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3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모 투자자의 강력한 요청이 있어 조건식을 공유드립니다.
👍18🫡14💯4❤‍🔥2
스무살 파마
👍3
간절한 투자스터디카페
스무살 파마
종가 기준으로 넘을 때까지 숨참았다
👍14❤‍🔥5
#파마리서치
'분기 이상 관점'에서 봤을 때 리쥬란의 검색트렌드에 상응하여 매출액 상승 흐름을 보여줌.

최근 수출 국가 대상으로 정식 런칭이 되면 매출로 나타남이 수출데이터를 통해 입증되고 있음.
👍1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수출 등
- 1) 유동성 섹터: 바이오, 전력기기, 밸류업, 미용, 방산, 2차전지
- 2) 수출데이터(QoQ/MoM 양호 또는 성장): 미용기기, 담배, 전차 및 장갑차, 필러/톡신(9월 기준 일평균 최고), 기초화장, 라면(9월 기준 일평균 최고) 등.
- 3) 조건식: https://t.me/mstaryun/6890 정량적인 조건식에 해당하면서 기술적으로 살아있는 건 파마리서치, 티앤엘.
- 1, 2번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섹터는 미용, 방산.
- 1, 2, 3번 모두 해당하는 섹터는 미용.
- 바이오의 경우 금리인하 이후 2거래일 동안 미장의 바이오 상대적 부진, 미장 증시하락 등의 변수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상대강도 모든 측면에서 가장 강력했음.

#방산
- 파워팩 국산화 이슈는 1) 단순히 부품업체들 수혜를 생각해볼 수 있지만 2) 독일이 승인을 꺼렸던 중동 수출에 대한 자율성이 크게 열렸다는 측면에서도 현대로템의 K2 자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음.
- 현재 K2 도입 가능성이 있는 국가 중 중동에 해당하는 국가들은 사우디, UAE, 오만, 이집트 등이 있음. 이 중 대표적으로 사우디의 경우 60~70년대 생산한 전차들이 약 500대 가량 존재. 오만의 경우에도 60~70년대 생산 전차가 100대 이상이기 때문에 대략 2개 국가에서 타겟할 수 있는 시장만 전차 600대 가량이 이번 파워팩 국산화를 통해 보다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다는 의미가 발생함. 해당 중동 타겟 시장은 대략적으로 10조 이상.
- 50~90년대 중동국가에서 미국제 주력전자를 주로 도입한 이후 교체주기에 다다른 상황이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 파워팩 국산화를 통해 보다 자유로운 협상이 가능하고 독일의 승인이 크게 필요없어진다면 향후 중동 수주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
- 글로벌 방산 신고 부근.

#LIG넥스원
- LIG넥스원의 이라크향 천궁 수출의 경우 3.7조 규모로, 기존 19조 수준의 수주잔고에서 22조 이상으로 Jump Up.
- 이번 수출의 개인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1) 확정 수주 기준으로 28년 이후까지 지속 증가하는 유일한 기업이 되었으며, 2) 방어무기를 중동 3대 국가에(UAE, 이라크, 사우디) 모두 수출하게 된 기업이라는 점. 특히 방어무기가 확장성이 적다는 점을 문제삼는 경우가 있는데 중동 3대 국가에서 추가 수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어무기의 확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함.
- 공시를 기준으로 LIG넥스원의 투자 매력도는 1) 실적, 2) 모멘텀, 3)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매우 크게 올라갔다고 판단함.

#조선(다올)
- 시장 하락과 함께 1) 25년 수주 감소, 2) 3Q24 실적 우려 등을 통해 조선업 주가 조정. 다만, 아래의 관점을 통해 1) 백로그 3년 이상에서는 수주증감 영향이 크지 않으며, 2) 컨테이너 LNG 등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3) 3Q24의 경우 YoY 관점에서 봐야하고 주가에 선반영되었다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음.
- 24년 컨테이너선 수주는 포스트파나막스급 이상에서 한국 M/S는 과거 30% 이상인 대비 24년 10% 언더에 불과. 이는 중국과 한국 모두 27년 슬랏이 소진된 상태에서 중국 업체들의 CAPA가 증가하면서 27년 슬랏이 발생했기 때문이며 3Q24까지는 중국을 선호하는 업체들 중심으로 발주가 나타났기 때문으로 판단. 현재 남은 Hapag-Lloyd, Wan Hai, Evergreen 등은 한국을 선호하는 업체들이 발주하기 때문에 한국의 M/S 회복 기대. 이후에는 하위티어 선사들 발주 기대.
- LNG의 경우 현재 카타르 20여척을 한국 조선사들과 협상중이며, 이를 계약할 시 한국의 1년 CAPA인 60척을 초과하며 27~29년 슬랏은 더 희막해짐. 28~30년 수주의 경우에도 글로벌리 LNG 액화/수출 프로젝트 FEED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크게 우려할 사항 없음.
- 3Q24 조업일수 감소에 따른 실적 우려가 존재하지만, 1) 후판 투입단가 하락, 2) 추가 생산성 개선, 3) Mix 개선 등으로 YoY 관점에서 크게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주가로 우려가 선반영되었다고 판단.

