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KE 플러스
📌 파마리서치(시가총액: 1조 8,626억) 📁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2024.09.05 16:26:10 (현재가 : 178,000원, +6.14%) 보통주 : 우선주 : 1,175,647주(발행가격 : 170,119원) 발행비율 : 11% 프리미엄 : 0.85% * 투자자 Polish Company Limited 발표일자 : 2024-09-05 납입일자 : 2024-12-04 상장일자 : - 시설자금 : 영업양수 : 운영자금 : 2…
Naver
파마리서치, 글로벌 사모펀드 CVC 2000억원대 투자 유치
“해외 사업 가속…전략적 M&A·현지화 노려” 파마리서치는 유럽계 글로벌 사모펀드 CVC로부터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을 통해 2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CVC는 약 280조원 규모의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기관/연금 동시 매수 섹터
- 바이오(인증/검증 종목 중심), 뷰티(미용/화장품), 밸류업(은행/통신), 유틸리티, 조선(?, 선사중심)
#지표
- 자료참고: https://t.me/purequant/11703
- 00년 이후 구인지표와 S&P500지수 괴리가 가장 크게 벌어지고 있음. 매우 흥미로움.
#가성비소비
- 가성비 대표 기업으로 꼽히는 DLTR이 2Q24 실적 하회 및 전망치 하향조정하면서 급락.
- DLTR은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에 대해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 압박이 계층간으로 확산되면서 매출 성장 둔화 등과 같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825
- 장후 공시로 2천억을 RCPS로 받아오는 투자유치를 진행. 사유는 에스테틱 사업 강화 및 신사업 발굴.
- 회사가 돈이 급하지 않은 상황에서 글로벌 자산규모 280조 수준의 CVC에게 투자유치(납입일 24.12.04)를 받았다는 건 파마리서치에게 기대하던 서구권 및 동남아 등 글로벌 확장스토리가 본격 시작되는 단계가 아닐까하는 생각. 협력자가 CVC라는 점은 프리미엄. CVC도 인터뷰로 K뷰티가 성장하도록 전폭지원하겠다고 했음.
- K뷰티에서 CVC가 투자할만큼 매력있는 회사라는 뜻. CVC는 과거에도 뷰티 회사에 투자하여 좋은 수익률을 올린바 있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경영상 비밀유지로 인해 백지공시를 냄. 규모는 2,300억 이상인 것.
- 2Q IR에서 장갑차 및 중동 영업 진행중이라고 한 바가 있음.
- 어차피 거래정지라서 거래도 못하긴하는데 관심.
#HD현대미포
- 1) 이전사이클에서 03년 턴어라운드 이후 08~10년까지 이익 피크(저P/E)를 찍었음. 현재 고P/E가 이제 형성된 상황, 2) 현재 및 미래 수주를 고려할 때 이익 상승은 확정적, 3) 선령이 15년 이상인 선박을 대상으로 교체발주가능 척수만 해도 초호황기 최대 발주량을 상회. 즉, 이익, 수주잔고, 발주가능량 등이 사이클의 초중반에 불과.
- 현재 Handy 사이즈 선박의 발주 가능 물량은 CAPA 대비 매우 비대한 수준. 선가 줄다리기가 어느정도 마무리된 상황에서 발주가 시작되면 수주 규모는 크게 증가할 것.
#크래프톤
- PC 8월까지 3Q 스팀 평균 트래픽은 지난 3개 분기 연속 증가하면서 높은 기저에도 QoQ 만명 이상 증가. 4Q에는 4Q23 10만명 이상의 트래픽과 ARPU 성장을 일으켰던 블랙마켓 오픈 예정.
- 모바일은 7월 역대급 실적이라고 언급함과 동시에 8월에도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모바일 인센티브는 회사에서는 일회성으로 보고있지는 않음.
