목 오르고 빠지고 그러는거 사담으로는 왈가왈부 사족을 달 수는 있지만 최소한 공개적인 공간에서는 사족을 안다는게 좋지 않나 생각함. 특히 "빠질 때 슬퍼하는 주주들한테 빠지면 업사이드 더 나오니까 좋은건데 왜 슬퍼함?" 이라고 하는 머저리가 한명있는거 같은데 1) 사회성 결여, 2) 눈치가 없거나, 3) 쿨찐이거나.
#대한항공
- 3Q 연료비가 YoY 소폭 감소했는데, 4Q에는 유가 하락 효과 더 크게 나타날 것.
- 예약 상황은 3Q 대비 계절적 이슈로 감소하겠으나, YoY로는 올라오고 있음.
- 아시아나는 유럽 요구사항 다 해결해서 유럽에서 승인 있을 것으로 전망. 미국은 법무부에서 특별한 이슈가 없으면 승인이 될 것으로 전망. 1년차에는 연결, 2년차부터 합병이 될 것.
- 관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더욱 크지 않을 것.
#성광벤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64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65
- 트럼프 관련한 트레이딩으로 LNG프로젝트 지속 관심.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강하게 LNG 터미널 프로젝트를 추진하려고 함. 현재에도 20개가 넘는 건설 및 승인 대기중인 터미널이 존재함.
- 트럼프 취임이 1월 20일, 통상정책을 발표하는 기점이 취임 후 100 이내이기 때문에 LNG 프로젝트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좀 남음. America First 기조를 통해 무역적자 축소 관점에서 한국의 미국 에너지 수입이 논의될 가능성이 높은게 현실적.
- 미국의 LNG 터미널 프로젝트, 국내에서 미국 에너지 수입이 진행될 때 LNG 터미널 및 저장탱크 등 많은 부분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어서 관심.
- 과거 호황기 당시 P/B 3배, P/E 20배 초중반이었던 것을 고려할 시 현재 P/B 약 0.9배, P/E 10배는 급등했음에도 절반 이하 수준.
#효성중공업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69
- 뜬금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인수 우려가 부각되었으나, 부인공시 진행.
- 왜 현일렉 언급은 없냐는 문의가 있는데...걘 알아서 존나 잘하기 때문에....
#CDMO
-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생물보안법 이슈로 CDO뿐 아니라 CMO도 수주문의가 50%가량 증가함.
- 1) 금리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면서, 2) 생물보안법으로 CDO/CMO 모두 수혜가 나오고 있고, 3)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물량증가의 낙수효과를 얻을 중소형 CDMO도 있기 때문에 CDMO에 대한 지속 관심 필요.
- 특히 최근에는 바이오텍과 CDMO 간 주가 차별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디지털교과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73
- 다음주 11월 29일 선정결과 발표
#GAP
- 3분기 매출액 소폭 하회했으나 조정EPS의 큰 폭 상회, 가이던스 상향으로 주가 강세.
- 24년 회계연도 가이던스를 매출액 YoY+1.5%=>YoY+2%, OPM 50%=> 60%대, 매출총이익률 증가폭 200bps=>220bps 등으로 이익률 지표가 10% 이상 상향하면서 강한 자신감. 모든 브랜드에서 M/S 확대가 이뤄지고 있으며 재고 관리도 지속적으로 훌륭하게 이뤄지는 중.
- 이번 GAP 어닝콜에서 관심이 있던 부분은 중저가 브랜드에서도 저소득층의 구매액이 감소한 반면, 중/고소득층의 중저가 브랜드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24💯18✍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조선/LNG밸류업 엔터/미디어 미용 전력 테크
- 상대강도: 바이오 조선/LNG 밸류업 SW 전력 엔터/미디어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 통신 엔터/미디어 SW
#KT
- 통신쪽 역시 밸류업으로 주가 상승 흐름. 기본적으로 LGU+, SK텔레콤, KT 모두 주주환원에 대한 기대감 존재.
