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다올 의료기기/화장품 박종현
[다올 화장품ㆍ의료기기 박종현/이정우]
★ 화장품 업종 Initiation: Get over the jet lag, 시차 적응 완료!
▶ 과실은 ODM에게로
1. 찬란했던 그날들
2. 이제는 ODM과 인디, 홈뷰티의 시대다
3. 인디브랜드 전성시대
4. 다만, 인디브랜드를 사고 싶은 구간은 짧다
5. CAPA 증설이 곧 실적 개선. 확신을 가지자
6. 이 수요 계속될 수 있을까?
7. Valuation에 대한 고민. 리레이팅이다
▶ Next-K뷰티. 의료기기와 홈뷰티에 주목하라
1. 화장품과 의료기기, 홈뷰티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2. 메디컬 에스테틱 침투율 확대는 지금부터 시작
3. L’Oreal의 Galderma 지분 인수. 의료기기와 화장품의 합종연횡
4.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화장품 사업 확대
5. GLP-1 나비 효과. 그 수혜는 의료기기
6. 렌즈도 K뷰티다. 클리어가 아닌 컬러로 승부한다
▶ 종목별 투자의견
아모레퍼시픽(BUY, TP 16만원)
코스맥스(BUY, TP 17.5만원)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코스메카코리아(BUY, TP 13만원)_Top Picks
씨앤씨인터내셔널(BUY, TP 13만원)
에이피알(BUY, TP 40만원(상향))_Top Picks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7Evlj8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 화장품 업종 Initiation: Get over the jet lag, 시차 적응 완료!
▶ 과실은 ODM에게로
1. 찬란했던 그날들
2. 이제는 ODM과 인디, 홈뷰티의 시대다
3. 인디브랜드 전성시대
4. 다만, 인디브랜드를 사고 싶은 구간은 짧다
5. CAPA 증설이 곧 실적 개선. 확신을 가지자
6. 이 수요 계속될 수 있을까?
7. Valuation에 대한 고민. 리레이팅이다
▶ Next-K뷰티. 의료기기와 홈뷰티에 주목하라
1. 화장품과 의료기기, 홈뷰티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2. 메디컬 에스테틱 침투율 확대는 지금부터 시작
3. L’Oreal의 Galderma 지분 인수. 의료기기와 화장품의 합종연횡
4.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화장품 사업 확대
5. GLP-1 나비 효과. 그 수혜는 의료기기
6. 렌즈도 K뷰티다. 클리어가 아닌 컬러로 승부한다
▶ 종목별 투자의견
아모레퍼시픽(BUY, TP 16만원)
코스맥스(BUY, TP 17.5만원)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코스메카코리아(BUY, TP 13만원)_Top Picks
씨앤씨인터내셔널(BUY, TP 13만원)
에이피알(BUY, TP 40만원(상향))_Top Picks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7Evlj8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상대강도 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밸류업, 전력기기, 2차전지
- 상대강도: 테크, 바이오, 전력기기, OLED, 밸류업, 2차전지
- 금일 장은 테크 중심의 AI 관련주로 자금쏠림이 심하게 나올 것으로 생각했으나 의외로 2차전지/바이오/미용 등의 섹터가 같이 강세를 보임. 유동성 영향인지 파악 필요. 개인적으로 중장기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움직임을 관통하는 핵심은 유동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MU
- 마이크론이 FY4Q24 매출액 가이던스 상단/컨센서스 상회를 기록했으며 차분기 FY1Q25 가이던스(매출/EPS)를 시장 컨센서스 대비 상회로 제시하면서 글로벌 테크 주가 긍정적 반응 중.
- IT H/W의 업셀링 관련한 이야기들은 아직 실체가 확인된 적이 없기 때문에 단순 코멘트 정도로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동사의 HBM 관련 업데이트는 관심. 동사는 24~25년 HBM Sold Out된 상태이며, 25년 초 HBM3E 12단을 Start하여 25~26년 HBM3E 기반으로 고객 및 제품 다변화를 추구할 것으로 언급.
#LS일렉트릭
- 1) 35년까지 미국 송전망 투자가 지속될 것이며, 2) 중국 전력기기 수입 제한 등에 따른 미국 내 전력기기 부족, 3) 이들 중 가장 공급부족이 높은 초고압 변압기 중심의 CAPA 증설, 3) 해외 법인 배전기기 시장 진출 확대, 4) 국내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으로 국내 시장도 확대 가능성 등 국내외 시장 기대.
-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매출 기준 15% 언더인 송전사업이 향후 매출 비중 확대가 될 수 있을 것. 이미 동사는 지난 10여년간 송전 및 신재생 사업을 확대한 바 있음.