#씨에스윈드
- 개인적으로 신재생은 국장에서 할거면 풍력 하는게 가장 좋아보임. 태양광은...미장 가서 하는걸로.
- 씨에스윈드는 1) 그리드 해소중, 2) 단가 인상, 3) 업황 턴어라운드를 동시에 맞이하는면서 그림 상으로 예뻐지는 25년.
- 단기적으로는 1) 현재 베팅사이트 종합 평균으로 해리스 우위가 공고화되는 상황이라 센티적으로도 긍정적이며, 2) 3Q 실적 모멘텀이 있는 종목이라 실적 모멘텀도 작용할 수 있음.

#화장품(UBS)
- 한국 인디 브랜드 수출 성장이 수년 주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는데, 비용경쟁력 있는 제품의 성장 초기 단계로 판단. 28년까지 현재 침투율 2% 언더에서 8%까지 성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 해당 기간 ODM은 기본적으로 CAPA를 고려할 때 협상력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 이에따라 1) 대중 및 인디 브랜드, 2) 비중국 글로벌 포트폴리오, 3) 선케어 제품 매출 성장 기회, 4) MoCRA 수혜, 5) 긍정적 운영 레버리지 등을 근거로 코스메카코리아, 한국콜마를 화장품 내에서 최선호주로 언급. 이들의 25년 EPS 성장률은 각 33%, 51%에 달함.
- 개인적으로 화장품 섹터는 컨센이 지금까지 올라간만큼 3Q OP 모멘텀이 같이 이어질 수 있는 종목이 많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1) 컨센이 없는 것 중에서도 기대되는게 있고, 2) 수급상 비워진 것이 있으며, 3) 연말까지 이벤트가 남아있기 때문에 긍정적 뷰 가능. 특히 컨센서스를 고려할 때 3Q OP 모멘텀이 있는 종목이 희소하기 때문에 3Q OP 모멘텀이 있는 종목은 실적 측면에서도 긍정적.

#바이오
- 현재 바이오 섹터 내 유동성 트렌드를 고려할 때 다양한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것보다 1) 글로벌 빅파마 중심으로 L/O 및 FDA 승인 등을 통해 파이프라인 가치를 인정받은 곳, 2) 글로벌리 M&A 딜 규모 등으로 주목받는 곳 중 임상 및 L/O 모멘텀이 있는 곳, 3) 실제 신약을 글로벌리 성공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곳 중심으로 집중하는게 유효할 것으로 판단.
- SC제형은 간단하게 1) 글로벌리 SC제형이 편의성 및 인력투입 절감 등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유효성 및 부작용 개선이 동시에 가능함이 입증되고 있으며 2) 글로벌 빅파마들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가운데, 3) 단일항체에서 이중항체로 확장되고 있으며, 4) 특허가 이제 시작되는 신규 품목들 역시 SC로 시작한다는 점에서 방어 목적이 아닌 공격 목적으로 트렌드가 확장되고 있는 단계라고 생각함.
- NDAA에서 생물보안법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CDMO 관련 기업들이 금요일 시외 하락. 그러나 1) 다양한 입법 경로가 존재하며, 2) NDAA는 국방 예산을 다루는 곳이기 때문에 주제가 상이하고, 3) 양당 입장이 일치한 상황에서 예정대로 문제없이 처리된 내용에 대한 불확실성이 나타나는 건 의외라고 판단.