- KT는 자회사 물적 문할을 통한 조직 개편 효과로 본사 이익이 증가하여 배당 재원이 증대됨과 더불어 수익성 향상, 원활한 신사업 육성 등이 기대됨. 주주이익환원 증가분 대비 주가 상승은 크지 않은 상황이며 수급 레벨 역시 같은 업종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 25년 수출주 중에서 큰 증익이 기대되는 섹터가 두드러지지 않거나 약달러 현상이 발생한다면 오히려 이러한 퀄리티(밸류업/실적) 내수주로 관심을 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엔터
- 미국이 대중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강력한 내수부양을 추진하고 있음. 미국의 규제가 현실화되기 이전 최대한 많은 움직임을 이뤄놔야 함. 유인촌 장관이 중국 초청으로 21~23일 중국 관광장관 회담.
- 중국이 최근 한국에 대한 비자 등을 완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1) 한국이 상호호혜 관점으로 본다면, 2) 중국에는 없지만 한국에서 찾을 니즈가 있는 소비 부양 등을 고려한다면 엔터가 그러한 K-니즈가 있는 섹터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
- 미국의 대중 제재 니즈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섹터라는 점에서도 트럼프 2기에서 어느정도의 무풍지대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
#조선 #LNG
- 자료참고: https://t.me/EMchina/18383
- 도널드 트럼프의 인수팀이 그의 취임 직후 며칠 안에 발표할 광범위한 에너지 패키지를 준비. 이 계획에는 신규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의 수출 허가 승인과 미국 연안 및 연방 토지에서의 석유 시추 확대가 포함.
#바이오
- 유동성 공급+금리+섹터/종목 과매도+미장 바이오 상관관계 등 고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조선/LNG밸류업 엔터/미디어 미용 전력 테크
- 상대강도: 바이오 조선/LNG 밸류업 SW 전력 엔터/미디어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 통신 엔터/미디어 SW
#KT
- 통신쪽 역시 밸류업으로 주가 상승 흐름. 기본적으로 LGU+, SK텔레콤, KT 모두 주주환원에 대한 기대감 존재.
- KT는 자회사 물적 문할을 통한 조직 개편 효과로 본사 이익이 증가하여 배당 재원이 증대됨과 더불어 수익성 향상, 원활한 신사업 육성 등이 기대됨. 주주이익환원 증가분 대비 주가 상승은 크지 않은 상황이며 수급 레벨 역시 같은 업종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 25년 수출주 중에서 큰 증익이 기대되는 섹터가 두드러지지 않거나 약달러 현상이 발생한다면 오히려 이러한 퀄리티(밸류업/실적) 내수주로 관심을 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엔터
- 미국이 대중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강력한 내수부양을 추진하고 있음. 미국의 규제가 현실화되기 이전 최대한 많은 움직임을 이뤄놔야 함. 유인촌 장관이 중국 초청으로 21~23일 중국 관광장관 회담.
- 중국이 최근 한국에 대한 비자 등을 완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1) 한국이 상호호혜 관점으로 본다면, 2) 중국에는 없지만 한국에서 찾을 니즈가 있는 소비 부양 등을 고려한다면 엔터가 그러한 K-니즈가 있는 섹터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
- 미국의 대중 제재 니즈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섹터라는 점에서도 트럼프 2기에서 어느정도의 무풍지대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
#조선 #LNG
- 자료참고: https://t.me/EMchina/18383
- 도널드 트럼프의 인수팀이 그의 취임 직후 며칠 안에 발표할 광범위한 에너지 패키지를 준비. 이 계획에는 신규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의 수출 허가 승인과 미국 연안 및 연방 토지에서의 석유 시추 확대가 포함.
#바이오
- 유동성 공급+금리+섹터/종목 과매도+미장 바이오 상관관계 등 고려
👍16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밸류업 AISW 바이오 조선/LNG 엔터/미디어 미용 방산 재건 유틸리티 전력
- 상대강도: 밸류업 유틸리티 AISW 조선/LNG 엔터/미디어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AISW 조선/LNG 유틸리티 엔터/미디어
- 유동성이 확실히 산발적으로 퍼지는 것을 볼 수 있음. 반면, 상대강도와 신고가는 어느정도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최근 장이 급하게 오르는 것들은 이렇게 가다가 고가레벨에서 뿅망치로 때리는 경우가 있음. 다만, 트럼프/머스크의 방향성과 일치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관심을 줘야 할 것.