- 최근 리포트들에서 인조이의 게임스컴 반응을 보고 25년 판매량 추정치를 상향하고 있는게 보임. 해당 부분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글로벌 Peer와 유사한 20~22배 수준의 멀티플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현재 크래프톤의 P/E는 16배 수준.
#한국축구
- 한국주식과 한국축구의 공통점: 전쟁국가보다 못함.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기관/연금 동시 매수 섹터
- 바이오(인증/검증 종목 중심), 뷰티(미용/화장품), 밸류업(은행/통신), 유틸리티, 조선(?, 선사중심)
#지표
- 자료참고: https://t.me/purequant/11703
- 00년 이후 구인지표와 S&P500지수 괴리가 가장 크게 벌어지고 있음. 매우 흥미로움.
#가성비소비
- 가성비 대표 기업으로 꼽히는 DLTR이 2Q24 실적 하회 및 전망치 하향조정하면서 급락.
- DLTR은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에 대해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 압박이 계층간으로 확산되면서 매출 성장 둔화 등과 같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825
- 장후 공시로 2천억을 RCPS로 받아오는 투자유치를 진행. 사유는 에스테틱 사업 강화 및 신사업 발굴.
- 회사가 돈이 급하지 않은 상황에서 글로벌 자산규모 280조 수준의 CVC에게 투자유치(납입일 24.12.04)를 받았다는 건 파마리서치에게 기대하던 서구권 및 동남아 등 글로벌 확장스토리가 본격 시작되는 단계가 아닐까하는 생각. 협력자가 CVC라는 점은 프리미엄. CVC도 인터뷰로 K뷰티가 성장하도록 전폭지원하겠다고 했음.
- K뷰티에서 CVC가 투자할만큼 매력있는 회사라는 뜻. CVC는 과거에도 뷰티 회사에 투자하여 좋은 수익률을 올린바 있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경영상 비밀유지로 인해 백지공시를 냄. 규모는 2,300억 이상인 것.
- 2Q IR에서 장갑차 및 중동 영업 진행중이라고 한 바가 있음.
- 어차피 거래정지라서 거래도 못하긴하는데 관심.
#HD현대미포
- 1) 이전사이클에서 03년 턴어라운드 이후 08~10년까지 이익 피크(저P/E)를 찍었음. 현재 고P/E가 이제 형성된 상황, 2) 현재 및 미래 수주를 고려할 때 이익 상승은 확정적, 3) 선령이 15년 이상인 선박을 대상으로 교체발주가능 척수만 해도 초호황기 최대 발주량을 상회. 즉, 이익, 수주잔고, 발주가능량 등이 사이클의 초중반에 불과.
- 현재 Handy 사이즈 선박의 발주 가능 물량은 CAPA 대비 매우 비대한 수준. 선가 줄다리기가 어느정도 마무리된 상황에서 발주가 시작되면 수주 규모는 크게 증가할 것.
#크래프톤
- PC 8월까지 3Q 스팀 평균 트래픽은 지난 3개 분기 연속 증가하면서 높은 기저에도 QoQ 만명 이상 증가. 4Q에는 4Q23 10만명 이상의 트래픽과 ARPU 성장을 일으켰던 블랙마켓 오픈 예정.
- 모바일은 7월 역대급 실적이라고 언급함과 동시에 8월에도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모바일 인센티브는 회사에서는 일회성으로 보고있지는 않음.
- 최근 리포트들에서 인조이의 게임스컴 반응을 보고 25년 판매량 추정치를 상향하고 있는게 보임. 해당 부분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글로벌 Peer와 유사한 20~22배 수준의 멀티플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현재 크래프톤의 P/E는 16배 수준.
#한국축구
- 한국주식과 한국축구의 공통점: 전쟁국가보다 못함.
