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3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2차전지, 밸류업, 방산, 미용, 중국부양
- 상대강도: 바이오, 조선, 밸류업, 미용, 음식료

#한올바이오파마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67
- 자료참고: https://t.me/BarbarianBHC/129
- IMVT에 대한 GD 및 다른 적응증에 대한 관심이 외국계에서도 증가하고 있음.
- IMVT는 시총이 상대적으로 스몰캡인데도 불구하고 TP가 제시되고 있으며 상향되고 있음. 이에따라 한올바이오파마의 파이프라인 역시 필연적으로 부각될 수밖에 없는 환경.
- 25년에 많은 기대요소가 있으며 최근 경쟁사가 계속되는 임상 실패로 부정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기회 요소가 존재한다고 생각.
- 여기서 IMVT-1402가 1401 대비 예상만큼 실제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면 향후 시장에서 'IMVT-한올바이오파마'의 우위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
- 추가적으로 오늘도 글로벌 IB 레이먼드 제임스에서 IMVT에 대해 투자의견 아웃퍼폼을 제시하며 커버리지 시작.

#리가켐바이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10900215
-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 프로덕트 및 ADC 플랫폼에 대한 패키지 딜 체결. 계약 규모는 약 9,400억 규모. 선급금을 포함해 연구개발 및 판매에 따른 마일스톤을 지급할 예정이며 상업화 이후 순매출액에 따른 로열티 별도 지급하는 구조. 향후 추가 ADC를 동시 개발할 경우 계약 규모는 더욱 증가할 수 있는 구조.
- 해당 딜 상대방은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의 일본을 담당하고 있으며 옵디보 원개발사에 해당하는 대형제약사. 해당 고객사가 리가켐바이오의 ConjuAll 플랫폼 기술을 사용하여 복수의 타겟 ADC 후보물질을 발굴 및 개발할 수 있는 글로벌 독점권을 확보한 것.
- 리가켐바이오의 이번 계약은 고형암 대상의 '비임상단계' 계열 내 최초 ADC 라이센스 계약과 함께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한 ADC 플랫폼 ConjuAll 플랫폼을 같이 수출한 계약으로, 첫 패키지 수출이라는 점에서 유의미. 또한 해당 딜은 기다리던 딜이 아님에도 약 1조 규모로 매우 큰 수준이며 '비임상단계' L/O인데, 옵디보의 원개발사이자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 일본을 담당하는 글로벌 업체가 비임상단계를 가져간다는 것은 글로벌 업체들이 ADC를 생각하는 중요도를 파악해볼 수 있다고 생각함.
- 특히 플랫폼 기술이전의 경우 거의 2년 만에 발생한 사건. 향후 ADC를 다수 개발할 수 있는 '하나의 툴'을 가져간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업체가 리가켐바이오의 툴을 가져갔다는 것은 리가켐의 기술력이 다시금 글로벌리 인증받은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게 본질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 향후 이러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높은 확장성을 보여줄 것이며 이에 따라 플랫폼 가치에 대한 리레이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 1) 시장가치에는 해당 딜이 반영되어 있지 않고, 2) 해당 공시에 따르면 추가 ADC 동시 개발할 경우 계약규모가 더욱 커지는 것이며, 3) ADC 플랫폼 기술이전의 경우 추가적으로 ADC 이전에 대한 유리한 협상조건을 진행하기 위함이라는 점에서 단기간 내 추가적인 플랫폼 기술이전 가능성을 직접 제시했고, 4) 향후 시장에서 기대하는 딜을 고려할 때 ADC에서 글로벌하게 경쟁할 수 있는 K바이오 업체가 되는 중.
-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최소한 조단위의 가치 증분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 최근 다양한 곳에서 최소한 뭐라도 진행되는 것들을 공시로 보여주고 있어 바이오 센티에 긍정적일 것으로 생각.