- 보통 하락한 뒤 이유가 만들어지고 붙어지면서 이야기가 많아지는데, 우리는 이유가 만들어지고 그 팩터로 인해 주가가 빠지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은 것 같음. 본인의 포지션, 컨빅션, 자금의 용도에 따라 자신의 대응을 하면 되는 것. 자신의 현재 상황에 맞는 대응이 중요하다고 생각.
- 요즘 IR을 하는 회사들이 조금만 기대치에 못미치면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패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내가 주주로 있는 동안에는 내가 들고 있는 회사들은 IR 안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있음.
#KT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76
- 정규장 +2%, 시간외 +1.8%
- 1) 25년 수출주 내 큰 증익이 기대되는 섹터가 두드러지지 않거나 2) 장이 애매하다면 밸류업/실적이 나오는 퀄리티 내수주에 관심을 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 이 외 한전도 정리 중에 있는데 앞선 2가지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끌고갈만한 곳으로 생각하고 있음.
#헬스케어(맥쿼리)
- 25E는 사이클 리더의 약세로 인해 더욱 종목 선택이 중요함을 시사함.
- 헬스케어 내에서 25E 구조적 성장을 이룰 곳은 피부미용와 CDMO일 것. 이에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휴젤, 파마리서치를 추천함.
#전력기기
- 기본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는 항상 있을 수밖에 없긴 함. 배전쪽은 오히려 당장은 미국 근처 국가들 관세로 인해 오히려 긍정적인 부분이 발생할 수 있음. 초고압은 미국의 과반을 국내 양사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Peer 중에서 영향이 덜할 것으로 전망.
- 초고압은 아직도 리드타임이 3~4년이 걸리는 상황에서 미국 내 수입 비중이 높은 멕시코 등에 관세를 메긴다는 것은 한국 기업에게 오히려 수혜로 작용해볼 수 있지 않나 하는 개인적인 생각. 한국이 타겟이 될 수도 있는데 이는 트럼프 정부 기조와 반대의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한적이라는 생각.
- 초고압은 현재도 아직 물량이 많이 나와야 하는 상황인데, 국내 업체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곳에서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면 1) 일단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그 공장이 미국 전체의 과반을 차지함, 2) 그 외 물량의 경우 미국 업체들의 전력 일정이 밀릴 Risk가 있음. 기본적으로 한국에 투자할 니즈가 있는 섹터에서 한국을 제재할 경우 미국 기업의 일정이 밀릴 수 있으며 이는 트럼프 정부 기조와 반대. 또한 일정이 밀릴 경우 관세를 Share하는 등의 방법이 거론될 수 있음.
#관세
- 관세에 대한 내용이 보도되면서 이와 관련해 1) 우려 대비 선방한, 2) 혹시 모를 우려가 발생한 종목의 극단적 차별화가 발생. 한동안 트럼프/머스크의 발언 및 행동에 따른 극단적 차별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변동성을 잘 이용해야 할 것.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밸류업 AISW 바이오 조선/LNG 엔터/미디어 미용 방산 재건 유틸리티 전력
- 상대강도: 밸류업 유틸리티 AISW 조선/LNG 엔터/미디어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AISW 조선/LNG 유틸리티 엔터/미디어
- 유동성이 확실히 산발적으로 퍼지는 것을 볼 수 있음. 반면, 상대강도와 신고가는 어느정도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최근 장이 급하게 오르는 것들은 이렇게 가다가 고가레벨에서 뿅망치로 때리는 경우가 있음. 다만, 트럼프/머스크의 방향성과 일치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관심을 줘야 할 것.