#디스플레이
- 개인적으로 최근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업체들 중심으로 탐방 및 업데이트를 해봤는데...국내벤더를...? 라고 생각.
- 이번 업데이트를 계기로 선익시스템에 관심이 더 많아졌음.
👍30💯5❤‍🔥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상대강도 등
- 유동성: 바이오, K-뷰티/미용, 전력기기, 방산, 밸류업, 이차전지, 반도체 등
- 상대강도: 반도체, K-뷰티, 이차전지, 전력기기 등
- 이번에도 갑자기 강한 종목군들에 대해 시세의 지속성 관점에서 생각해볼 필요 있음.

#크래프톤
- 중장기적으로 PUBG IP가 메가 IP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으며 3Q24 OP 모멘텀이 우수한 종목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기대되는 면도 사실이나, 현재 주가 레벨에서는 3Q24 이후 신작 모멘텀에 대해 유의미한 펀더멘털 개선이 나타나는지 확인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24년 이후 신작으로 IP 확장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면 PUBG IP의 현재 실적 상승이 25년에는 오히려 기저부담으로 작용하여 주가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팰월드 내용은 긍정적인 것이 사실이나 아직 확정된 게 크게 없어서 부가적인 요소.
- PUBG IP 트래픽이 안빠지고 무난하게 성장한다는 가정하에서 신작 IP가 유의미한 펀더멘털 개선을 보여준다면 투자자들의 20조 타겟 역시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

#감성코퍼레이션
- 25년부터 일본에 직영점 43개를 비롯한 전국 약 100여개 스노우피크 어패럴 수출 시작. 25년 이후 3개년 간 본격적인 '어패럴' 매출 확장 진행되는 시기. 한편, 일본 스노우피크와의 본사 라이센스 갱신 이슈도 기존 조건과 동일한 가운데, 허용국가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한편 중국에서는 기존에 확장 지연되었던 지분 이슈가 24년 말까지 정리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5년부터는 계획대로 본격적인 본토 매출 확장이 예상됨. 대만에서 현재 약 4개 매장에서 어패럴이 판매되고 있는데, 25년부터 대만 내 3위 유통사 스타라이크와 함께 핵심지역 중심으로 추가 오픈할 계획. 이후에는 홍콩 진출 계획도 있기 때문에 본토+대만 중심의 중화권 시장 본격화 전망.
- 밸류업 관련해서 자사주 매입/소각 및 배당 등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할 것이며 4Q 중에 거래소와 컨택하면서 발표하려고 준비 중. 향후 밸류업 지수에 따른 수급 수혜를 전망.

#인텔리안테크
- 월요일 Company A향으로 891억 규모의 게이트웨이 안테나 수주 계약을 체결. 앞서 수주했던 23년 물량의 경우 초도물량 납품을 25.09월에서 24년 말까지 공급하는 것으로 일정을 앞당겼으며 24년 초에 계약한 물량의 경우 25.01~07월간 공급하며, 월요일 공시 물량의 경우 25.03~26.01월까지 공급할 예정.
- 이번 공시로 Company A향 수주잔고는 1,500억을 초과했으며 공급 일정을 고려했을 때 Company A향 게이트웨이 매출은 24년 약 300억, 25년 약 1,000억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Company A 이외 다양한 기업들과 게이트웨이 논의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게이트웨이 안테나 관련한 수주 및 매출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

#대왕고래
- 장관님이 상당히 기술력 있는 해외 기업들의 관심이 있다고 함.
👍12
#생각
1) 방향성이 명확하다고 생각되면 각자 섹터에 집중하고 맞는 섹터 이외 노이즈는 잠깐 접어둬도 괜찮을 듯.
2) 바이오만 가고 전지만 가고 한 섹터만 가는 장은 가능성이 크게 높을거라고 생각하지 않음. 섹터가 도는 장이 가장 현실적이지 않나 생각. 매매는 올까빠사로 대응되고 중심은 홀딩이 맞는 장이지 않나 생각.
👍16🫡6
인상주의 투자 인생 업그레이드노트
"금투세 시행하면 주가조작도 잡을 수 있다."
주식시장을 폐지해도 유통시장에서 주가조작을 막을 수 있는데ㅋㅋ
👍6
#밸류업
미래에셋 퀀트 위원님이 금일 배포된 밸류업 스크리닝에 따라 소팅하면 이렇게 나온다고 합니다
👍10
[다올 화장품ㆍ의료기기 박종현/이정우]

★ 화장품 업종 Initiation: Get over the jet lag, 시차 적응 완료!