#알테오젠
- 투경해제를 위해 종가에 급정차 후 투경해제와 함께 시외 +1% 마감.
- 리가켐바이오의 ADC 딜이 나오면서 ADC에 대한 시장 기대가 다시 발생한 상황에서 ADC를 SC제형으로 바꿔줄 수 있는 유의미한 계약이 나올 수 있는 현재 유일한 기업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져볼 수 있을 것.

#파마리서치
- 맥쿼리에서 28만원 TP 상향(약 33% 상향)
- 상상인과 유진에서 제시한 TP가 너무 높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하나둘씩 해당 TP로 수렴하는 중.
- 한편 뷰티 디바이스가 꽤 고가인데 불구하고 홈쇼핑 첫 방송에서 완판 기록. 목표 대비 170% 달성.

#효성중공업
- 3Q24 매출액 1.2조, 영업이익 1,127억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상회 전망.
- 중공업 실적이 분기 최대 수익성을 시현할 것으로 기대. QoQ로 매출은 소폭 감소하겠으나 Mix 개선으로 수익성 대폭 개선 전망. 수익성 개선을 더디게 하던 미국 법인 이익률도 두자릿 수 이상 개선된 것으로 파악.
- 건설 부문은 컨센 대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여전히 높은 원가로 비용 부담 존재.
- 종합적으로 이번 분기를 기점으로 중공업에서 두자릿 수 이상의 수익성이 유지된다면 경쟁사 대비 할인 요인 제거되며 주가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경쟁사 대비 할인요인 제거 시 TP 상향 가능성.

#한국항공우주
- 현재 생각하는 노이즈는 1) 환노출, 2) FA-50 2개로 생각.
- 방산업종에서 환 노출이 가장 큰 기업이기 대문에 환노출에 따른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 실제 추정치는 환 영향으로 인해 하향조정되는 중. 개인적으로는 3Q24 실적 하향조정에 따라 주가가 조정받는다면 매수 기회로 생각해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임.
- FA-50의 경우 갭필러 물량이 불량이라는 이슈가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오보에 따른 오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임. 일단 정비는 지연된 것이 사실이지만 부품 수급 이슈이며 폴란드 공군의 SNS 및 실제 반응을 보면 만족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과도한 우려라고 생각.
- 반면, 25년 파이프라인의 경우 중동, 이집트, 필리핀 등 파이프라인 풀이 많은 상황이며 26년부터는 다시 미국 사업 시작하기 때문에 실적과 함께 수주 이어달리기가 25년부터 가능한 국면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또한 KF-21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역시 긍정적.

#방산
- 금일 섹터는 하락했지만 한화에어로, 현대로템, LIG넥스원 등 방산 주요종목 단체 TP 상향 업데이트.
- 3개 종목 모두 1) 실적 우려 없는데 2) 추가 파이프라인 기대되는 부분이 있는 종목들.