- 보통 하락한 뒤 이유가 만들어지고 붙어지면서 이야기가 많아지는데, 우리는 이유가 만들어지고 그 팩터로 인해 주가가 빠지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은 것 같음. 본인의 포지션, 컨빅션, 자금의 용도에 따라 자신의 대응을 하면 되는 것. 자신의 현재 상황에 맞는 대응이 중요하다고 생각.
- 요즘 IR을 하는 회사들이 조금만 기대치에 못미치면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패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내가 주주로 있는 동안에는 내가 들고 있는 회사들은 IR 안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있음.
#KT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76
- 정규장 +2%, 시간외 +1.8%
- 1) 25년 수출주 내 큰 증익이 기대되는 섹터가 두드러지지 않거나 2) 장이 애매하다면 밸류업/실적이 나오는 퀄리티 내수주에 관심을 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
- 이 외 한전도 정리 중에 있는데 앞선 2가지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끌고갈만한 곳으로 생각하고 있음.
#헬스케어(맥쿼리)
- 25E는 사이클 리더의 약세로 인해 더욱 종목 선택이 중요함을 시사함.
- 헬스케어 내에서 25E 구조적 성장을 이룰 곳은 피부미용와 CDMO일 것. 이에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휴젤, 파마리서치를 추천함.
#전력기기
- 기본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는 항상 있을 수밖에 없긴 함. 배전쪽은 오히려 당장은 미국 근처 국가들 관세로 인해 오히려 긍정적인 부분이 발생할 수 있음. 초고압은 미국의 과반을 국내 양사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Peer 중에서 영향이 덜할 것으로 전망.
- 초고압은 아직도 리드타임이 3~4년이 걸리는 상황에서 미국 내 수입 비중이 높은 멕시코 등에 관세를 메긴다는 것은 한국 기업에게 오히려 수혜로 작용해볼 수 있지 않나 하는 개인적인 생각. 한국이 타겟이 될 수도 있는데 이는 트럼프 정부 기조와 반대의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한적이라는 생각.
- 초고압은 현재도 아직 물량이 많이 나와야 하는 상황인데, 국내 업체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곳에서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면 1) 일단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그 공장이 미국 전체의 과반을 차지함, 2) 그 외 물량의 경우 미국 업체들의 전력 일정이 밀릴 Risk가 있음. 기본적으로 한국에 투자할 니즈가 있는 섹터에서 한국을 제재할 경우 미국 기업의 일정이 밀릴 수 있으며 이는 트럼프 정부 기조와 반대. 또한 일정이 밀릴 경우 관세를 Share하는 등의 방법이 거론될 수 있음.
#관세
- 관세에 대한 내용이 보도되면서 이와 관련해 1) 우려 대비 선방한, 2) 혹시 모를 우려가 발생한 종목의 극단적 차별화가 발생. 한동안 트럼프/머스크의 발언 및 행동에 따른 극단적 차별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변동성을 잘 이용해야 할 것.
👍19
投資, 아레테
#지누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85
- 매트리스 업체 중에 거의 유일하게 미국 내 공장 보유. 미국 PB 브랜드 오프라인 제품들에 대한 주문이 향후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과거 트럼프 1기 당시 수혜를 봤던 회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85
- 매트리스 업체 중에 거의 유일하게 미국 내 공장 보유. 미국 PB 브랜드 오프라인 제품들에 대한 주문이 향후 더욱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과거 트럼프 1기 당시 수혜를 봤던 회사.
#지누스
이미 이전부터 많이 거론되던 부분의 현실화.
지누스에게 있어 25년 터닝포인트로 작용할 부분은 매트리스도 중요하지만 비매트리스의 회복.
이 부분은 중국쪽에서의 관세가 추가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팔로우해보면 좋을 듯.
이미 이전부터 많이 거론되던 부분의 현실화.
지누스에게 있어 25년 터닝포인트로 작용할 부분은 매트리스도 중요하지만 비매트리스의 회복.
이 부분은 중국쪽에서의 관세가 추가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팔로우해보면 좋을 듯.