과실은 ODM에게로

1. 찬란했던 그날들
2. 이제는 ODM과 인디, 홈뷰티의 시대다
3. 인디브랜드 전성시대
4. 다만, 인디브랜드를 사고 싶은 구간은 짧다
5. CAPA 증설이 곧 실적 개선. 확신을 가지자
6. 이 수요 계속될 수 있을까?
7. Valuation에 대한 고민. 리레이팅이다

Next-K뷰티. 의료기기와 홈뷰티에 주목하라

1. 화장품과 의료기기, 홈뷰티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2. 메디컬 에스테틱 침투율 확대는 지금부터 시작
3. L’Oreal의 Galderma 지분 인수. 의료기기와 화장품의 합종연횡
4.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화장품 사업 확대
5. GLP-1 나비 효과. 그 수혜는 의료기기
6. 렌즈도 K뷰티다. 클리어가 아닌 컬러로 승부한다

종목별 투자의견

아모레퍼시픽(BUY, TP 16만원)
코스맥스(BUY, TP 17.5만원)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코스메카코리아(BUY, TP 13만원)_Top Picks
씨앤씨인터내셔널(BUY, TP 13만원)
에이피알(BUY, TP 40만원(상향))_Top Picks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7Evlj8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5
#잡썰
졸업을 위한 학교 인턴 및 학과 자격증 공부를 위한 시간을 보내보겠습니다. 그래도 주식은 다 볼거에용.

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주식을 보겠습니다.
💯33👍7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상대강도 등
- 유동성: 바이오, 테크, 밸류업, 전력기기, 2차전지
- 상대강도: 테크, 바이오, 전력기기, OLED, 밸류업, 2차전지
- 금일 장은 테크 중심의 AI 관련주로 자금쏠림이 심하게 나올 것으로 생각했으나 의외로 2차전지/바이오/미용 등의 섹터가 같이 강세를 보임. 유동성 영향인지 파악 필요. 개인적으로 중장기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움직임을 관통하는 핵심은 유동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MU
- 마이크론이 FY4Q24 매출액 가이던스 상단/컨센서스 상회를 기록했으며 차분기 FY1Q25 가이던스(매출/EPS)를 시장 컨센서스 대비 상회로 제시하면서 글로벌 테크 주가 긍정적 반응 중.
- IT H/W의 업셀링 관련한 이야기들은 아직 실체가 확인된 적이 없기 때문에 단순 코멘트 정도로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동사의 HBM 관련 업데이트는 관심. 동사는 24~25년 HBM Sold Out된 상태이며, 25년 초 HBM3E 12단을 Start하여 25~26년 HBM3E 기반으로 고객 및 제품 다변화를 추구할 것으로 언급.

#LS일렉트릭
- 1) 35년까지 미국 송전망 투자가 지속될 것이며, 2) 중국 전력기기 수입 제한 등에 따른 미국 내 전력기기 부족, 3) 이들 중 가장 공급부족이 높은 초고압 변압기 중심의 CAPA 증설, 3) 해외 법인 배전기기 시장 진출 확대, 4) 국내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으로 국내 시장도 확대 가능성 등 국내외 시장 기대.
-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매출 기준 15% 언더인 송전사업이 향후 매출 비중 확대가 될 수 있을 것. 이미 동사는 지난 10여년간 송전 및 신재생 사업을 확대한 바 있음.
- 전력기기는 기본적으로 국내 테크와 커플링이 감소했다는게 유의미하다고 생각.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내일은 드디어 개인적으로 가장 사랑하는 종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분할상장날.
- 분할 이전 주된 주가 상승의 모멘텀은 지상방산의 성장성이었으며 분할 이후에도 해당 사업은 존속법인에 남아있기 때문에 투자포인트가 변하지 않음. 지속적으로 수출 비중이 확대될 것이며 이에따라 OPM 역시 개선될 것.
- 최근 K9/레드백 파워팩 국산화 완료 이슈가 나왔는데, 해당 국산화 완료가 되면 외부 개입 없이 보다 자유롭게 중동 시장 진출도 가능해질 것.
- 신설법인의 반도체 사업 역시 향후 기대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동사 시가총액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한편, 동사 상장으로 인해 수급쏠림이 발생한다면 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LG디스플레이
- 동사 LCD 중국 공장 매각 공시. 매각 규모는 약 2조원이며 매각 예정일은 25.03.31. 이번 공장 매각으로 약 2조원을 확보하게 되어 재무적으로 긍정적이며 OLED 중심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
- 4Q24 OLED 중소형 물량은 연간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이고 대형 OLED 역시 3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4Q24 OLED 생산라인 가동률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4Q24가 3년 만에 흑자전환을 예상하고 있는데, 전방산업인 스마트폰/PC/TV 등의 수요에 달려있음.
- OLED 중심 사업 재편 및 4Q24 흑자전환 기대감과 더불어 미국이 디스플레이에서도 중국을 제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 반사이익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한 업황 업데이트를 간단하게 코멘트한 바 있는데, 중국이 생각보다 너무 빠르게 잘 하고 있는 상황은 맞는 것 같음.