👍26
부자들의 돈은 마땅히 뺏어서 나눠줘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느껴지는 진성준씨 글.
https://t.me/fourhourinvesting/4479
https://t.me/fourhourinvesting/4479
❤🔥9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기관/연기금 동시 매수 섹터
- 바이오(인증/검증 종목 중심), 뷰티(미용/화장품), 밸류업(은행/통신/담배), 유틸리티, 조선(선사 중심), 2차전지(셀 중심)
- 외국인/기관/연기금 동시에 지속적으로 매수가 들어오는 섹터군은 어느정도 유지되는 중.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828
- 소비재를 볼 때 유통망, 영업력, 경쟁력 정도를 중요하게 봄.
- 똑같은 제품을 팔더라도 어떤기업은 잘 팔고 어떤 기업은 왜 팔지 못할까? 어느 부분에서 성과의 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제품에서 크게 해자가 있는 것 같지는 않은데 어디서 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은 개인적으로 소비재는 유통망이 중요하다는 것. 소비재가 어느정도 우수한 퀄리티를 만족시켰다는 전제 하에서 팔고자 하는 제품을 얼마나 빠르게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고 생각.
-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이 왜 잘팔리는지에 대해 제품 자체에는 집중하지만 유통망 자체에 대한 집중은 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음.
- 그렇다면 앞서 소비재의 퀄리티 및 경쟁력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그 제품이 시장이 진입하여 고객이 우리제품을 얼마나 쓰는지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 즉, 퀄리티 및 경쟁력은 B2C에서 '트렌드 및 유행'이라고 불리는 것. 특히 인플루언서와 구매 트래픽이 증가한다는 것은 "저 사람이 쓰는데 나도 써봐야지"와 같은 경향성이 큼.
- 그렇다면 이 회사의 영업력은 어떻게 파악해볼 수 있을까? 어느 유통망을 사로잡았는지를 보면 알 수 있음.
- 에스테틱 시장 확장이게 업종 전반이 성장했다면 24년 다양한 지분인수 및 투자유치를 통해 '강점 및 경쟁력을 보이는 기업들이 선별적으로 성장하는 구간'에 진입.
#대왕고래
- 투자 주관사 입찰공고일이 지난 5일 실제로 올라오지 않자 실망 매물이 대거 출회된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지명경쟁입찰로 진행되기에 별도 공고 없이 실제 진행중이라는 입장. 즉, 공고없이 이미 진행중이라는 것.
- 이달 가스전 개발 사업에 관심을 보인 해외 석유 기업들 한국 방문 예정.
#바이오
- 키트루다도? https://t.me/bioksm/3069
- 생물보안법, ESMO, WCLC 등.
#조선
- 클락슨 신조선가는 189.7p가 되면서 08.08월 수준 도착. 190을 돌파하고 신고가를 경신할 것인지 관심.
- 반면 후판 중국 상해 수입가격 지속적인 하락 추세 유지.
- USTR도 남아있다는 점.
#증시
- 순환론적 사고가 세상을 지배함. 대비하는 존재가 있는 상황에서 세상은 망하지 않음. 시장의 고점과 저점을 맞출 수는 없지만 고점부근과 저점부근은 예측가능한 순환론적 사고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음.
- 이걸 타인에게 저점이니 무조건 사라고 이해하는 사람은 다시 생각해보길 바람. 시장의 관점과 종목의 관점은 다름.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기관/연기금 동시 매수 섹터
- 바이오(인증/검증 종목 중심), 뷰티(미용/화장품), 밸류업(은행/통신/담배), 유틸리티, 조선(선사 중심), 2차전지(셀 중심)
- 외국인/기관/연기금 동시에 지속적으로 매수가 들어오는 섹터군은 어느정도 유지되는 중.
#파마리서치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6828
- 소비재를 볼 때 유통망, 영업력, 경쟁력 정도를 중요하게 봄.
- 똑같은 제품을 팔더라도 어떤기업은 잘 팔고 어떤 기업은 왜 팔지 못할까? 어느 부분에서 성과의 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제품에서 크게 해자가 있는 것 같지는 않은데 어디서 차이가 나오는 것일까?
