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한국화장품제조 - 코스메카코리아 IR에 따르면 상반기 스킨천사의 매출은 TOP20 수준이었으나 하반기 들어 TOP10 내 진입하는 그림. 여기서 진행하는 스킨천사의 품목은 주력인 갈색병이 아닌 파란색 등의 품목들. 즉, 주력인 갈색에서는 더 높은 성장을 보일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볼 수 있음. - 주력인 갈색 병을 담당하는 한국화장품제조의 하반기 실적을 더욱 긍정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음. 이를 위해 클렌징 품목의 미국향 수출 추이를 보게 되면 실적과…
https://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542
#한국화장품제조
제 추정치 기준 스킨천사 매출액은 814억이었습니다. 실제 3Q 매출액은 828억으로 소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왔네요. 선적 관련한 이슈가 있는지, 추가적인 비용단에서의 문제가 있는지 확인 정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크레이버 내 한국화장품제조의 매출 비중도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참고
2022 331억, 2023 669억, 1H24 1,029억, 3Q24 약 800억.
#한국화장품제조
제 추정치 기준 스킨천사 매출액은 814억이었습니다. 실제 3Q 매출액은 828억으로 소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왔네요. 선적 관련한 이슈가 있는지, 추가적인 비용단에서의 문제가 있는지 확인 정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크레이버 내 한국화장품제조의 매출 비중도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참고
2022 331억, 2023 669억, 1H24 1,029억, 3Q24 약 800억.
스마트경제
스킨1004, 3분기 매출 8백억 달성...역대 최대 실적 기록하며 고공행진 - 스마트경제
[스마트경제] 스킨1004가 올해 3분기에만 약 828억원 매출 및 226억원의 영업이익이라는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고 1일 밝혔다. 이로써 ‘스킨100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실적 시즌 실적 서프 및 쇼크 Sheet 공유드립니다. 개별종목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정량적인 Sheet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은 11월 1일입니다. 실적시즌 동안 위클리로 업데이트 공유드리겠습니다.
서프섹터
- 조선, 방산, 제약/바이오
쇼크섹터
- IT, 자동차, 반도체, SW
서프섹터이나 쇼크인 종목
- HK이노엔, 에스티팜
쇼크섹터이나 서프인 종목
- 파트론, 디케이티, 삼성SDS, 한미반도체, 현대글로비스, 현대모비스
기타사항
- IT 2Q 서프섹터였으나 3Q 쇼크섹터로 전환
- 조선섹터 실적시즌 전반적으로 양호
- 자동차 섹터 전반적으로 쇼크인 반면, 현대 계열의 모비스/글로비스가 실적 서프인 점 관심.
서프섹터
- 조선, 방산, 제약/바이오
쇼크섹터
- IT, 자동차, 반도체, SW
서프섹터이나 쇼크인 종목
- HK이노엔, 에스티팜
쇼크섹터이나 서프인 종목
- 파트론, 디케이티, 삼성SDS, 한미반도체, 현대글로비스, 현대모비스
기타사항
- IT 2Q 서프섹터였으나 3Q 쇼크섹터로 전환
- 조선섹터 실적시즌 전반적으로 양호
- 자동차 섹터 전반적으로 쇼크인 반면, 현대 계열의 모비스/글로비스가 실적 서프인 점 관심.
👍26✍2
C&D가 실적발표를 하고 어닝콜을 했기 때문에 C&D 내용 중 HERO 관련한 것만 요약 정리
#티앤엘
- C&D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으며 4Q 역시 긍정적 전망을 제시
- HERO는 여드름 케어 부문에서 22% 시장 점유율로 1위 차지하며 카테고리 성장 대부분 리드.
- HERO 시장 점유율은 1.7%p 성장한 57%를 기록. 패치 제품은 여전히 높은 성장률 유지.
- HERO 다른 카테고리 확장보다는 패치 제품의 인지도 제고 및 가정 내 침투율 확대에 집중할 계획.
- 24년 말 HERO 40개국 등록 목표 달성. 25.01월 말 HERO에 대한 등록 국가 수, 기대치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
- 25년 초 C&D에서 유럽 유통망 어느정도 깔고 미국쪽 유통망 드라이브하면 회사의 키팩터가 될 수 있을 것. 내년 초 소통 관심.