#화장품
- 1) 실적 추정치가 나오는 것들 중 2) 유의미한 판매를 기록하여 시장에 관심이 있고, 3) 프리뷰 시즌 컨센서스 대비 부합 혹은 상회가 예상되는 것으로 거론되는 종목은 한국콜마,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의 경우 추정치 하향 시작되어 아쉬움.
- 추정치 기준으로 선호도는 OEM/ODM>브랜드 순.
👍12💯2
投資, 아레테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MSCI - 8월 MSCI에는 LS일렉트릭이 편입될 것으로 전망. 곧 8월 MSCI 편출입이 결정되기 때문에 MSCI의 눈은 11월을 향해 갈 것. 그렇게 되면 현대로템, LIG넥스원, 삼양식품 등에게 관심이 가게 됨. 하반기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 퀄리티 있는 수출데이터에…
#경동나비엔
- 9월 초에 업데이트한 바에 따르면, 회사의 장기성장에 의문이 없었으며 HVAC에 대한 마케팅 반응을 확인하면서 가도 문제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리포트에 따르면 현지 반응이 양호하다고 합니다.
- 2H23을 기점으로 순간식 온수기에서 1위 기록하면서 매출에 탄력이 붙고 있으며 IRA 수혜 및 DOE에 의한 교체수요가 발생하며 중장기 수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DS에서 신규 커버 시작했으며 TP는 13만원입니다.
👍9
投資, 아레테
#리가켐바이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10900215
-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 프로덕트 및 ADC 플랫폼에 대한 패키지 딜 체결. 계약 규모는 약 9,400억 규모. 선급금을 포함해 연구개발 및 판매에 따른 마일스톤을 지급할 예정이며 상업화 이후 순매출액에 따른 로열티 별도 지급하는 구조. 향후 추가 ADC를 동시 개발할 경우 계약 규모는 더욱 증가할 수 있는 구조.
- 해당 딜 상대방은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의 일본을 담당하고 있으며 옵디보 원개발사에 해당하는 대형제약사. 해당 고객사가 리가켐바이오의 ConjuAll 플랫폼 기술을 사용하여 복수의 타겟 ADC 후보물질을 발굴 및 개발할 수 있는 글로벌 독점권을 확보한 것.
- 리가켐바이오의 이번 계약은 고형암 대상의 '비임상단계' 계열 내 최초 ADC 라이센스 계약과 함께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한 ADC 플랫폼 ConjuAll 플랫폼을 같이 수출한 계약으로, 첫 패키지 수출이라는 점에서 유의미. 또한 해당 딜은 기다리던 딜이 아님에도 약 1조 규모로 매우 큰 수준이며 '비임상단계' L/O인데, 옵디보의 원개발사이자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 일본을 담당하는 글로벌 업체가 비임상단계를 가져간다는 것은 글로벌 업체들이 ADC를 생각하는 중요도를 파악해볼 수 있다고 생각함.
- 특히 플랫폼 기술이전의 경우 거의 2년 만에 발생한 사건. 향후 ADC를 다수 개발할 수 있는 '하나의 툴'을 가져간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업체가 리가켐바이오의 툴을 가져갔다는 것은 리가켐의 기술력이 다시금 글로벌리 인증받은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게 본질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 향후 이러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높은 확장성을 보여줄 것이며 이에 따라 플랫폼 가치에 대한 리레이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 1) 시장가치에는 해당 딜이 반영되어 있지 않고, 2) 해당 공시에 따르면 추가 ADC 동시 개발할 경우 계약규모가 더욱 커지는 것이며, 3) ADC 플랫폼 기술이전의 경우 추가적으로 ADC 이전에 대
#리가켐바이오
- 딜 내용 기반으로 리가켐바이오 커버 애널리스트 TP 단체 상향.
- 12만=>17만
👍1
#수출데이터
일수 대비 양호(QoQ/MoM)
라면, 보톡스/필러, 화장(기초/미백/기타), 미용기기, 증착장비, 플러그/핀, 소형변압기, 온수기, 스판덱스, 양극재, 전구체
👍11
WE ARE TSLAM
💯11❤‍🔥2
投資, 아레테
#휴젤 휴젤은 이것도 관심
휴젤은 이제 ITC는 끝났으니 미국 그림 클리어해지는거 보면서 레티보 트렌드 상기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615960890
#ADC
최근 모건스탠리에서 발간된 The World in 2030 리포트에서 글로벌 핵심 트렌드 10 에서 Smart Chemo (스마트 항암 치료) 를 핵심 분야로 선정하고, ADC 가 그 시장을 견인하면서 200조원 시장으로 성장할거라고 예측함. 200조원 규모는 2030년 예상치 비만약 시장규모 보다 큰 규모임.
https://www.sedaily.com/NewsView/2DFJYMO0PW?OutLink=telegram
#밸류업
한국거래소가 기업 가치 제고(밸류업)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는 상장지수펀드(ETF) 12개를 다음 달 4일 일제히 상장하고 국내외 자본시장 유력 관계자를 한 자리에 모아 이를 대대적으로 알린다. 해당 밸류업 ETF를 선보이기로 한 12개 자산운용사는 촉박한 일정 속에서도 초기 상장 설정 총액을 1조 원 이상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밸류업 지수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밸류업 섹터로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으며 상대강도 및 신고가 측면에서도 종종 보이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지휘통제실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2차전지, 방산, 밸류업, 미용, 테크
- 신고가: 바이오, 방산, 밸류업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밸류업, 방산

#수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75
- 보톡스/필러, 화장(기초/미백/기타), 미용기기, 라면 등은 계속해서 좋은 상황.
- 증착장비, 플러그/핀, 양극재/전구체, 온수기 등은 생각보다 좋아서 지속 관심.