-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은 개인적으로 소비재는 유통망이 중요하다는 것. 소비재가 어느정도 우수한 퀄리티를 만족시켰다는 전제 하에서 팔고자 하는 제품을 얼마나 빠르게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고 생각.
-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이 왜 잘팔리는지에 대해 제품 자체에는 집중하지만 유통망 자체에 대한 집중은 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음.
- 그렇다면 앞서 소비재의 퀄리티 및 경쟁력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그 제품이 시장이 진입하여 고객이 우리제품을 얼마나 쓰는지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 즉, 퀄리티 및 경쟁력은 B2C에서 '트렌드 및 유행'이라고 불리는 것. 특히 인플루언서와 구매 트래픽이 증가한다는 것은 "저 사람이 쓰는데 나도 써봐야지"와 같은 경향성이 큼.
- 그렇다면 이 회사의 영업력은 어떻게 파악해볼 수 있을까? 어느 유통망을 사로잡았는지를 보면 알 수 있음.
- 에스테틱 시장 확장이게 업종 전반이 성장했다면 24년 다양한 지분인수 및 투자유치를 통해 '강점 및 경쟁력을 보이는 기업들이 선별적으로 성장하는 구간'에 진입.
#대왕고래
- 투자 주관사 입찰공고일이 지난 5일 실제로 올라오지 않자 실망 매물이 대거 출회된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지명경쟁입찰로 진행되기에 별도 공고 없이 실제 진행중이라는 입장. 즉, 공고없이 이미 진행중이라는 것.
- 이달 가스전 개발 사업에 관심을 보인 해외 석유 기업들 한국 방문 예정.
#바이오
- 키트루다도? https://t.me/bioksm/3069
- 생물보안법, ESMO, WCLC 등.
#조선
- 클락슨 신조선가는 189.7p가 되면서 08.08월 수준 도착. 190을 돌파하고 신고가를 경신할 것인지 관심.
- 반면 후판 중국 상해 수입가격 지속적인 하락 추세 유지.
- USTR도 남아있다는 점.
#증시
- 순환론적 사고가 세상을 지배함. 대비하는 존재가 있는 상황에서 세상은 망하지 않음. 시장의 고점과 저점을 맞출 수는 없지만 고점부근과 저점부근은 예측가능한 순환론적 사고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음.
- 이걸 타인에게 저점이니 무조건 사라고 이해하는 사람은 다시 생각해보길 바람. 시장의 관점과 종목의 관점은 다름.
👍17❤🔥2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 차트 폼 유지종목 리스팅(9/8.일)
*역배열 종목이 워낙 많아서 정배열종목은 매우 적은 상황입니다. 아래는 그럼에도 최근 차트흐름을 유지하는 종목들입니다.
-화장품미용 : 클래시스, 파마리서치, 한국콜마, 에이피알, 한국화장품제조, 코스메카코리아,
-항공유통 :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강원랜드, 신세계
-경기침체 수혜주 : 이마트, BGF리테일, KT&G, SK텔레콤, KT, 한국전력
-바이오 : 쌈바, 알테오젠, HLB,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샤페론, 대봉엘에스, 올릭스, 셀루메드
-2차전지 : LG엔솔, 이수스폐셜티, 한농화성,
-게임 : 크래프톤, 네오위즈
-원전 : 한전산업, 한전KPS
-밸류업 : 에프앤가이드, LG, 코웨이, 금융주들
-자율주행 : 퓨런티어,
-디스플레이 : 선익시스템,
*역배열 종목이 워낙 많아서 정배열종목은 매우 적은 상황입니다. 아래는 그럼에도 최근 차트흐름을 유지하는 종목들입니다.