- 전력기기는 기본적으로 국내 테크와 커플링이 감소했다는게 유의미하다고 생각.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내일은 드디어 개인적으로 가장 사랑하는 종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분할상장날.
- 분할 이전 주된 주가 상승의 모멘텀은 지상방산의 성장성이었으며 분할 이후에도 해당 사업은 존속법인에 남아있기 때문에 투자포인트가 변하지 않음. 지속적으로 수출 비중이 확대될 것이며 이에따라 OPM 역시 개선될 것.
- 최근 K9/레드백 파워팩 국산화 완료 이슈가 나왔는데, 해당 국산화 완료가 되면 외부 개입 없이 보다 자유롭게 중동 시장 진출도 가능해질 것.
- 신설법인의 반도체 사업 역시 향후 기대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동사 시가총액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한편, 동사 상장으로 인해 수급쏠림이 발생한다면 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LG디스플레이
- 동사 LCD 중국 공장 매각 공시. 매각 규모는 약 2조원이며 매각 예정일은 25.03.31. 이번 공장 매각으로 약 2조원을 확보하게 되어 재무적으로 긍정적이며 OLED 중심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
- 4Q24 OLED 중소형 물량은 연간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이고 대형 OLED 역시 3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4Q24 OLED 생산라인 가동률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4Q24가 3년 만에 흑자전환을 예상하고 있는데, 전방산업인 스마트폰/PC/TV 등의 수요에 달려있음.
- OLED 중심 사업 재편 및 4Q24 흑자전환 기대감과 더불어 미국이 디스플레이에서도 중국을 제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 반사이익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한 업황 업데이트를 간단하게 코멘트한 바 있는데, 중국이 생각보다 너무 빠르게 잘 하고 있는 상황은 맞는 것 같음.
#바이오다인
- WHO에서 로슈의 CINtec PLUS 세포학 검사를 자궁경부암 예방 가이드라인에 포함. 해당 검사는 자궁경부암 전 단꼐와 암을 조기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며 불필요한 시술을 줄여줌, 이번 가이드라인은 자궁경부암 예방 및 관리에 보다 더 집중하며 고위험 환자를 식별해 조기 개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
- 동사는 4Q에 로슈 관련한 정해진 모멘텀이 있기 때문에 3Q말인 현재 관심을 가져볼 주식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애널들이 숫자로 갖고 있는 기대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기대치를 고려할 때 업사이드가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생물보안법
- 지난 9월 25일 중국발 Wuxi의 생물보안법 제외 이슈가 불거짐. 다만, Wuxi AppTec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에서 해당 법안이 자회사 및 계열사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Wuxi Biologics 역시 해당되기 때문에 오보로 판단됨.
- 현재까지 파악되는 법안 중 실제 하원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은 하원에서 발의된 H.R.8333. 이러한 법안들은 공화당/민주당 동시에 발의한 초당적 법안인 만큼, 신속하게 상원 본회의 결의 후 대통령 서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 실제 법안 자체는 8년의 유예기간이 존재하고 최근부터 들어가는 것들에 대해서는 개발부터 같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CDO를 시작으로 CMO까지 확장되는 그림을 기대.
#마이크로디지탈
- 최근 동사가 개발 및 생산중에 있는 Single-Use Bioreactor System의 단일판매 공급계약 공시. 해당 고객사는 글로벌 B2B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미국 내 소부장 기업으로 추정. 해당 공시는 자체적으로 개발 및 생산하고 있는 장비가 북미 레퍼런스를 쌓았다는 점에서 상징적.
- 동사 대표의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1) 고객사 검증을 마치고 미국 시장 진출, 2) 향후 북미 고객사와의 거래는 단순 판매 및 레퍼런스로 마무리되지 않고 기술이전 및 로열티 수취로 발전할 것이라는 점. 실제 26년 말까지 제조 및 운용기술을 이전받고 27년부터 북미 시장에서 직접 제작 및 판매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전망. 해당 로열티는 하이싱글 수준으로 추정됨.
- 최근 인도 기반 세계 최대 백신 생산업체 SII의 실사도 진행됨. 해당 실사는 일회용 배양시스템 증설을 위해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의 실사 일환으로 확인됨. 글로벌 바이오 지형도에서 아시아가 생산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생산 거점이 될 수 있는 해당 기업 진출은 긍정적.
#조선
- 자료참고: https://t.me/hedgehara/20798
- 신조선가와 후판가격 괴리율이 20년 이래 최대치라고 함.
