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the-stock.kr/news/articleView.html?idxno=21111
#한미반도체 #한화정밀기계
불꽃 튀는 싸움 시작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한미반도체는 이달 4일 서울중앙지법에 한화정밀기계를 상대로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메모리) 생산용 TC본더 특허권침해금지 소송을 제기했다.
#한미반도체 #한화정밀기계
불꽃 튀는 싸움 시작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한미반도체는 이달 4일 서울중앙지법에 한화정밀기계를 상대로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메모리) 생산용 TC본더 특허권침해금지 소송을 제기했다.
더스탁(The Stock)
[단독]한미반도체, 한화정밀기계에 HBM TC본더 특허 소송 - 더스탁(The Stock)
[더스탁=이경주 기자] 한미반도체가 한화정밀기계를 상대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한미반도체는 이달 4일 서울중앙지법에 한화정밀기계를 상
👍13😁1
投資, 아레테
#LNG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19629
- 트럼프가 임기 첫날 시추 확대 행정명령 내린다고 함.
- EIA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US의 LNG 수출 용량이 24년 이후로 급격하게 커지면서 28년에는 24년 대비 50% 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됨. 즉, LNG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 및 선박 필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19629
- 트럼프가 임기 첫날 시추 확대 행정명령 내린다고 함.
- EIA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US의 LNG 수출 용량이 24년 이후로 급격하게 커지면서 28년에는 24년 대비 50% 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됨. 즉, LNG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 및 선박 필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LNG
- EIA 자료와 함께 추가적으로 여러 업계 관계자들을 통해 제기되는 LNG선 대량 폐선 가능성.
- 대량 폐기가 없더라도 예상 선대 수요 대비 현재 수주잔고 선량은 시간이 갈수록 괴리 심화. 20년대 후반 LNG선 초과수요 이슈 가능.
- EIA 자료와 함께 추가적으로 여러 업계 관계자들을 통해 제기되는 LNG선 대량 폐선 가능성.
- 대량 폐기가 없더라도 예상 선대 수요 대비 현재 수주잔고 선량은 시간이 갈수록 괴리 심화. 20년대 후반 LNG선 초과수요 이슈 가능.
👍10
投資, 아레테
#세경하이테크 - VINA 증설, 자사주취득, 중국 스마트폰 보조금 등 이슈 겹치면서 주가 단기간에 쎄게 올라옴.
https://www.kipost.net/news/articleView.html?idxno=324620
#세경하이테크
UTG는 최우선 공급사로 중국 렌즈테크놀러지, 2순위로 도우인시스가 각각 검토되고 있다. UTG 앞에 붙는 보호필름은 세경하이테크가 공급하는 것으로 사실상 낙점됐다.
#세경하이테크
UTG는 최우선 공급사로 중국 렌즈테크놀러지, 2순위로 도우인시스가 각각 검토되고 있다. UTG 앞에 붙는 보호필름은 세경하이테크가 공급하는 것으로 사실상 낙점됐다.
www.kipost.net
폴더블 SCM 확정 앞두고 고민 깊어지는 애플 - KIPOST(키포스트)
오는 2026년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를 앞둔 애플이 관련 SCM(서플라이체인) 확정을 앞두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애플은 OLED 셀 자체는 패널 업체로부터 공급받겠지만 앞뒤 소재⋅부품은 자체 조달해 기존 폴더...
👍9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화장품/미용 바이오 음식료 밸류업 테크 엔터 방산
- 상대강도: 조선/LNG 엔터 방산 음식료 화장품/미용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LNG 미용 음식료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조선/LNG 화장품/미용 음식료 엔터 방산
#세경하이테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06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15
- 자료참고: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56331
- VINA 증설, 자사주취득, 중국 스마트폰 보조금 등 이슈 겹치면서 최근 주가 상승.
- 증설 관련해서 애플 폴더블 관련된 내용으로 추정되었으나 금일 뉴스를 통해서 사실상 애플 폴더블 UTG 밸류체인으로 낙점되었다는 내용 언급.
- 자회사 2차전지 단열소재 가시적 성과 기대 및 애플 폴더블, 중국 스마트폰 보조금을 통한 중화권 시장 반등 등을 고려할 때 내용은 긍정적. 최근 연기금/투신/사모 모두 수급 우호적인 모습.