-화장품미용 : 클래시스, 파마리서치, 한국콜마, 에이피알, 한국화장품제조, 코스메카코리아,
-항공유통 :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강원랜드, 신세계
-경기침체 수혜주 : 이마트, BGF리테일, KT&G, SK텔레콤, KT, 한국전력
-바이오 : 쌈바, 알테오젠, HLB, 한미약품, SK바이오팜, 샤페론, 대봉엘에스, 올릭스, 셀루메드
-2차전지 : LG엔솔, 이수스폐셜티, 한농화성,
-게임 : 크래프톤, 네오위즈
-원전 : 한전산업, 한전KPS
-밸류업 : 에프앤가이드, LG, 코웨이, 금융주들
-자율주행 : 퓨런티어,
-디스플레이 : 선익시스템,
👍2
Forwarded from Moo three meals & life (yoou L)
우리 OEM OEM 회사도 너무 좋지만
역시 탑픽은 오리지날리티!
글로벌 브랜드화가 가능한지?
역시 탑픽은 오리지날리티!
글로벌 브랜드화가 가능한지?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기관/연기금 동시 매수 섹터
- 바이오(인증/검증 중심), 뷰티(미용/화장품), 밸류업(은행/통신), 2차전지(셀 중심), 전력기기
- 상대강도: 바이오, 밸류업, 전력기기, 뷰티 등.
#생물보안법
- 미 하원에서 306:81 압도적인 표차이로 생물보안법 통과. 남은 건 상원. 조바이든 대통령이 임기 내 생물보안법을 통과시키고 싶어하기 때문에 상원 역시 빠르게 진행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 아마 조바이든 임기 내 통과되지 않더라고 생물보안법은 양쪽 모두 지지하는 상황이라 큰 이변이 없으면 통과될 것으로 기대.
- 기본적으로 글로벌급 논문 측면에서 중국이 전방위적으로 미국을 빠르게 따라오고 있음. 특히 바이오는 미중분쟁 측면에서 약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이에 이러한 위탁생산을 비롯하여 다양한 견제 법안이 나오고 있음.
- 이 부분이 중요한건 실제 생물보안법 시행이 오래걸린다고 하더라도 실제 이제부터 생산을 계획하거나 미래 프로젝션을 할 때 중국을 제외하는 것을 기본 옵션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나올 중요한 건들은 중국 이외의 곳에서 수주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짐. 실제 에스티팜이 그리고 사례를 보여줌.
#유한양행 #오스코텍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jerry_bio_analysis/223579662509
- 간단하게 요약하면 1) 국산 항암 신약이 미국 공식 치료 지침서에 최초로 등록됨, 2) FDA 허가일 기준 20일 만에 등재되는 건 드문사건, 3) 심지어 아직 최종 결과가 아닌 상황에서 등재를 했다는 건 굉장히 좋은 결과라는 것.
#한올바이오파마
- 글로벌 파트너사 IMVT가 IMVT-1401의 성공적인 GD 2a상 최종 데이터 발표. Anti-FcRn의 IgG 감소율과 GD 치료 효능이 비례함을 입증하는데 성공하여 GD 치료요법으로서 FcRn 타겟 가능성 제시. 향후 IMVT는 IMVT-1402에 대해 1401 2상을 토대로 1402로 교체하여 2상 없이 3상 진입 및 승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FDA로부터 확인 및 연말 진입하겠다고 밝힘.
- GD는 아직 치료제가 없고 경쟁사 역시 타겟하지 못하는 적응증이기 때문에 3상 이후 동종계열 최초 약물이 될 가능성 존재. GD 하나 적응증으로도 높은 가치 받을 것으로 기대.
- 성공적인 발표에도 IMVT는 GD 적응증 외 새로운 뉴스를 기대한 투자자들로 인해 주가는 정규장 기준 -8% 기록(시외+5%). 기본적으로 2a상은 23.12월에 발표된 초기 데이터를 통해서도 성공 확률이 높았음.
- 경쟁사 Argenx의 매출 고성장 및 적응증 확증 대비하여 출시 불확실성으로 인해 IMVT 주가는 상대적 약세. 그러나 IMVT가 연말부터 신규 적응증 임상 및 1H25까지 허가용 임상 개시를 진행할 예정에 따라 본격적인 경쟁구도 전망.