#이차전지
- 개인적으로는 1) 호재에 민감해졌으며, 2) 바텀아웃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자들 사이에 주가로 공감이 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들고있으면 존가 or 없으면 하반기 실적은 긍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적과 회사들 톤 보면서 잠잠할 때 모아가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
- 에코프로비엠의 코스피이전상장이 막바지 작업으로 들어가면서 이전상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1) 코스닥 내에서 시가총액 기준으로 상위 업체 중 2차전지가 매우 적어졌다는 점, 2) 현재 알테오젠이 1~2위를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는데 압도적 1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 정도를 생각해볼 수 있음.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desperatestudycafe/37662
- 트래픽은 계속 ATH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상대강도 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밸류업, 전력기기, 2차전지
- 상대강도: 테크, 바이오, 전력기기, OLED, 밸류업, 2차전지
- 금일 장은 테크 중심의 AI 관련주로 자금쏠림이 심하게 나올 것으로 생각했으나 의외로 2차전지/바이오/미용 등의 섹터가 같이 강세를 보임. 유동성 영향인지 파악 필요. 개인적으로 중장기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움직임을 관통하는 핵심은 유동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MU
- 마이크론이 FY4Q24 매출액 가이던스 상단/컨센서스 상회를 기록했으며 차분기 FY1Q25 가이던스(매출/EPS)를 시장 컨센서스 대비 상회로 제시하면서 글로벌 테크 주가 긍정적 반응 중.
- IT H/W의 업셀링 관련한 이야기들은 아직 실체가 확인된 적이 없기 때문에 단순 코멘트 정도로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동사의 HBM 관련 업데이트는 관심. 동사는 24~25년 HBM Sold Out된 상태이며, 25년 초 HBM3E 12단을 Start하여 25~26년 HBM3E 기반으로 고객 및 제품 다변화를 추구할 것으로 언급.
#LS일렉트릭
- 1) 35년까지 미국 송전망 투자가 지속될 것이며, 2) 중국 전력기기 수입 제한 등에 따른 미국 내 전력기기 부족, 3) 이들 중 가장 공급부족이 높은 초고압 변압기 중심의 CAPA 증설, 3) 해외 법인 배전기기 시장 진출 확대, 4) 국내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으로 국내 시장도 확대 가능성 등 국내외 시장 기대.
-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매출 기준 15% 언더인 송전사업이 향후 매출 비중 확대가 될 수 있을 것. 이미 동사는 지난 10여년간 송전 및 신재생 사업을 확대한 바 있음.
- 전력기기는 기본적으로 국내 테크와 커플링이 감소했다는게 유의미하다고 생각.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내일은 드디어 개인적으로 가장 사랑하는 종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분할상장날.
- 분할 이전 주된 주가 상승의 모멘텀은 지상방산의 성장성이었으며 분할 이후에도 해당 사업은 존속법인에 남아있기 때문에 투자포인트가 변하지 않음. 지속적으로 수출 비중이 확대될 것이며 이에따라 OPM 역시 개선될 것.
- 최근 K9/레드백 파워팩 국산화 완료 이슈가 나왔는데, 해당 국산화 완료가 되면 외부 개입 없이 보다 자유롭게 중동 시장 진출도 가능해질 것.
- 신설법인의 반도체 사업 역시 향후 기대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동사 시가총액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한편, 동사 상장으로 인해 수급쏠림이 발생한다면 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LG디스플레이
- 동사 LCD 중국 공장 매각 공시. 매각 규모는 약 2조원이며 매각 예정일은 25.03.31. 이번 공장 매각으로 약 2조원을 확보하게 되어 재무적으로 긍정적이며 OLED 중심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
- 4Q24 OLED 중소형 물량은 연간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이고 대형 OLED 역시 3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4Q24 OLED 생산라인 가동률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4Q24가 3년 만에 흑자전환을 예상하고 있는데, 전방산업인 스마트폰/PC/TV 등의 수요에 달려있음.
- OLED 중심 사업 재편 및 4Q24 흑자전환 기대감과 더불어 미국이 디스플레이에서도 중국을 제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 반사이익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한 업황 업데이트를 간단하게 코멘트한 바 있는데, 중국이 생각보다 너무 빠르게 잘 하고 있는 상황은 맞는 것 같음.
#바이오다인
- WHO에서 로슈의 CINtec PLUS 세포학 검사를 자궁경부암 예방 가이드라인에 포함. 해당 검사는 자궁경부암 전 단꼐와 암을 조기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며 불필요한 시술을 줄여줌, 이번 가이드라인은 자궁경부암 예방 및 관리에 보다 더 집중하며 고위험 환자를 식별해 조기 개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
- 동사는 4Q에 로슈 관련한 정해진 모멘텀이 있기 때문에 3Q말인 현재 관심을 가져볼 주식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애널들이 숫자로 갖고 있는 기대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기대치를 고려할 때 업사이드가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생물보안법
- 지난 9월 25일 중국발 Wuxi의 생물보안법 제외 이슈가 불거짐. 다만, Wuxi AppTec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에서 해당 법안이 자회사 및 계열사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Wuxi Biologics 역시 해당되기 때문에 오보로 판단됨.