#에치에프알
- 자료참고:https://www.nextgov.com/cybersecurity/2024/12/congress-approves-2025-ndaa-important-cyber-provisions/401764/
- NDAA 예산에서 중국 네트워크 장비 제거하고 교체하는 데 필요한 30억불이 포함됨. 이에 따라 미국 시장 내 중국 통신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국내 통신장비 업체들에게 수혜가 갈 수 있음.
- BEAD 프로그램은 미국 내 광대역 인프라 구축 프로그램. 예산규모는 21~26년 약 60조 수준. 현재까지 풀린 보조금이 거의 없는 상황인데, 보조금의 보고서 최종 검토 기간을 고려할 시 25년부터 예산 집행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국내 업체는 1) BEAD 사업용 제품 개발 및 인증, 2) 미국 제조공장, 3) 사업 파트너 등을 확인해야 함.
- 에치에프알은 1) 제품 개발 및 인증을 완료했고, 2) 미국 제조라인 확보했으며, 3) 현재 신규 파트너사와 동남부 지역 대상 조건에 대해 협상 중. 1H25 내 완료 전망.
#제닉
- 11월 말 섹터를 이기지 못하는 개별주가 되는 느낌이라고 언급한 바 있는데, 섹터가 양호하게 변하면서 개별주 내용이 부각되고 주가도 우호적인 모습. 글로벌 트래픽 추이도 섹터 센티와 별개로 계속 우상향 중인 모습.
- 주요 고객사 아마존 순위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라인 증설도 기존 4Q24 600만/월 스케줄에서 24.10월 600만장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12월 초 설비 생산 투입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3Q 실적도 일회성 대손 5억은 4Q24~1Q25 정도에 환입될 것이며 그 외 정상적으로 이익이 인식될 예정.
- OP 기준 1Q24 -6억=>2Q24 9억=>3Q24 21억 보여주고 있으며 25E OP 추정치는 250~300억 수준. 현재 시가총액 1,600억대인 것을 고려할 때 P/E는 6~7배.
#LNG
- 트럼프가 임기 첫날 시추 확대 행정명령 내린다고 함.
- EIA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US의 LNG 수출 용량이 24년 이후로 급격하게 커지면서 28년에는 24년 대비 50% 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됨. 즉, LNG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 및 선박 필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 EIA 자료와 함께 추가적으로 여러 업계 관계자들을 통해 제기되는 LNG선 대량 폐선 가능성. 대량 폐기가 없더라도 예상 선대 수요 대비 현재 수주잔고 선량은 시간이 갈수록 괴리 심화. 20년대 후반 LNG선 초과수요 이슈 가능.
#2차전지
- 자료참고: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7337
- 트럼프 인수위가 AMPC 폐지를 권고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능성 제기. 또한 환경 검토를 완화하고 전기차 인프라를 빠르게 허가하는 내용들 권고안에 담았다는 내용도 전해짐. AMPC 보조금이 유지된다고 하면 AMPC 폐지 이슈 이후로 빠졌던 주가들의 일부 정도 되돌림에 대한 생각.
- 11월 EU EV 판매도 둔화되었고 전기차 부품 업체들의 25년 전망도 현재 보수적인 관점(일부는 가이던스 미제시 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추세적인 상황 되돌림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
#마이크론
- FY1Q25 매출액 $87억(est $8.68B), EPS $1.79(est $1.73). FY2Q25 매출액 $7.7B~$8.1B(est $8.97B), EPS $1.33~1.53(est $1.97)
- 데이터센터 매출이 사상 첫 총 매출의 50%를 초과하며 YoY+400% 이상 성장. 단기적으로 소비자 시장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AI 중심의 기회를 활용하여 남은기간 성장 회복을 전망. HBM 시장은 28년 640억불(24년 대비 4배 성장)으로 전망되며 30년에는 1,000억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 이로써 30년 HBM의 TAM은 24년 DRAM 전체 규모를 초과할 것으로 기대.
- HBM 사업은 수율/CAPA 계획 초과달성 했으나 소비자 시장이 생각보다 더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분기 가이던스 역시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 Non-AI는 YoY 꺾이는 분위기이고 NAND는 매우 좋지 않음. 가장 약세를 보이고 있는 소비자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저가공세에 대한 고민들이 많은 것으로 보임.