- 기존 소통과 같이 연말 신규 대형 적응증 3개 진입에 대한 타임라인 유효. 동사는 IMVT 주가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한 상황이며 상대 시가총액 30% 수준.
#아이센스
- 그동안 계속 공개가 밀리던 CGM 글로벌 고객사 계약 관련한 이야기 공개. 10월 글로벌 브랜드와 CGM 공급 계약을 맺게 될 것이며 25년부터 OEM브랜드로 유럽시장을 비롯해 공급을 늘려갈 것.
- 27년에는 FDA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음. 한편, 여기서 아이센스 CFO는 당뇨 사업군에서 오랫동안 활약했고 미국을 기반으로 하는 업체가 CGM의 미국 FDA 허가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언급.
- 이전 주주총회에서 CGM 제품이 나오게 되면 릴리와 파트너십을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 당연히 생각하고 있다고 했음. 이미 동사는 릴리의 BGM브랜드를 공급하고 있으며 동사 CGM이 유럽 CE가 곧 나올 예정.
- 아이센스의 IR 특성상 이러한 부분은 가이던스에 당연히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 동사는 가이던스 너머 사업의 방향성을 봐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회사로 판단함.
#한국화장품제조
- 금일 주가 급락은 최근 코넥스 IR로 인한 노이즈로 인한 것으로 보임. 그러나 해당 이슈는 과도한 노이즈가 아닌가 생각.
- 해당 업체는 주요 품목군 중 1개 품목을 생산하는 업체이며 한국화장품제조가 1) 주요 품목의 많은 부분을 생산한다는 점, 2) 해당 업체의 내용은 너무 지엽적이라는 점, 3) 지금까지 보여준 것들을 고려할 때 과한 노이즈가 아닌가 하는 생각.
- 말이 길었는데 요약하면 오늘 급락은 너무 마바라식이다.
#파마리서치
- 3Q24 매출액 847억, 영업이익 316억(OPM 37%) 전망. 1) 내수 의료기기 성장 기여도가 클 것으로 전망. 국내 의료수요 증가 및 의료관관 수요 영향. 2) 화장품은 2Q24와 유사한 규모일 것으로 전망되나 YoY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
- 의료기기 수출의 경우 현재 중국, 일본, 태국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2H23 호주/칠레 신규 진출했고 24년은 멕시코를 포함한 남미 3개국, 대만 등에 진출할 예정. 여기서 CVC가 투자하면서 글로벌 선진국 진출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 실제 유럽 진출도 이전에는 5년 가량 걸릴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동사는 2년 내외면 판매개시되는 톤으로 소통 중.
- 2Q24를 기점으로 글로벌 스탠다드 IR로 변화하겠다고 했는데 최근들어서 소통채널이 확실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느껴지고 있음.
#휴메딕스
- 1) 필러 수출국가 다변화 및 26년 PDRN 복합필러 출시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2) OPM이 21년 14%=>24E 27%로 빠르게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3) 25~26년 필러 미 FDA 임상 및 26년 CDMO 기대감 등 다양한 요인 존재. 그러나 동사의 12M Fwd P/E는 7~8배 수준으로 Peer 17배 대비 크게 저평가.
- CMO/CDMO는 무난한 성장을 보여주는 가운데 필러 및 화장품 사업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어 Peer와 P/E 갭을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23년 필러 및 화장품 비중은 34%였으나 24년에는 37%로 확대되며 25년은 40%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조선
- BofA에서 1) 운임과 신조선가 상관관계는 낮고, 2) 아직 매우 낮은 IMO발 친환경배 침투율, 3) 엔진부족으로 인한 선택적 수주로 신조선가 상승에 긍정적이라는 보고서 발간.
#증시
- 거래대금: 스피 8.4조, 스닥 5.7조.
- 대금 Top5: 스피(전자/닉스/양행/삼바/LGES), 스닥(대봉엘에스/SAMG엔터/인벤티지랩/이엔셀/우리바이오)
- 대금없이 오락가라하는 상황 지속 중. 그러나 이전 대비 매도압 자체는 상대적으로 낮아진 것이 느껴지기도 함.
