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Global S&T] JK & Hyott Global Daily
439 subscribers
762 photos
279 files
152 links
Daily global market insights
Download Telegram
<Hyomin Hyott Lee - 20210406>
S&P +1.4%, Nasdaq +1.7%, Dow +1.1%, Russell +0.5%, 10yr T-Yield 1.70(Down), Dollar Index 92.6(Down), Gold $1,728(Down). WTI Crude 58.6(Down)

<Sector>
- Outperform: Tech +2.1%, Communication +2.1%, Discretionary +2.2%
- Underperform: Energy -2.4%, Financials +0.8%, Real Estates +0.5%

<Data Released>
- 미국 3월 ISM Service Index 63.7 vs est 59.0, prior 55.3
- 미국 2월 Factory Orders -0.8% vs est -0.5%, prior +2.7%

<Macro>
- ISM 서비스 지수 사상최고치 기록에도 불구, 금리 장중 상승폭 반납하며 하락 마감.
- GS, 6개월간 유지하던 Dollar Short 철회. 미국이 타국가 대비 견조한 성장세와 채권 금리 상승이 달러를 지지할 것. 다만, 유럽의 팬데믹 상황이 개선되면 다시 달러숏 가능
- IMF, FED가 갑자기 긴축에 나설경우 EM 시장의 금리상승과 자본유출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 2013년과 같은 긴축 발작 가능.
- Yellen, 세계 주요국가간의 법인세율 조율 제안. G20국가들이 낮은세율 경쟁을 그만하고 적정수준의 최저 법인세율 합의 요청.
- BTIG's Emmanuel(며칠전 컨콜한분), 증세가 증시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통화와 재정 부양책이 경제와 기업이익성장을 이끌어 S&P500 지수가 이번 주기에 최고 5047까지 오버슈팅 가능하다고 언급.

<유럽내 다른 지역>
- 영국 Boris Johnson, 4개월래 처음으로 레스토랑과 리테일 샵들의 재오픈 허락. 다만, 외국인 여행에 대해선 5월 중순까지 금지
- 독일, 백신투여가 확산할때까지 4월동안은 강한 락다운 계획중
- 스페인, 코로나 재확산으로 실업률등 경제지표들이 안좋아지면서 2021년 경기전망 하향 조정 계획중

<Stock> 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빼고 다좋은 하루
소비 테마 집중 필요
- 가전: Whirlpool(WHR) 북미지역 가격 인상에도 불구 산업용 및 가계용 수요 증가하여 2021년 EPS 크게 상승 예측(Cleveland Research). 주가 +3.6% 상승하며 신고가 랠리 지속
- 럭셔리: Ferrari +2.6%, Novado +3.8%, Ralph Lauren +2.8%
- Home Improvement 종목들의 신고가 랠리: Home Depot +2.5%, Lowe's +1.3%, Floor & Decor +0.2%
- 할인업체: Dollar General +2.7%, Dollar Tree +2.9%, Big Lots +2.4%, Ross +2.0%

리오프닝 기대감 증가
- CDC 에서 Travelling 가이던스 업데이트 + 주말간 항공 여행자수 급격 증가
- 크루즈 업체들, CDC가 곧 해상 여행도 풀어줄 것이란 기대감 증가. Norwegian Cruise +7.2%, Carnival +4.7%
- 항공사: American Airline +1.6%, Delta +2.9% 등 상승하며 JETS +2.1%
- 호텔: Hilton +3.1%, Hyatt +2.5%, Marriott +1.8%

*신재생 에너지, 오래 못가는 바이든 부양책 효과
- JinkoSolar -5.4%, Enphase Energy -8.2%, Sunrun -6.7%, Sunpower -2.2%등 하락하며 PBW -2.4%, TAN -2.8% 하락

*Archegos관련하여 추가 블락딜 소식 나오면서 ViacomCBS, Vipshop 등 장 종료이후 추가 -3%대 하락중

<Charts> BofA, 모든 숫자들이 튀고는 있지만, 여전히 Pre-pandemic Level에는 먼 Labor market Indicators => FED 스탠스 지속 유지 될 것으로 예측
[위클리 및 ETF 시황]
시장에서 우선 순위로 놓는 변수들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ex) 국채 금리 상승 < 경제 성장 기대감

2분기에는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더 강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그 유효기간은 6월 이전까지라고 생각됩니다.