#티앤엘
- C&D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으며 4Q 역시 긍정적 전망을 제시
- HERO는 여드름 케어 부문에서 22% 시장 점유율로 1위 차지하며 카테고리 성장 대부분 리드.
- HERO 시장 점유율은 1.7%p 성장한 57%를 기록. 패치 제품은 여전히 높은 성장률 유지.
- HERO 다른 카테고리 확장보다는 패치 제품의 인지도 제고 및 가정 내 침투율 확대에 집중할 계획.
- 24년 말 HERO 40개국 등록 목표 달성. 25.01월 말 HERO에 대한 등록 국가 수, 기대치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
- 25년 초 C&D에서 유럽 유통망 어느정도 깔고 미국쪽 유통망 드라이브하면 회사의 키팩터가 될 수 있을 것. 내년 초 소통 관심.
👍9
기재위 소속 임광현 민주당 의원은 "조세는 국가 백년대계인 만큼 정확한 금융투자 소득 자료에 기반해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설계해야 선량한 개미 투자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투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0016?sid=101
여기 애들은 좀 길 가다가 사고 같은거 안당하나
#금투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0016?sid=101
여기 애들은 좀 길 가다가 사고 같은거 안당하나
Naver
"금투세 차기대선후 시행" 3년 유예안 민주당서 부상
다음주 조세소위서 제시할듯 정부·여당은 폐지 한목소리 더불어민주당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내년 1월로 예정된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시점을 3년 뒤인 차기 대선 이후로 미루는 방안을 국민의힘에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
👍19💯6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전반적으로 바이오, 방산, 전력기기, 미용 등이 유지는 되고 있는 상황.
- 최근 우주섹터 유동성 공급이 보이는 상황이며 해리스 관련 섹터 역시 유동성이 보임.
- 대선전후 유동성 체크를 잘 해보려고 함.
#생각
- 전일 미장은 경기소비재, 헬스케어, 테크 3개가 강한 모습을 보임. 해리스 가능성이 급등하면서 관련 수혜가 상승하는 모습.
- 당분간 주도하던 곳도 살짝 이탈 움직임이 보여서 관찰을 잘 해볼 시점이라고 생각. 매매하는 입장에서는 유동성이 들어온다면 1) 주도섹터들 내 주력 종목, 2) 신규섹터(바닥을 확인한/내년이 기대되는) 및 개별주 정도에 관심을 가져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60
- 지속적으로 좋은 데이터와 10월이 유의미한 데이터들.
#전력기기
- 효성중공업, 산일전기가 좋은 실적 및 수주를 보여주면서 주목받는 모습. 추가로 10월 수출데이터도 유의미한 숫자.
- 효중은 중공업 OPM 14%로 올라왔고 수주가 현일렉과 붙어버림.
- 산일전기는 상장 가이던스 당시 OPM을 10%p나 상회하는 이익률을 시현했으며 4Q 높은 수주가 기대되는 상황. 산일전기는 신재생쪽 업사이드 포텐셜.
- 이튼이 어닝콜에서 과소 투자 리스크가 훨씬 더 큰 상황이라고 언급.
#노바렉스
- 공장=>중국향 건기식이 3Q 급증하기 시작했고 10월 데이터도 좋은 상황.
- 중국 전인대가 11월 4일~8일까지 열림. 중국은 지속적인 소비 부양 관련 정책 내놓는 중.
- 중국 소비부양+실적 측면에서 우호적인 반면, 최근 주가는 수급이슈가 아닌가 생각.
#성우(한투)
- LGES 테슬라용 4680 원통형 배터리 Top Cap Assembly를 독점 공급하는 회사이며, FY25 예상 매출 2,000억, OPM 20%로 예상됨.
- 동사와 유사한 중국의 업체는 유사한 실적으로 기록하지만 더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음. 그러나 동사는 1) 한국 내 원통형 배터리 Top Cap의 높은 점유율, 2) 향후 미국 시장에서 LGES향 4680/4695 Top Cap Assembly 독점 공급자가 될 가능성이 있이며, 3) 테슬라와 R&D 협력 덕분에 더 높은 ASP와 마진을 확보하고 있음.
#25년
- 대선과 금리결정이 마무리되고 3Q실적시즌 막바지로 갈수록 4Q24와 함께 25년에 볼 종목들을 생각할 듯.
- 4Q24 실적이 양호하며 25년 본격적으로 좋아질 수 있는 섹터/종목들을 골라놔야 하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전반적으로 바이오, 방산, 전력기기, 미용 등이 유지는 되고 있는 상황.