- Non-AI에 대해서 2H25 반전 가능성을 언급했고 CITI에서도 큰 폭의 가이던스 하향이 있었지만 1Q25 바닥 가능성을 제기하며 25년 DRAM ASP가 서버&그래픽/소비자 중심으로 15% 상승 전망.
#실적
- 자료참고: https://t.me/ym_research/4233
- 곧 4Q24가 마무리되는데, 3Q 실적 미스 난 종목 중 1) 운임 비용, 2) 환율 2가지 이슈가 있었던 종목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음.
#배당
- 연말이 배당기준일인 종목들은 다음주까지 매수를 해둬야 하는 상황. 수익률 좋은 종목들 중심으로 선별.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화장품/미용 바이오 음식료 밸류업 테크 엔터 방산
- 상대강도: 조선/LNG 엔터 방산 음식료 화장품/미용
- 신고가(60일 기준): 조선/LNG 미용 음식료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조선/LNG 화장품/미용 음식료 엔터 방산
#세경하이테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06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315
- 자료참고: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56331
- VINA 증설, 자사주취득, 중국 스마트폰 보조금 등 이슈 겹치면서 최근 주가 상승.
- 증설 관련해서 애플 폴더블 관련된 내용으로 추정되었으나 금일 뉴스를 통해서 사실상 애플 폴더블 UTG 밸류체인으로 낙점되었다는 내용 언급.
- 자회사 2차전지 단열소재 가시적 성과 기대 및 애플 폴더블, 중국 스마트폰 보조금을 통한 중화권 시장 반등 등을 고려할 때 내용은 긍정적. 최근 연기금/투신/사모 모두 수급 우호적인 모습.
#에치에프알
- 자료참고:https://www.nextgov.com/cybersecurity/2024/12/congress-approves-2025-ndaa-important-cyber-provisions/401764/
- NDAA 예산에서 중국 네트워크 장비 제거하고 교체하는 데 필요한 30억불이 포함됨. 이에 따라 미국 시장 내 중국 통신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국내 통신장비 업체들에게 수혜가 갈 수 있음.
- BEAD 프로그램은 미국 내 광대역 인프라 구축 프로그램. 예산규모는 21~26년 약 60조 수준. 현재까지 풀린 보조금이 거의 없는 상황인데, 보조금의 보고서 최종 검토 기간을 고려할 시 25년부터 예산 집행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국내 업체는 1) BEAD 사업용 제품 개발 및 인증, 2) 미국 제조공장, 3) 사업 파트너 등을 확인해야 함.
- 에치에프알은 1) 제품 개발 및 인증을 완료했고, 2) 미국 제조라인 확보했으며, 3) 현재 신규 파트너사와 동남부 지역 대상 조건에 대해 협상 중. 1H25 내 완료 전망.
#제닉
- 11월 말 섹터를 이기지 못하는 개별주가 되는 느낌이라고 언급한 바 있는데, 섹터가 양호하게 변하면서 개별주 내용이 부각되고 주가도 우호적인 모습. 글로벌 트래픽 추이도 섹터 센티와 별개로 계속 우상향 중인 모습.
- 주요 고객사 아마존 순위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라인 증설도 기존 4Q24 600만/월 스케줄에서 24.10월 600만장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12월 초 설비 생산 투입 추가될 것으로 전망됨. 3Q 실적도 일회성 대손 5억은 4Q24~1Q25 정도에 환입될 것이며 그 외 정상적으로 이익이 인식될 예정.
- OP 기준 1Q24 -6억=>2Q24 9억=>3Q24 21억 보여주고 있으며 25E OP 추정치는 250~300억 수준. 현재 시가총액 1,600억대인 것을 고려할 때 P/E는 6~7배.
#LNG
- 트럼프가 임기 첫날 시추 확대 행정명령 내린다고 함.
- EIA에서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US의 LNG 수출 용량이 24년 이후로 급격하게 커지면서 28년에는 24년 대비 50% 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됨. 즉, LNG와 관련된 다양한 부품 및 선박 필요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
- EIA 자료와 함께 추가적으로 여러 업계 관계자들을 통해 제기되는 LNG선 대량 폐선 가능성. 대량 폐기가 없더라도 예상 선대 수요 대비 현재 수주잔고 선량은 시간이 갈수록 괴리 심화. 20년대 후반 LNG선 초과수요 이슈 가능.