✍12
投資, 아레테
요즘 IR을 하는 회사들이 조금만 기대치에 못미치면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패버리는 경우가 있어서 내가 주주로 있는 동안에는 내가 들고 있는 회사들은 IR 안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있음
네... 제발 뭐 하지 말고 조용히 있어주세요 기도 띰
👍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AISW 조선/LNG 바이오 밸류업 미용 전력 방산 엔터/미디어
- 상대강도: AISW 조선/LNG 밸류업 유틸리티 전력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AISW 조선/LNG 엔터/미디어
- 이 3개에 해당되지는 않지만 로봇쪽의 수급도 AI와 엮이면서 보이는 모습.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bornlupin/8402
- 리쥬란 구글 트렌드 ATH 또 경신했다고.
#HJ중공업
- 주변분들 덕분에 오르기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막상 못먹은 종목. 아래 내용은 그냥 정리글.
- 22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선 수주를 시작해 고가물량부터 바로 인식되는 사이클. 또한 가장 최근 수주 기준으로 27.06월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타 업체 대비 CAPA 룸이 남아있을 듯. 24년 1조원 이상의 조선 수주를 통해 빠른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미 해군 관계자가 둘러본 주요 조선소 중 하나에 해당하며 이전부터 특수선 사업을 영위했기 때문에 MRO 관련한 사업에 대해 연계성이 이미 높은 회사.
- 건설사업은 마진이 크지 않지만 공공부문 위주로 수주받고 있어서 손해가 크지 않은 부문.
- 건설 부문이 섞여있어 조선계 '효성중공업' 느낌이지만 1) 낮은 BPS와 기저로 인해 급격한 턴어라운드를 보일 것이고, 2) 미 해군 MRO 관련하여 강한 연계성이 있고, 3) 건설 부문을 고려하더라도 타 조선소 대비 50% 이상의 할인을 받는 것은 저평가지 않나 생각.
#트럼프
- 트럼프쪽에서 반도체법 보조금 재검토를 시사하며 테크 집단 투매가 나옴. 장후 시간외에서도 트럼프 당선에 따른 해상풍력 프로젝트 중단 관련 이슈가 발생. 트럼프 리스크가 발생하는 쪽의 주가는 크게 훼손되는 모습.
- 해당 내용(https://t.me/mstaryun/7089)을 보게 되면 트럼프 2기 중립~수혜에 해당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섹터를 기재한 바 있는데, 테크/전지/신재생은 가장 대표적인 피해주로 인식되었음. 실제 현재 모습을 보게 되면 기재된 섹터 중 제약/바이오를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우수한 주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음. 제약/바이오 중에서도 실질 수혜를 입을 수 있는 CDMO의 주가 흐름은 상대적으로 차별화 되는 모습.
- 트럼프 취임 1월 20일, 그리고 통상정책이 나오기까지 100일간의 기간은 트럼프 피해주들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한 모습을 연출할 기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함. 그러나, 반대로 해당 기간을 지날수록 트럼프 정책이 선명해질 것이고 불확실성이 걷힐 수 있기 때문에 변동성 속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함. 이는 곧, 현재 트럼프 수혜로 언급되는 대표 섹터들 역시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오히려 불명확한 것들은 하방 리스크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방산
- 머스크의 발언, 휴전합의 등 다양한 이슈로 급하게 멀티플 할인을 반영하면서 모두 2거래일동안 20% 이상 밀린 상황.
- 급격하게 멀티플 할인을 반영하였고 지지선에서는 어느정도 지켜주고 반등을 모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또한 급하게 기관이 까면서 발생한 기관 공백 등의 이슈는 향후 매도압이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의 유동성이 유지될 경우 트레이딩 기회가 발생할 수 있겠다는 생각. 또한 글로벌 방산주들은 국내 방산주 대비 변동성이 크지 않으며 우상향 중인 상황. 글로벌-국내 괴리가 벌어짐.
- 실제 기관은 2거래일 급락 이후 방산주들을 다시 매수하는 모습을 보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전력기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78
- 요약하면 멕시코 관세는 한국 수혜로 작용할 수 있으며 오해에 따른 과매도는 기회로 볼 수 있음.