- 근데 대금 스닥 상태가?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인/기관/연기금 동시 매수 섹터
- 바이오(인증/검증 중심), 뷰티(미용/화장품), 밸류업(은행/통신), 2차전지(셀 중심), 전력기기
- 상대강도: 바이오, 밸류업, 전력기기, 뷰티 등.
#생물보안법
- 미 하원에서 306:81 압도적인 표차이로 생물보안법 통과. 남은 건 상원. 조바이든 대통령이 임기 내 생물보안법을 통과시키고 싶어하기 때문에 상원 역시 빠르게 진행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 아마 조바이든 임기 내 통과되지 않더라고 생물보안법은 양쪽 모두 지지하는 상황이라 큰 이변이 없으면 통과될 것으로 기대.
- 기본적으로 글로벌급 논문 측면에서 중국이 전방위적으로 미국을 빠르게 따라오고 있음. 특히 바이오는 미중분쟁 측면에서 약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이에 이러한 위탁생산을 비롯하여 다양한 견제 법안이 나오고 있음.
- 이 부분이 중요한건 실제 생물보안법 시행이 오래걸린다고 하더라도 실제 이제부터 생산을 계획하거나 미래 프로젝션을 할 때 중국을 제외하는 것을 기본 옵션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나올 중요한 건들은 중국 이외의 곳에서 수주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짐. 실제 에스티팜이 그리고 사례를 보여줌.
#유한양행 #오스코텍
- 자료참고: https://blog.naver.com/jerry_bio_analysis/223579662509
- 간단하게 요약하면 1) 국산 항암 신약이 미국 공식 치료 지침서에 최초로 등록됨, 2) FDA 허가일 기준 20일 만에 등재되는 건 드문사건, 3) 심지어 아직 최종 결과가 아닌 상황에서 등재를 했다는 건 굉장히 좋은 결과라는 것.
#한올바이오파마
- 글로벌 파트너사 IMVT가 IMVT-1401의 성공적인 GD 2a상 최종 데이터 발표. Anti-FcRn의 IgG 감소율과 GD 치료 효능이 비례함을 입증하는데 성공하여 GD 치료요법으로서 FcRn 타겟 가능성 제시. 향후 IMVT는 IMVT-1402에 대해 1401 2상을 토대로 1402로 교체하여 2상 없이 3상 진입 및 승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FDA로부터 확인 및 연말 진입하겠다고 밝힘.
- GD는 아직 치료제가 없고 경쟁사 역시 타겟하지 못하는 적응증이기 때문에 3상 이후 동종계열 최초 약물이 될 가능성 존재. GD 하나 적응증으로도 높은 가치 받을 것으로 기대.
- 성공적인 발표에도 IMVT는 GD 적응증 외 새로운 뉴스를 기대한 투자자들로 인해 주가는 정규장 기준 -8% 기록(시외+5%). 기본적으로 2a상은 23.12월에 발표된 초기 데이터를 통해서도 성공 확률이 높았음.
- 경쟁사 Argenx의 매출 고성장 및 적응증 확증 대비하여 출시 불확실성으로 인해 IMVT 주가는 상대적 약세. 그러나 IMVT가 연말부터 신규 적응증 임상 및 1H25까지 허가용 임상 개시를 진행할 예정에 따라 본격적인 경쟁구도 전망.
- 기존 소통과 같이 연말 신규 대형 적응증 3개 진입에 대한 타임라인 유효. 동사는 IMVT 주가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한 상황이며 상대 시가총액 30% 수준.
#아이센스
- 그동안 계속 공개가 밀리던 CGM 글로벌 고객사 계약 관련한 이야기 공개. 10월 글로벌 브랜드와 CGM 공급 계약을 맺게 될 것이며 25년부터 OEM브랜드로 유럽시장을 비롯해 공급을 늘려갈 것.