#바이오다인
- WHO에서 로슈의 CINtec PLUS 세포학 검사를 자궁경부암 예방 가이드라인에 포함. 해당 검사는 자궁경부암 전 단꼐와 암을 조기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며 불필요한 시술을 줄여줌, 이번 가이드라인은 자궁경부암 예방 및 관리에 보다 더 집중하며 고위험 환자를 식별해 조기 개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
- 동사는 4Q에 로슈 관련한 정해진 모멘텀이 있기 때문에 3Q말인 현재 관심을 가져볼 주식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애널들이 숫자로 갖고 있는 기대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기대치를 고려할 때 업사이드가 높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생물보안법
- 지난 9월 25일 중국발 Wuxi의 생물보안법 제외 이슈가 불거짐. 다만, Wuxi AppTec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에서 해당 법안이 자회사 및 계열사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Wuxi Biologics 역시 해당되기 때문에 오보로 판단됨.
- 현재까지 파악되는 법안 중 실제 하원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은 하원에서 발의된 H.R.8333. 이러한 법안들은 공화당/민주당 동시에 발의한 초당적 법안인 만큼, 신속하게 상원 본회의 결의 후 대통령 서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 실제 법안 자체는 8년의 유예기간이 존재하고 최근부터 들어가는 것들에 대해서는 개발부터 같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CDO를 시작으로 CMO까지 확장되는 그림을 기대.

#마이크로디지탈
- 최근 동사가 개발 및 생산중에 있는 Single-Use Bioreactor System의 단일판매 공급계약 공시. 해당 고객사는 글로벌 B2B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미국 내 소부장 기업으로 추정. 해당 공시는 자체적으로 개발 및 생산하고 있는 장비가 북미 레퍼런스를 쌓았다는 점에서 상징적.
- 동사 대표의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1) 고객사 검증을 마치고 미국 시장 진출, 2) 향후 북미 고객사와의 거래는 단순 판매 및 레퍼런스로 마무리되지 않고 기술이전 및 로열티 수취로 발전할 것이라는 점. 실제 26년 말까지 제조 및 운용기술을 이전받고 27년부터 북미 시장에서 직접 제작 및 판매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전망. 해당 로열티는 하이싱글 수준으로 추정됨.
- 최근 인도 기반 세계 최대 백신 생산업체 SII의 실사도 진행됨. 해당 실사는 일회용 배양시스템 증설을 위해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의 실사 일환으로 확인됨. 글로벌 바이오 지형도에서 아시아가 생산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생산 거점이 될 수 있는 해당 기업 진출은 긍정적.

#조선
- 자료참고: https://t.me/hedgehara/20798
- 신조선가와 후판가격 괴리율이 20년 이래 최대치라고 함.

#이차전지
- 개인적으로는 1) 호재에 민감해졌으며, 2) 바텀아웃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자들 사이에 주가로 공감이 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들고있으면 존가 or 없으면 하반기 실적은 긍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적과 회사들 톤 보면서 잠잠할 때 모아가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
- 에코프로비엠의 코스피이전상장이 막바지 작업으로 들어가면서 이전상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1) 코스닥 내에서 시가총액 기준으로 상위 업체 중 2차전지가 매우 적어졌다는 점, 2) 현재 알테오젠이 1~2위를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는데 압도적 1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 정도를 생각해볼 수 있음.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desperatestudycafe/37662
- 트래픽은 계속 ATH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