미국 주요 전력 유틸리티 업체들의 전력부하 및 CAPEX 전망치 상향조정이 발생한 것이 유의미. 일련의 과정이 미국 주요 정책 타임라인인 FERC의 Order 1920에 따른 계획수립이 마무리되지 않았음에도 주요 업체들 상향이 발생했다는 점에 의의. 특히 송전의 본격 확장기.
아레테(https://t.me/mstaryun)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AISW 조선/LNG 바이오 밸류업 미용 전력 방산 엔터/미디어
- 상대강도: AISW 조선/LNG 밸류업 유틸리티 전력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AISW 조선/LNG 엔터/미디어
- 이 3개에 해당되지는 않지만 로봇쪽의 수급도 AI와 엮이면서 보이는 모습.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bornlupin/8402
- 리쥬란 구글 트렌드 ATH 또 경신했다고.
#HJ중공업
- 주변분들 덕분에 오르기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막상 못먹은 종목. 아래 내용은 그냥 정리글.
- 22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선 수주를 시작해 고가물량부터 바로 인식되는 사이클. 또한 가장 최근 수주 기준으로 27.06월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타 업체 대비 CAPA 룸이 남아있을 듯. 24년 1조원 이상의 조선 수주를 통해 빠른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미 해군 관계자가 둘러본 주요 조선소 중 하나에 해당하며 이전부터 특수선 사업을 영위했기 때문에 MRO 관련한 사업에 대해 연계성이 이미 높은 회사.
- 건설사업은 마진이 크지 않지만 공공부문 위주로 수주받고 있어서 손해가 크지 않은 부문.
- 건설 부문이 섞여있어 조선계 '효성중공업' 느낌이지만 1) 낮은 BPS와 기저로 인해 급격한 턴어라운드를 보일 것이고, 2) 미 해군 MRO 관련하여 강한 연계성이 있고, 3) 건설 부문을 고려하더라도 타 조선소 대비 50% 이상의 할인을 받는 것은 저평가지 않나 생각.
#트럼프
- 트럼프쪽에서 반도체법 보조금 재검토를 시사하며 테크 집단 투매가 나옴. 장후 시간외에서도 트럼프 당선에 따른 해상풍력 프로젝트 중단 관련 이슈가 발생. 트럼프 리스크가 발생하는 쪽의 주가는 크게 훼손되는 모습.
- 해당 내용(https://t.me/mstaryun/7089)을 보게 되면 트럼프 2기 중립~수혜에 해당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섹터를 기재한 바 있는데, 테크/전지/신재생은 가장 대표적인 피해주로 인식되었음. 실제 현재 모습을 보게 되면 기재된 섹터 중 제약/바이오를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우수한 주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음. 제약/바이오 중에서도 실질 수혜를 입을 수 있는 CDMO의 주가 흐름은 상대적으로 차별화 되는 모습.
- 트럼프 취임 1월 20일, 그리고 통상정책이 나오기까지 100일간의 기간은 트럼프 피해주들에게 상대적으로 불리한 모습을 연출할 기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함. 그러나, 반대로 해당 기간을 지날수록 트럼프 정책이 선명해질 것이고 불확실성이 걷힐 수 있기 때문에 변동성 속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함. 이는 곧, 현재 트럼프 수혜로 언급되는 대표 섹터들 역시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오히려 불명확한 것들은 하방 리스크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방산
- 머스크의 발언, 휴전합의 등 다양한 이슈로 급하게 멀티플 할인을 반영하면서 모두 2거래일동안 20% 이상 밀린 상황.
- 급격하게 멀티플 할인을 반영하였고 지지선에서는 어느정도 지켜주고 반등을 모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또한 급하게 기관이 까면서 발생한 기관 공백 등의 이슈는 향후 매도압이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의 유동성이 유지될 경우 트레이딩 기회가 발생할 수 있겠다는 생각. 또한 글로벌 방산주들은 국내 방산주 대비 변동성이 크지 않으며 우상향 중인 상황. 글로벌-국내 괴리가 벌어짐.