- 최근 우주섹터 유동성 공급이 보이는 상황이며 해리스 관련 섹터 역시 유동성이 보임.
- 대선전후 유동성 체크를 잘 해보려고 함.
#생각
- 전일 미장은 경기소비재, 헬스케어, 테크 3개가 강한 모습을 보임. 해리스 가능성이 급등하면서 관련 수혜가 상승하는 모습.
- 당분간 주도하던 곳도 살짝 이탈 움직임이 보여서 관찰을 잘 해볼 시점이라고 생각. 매매하는 입장에서는 유동성이 들어온다면 1) 주도섹터들 내 주력 종목, 2) 신규섹터(바닥을 확인한/내년이 기대되는) 및 개별주 정도에 관심을 가져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60
- 지속적으로 좋은 데이터와 10월이 유의미한 데이터들.
#전력기기
- 효성중공업, 산일전기가 좋은 실적 및 수주를 보여주면서 주목받는 모습. 추가로 10월 수출데이터도 유의미한 숫자.
- 효중은 중공업 OPM 14%로 올라왔고 수주가 현일렉과 붙어버림.
- 산일전기는 상장 가이던스 당시 OPM을 10%p나 상회하는 이익률을 시현했으며 4Q 높은 수주가 기대되는 상황. 산일전기는 신재생쪽 업사이드 포텐셜.
- 이튼이 어닝콜에서 과소 투자 리스크가 훨씬 더 큰 상황이라고 언급.
#노바렉스
- 공장=>중국향 건기식이 3Q 급증하기 시작했고 10월 데이터도 좋은 상황.
- 중국 전인대가 11월 4일~8일까지 열림. 중국은 지속적인 소비 부양 관련 정책 내놓는 중.
- 중국 소비부양+실적 측면에서 우호적인 반면, 최근 주가는 수급이슈가 아닌가 생각.
#성우(한투)
- LGES 테슬라용 4680 원통형 배터리 Top Cap Assembly를 독점 공급하는 회사이며, FY25 예상 매출 2,000억, OPM 20%로 예상됨.
- 동사와 유사한 중국의 업체는 유사한 실적으로 기록하지만 더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음. 그러나 동사는 1) 한국 내 원통형 배터리 Top Cap의 높은 점유율, 2) 향후 미국 시장에서 LGES향 4680/4695 Top Cap Assembly 독점 공급자가 될 가능성이 있이며, 3) 테슬라와 R&D 협력 덕분에 더 높은 ASP와 마진을 확보하고 있음.
#25년
- 대선과 금리결정이 마무리되고 3Q실적시즌 막바지로 갈수록 4Q24와 함께 25년에 볼 종목들을 생각할 듯.
- 4Q24 실적이 양호하며 25년 본격적으로 좋아질 수 있는 섹터/종목들을 골라놔야 하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
👍19✍2❤🔥2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4.11.04 08:41:12
기업명: 효성중공업(시가총액: 3조 8,930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Orsted Hornsea Project Four Limited (덴마크/Orsted A/S의 SPC)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Hornsea Four Offshore Wind Farm(HOW04) 해상변전소/육상변전소에 변압기/리액터 공급, 설치 및 시운전
공급지역 : 영국/싱가포르(해상변전소 물량은 싱가포르 납품)
계약금액 : 2,912억
계약시작 : 2024-11-01
계약종료 : 2029-06-01
계약기간 : 4년 7개월
매출대비 : 6.7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4800041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980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040
기업명: 효성중공업(시가총액: 3조 8,930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Orsted Hornsea Project Four Limited (덴마크/Orsted A/S의 SPC)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Hornsea Four Offshore Wind Farm(HOW04) 해상변전소/육상변전소에 변압기/리액터 공급, 설치 및 시운전
공급지역 : 영국/싱가포르(해상변전소 물량은 싱가포르 납품)
계약금액 : 2,912억
계약시작 : 2024-11-01
계약종료 : 2029-06-01
계약기간 : 4년 7개월
매출대비 : 6.7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4800041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980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040
👍4
#중국
- 24.09월 기준 중국노선의 19년 대비 여객 회복률은 78% 수준으로 국제여객 전체 회복률이 100%를 상회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진한 수준. 그러나 비자 면제로 중국 방문 편의성이 확대되면서 방중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중국의 한국 비자 면제 조치에 따른 한국의 중국인 무비자 입국 혀용 개연성 역시 존재. 현재 한국은 제주도에 한해 중국인에 대한 비자를 면제하고 있음.