#2차전지
- 자료참고: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7337
- 트럼프 인수위가 AMPC 폐지를 권고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능성 제기. 또한 환경 검토를 완화하고 전기차 인프라를 빠르게 허가하는 내용들 권고안에 담았다는 내용도 전해짐. AMPC 보조금이 유지된다고 하면 AMPC 폐지 이슈 이후로 빠졌던 주가들의 일부 정도 되돌림에 대한 생각.
- 11월 EU EV 판매도 둔화되었고 전기차 부품 업체들의 25년 전망도 현재 보수적인 관점(일부는 가이던스 미제시 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추세적인 상황 되돌림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
#마이크론
- FY1Q25 매출액 $87억(est $8.68B), EPS $1.79(est $1.73). FY2Q25 매출액 $7.7B~$8.1B(est $8.97B), EPS $1.33~1.53(est $1.97)
- 데이터센터 매출이 사상 첫 총 매출의 50%를 초과하며 YoY+400% 이상 성장. 단기적으로 소비자 시장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AI 중심의 기회를 활용하여 남은기간 성장 회복을 전망. HBM 시장은 28년 640억불(24년 대비 4배 성장)으로 전망되며 30년에는 1,000억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 이로써 30년 HBM의 TAM은 24년 DRAM 전체 규모를 초과할 것으로 기대.
- HBM 사업은 수율/CAPA 계획 초과달성 했으나 소비자 시장이 생각보다 더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분기 가이던스 역시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 Non-AI는 YoY 꺾이는 분위기이고 NAND는 매우 좋지 않음. 가장 약세를 보이고 있는 소비자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저가공세에 대한 고민들이 많은 것으로 보임.
- Non-AI에 대해서 2H25 반전 가능성을 언급했고 CITI에서도 큰 폭의 가이던스 하향이 있었지만 1Q25 바닥 가능성을 제기하며 25년 DRAM ASP가 서버&그래픽/소비자 중심으로 15% 상승 전망.
#실적
- 자료참고: https://t.me/ym_research/4233
- 곧 4Q24가 마무리되는데, 3Q 실적 미스 난 종목 중 1) 운임 비용, 2) 환율 2가지 이슈가 있었던 종목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음.
#배당
- 연말이 배당기준일인 종목들은 다음주까지 매수를 해둬야 하는 상황. 수익률 좋은 종목들 중심으로 선별.
👍21
Forwarded from Moo three meals & life (yoou L)
아이오니스 올레자르센 승인
에스티팜 원료 공급생산
https://www.fda.gov/drugs/news-events-human-drugs/fda-approves-drug-reduce-triglycerides-adult-patients-familial-chylomicronemia-syndrome
에스티팜 원료 공급생산
https://www.fda.gov/drugs/news-events-human-drugs/fda-approves-drug-reduce-triglycerides-adult-patients-familial-chylomicronemia-syndrom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drug to reduce triglycerides in adult patients with familial chylomicronemia syndrome
FDA has approved Tryngolza (olezarsen), used with diet, to reduce triglycerides in adults with familial chylomicronemia syndrome (FCS).
投資, 아레테
#SBS 동 계약은 넷플릭스에게 SBS 신작드라마, 신작 예능/교양, 구작 라이브러리를 공급하는 파트너십 체결계약입니다. 스듀가 조단위인데 SBS가 3천억이라니까 웃기긴 하네요 턴어라운드에 25E OP 400억+@로 넷플릭스 붙는다는 그림인듯
#SBS
수급이 넘 빈집인데
1) 국내 판권으로 구작 여러개
2) 2H25부터 해외 신작 공급
애니플러스도 60억씩은 받아먹었는데 구작은 깔고 신작 1~2개 잘팔면 100억 이상은 Add는 가능하지 않나 400+@에 @규모가 꽤 될거 같은
수급이 넘 빈집인데
1) 국내 판권으로 구작 여러개
2) 2H25부터 해외 신작 공급
애니플러스도 60억씩은 받아먹었는데 구작은 깔고 신작 1~2개 잘팔면 100억 이상은 Add는 가능하지 않나 400+@에 @규모가 꽤 될거 같은
👍12
投資, 아레테
#현대엘리베이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2800334
- 현대엘리베이는 연말로 배당 기준일이 확정되었는데 시가배당률 약 8%로 매력적. 추가적으로 생각보다 많은 자산유동화로 특별배당까지 가능.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212800334
- 현대엘리베이는 연말로 배당 기준일이 확정되었는데 시가배당률 약 8%로 매력적. 추가적으로 생각보다 많은 자산유동화로 특별배당까지 가능.