#ADC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79
- ADC의 시장 전망치는 비만 시장보다 크다고 함. 여기서 유의미하게 활동하는 국내 기업은(상장 기준)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3개 정도로 생각함.
- 특히 알테오젠과 리가켐바이오는 각 플랫폼과 제형변경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모습을 기대.

#리가켐바이오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71
- 다시금 말하지만 1) 전임상 단계 파이프라인 계약한 것과 함께 2) 플랫폼을 2년 만에, 3) 이전 계약 대비 훨씬 높은 밸류로 계약했다는 것이 유의미하다고 생각함. 플랫폼의 확장 및 활용.
- 투경 등으로 인한 물량이 존재한 것 같은데, 1)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2) 알테오젠 사례를 보게 되면 물량과 투자경고를 거친 이후 주가 레벨업이 가능한 환경과 내용이라고 생각.
-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조 단위 증분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에 5조원 레벨에서 놀아야 한다고 생각함.

#휴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11900006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36
- ITC 판결 최종 승소. 보통 최종에서 바뀌는 경우가 크게 없었는데 전일 주가로 인해 투자자 불안이 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나, 결국 원래 예상대로 승소. 이벤트가 있긴 했지만 이번에도 60선 하회 매수는 필승.
- 승소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기본 이익 1,500억을 Base로 향후 3년간 제시한 타겟 수준인 미국 M/S 10%에 대한 3년간 그림이 깔끔해졌다는 부분. 여기서 중국 등의 국가가 성장하는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음.
- 휴젤은 과거 10배 후반~20배 후반, 중국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할 때 40배 이상 받았던 기업인만큼, 미국 사업에 따라 업사이드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 현재는 25년 실적 기준 10배 후반 수준으로 밸류 하단.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 그림이 클리어해지는 구간에서 레티보의 미국 구글 트렌드가 올라오고 있다는 점에 관심.
- 이제부터는 회사에서 제시하는 미국 그림 구체화를 보면서 실적과 밸류에이션 확대를 그려볼 시점. 개인적으로는 미국향 수출이 본격적으로 나갈 수 있는 25년 초를 기점으로 P/Q/C가 모두 좋아지는 섹터라는 점에서 관심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

#경동나비엔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72
- 장기성장에 의심이 없는 상황에서 HVAC 반응이 중요. 현재까지 마케팅 반응은 양호하다는 내용.
- 신사업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다면 동사의 밸류에이션 확장에 매우 긍정적.

#원텍
- 노무라에서 TP 상향 리포트. TP 9,800원(Upside 55%). 주요 논리는 새로운 계약 및 미국/브라질 등의 신제품 성공적 출시가 성장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것.
- 미국 시장에서 라비앙 장비에 대해 출시 이벤트 기간 동안 예상보다 많은 초기 주문을 확보. 한편, 브라질에서는 10월 24일 올리지오X에 대한 업그레이드 RF 장비 출시 예정. 이를 통해 브라질 시장에서 유의미한 주문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
- 특히 태국 시장 등의 동남아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판매량이 5배 증가하는 등의 성장 주목.
- 25년 순이익 기준으로 Target P/E를 17배에서 20배로 상향조정. 높은 CAGR을 반영하였으며 이는 시장의 긍정적 전망을 포함.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 2거래일 모두 급등 후 보합으로 마감.
- 계속적으로 2조 언더에서는 기회가 많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2.5~3조 레인지는 합리적이라고 생각함.
- SK하이닉스 실적(10월 말)과 함께 HBM 관련한 긍정적 주문 및 CAPEX가 나온다면 긍정적 움직임도 기대해볼 수 있음.