- 방중수요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직접적인 수혜는 항공사에 있을 것으로 전망. 중국 노출도가 높은 항공사는 제주항공, 에어부산 등이 있음.
- 24.09월 기준 중국노선의 19년 대비 여객 회복률은 78% 수준으로 국제여객 전체 회복률이 100%를 상회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진한 수준. 그러나 비자 면제로 중국 방문 편의성이 확대되면서 방중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중국의 한국 비자 면제 조치에 따른 한국의 중국인 무비자 입국 혀용 개연성 역시 존재. 현재 한국은 제주도에 한해 중국인에 대한 비자를 면제하고 있음.
- 방중수요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직접적인 수혜는 항공사에 있을 것으로 전망. 중국 노출도가 높은 항공사는 제주항공, 에어부산 등이 있음.
#디지털교과서
- 디지털교과서의 시장규모는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25년 약 5,000억, 26년 약 1조원, 27년 약 1.5조원, 28년 약 1.9조원 수준에 달할만큼 생각보다 훨씬 큰 시장 규모임을 알 수 있음. 국내 주요 교과서 상장 업체들의 매출이 3,000억 언더라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큰 시장이 Add되는 셈.
- 업체 선정과정은 검정/인정 교과서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24.08월 21개 업체가 교육부 출원 신청을 하였고 24.09월 11개 업체가 합격한 상황. 11월 29일 최종 심사 후 합격 업체를 발표할 예정. 국내 상장사는 비상교육/아이스크림미디어가 있음.
- 대부분의 본심사 합격 업체들이 최종 합격할 것으로 전망. 따라서 11개 업체들이 25년부터 디지털교과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 조단위 규모 시장에 각 부문별 주요 리드업체들의 점유율이 높다는 것을 고려할 시 해당 업체들로 수혜가 집중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상장사 2개 업체 모두 각자 분야에서는 시장 리드 업체라는 점 역시 투자하기 상대적으로 수월한 요소.
- 아이스크림미디어 시가총액 2,150억, 비상교육 시가총액 770억.
- 정부 지지율이 20%를 하회하는 충격적인 숫자를 보여줬지만 지금 숫자부터는 정책 관련한 기대감이 전혀 없는 상황이기에 현재 상황에서는 업사이드를 보는 것이 합리적.
- 디지털교과서의 시장규모는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25년 약 5,000억, 26년 약 1조원, 27년 약 1.5조원, 28년 약 1.9조원 수준에 달할만큼 생각보다 훨씬 큰 시장 규모임을 알 수 있음. 국내 주요 교과서 상장 업체들의 매출이 3,000억 언더라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큰 시장이 Add되는 셈.
- 업체 선정과정은 검정/인정 교과서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24.08월 21개 업체가 교육부 출원 신청을 하였고 24.09월 11개 업체가 합격한 상황. 11월 29일 최종 심사 후 합격 업체를 발표할 예정. 국내 상장사는 비상교육/아이스크림미디어가 있음.
- 대부분의 본심사 합격 업체들이 최종 합격할 것으로 전망. 따라서 11개 업체들이 25년부터 디지털교과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 조단위 규모 시장에 각 부문별 주요 리드업체들의 점유율이 높다는 것을 고려할 시 해당 업체들로 수혜가 집중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상장사 2개 업체 모두 각자 분야에서는 시장 리드 업체라는 점 역시 투자하기 상대적으로 수월한 요소.
- 아이스크림미디어 시가총액 2,150억, 비상교육 시가총액 770억.
- 정부 지지율이 20%를 하회하는 충격적인 숫자를 보여줬지만 지금 숫자부터는 정책 관련한 기대감이 전혀 없는 상황이기에 현재 상황에서는 업사이드를 보는 것이 합리적.