- 27년에는 FDA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음. 한편, 여기서 아이센스 CFO는 당뇨 사업군에서 오랫동안 활약했고 미국을 기반으로 하는 업체가 CGM의 미국 FDA 허가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언급.
- 이전 주주총회에서 CGM 제품이 나오게 되면 릴리와 파트너십을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 당연히 생각하고 있다고 했음. 이미 동사는 릴리의 BGM브랜드를 공급하고 있으며 동사 CGM이 유럽 CE가 곧 나올 예정.
- 아이센스의 IR 특성상 이러한 부분은 가이던스에 당연히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 동사는 가이던스 너머 사업의 방향성을 봐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회사로 판단함.
#한국화장품제조
- 금일 주가 급락은 최근 코넥스 IR로 인한 노이즈로 인한 것으로 보임. 그러나 해당 이슈는 과도한 노이즈가 아닌가 생각.
- 해당 업체는 주요 품목군 중 1개 품목을 생산하는 업체이며 한국화장품제조가 1) 주요 품목의 많은 부분을 생산한다는 점, 2) 해당 업체의 내용은 너무 지엽적이라는 점, 3) 지금까지 보여준 것들을 고려할 때 과한 노이즈가 아닌가 하는 생각.
- 말이 길었는데 요약하면 오늘 급락은 너무 마바라식이다.
#파마리서치
- 3Q24 매출액 847억, 영업이익 316억(OPM 37%) 전망. 1) 내수 의료기기 성장 기여도가 클 것으로 전망. 국내 의료수요 증가 및 의료관관 수요 영향. 2) 화장품은 2Q24와 유사한 규모일 것으로 전망되나 YoY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
- 의료기기 수출의 경우 현재 중국, 일본, 태국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2H23 호주/칠레 신규 진출했고 24년은 멕시코를 포함한 남미 3개국, 대만 등에 진출할 예정. 여기서 CVC가 투자하면서 글로벌 선진국 진출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 실제 유럽 진출도 이전에는 5년 가량 걸릴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동사는 2년 내외면 판매개시되는 톤으로 소통 중.
- 2Q24를 기점으로 글로벌 스탠다드 IR로 변화하겠다고 했는데 최근들어서 소통채널이 확실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 느껴지고 있음.
#휴메딕스
- 1) 필러 수출국가 다변화 및 26년 PDRN 복합필러 출시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2) OPM이 21년 14%=>24E 27%로 빠르게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3) 25~26년 필러 미 FDA 임상 및 26년 CDMO 기대감 등 다양한 요인 존재. 그러나 동사의 12M Fwd P/E는 7~8배 수준으로 Peer 17배 대비 크게 저평가.
- CMO/CDMO는 무난한 성장을 보여주는 가운데 필러 및 화장품 사업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어 Peer와 P/E 갭을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23년 필러 및 화장품 비중은 34%였으나 24년에는 37%로 확대되며 25년은 40%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조선
- BofA에서 1) 운임과 신조선가 상관관계는 낮고, 2) 아직 매우 낮은 IMO발 친환경배 침투율, 3) 엔진부족으로 인한 선택적 수주로 신조선가 상승에 긍정적이라는 보고서 발간.
#증시
- 거래대금: 스피 8.4조, 스닥 5.7조.
- 대금 Top5: 스피(전자/닉스/양행/삼바/LGES), 스닥(대봉엘에스/SAMG엔터/인벤티지랩/이엔셀/우리바이오)
- 대금없이 오락가라하는 상황 지속 중. 그러나 이전 대비 매도압 자체는 상대적으로 낮아진 것이 느껴지기도 함.
- 근데 대금 스닥 상태가?
👍10
投資, 아레테
근데 어째서 내가 빠지길 기도하는 수출주는 빠지지 않고 고고히 오른단 말인가....ㅠ
주가가 너무 올라버려서 뭐... 지누스였는데 좋은거 같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