#밸류업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80
- 밸류업 관련된 주식 혹은 밸류업 지수에 포함되지 못했지만 실질 차원에서 밸류업으로 묶이는 주식 중 신고가에 해당하는 종목들이 몇개 있는 상황이고 섹터적으로도 유동성 공급이 계속되고 있어서 지속 관심을 가져야 할 것.
- 밸류업 지수 상장 11월 4일. 초기 설정 총액 1조원 이상. ETF 자금 차원에서는 다른 쪽에서 자금을 빼서 들어가야 할 것 같아서 잘은 모르겠다만 그만큼 섹터 수급은 들어올 듯.

#방산
-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모두 실적, 추가 파이프라인, 수급 모멘텀 등이 긍정적인 상황.
- 자료참고: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825
- 현대로템의 경우 루마니아가 진행한 K2 시험에서 성공적이었다고 밝혔으며 25년 타겟을 밝힘.

#중국부양
- 자료참고: https://t.me/HANAchina/37024
- 중국부양은 지속적으로 유동성 공급되는 쪽이기 때문에 관심에는 두고 있음.
- 기자회견을 요약하면 아직 구체적인 규모는 확인할 수 없지만 상상할 수 있는 여력을 남겼다는 정도.
👍21
投資, 아레테
https://m.blog.naver.com/moon020101/223584580199 #한올바이오파마 - 이전에 써둔거 공개 전환입니당 - 25년 지켜볼 요소가 많은 회사라 판단합니다 #주요 이벤트 • 24년 내 IMVT-1402 GD 3상 시작 • 24년 말~25년 초 HBM9161 중국 BLA 재제출 심사 • 1Q25 IMVT-1401 MG 3상 Top-Line 발표 • 1Q25 IMVT-1401 CIDP 2상 Top-Line 발표(IMVT…
#한올바이오파마
- 한올바이오파마 신고가 영역 진입했습니다.
- 24년 초 글로벌 빅파마 대상으로 불름버그가 조사한 결과 M&A 딜 나올 가능성이 있는 기업 상위에 이뮤노반트 등재. 상반기 기술 딜 주요 키워드는 RPT와 자가면역질환.
- IMVT-1402의 효과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현재 지는 해 대비 뜨는 해에 속하는 이뮤노반트-한올바이오파마. 또한 지난해부터 IMVT-1402 파이프라인에 대한 긍정적 뷰가 증가하는 중.
- 해당 시장에 대한 글로벌 IB의 컨센에 따르면 이뮤노반트의 목표 시가총액은 10조 이상이며 판권/로열티 등을 고려할 때 한올바이오파마의 시가총액 역시 현재 대비 높은 수준의 업사이드가 예상됨.
-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한국 바이오텍의 파이프라인이 글로벌 IB의 숫자로 표현되는 평가를 받고있고 TP가 올라가고 있다는 것.
- 1) 글로벌 기술 딜 주요 키워드, 2) 큰 시장규모와 높은 업사이드, 3) 경쟁사 부진 및 TP 햐항 대비 최근 우위 및 TP 상향, 4) 임상 진행 정도, 5) 최근 바이오 센티 등을 고려할 때 최근 시점에서 다시 관심 가지기에 좋은 상황이라고 생각함.
- 특히 기술적으로도 현재 역대 저항선에서 그걸 뚫고 올라가는 그림. 뚫을 경우 ATH로 더 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함.
👍10❤‍🔥2
#리가켐바이오
- 신고가 레벨에서 200억 자사주 취득.
- 회사에 대한 자신감을 볼 수 있는 공시.
❤‍🔥1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테크 밸류업 방산
- 상대강도: 바이오 방산 밸류업 전력기기
- 신고가: 밸류업 바이오 방산

#한올바이오파마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85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967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survivaldopb/223618615349
- 내용은 자료참고 항목을 보면 되고 종가 기준 저항대 뚫고 ATH 기록.
- 25년 기대할 내용들이 많은 바이오텍.