👍8✍3
Forward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4.11.04 11:36:42
기업명: 지누스(시가총액: 5,07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729억(예상치 : 2,365억)
영업익 : 119억(예상치 : 39억)
순이익 : -2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3Q 2,729억/ 119억/ -29억
2024.2Q 2,063억/ -142억/ -104억
2024.1Q 1,522억/ -191억/ -135억
2023.4Q 2,822억/ 17억/ -70억
2023.3Q 2,215억/ 32억/ 1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48001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3890
기업명: 지누스(시가총액: 5,07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729억(예상치 : 2,365억)
영업익 : 119억(예상치 : 39억)
순이익 : -2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3Q 2,729억/ 119억/ -29억
2024.2Q 2,063억/ -142억/ -104억
2024.1Q 1,522억/ -191억/ -135억
2023.4Q 2,822억/ 17억/ -70억
2023.3Q 2,215억/ 32억/ 1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0480015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3890
❤🔥4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24.11.04 11:36:42 기업명: 지누스(시가총액: 5,07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729억(예상치 : 2,365억) 영업익 : 119억(예상치 : 39억) 순이익 : -2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3Q 2,729억/ 119억/ -29억 2024.2Q 2,063억/ -142억/ -104억 2024.1Q 1,522억/ -191억/ -135억 2023.4Q 2,822억/…
일회성 없이 엄청난 서프 달성입미다.
#지누스
#지누스
👍9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전력기기 2차전지 밸류업 관광 엔터
- 상대강도: 바이오 전력기기 미용 2차전지 관광
- 신고가 영역(60일 기준): 바이오 전력기기 관광 엔터
- 이번주가 결과적으로 1) 금투세 폐지, 2) 대선, 3) 금리 등 매우 급격한 한 주가 될 것이기 때문에 이번주는 유동성 체크를 잘 해보려고 함. 그리고 그 유동성이 지속가능할지 생각해보겠음.
#디지털교과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73
- 상장사는 비상교육과 아이스크림미디어
#지누스
- 자료참고: https://m.blog.naver.com/moon020101/223624596255
- 자료참고: https://t.me/upper_limit_price/2528
- 실적 일회성 없이 서프라이즈 발표. 금일 컨콜 후 급락은 회사에서 보수적으로 소통한 것에 대해 실망해서 던진 것으로 보임. 다만, 3Q24 119억, 4Q24 경상이익 기준 100억 이상(환입 시 400억 이상)을 기록하는 상황에서 1Q25를 QoQ로 보는 것은 매우 타이트하다는 생각(25년 OP를 1,000억을 보시는건지...)
- 목표한 적자 SKU 100% 생산 중단. 미국 창고 23년 말 대비 재고 34% 축소 완료. 연말까지 미국 창고 4개 계약 종료.
- 매트리스 적정재고 도달 후 주문이 들어오고 있으며 비매트리스는 재고 축소 상당 진행 중.
- 수요 측면에서는 베스트셀러 랭킹 점유율이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음(매트리스 기준 1Q24 27.8%=>3Q24 34.2%)
- 4Q24 가이던스 OP 기준 100억 이상 유지. 개인적으로는 관세 관련 환입이 판결이 밀린 것은 사실이나, 예측가능성이 90% 이상일 경우 환입이 가능하고 회사에서도 환입시키려고하는 중.
- 실적 성장과 더불어 기업가치제고 검토 및 소통 강화를 통해 밸류업 진행할 것. 회사에서 최소 어느정도 이상은 주가를 강하게 올리려는 느낌. 무상증자와 함께 주주가치제고에 도움이 되는 것들을 모두 적극적으로 시행하려는 의지가 강함.
- 회사와 소통을 지속적으로 해보면 개인적으로 추정했던 25년 숫자(510억)를 더 상향조정해도 괜찮을 것 같음.
#크래프톤
- 3Q 전반적으로 트래픽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고 10~11월에도 소폭 하락에 불과해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의 트래픽을 유지하고 있음. 25년 PUBG 엔진 업데이트도 예정되어 있어 꾸준한 인기 유지될 가능성.
- 게임 지스타 이벤트도 있고 인조이 연내 출시 가능성 및 이번주 실적 발표에 따른 움직임도 기대. 현재 컨센서스는 2,500억 수준인데 가장 최근에 나온 추정치가 2,800억 수준이기 때문에 최근 실적 추정치에 대한 기대감이 있을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함.
- 기술적으로도 매번 반등했던 구간에서 올라오는 모습.
#브이티
- 4Q부터 해외 확장이 본격화 예정되어있는데, 현재 진출 진행 중인 국가는 중국/말레이/싱가폴/두바이 등.
- 중국 관련해서는 왓슨 3,800개 입점에 대한 부분을 파악한 결과 2개 품목(폼클렌저, 마스크팩)이 최근 입점 및 유통되는 것으로 파악됨.