- 실제 기관은 2거래일 급락 이후 방산주들을 다시 매수하는 모습을 보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전력기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78
- 요약하면 멕시코 관세는 한국 수혜로 작용할 수 있으며 오해에 따른 과매도는 기회로 볼 수 있음.
미국 주요 전력 유틸리티 업체들의 전력부하 및 CAPEX 전망치 상향조정이 발생한 것이 유의미. 일련의 과정이 미국 주요 정책 타임라인인 FERC의 Order 1920에 따른 계획수립이 마무리되지 않았음에도 주요 업체들 상향이 발생했다는 점에 의의. 특히 송전의 본격 확장기.
아레테(https://t.me/mstaryun)
👍2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82035g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위해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이 제시한 조건부 승인의 선행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면서 양사의 기업결합이 확정됐다.
EU 경쟁당국(European Commission·EC)은 28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을 위한 선결 요건이 모두 충족돼 심사를 종결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미국 경쟁당국(Department of Justice·DOJ)에 EU 경쟁당국의 최종 승인 내용을 보고했다. 이후 올해 12월 안으로 최종 거래종결 절차를 매듭지을 계획이다. EC가 승인을 하면 DOJ도 소송 제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져서 4년 만에 기업결합 절차가 끝난다.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위해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이 제시한 조건부 승인의 선행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면서 양사의 기업결합이 확정됐다.
EU 경쟁당국(European Commission·EC)은 28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을 위한 선결 요건이 모두 충족돼 심사를 종결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미국 경쟁당국(Department of Justice·DOJ)에 EU 경쟁당국의 최종 승인 내용을 보고했다. 이후 올해 12월 안으로 최종 거래종결 절차를 매듭지을 계획이다. EC가 승인을 하면 DOJ도 소송 제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져서 4년 만에 기업결합 절차가 끝난다.
한국경제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확정…EU 경쟁당국, 심사 종결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확정…EU 경쟁당국, 심사 종결, EU EC 제시한 조건부 승인 선행 조건 모두 충족 “올해 12월 안으로 최종 거래종결 절차 매듭 계획”
投資, 아레테
#대한항공
- WTI가 낮은 레벨을 유지하는 가운데, 유가 Peak를 치면 이를 원자재로 사용하는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음. 대한항공은 유가하락 수혜 대표적인 주식. 역사적으로 유가 하락에 동행 or 후행하는 모습.
- 추가적으로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이 마무리되는 것도 기대해볼 이벤트.
- WTI가 낮은 레벨을 유지하는 가운데, 유가 Peak를 치면 이를 원자재로 사용하는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음. 대한항공은 유가하락 수혜 대표적인 주식. 역사적으로 유가 하락에 동행 or 후행하는 모습.
- 추가적으로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이 마무리되는 것도 기대해볼 이벤트.
기대해볼 이벤트가 곧이라고 생각했던 것의 현실화.
현재 유가레벨 자체는 60불대를 유지하면서 낮은 레벨을 유지하는 중.
현재 주가가 이를 어느정도 반영했는지 생각해보면 좋을 듯.
현재 유가레벨 자체는 60불대를 유지하면서 낮은 레벨을 유지하는 중.
현재 주가가 이를 어느정도 반영했는지 생각해보면 좋을 듯.
👍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AISW 밸류업 엔터/미디어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밸류업 유틸리티 2차전지 방산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엔터/미디어 AISW
- 슬슬 개잡주 세일즈, 개별종목 사고 등을 보니 계절 뿐 아니라 증시도 연말 시즌이 왔다는 것을 체감하게 됨.
#대한항공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88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89
- 한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이슈로 한국공항을 봐볼 수 있을 것.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85
- 회사 가이던스보다 조금 더 빠른 느낌. 시장규모 조단위 열리는거니까 좋긴한듯. 이제 진행중인 임상은 치료/예방 목적 임상. 이 부분은 메드트로닉에서 진행하고 있고 빠르면 25년 내 결과 확인 가능. 긍정적일 경우 26년 내시경 출혈 지혈 가이드라인 등재 가능.