#리가켐바이오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014000310
- 금일 신고가 레벨에서 자사주 취득 공시. 신고가 레벨에서도 자사주를 사들인다는 점에서 회사 자신감을 볼 수 있음.
- 회사 내용도 주가 레벨업을 시킬 수 있는 상황에서 자사주 취득으로 주주에게 긍정적

#휴젤
- 승소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기본 이익 1,500억을 Base로 향후 3년간 제시한 타겟 수준인 미국 M/S 10%에 대한 3년간 그림이 깔끔해졌다는 부분. 여기서 중국 등의 국가가 성장하는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음.
- 휴젤은 과거 10배 후반~20배 후반, 중국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할 때 40배 이상 받았던 기업인만큼, 미국 사업에 따라 업사이드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 현재는 25년 실적 기준 10배 후반 수준으로 밸류 하단.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 그림이 클리어해지는 구간에서 레티보의 미국 구글 트렌드가 올라오고 있다는 점에 관심.
- 이제부터는 회사에서 제시하는 미국 그림 구체화를 보면서 실적과 밸류에이션 확대를 그려볼 시점. 개인적으로는 미국향 수출이 본격적으로 나갈 수 있는 25년 초를 기점으로 P/Q/C가 모두 좋아지는 섹터라는 점에서 관심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
- 곧 위고비 국내 유통이 시작됨. GLP-1에 대한 오제픽 페이스 수혜 섹터로 톡신/필러가 어느정도 찝힌 만큼 25년 초 시점에는 GLP-1계열 약물들이 많이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혜도 기대해볼 수 있음.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 계속적으로 2조 언더에서는 기회가 많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3조 레인지는 합리적이라고 생각함.
- SK하이닉스 실적(10월 말)과 함께 HBM 관련한 긍정적 주문 및 CAPEX가 나온다면 긍정적 움직임도 기대해볼 수 있음.

#테크
- 외국계에서 4Q D램 가격에 대해 QoQ-4%에서 QoQ+4% 수준으로 톤업하면서 금일 테크 강세. 또한 이번주를 기점으로 국내외 테크 실발이 시작되면서 HBM과 관련된 이야기가 긍정적으로 나올 수 있으며 11월에는 빅테크 25년 CAPEX에 대한 공식적인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전망. 최근 실적이 예상되는 글로벌 테크 전망이 좋은 상황.
- 삼성전자 HBM 관련된 내용도 사실 며칠 전에 이미 다 퍼진 내용이지만 긍정적. 이에 10월 중하순을 기점으로 HBM과 관련된 테크 중심의 움직임을 기대해볼 수 있을 듯.
- 다만, 지속적인 테크로의 자금 이동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함.

#밸류업
- 밸류업 ETF 상장 관련 뉴스를 보면 목표액이 1조원으로 기재되어 있음. 개인적으로 해당 금액을 만들기 위해서 다른 쪽에서 자금을 빼서 밸류업에 넣어야 할 가능성이 있어보임.
- ETF 상장 전후로 자금 유출에 대한 리스크가 있는 섹터들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 다만, 수급 이슈라고 하면 해당 부분을 기회로 삼아볼 곳이 존재할 것.

#화장품
- 최근 외국계 중심으로 톤다운이 발생하면서 주가 상대적 열위를 보이는 섹터.
- 시장 참여자가 증가한 것이 사실이고 이전보다 트래픽의 성장 폭이 감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절대 침투율이 낮은 상황이며 최근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성장 폭이 유지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음.
- 기초 OEM/ODM쪽 중심으로 기회가 아직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업사이드가 보이는 주식들이 있어 실적 시즌 조정을 보고자 함.
- 화장품은 10월 말~11월 중순 이 실적 시즌이라는 점 참고.

#중국부양
- 중국 수출 부진으로 인해 오히려 전인대에서 발표할 규모를 기대해볼 수 있을 듯.
- 실제 뉴스를 통해 6조 위안 자금 가능성이 보도되면서 미국 상장된 중국 주식 좋은 모습.
👍17
Forwarded from Stock Trip
#파마리서치

수출데이터 ATH 갱신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