- 리들샷 중국 진출 관련해서는 위생허가(신청 후 약 1년 기간) 득한 후, 협상 등의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며 아직 미정인 상황. 현재 리들샷 중국은 중국인들이 면세점에서 사가는 것들. 아직 본격 진출 및 마케팅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소비자 반응이 나오는 중.
- 밸류가 25E P/E 기준 9~10배 수준이며, 대표 이슈는 각자 생각해보면 좋을 듯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전력기기 2차전지 밸류업 관광 엔터
- 상대강도: 바이오 전력기기 미용 2차전지 관광
- 신고가 영역(60일 기준): 바이오 전력기기 관광 엔터
- 이번주가 결과적으로 1) 금투세 폐지, 2) 대선, 3) 금리 등 매우 급격한 한 주가 될 것이기 때문에 이번주는 유동성 체크를 잘 해보려고 함. 그리고 그 유동성이 지속가능할지 생각해보겠음.
#디지털교과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73
- 상장사는 비상교육과 아이스크림미디어
#지누스
- 자료참고: https://m.blog.naver.com/moon020101/223624596255
- 자료참고: https://t.me/upper_limit_price/2528
- 실적 일회성 없이 서프라이즈 발표. 금일 컨콜 후 급락은 회사에서 보수적으로 소통한 것에 대해 실망해서 던진 것으로 보임. 다만, 3Q24 119억, 4Q24 경상이익 기준 100억 이상(환입 시 400억 이상)을 기록하는 상황에서 1Q25를 QoQ로 보는 것은 매우 타이트하다는 생각(25년 OP를 1,000억을 보시는건지...)
- 목표한 적자 SKU 100% 생산 중단. 미국 창고 23년 말 대비 재고 34% 축소 완료. 연말까지 미국 창고 4개 계약 종료.
- 매트리스 적정재고 도달 후 주문이 들어오고 있으며 비매트리스는 재고 축소 상당 진행 중.
- 수요 측면에서는 베스트셀러 랭킹 점유율이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음(매트리스 기준 1Q24 27.8%=>3Q24 34.2%)
- 4Q24 가이던스 OP 기준 100억 이상 유지. 개인적으로는 관세 관련 환입이 판결이 밀린 것은 사실이나, 예측가능성이 90% 이상일 경우 환입이 가능하고 회사에서도 환입시키려고하는 중.
- 실적 성장과 더불어 기업가치제고 검토 및 소통 강화를 통해 밸류업 진행할 것. 회사에서 최소 어느정도 이상은 주가를 강하게 올리려는 느낌. 무상증자와 함께 주주가치제고에 도움이 되는 것들을 모두 적극적으로 시행하려는 의지가 강함.
- 회사와 소통을 지속적으로 해보면 개인적으로 추정했던 25년 숫자(510억)를 더 상향조정해도 괜찮을 것 같음.
#크래프톤
- 3Q 전반적으로 트래픽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고 10~11월에도 소폭 하락에 불과해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의 트래픽을 유지하고 있음. 25년 PUBG 엔진 업데이트도 예정되어 있어 꾸준한 인기 유지될 가능성.
- 게임 지스타 이벤트도 있고 인조이 연내 출시 가능성 및 이번주 실적 발표에 따른 움직임도 기대. 현재 컨센서스는 2,500억 수준인데 가장 최근에 나온 추정치가 2,800억 수준이기 때문에 최근 실적 추정치에 대한 기대감이 있을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함.
- 기술적으로도 매번 반등했던 구간에서 올라오는 모습.
#브이티
- 4Q부터 해외 확장이 본격화 예정되어있는데, 현재 진출 진행 중인 국가는 중국/말레이/싱가폴/두바이 등.
- 중국 관련해서는 왓슨 3,800개 입점에 대한 부분을 파악한 결과 2개 품목(폼클렌저, 마스크팩)이 최근 입점 및 유통되는 것으로 파악됨.
- 리들샷 중국 진출 관련해서는 위생허가(신청 후 약 1년 기간) 득한 후, 협상 등의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며 아직 미정인 상황. 현재 리들샷 중국은 중국인들이 면세점에서 사가는 것들. 아직 본격 진출 및 마케팅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소비자 반응이 나오는 중.
- 밸류가 25E P/E 기준 9~10배 수준이며, 대표 이슈는 각자 생각해보면 좋을 듯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