#현대엘리베이
회사에서 자산유동화로 일회성 이익이 들어올 시 배당으로 사용하겠다고 언급했는데, 금일 1,000억 가량 매각을 통한 일회성 이익 발생. 25년 특별배당에 대한 기대감.
회사에서 자산유동화로 일회성 이익이 들어올 시 배당으로 사용하겠다고 언급했는데, 금일 1,000억 가량 매각을 통한 일회성 이익 발생. 25년 특별배당에 대한 기대감.
👍13
#수출데이터
- QoQ/MOM 유의미: 소형/초고압변압기(전체&미국향), 라면, 필러, 올리고, 산업용원자현미경, 반도체 세척장비, CCL, 지혈제, 장갑차 및 전차
- YoY: 온수기/보일러, 양극재
#기타 코멘트
- 소형/초고압변압기 모두 좋음. 특히 초고압이 ATH와 함께 QoQ 3배 이상 기록했음.
- 필러도 4Q24 이미 ATH 기록했고 꾸준히 우상향 기록 중에 있음.
- CCL도 4Q24 ATH 확정. 20일 데이터 기준 10~11월 월간 데이터와 거의 유사하게 기록.
- 전차 및 장갑차 데이터가 12월 크게 튀면서 MoM으로 수배 성장하는 모습을 보임. 노르웨이향 수출 데이터 파악됨.
- QoQ/MOM 유의미: 소형/초고압변압기(전체&미국향), 라면, 필러, 올리고, 산업용원자현미경, 반도체 세척장비, CCL, 지혈제, 장갑차 및 전차
- YoY: 온수기/보일러, 양극재
#기타 코멘트
- 소형/초고압변압기 모두 좋음. 특히 초고압이 ATH와 함께 QoQ 3배 이상 기록했음.
- 필러도 4Q24 이미 ATH 기록했고 꾸준히 우상향 기록 중에 있음.
- CCL도 4Q24 ATH 확정. 20일 데이터 기준 10~11월 월간 데이터와 거의 유사하게 기록.
- 전차 및 장갑차 데이터가 12월 크게 튀면서 MoM으로 수배 성장하는 모습을 보임. 노르웨이향 수출 데이터 파악됨.
👍10
https://m.blog.naver.com/ryankim1106/223701245924
#파마리서치
- 최근 틱톡 내 리쥬란 트렌드 급증
- 틱톡 리쥬란 해시태그 내 미국 비중 최근 1년 8%=>최근 1개월 19% 급증
- 미국 내 최근 1년간 업로드 수 1,100개, 11~12월 업로드 수 507개로 50% 가량이 11~12월에 몰려있음.
#파마리서치
- 최근 틱톡 내 리쥬란 트렌드 급증
- 틱톡 리쥬란 해시태그 내 미국 비중 최근 1년 8%=>최근 1개월 19% 급증
- 미국 내 최근 1년간 업로드 수 1,100개, 11~12월 업로드 수 507개로 50% 가량이 11~12월에 몰려있음.
NAVER
[파마리서치] 틱톡 팔로업 (K-특산품? G-온리원)
틱톡 rejuran 트랜드가 최근 또 다시 급상승해서 영상을 찾아 보았다. (11)AD Why I Will Never Eve...
👍14
#방산
25년 주요 업종별 전망을 작성하면서 기록한 25년 방위산업에 대한 전망 브리프입니다. 결론 부분에 가깝게 보시면 됩니다. 타 섹터 대비해서 상대 우위를 점할 수 없다는 점은 인지하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작성했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이나 의문이 드는 부분은 문의주시면 아는 선에서 답변 및 방어(?)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동안 주가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었던 동력은 1) 글로벌 분위기, 2) 수주잔고, 3) 실적 전환 3가지. 1번의 경우 이전 대비 약화된 것은 사실. 2번의 경우 향후 5년 이상의 수주잔고를 확보하면서 보여줬고 3번의 경우 해당 수주가 빠르게 실적으로 전환되면서 이익과 마진이 동시에 올라오는 구조였음. ROE 추이를 보면 국내 방산업체들의 저쟁 이전 ROE는 5~10%인 반면, 25E ROE는 15~20% 수준. 25년에도 1) 결국 평화세계로 갈 일은 요원하고 2) 수주잔고 기대 파이프라인이 많고, 3) 실적 전환 속도 확대 가능 등 고려할 때 현재 전쟁 이전~직후 수준의 밸류에이션은 과도하다는 판단.