- 이미 넥스파우더는 메드트로닉을 통해 유럽 29개국, 미국 45개 주 등에서 판매되고 있음.
#제닉
- 회사 내용은 개별적으로 더 좋아지는 느낌인데 섹터를 이기지 못하는 종목의 대표적 예시가 되는 것 같음.
- 주요 고객사 미국 아마존 순위는 1위 계속 유지하고 있고 일본 아마존 순위도 올라오고 있음. 라인 증설도 기존 4Q24 600만/월 스케줄에서 24.10월 600만장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12월 초 설비 생산 투입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 3Q 실적도 일회성 대손 5억은 4Q24~1Q25 정도에 환입될 것이며 그 외 정상적으로 이익이 인식될 예정.
#하이브
- 뉴진스는 개인적인 감정을 제외하고 보면 그냥 도장 한번 안찍어본 아이들이라 안타까울뿐.
- 그런데 최근 추정치를 보면 25년부터 뉴진스 관련 실적은 아예 제외하고 있는 상황. 여기서 이번 사건은 그냥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듯. 펀더로 멀티플의 어느정도 회복이 발생하던 중.
- 뭐 오히려 위약금으로 현금 들어오면 뭐가됐던 추정치에는 반영되지 않았던 돈이 들어오니 좋은건가?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AISW 밸류업 엔터/미디어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밸류업 유틸리티 2차전지 방산
- 신고가(60일 기준): 밸류업 엔터/미디어 AISW
- 슬슬 개잡주 세일즈, 개별종목 사고 등을 보니 계절 뿐 아니라 증시도 연말 시즌이 왔다는 것을 체감하게 됨.
#대한항공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88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89
- 한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이슈로 한국공항을 봐볼 수 있을 것.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185
- 회사 가이던스보다 조금 더 빠른 느낌. 시장규모 조단위 열리는거니까 좋긴한듯. 이제 진행중인 임상은 치료/예방 목적 임상. 이 부분은 메드트로닉에서 진행하고 있고 빠르면 25년 내 결과 확인 가능. 긍정적일 경우 26년 내시경 출혈 지혈 가이드라인 등재 가능.
- 이미 넥스파우더는 메드트로닉을 통해 유럽 29개국, 미국 45개 주 등에서 판매되고 있음.
#제닉
- 회사 내용은 개별적으로 더 좋아지는 느낌인데 섹터를 이기지 못하는 종목의 대표적 예시가 되는 것 같음.
- 주요 고객사 미국 아마존 순위는 1위 계속 유지하고 있고 일본 아마존 순위도 올라오고 있음. 라인 증설도 기존 4Q24 600만/월 스케줄에서 24.10월 600만장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12월 초 설비 생산 투입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 3Q 실적도 일회성 대손 5억은 4Q24~1Q25 정도에 환입될 것이며 그 외 정상적으로 이익이 인식될 예정.
#하이브
- 뉴진스는 개인적인 감정을 제외하고 보면 그냥 도장 한번 안찍어본 아이들이라 안타까울뿐.
- 그런데 최근 추정치를 보면 25년부터 뉴진스 관련 실적은 아예 제외하고 있는 상황. 여기서 이번 사건은 그냥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듯. 펀더로 멀티플의 어느정도 회복이 발생하던 중.
- 뭐 오히려 위약금으로 현금 들어오면 뭐가됐던 추정치에는 반영되지 않았던 돈이 들어오니 좋은건가?
Telegram
投資, 아레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282035g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위해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이 제시한 조건부 승인의 선행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면서 양사의 기업결합이 확정됐다.
EU 경쟁당국(European Commission·EC)은 28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을 위한 선결 요건이 모두 충족돼 심사를 종결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미국 경쟁당국(Department…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을 위해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이 제시한 조건부 승인의 선행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면서 양사의 기업결합이 확정됐다.
EU 경쟁당국(European Commission·EC)은 28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을 위한 선결 요건이 모두 충족돼 심사를 종결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미국 경쟁당국(Department…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