- 현재까지 파악되는 법안 중 실제 하원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은 하원에서 발의된 H.R.8333. 이러한 법안들은 공화당/민주당 동시에 발의한 초당적 법안인 만큼, 신속하게 상원 본회의 결의 후 대통령 서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 실제 법안 자체는 8년의 유예기간이 존재하고 최근부터 들어가는 것들에 대해서는 개발부터 같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CDO를 시작으로 CMO까지 확장되는 그림을 기대.
#마이크로디지탈
- 최근 동사가 개발 및 생산중에 있는 Single-Use Bioreactor System의 단일판매 공급계약 공시. 해당 고객사는 글로벌 B2B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미국 내 소부장 기업으로 추정. 해당 공시는 자체적으로 개발 및 생산하고 있는 장비가 북미 레퍼런스를 쌓았다는 점에서 상징적.
- 동사 대표의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1) 고객사 검증을 마치고 미국 시장 진출, 2) 향후 북미 고객사와의 거래는 단순 판매 및 레퍼런스로 마무리되지 않고 기술이전 및 로열티 수취로 발전할 것이라는 점. 실제 26년 말까지 제조 및 운용기술을 이전받고 27년부터 북미 시장에서 직접 제작 및 판매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전망. 해당 로열티는 하이싱글 수준으로 추정됨.
- 최근 인도 기반 세계 최대 백신 생산업체 SII의 실사도 진행됨. 해당 실사는 일회용 배양시스템 증설을 위해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의 실사 일환으로 확인됨. 글로벌 바이오 지형도에서 아시아가 생산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생산 거점이 될 수 있는 해당 기업 진출은 긍정적.
#조선
- 자료참고: https://t.me/hedgehara/20798
- 신조선가와 후판가격 괴리율이 20년 이래 최대치라고 함.
#이차전지
- 개인적으로는 1) 호재에 민감해졌으며, 2) 바텀아웃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자들 사이에 주가로 공감이 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들고있으면 존가 or 없으면 하반기 실적은 긍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적과 회사들 톤 보면서 잠잠할 때 모아가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
- 에코프로비엠의 코스피이전상장이 막바지 작업으로 들어가면서 이전상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1) 코스닥 내에서 시가총액 기준으로 상위 업체 중 2차전지가 매우 적어졌다는 점, 2) 현재 알테오젠이 1~2위를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는데 압도적 1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 정도를 생각해볼 수 있음.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desperatestudycafe/37662
- 트래픽은 계속 ATH
👍29✍1
http://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3116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딜의 주요 키워드는 방사성의약품(RPT)와 자가면역질환을 꼽을 수 있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 딜의 주요 키워드는 방사성의약품(RPT)와 자가면역질환을 꼽을 수 있었습니다.
바이오스펙테이터
올 상반기 글로벌 딜 117건, 키워드 “RPT, 자가면역”
▲모달리티/질환별 비율(바이오스펙테이터 작성)
올해 상반기 글로벌 바이오제약업계 딜의 주요 키워드는 방사성의약품(RPT)과 자가면역질환으로 꼽을
올해 상반기 글로벌 바이오제약업계 딜의 주요 키워드는 방사성의약품(RPT)과 자가면역질환으로 꼽을
👍4
https://v.daum.net/v/20240929163600423
#금투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금융투자소득세 유예’에 기운 배경을 직접 밝히며 불공정한 한국 주식시장의 제도를 개선한 뒤에 시행을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국내 증시 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당장 내년부터 금투세를 도입하는 것은 국민 정서 등을 고려했을 때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금투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금융투자소득세 유예’에 기운 배경을 직접 밝히며 불공정한 한국 주식시장의 제도를 개선한 뒤에 시행을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국내 증시 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당장 내년부터 금투세를 도입하는 것은 국민 정서 등을 고려했을 때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다음 - 매일경제
“공직 관두면 나도 개미로 돌아갈 것”…이재명, 돌고돌아 금투세 유예로 가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금융투자소득세 유예’에 기운 배경을 직접 밝히며 불공정한 한국 주식시장의 제도를 개선한 뒤에 시행을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국내 증시 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당장 내년부터 금투세를 도입하는 것은 국민 정서 등을 고려했을 때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이 대표가 다시 유예론에 무게를 두면서 금투세 시행 여부와 관련한 민주당
🫡1
Forwarded from 피폭된 뚱땡이 4가투
극적으로 중국 경기에 휘둘리던 종목을 사는것보단 그냥 원래 펀더좋은데 알파날수 있는 종목이 홀딩하기 편할거같다
Forwarded from 간절한 투자스터디카페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