- 군비 증강을 통한 무기 확충, 군 현대화 사업 가속화 등 확인되고 있음. 해외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2배 이산 수익성이 좋은 해외 시장에 따른 실적 성장 속도가 가파른 상황. 다만, 빠르게 상승해온 만큼 밸류에이션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 ROE 폭 대비 PER이 높은 것은 더 빨리 실적 전환이 되고 ROE가 높아지면서 프리미엄을 부여했던 것이지만 글로벌 탑티어 대비 높은 것도 사실. 수주잔고를 통해 확보한 28년까지의 미래 이익 성장을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향후 분위기를 고려할 때 추가 수주를 통해 그 이상의 이익성장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주가 상승에 대한 부담은 높아질 수 밖에 없음.
- 25년은 이전 대비 섹터 움직임으로 동조되는 경향성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것으로 전망. 25년은 종목별 모멘텀 및 실적 개선 정도에 따라 개별 움직임이 달라질 수 있는 시기로 전망. 러우 전쟁은 휴전 수순으로 진행될 것이며 유럽 지역 군사적 긴장감이 다소 완화될 개연성이 있음. 다만, 미국이 세계 경찰 역할에서 트럼프 영향으로 더 퇴보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세는 결국 불안해질 수밖에 없고 국방비를 올리게 될 것. NATO는 GDP 대비 국방비 비중 상향조정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부분이 최소 320조 수준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미국 및 EU 역내 무기 구입 비중 확대 뿐 아니라 한국 무기 수출 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
-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각 국 정부는 더 이상 가격 경쟁력 및 품질에 대한 이슈만 가리는 것이 아닌, 외교 방침 및 관계, EU 등의 한국 방위산업 견제, 더 높은 기술공유 등을 고려할 것. 이때를 대비하기 위해 무기체계에 대한 해자 역시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할 것.
- 즉, 정세가 여전히 불안한 중동/동남아를 중심으로 남미 시장에 대한 재부각 및 NATO 국가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업체 중심으로 강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 여기에 기본적으로 무기의 해자가 있는 곳이면 더 좋을 것. 실적 성장을 반영한 뒤, 급격한 주가 하락을 겪어 최근 룸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지만 1) 중동/동남아/남미 계약 가능, 2) 지속적인 국방비 지출 증가에 따른 우호적인 환경 등의 요인이 되어야 할 것.
- 이곳에 해당하는 업체는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들의 주가 강도는 모멘텀 현실화 여부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되나, LIG넥스원(중동/미국 가시화+무기체계 시리즈화), KAI(중동/동남아/유럽 가시화+남미 시장 기대+미국 가능성)는 모멘텀이 조금 더 강한 부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실적/해자(실적에 따른 멀티플 하향+가장 높은 무기 해자+남미/유럽/아시아 시장+미국 가능성) 등이 조금 더 강한 부분이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현대로템은 K2 2차 나오면서 보자.
- 이들은 모두 달러 결제 기반이라는 점에서 우호적인 포인트. 현재 섹터 센티가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막상 25년 이후를 봤을 때 평화무드가 발생하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현재 많은 분쟁이 발생하고 지속되고 있는 중동, 동남아 남중국해, GDP 대비 국방비 비중을 높이면서 구매를 지속하고 있는 유럽, 자체적으로 무장을 강화하고 있는 남미 등을 고려할 때 P/E의 감소분보다 EPS의 증가분과 모멘텀의 증가분이 더 클 것으로 전망.
-이들의 본격적인 주가 움직임은 1) 수주 파이프라인 재개, 2) 실적 개선 정도 등이 관건일 것으로 전망.
25년 주요 업종별 전망을 작성하면서 기록한 25년 방위산업에 대한 전망 브리프입니다. 결론 부분에 가깝게 보시면 됩니다. 타 섹터 대비해서 상대 우위를 점할 수 없다는 점은 인지하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작성했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이나 의문이 드는 부분은 문의주시면 아는 선에서 답변 및 방어(?)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동안 주가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었던 동력은 1) 글로벌 분위기, 2) 수주잔고, 3) 실적 전환 3가지. 1번의 경우 이전 대비 약화된 것은 사실. 2번의 경우 향후 5년 이상의 수주잔고를 확보하면서 보여줬고 3번의 경우 해당 수주가 빠르게 실적으로 전환되면서 이익과 마진이 동시에 올라오는 구조였음. ROE 추이를 보면 국내 방산업체들의 저쟁 이전 ROE는 5~10%인 반면, 25E ROE는 15~20% 수준. 25년에도 1) 결국 평화세계로 갈 일은 요원하고 2) 수주잔고 기대 파이프라인이 많고, 3) 실적 전환 속도 확대 가능 등 고려할 때 현재 전쟁 이전~직후 수준의 밸류에이션은 과도하다는 판단.
- 군비 증강을 통한 무기 확충, 군 현대화 사업 가속화 등 확인되고 있음. 해외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2배 이산 수익성이 좋은 해외 시장에 따른 실적 성장 속도가 가파른 상황. 다만, 빠르게 상승해온 만큼 밸류에이션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 ROE 폭 대비 PER이 높은 것은 더 빨리 실적 전환이 되고 ROE가 높아지면서 프리미엄을 부여했던 것이지만 글로벌 탑티어 대비 높은 것도 사실. 수주잔고를 통해 확보한 28년까지의 미래 이익 성장을 감안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향후 분위기를 고려할 때 추가 수주를 통해 그 이상의 이익성장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주가 상승에 대한 부담은 높아질 수 밖에 없음.
- 25년은 이전 대비 섹터 움직임으로 동조되는 경향성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것으로 전망. 25년은 종목별 모멘텀 및 실적 개선 정도에 따라 개별 움직임이 달라질 수 있는 시기로 전망. 러우 전쟁은 휴전 수순으로 진행될 것이며 유럽 지역 군사적 긴장감이 다소 완화될 개연성이 있음. 다만, 미국이 세계 경찰 역할에서 트럼프 영향으로 더 퇴보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세는 결국 불안해질 수밖에 없고 국방비를 올리게 될 것. NATO는 GDP 대비 국방비 비중 상향조정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부분이 최소 320조 수준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미국 및 EU 역내 무기 구입 비중 확대 뿐 아니라 한국 무기 수출 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
-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각 국 정부는 더 이상 가격 경쟁력 및 품질에 대한 이슈만 가리는 것이 아닌, 외교 방침 및 관계, EU 등의 한국 방위산업 견제, 더 높은 기술공유 등을 고려할 것. 이때를 대비하기 위해 무기체계에 대한 해자 역시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할 것.
- 즉, 정세가 여전히 불안한 중동/동남아를 중심으로 남미 시장에 대한 재부각 및 NATO 국가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업체 중심으로 강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 여기에 기본적으로 무기의 해자가 있는 곳이면 더 좋을 것. 실적 성장을 반영한 뒤, 급격한 주가 하락을 겪어 최근 룸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지만 1) 중동/동남아/남미 계약 가능, 2) 지속적인 국방비 지출 증가에 따른 우호적인 환경 등의 요인이 되어야 할 것.
- 이곳에 해당하는 업체는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들의 주가 강도는 모멘텀 현실화 여부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되나, LIG넥스원(중동/미국 가시화+무기체계 시리즈화), KAI(중동/동남아/유럽 가시화+남미 시장 기대+미국 가능성)는 모멘텀이 조금 더 강한 부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실적/해자(실적에 따른 멀티플 하향+가장 높은 무기 해자+남미/유럽/아시아 시장+미국 가능성) 등이 조금 더 강한 부분이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현대로템은 K2 2차 나오면서 보자.
- 이들은 모두 달러 결제 기반이라는 점에서 우호적인 포인트. 현재 섹터 센티가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막상 25년 이후를 봤을 때 평화무드가 발생하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현재 많은 분쟁이 발생하고 지속되고 있는 중동, 동남아 남중국해, GDP 대비 국방비 비중을 높이면서 구매를 지속하고 있는 유럽, 자체적으로 무장을 강화하고 있는 남미 등을 고려할 때 P/E의 감소분보다 EPS의 증가분과 모멘텀의 증가분이 더 클 것으로 전망.
-이들의 본격적인 주가 움직임은 1) 수주 파이프라인 재개, 2) 실적 개선 정도 등이 관건일 것으로 전망.
✍28👍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