올해는 생각보다 뜨거운 여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첨부파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yomin Hyott Lee - 20210407>
S&P -0.1%, Nasdaq -0.05%, Dow -0.3%, Russell -0.3%, 10yr T-Yield 1.65(Down), Dollar Index 92.3(Down), Gold $1,743(Up). WTI Crude 59.3(Up)

<Sector>- 거래량 크게 줄어들면서 기술주 위주 하락 마감
- Outperform: Discretionary +0.4%, Communication +0.2%, Staples +0.4%, Utilities +0.5%
- Underperform: Tech -0.4%, Healthcare -0.4%, Financials -0.2%

<Data Released>
- 미국 2월 JOLT Job Openings 7,367 vs est 6,900, prior 7,099
- 유로존 2월 Unemployment Rate 8.3% vs est 8.1%, prior 8.3%
- 유로존 4월 Sentix Investor Confidence 13.1 vs est 6.7, prior 5.0
- 호주 RBA 기준금리 0.10% 동결
- 러시아 3월 CPI yoy +5.8% vs est +5.8%, prior +5.7%

<Macro>
- IMF, 글로벌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로 상향 조정. 3개월래 두번째 상향조정. 내년 성장률 역시 4.4%로 상향 조정. 미국의 경우 6.4%로 상향조정. 다만, 재정절벽을 피하귀 위해 정부에서 점진적인 축소를 해야한다고 강조.
- "DR. Doom"으로 유명한 NYC 교수 Roubini, 10년물이 2%를 상회하면 제 2,3의 아키고스 사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 UBS, 올해 유로존이 미국보다 재정부양책 도움을 더욱 많이 받을 것. Biden의 $1.9T와 비교하면 유로지역 $0.8T는 압도적으로 적지만, 전년대비 증감을 보면 훨씬 큰 상황. 또한 작년 예산일부가 올해 집행 예정 => 디레버리징이 경기조정의 신호가 된다면, 2분기말부터 가장 선호할 수 있는 지역은 유럽이 될 수 있음.
- Yellen, 친환경경제를 추가하는 기업들에 대한 세금 혜택등 고려중, 이로 인해 많은 금융기관들이 투자가 늘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 리치몬드 FED 총재, Pent up Demand로 인해 이번 봄 여름 소비 급증할 것
​- Amazon의 Jeff Bezos, 바이든의 부양책과 세금인상 지지
- 1분기 리플레이션 트레이딩을 싫어한 헷지펀드들. BofA & Morgan Stanley, 시크리컬 종목들에 대한 익스포져가 10년래 최저치

<Stock>
*여전히 핫한 주택 시장
- Evercore ISI, 온라인 부동산업체 Zillow(Z)에 대해 업계 선두업체로 온라인 방문자수의 지속적인 증가를 언급하며 시장 아웃퍼폼기대
- Goldman Sachs, 하우징 마켓 유포리아 언급하며 최근 재고가 역대 최저치 수준 지속되며 주택가격 급등 지속중
- Zillow +5.1%, Toll Brothers +1.2%, DR Horton +0.8%, LGI Homes +1.1%

* 리오프닝 기대감 지속
- Biden, 계획보다 빠른 백신 확산할 것이라 언급
- CDC의 리오프닝 스탠스
- 항공: Delta +2.8%, Southwest +1.8%, Alaska Air +3.7% 하며 JETS +0.8%
- 호텔: Marriott +0.5%, Hilton +1.0%, Hyatt +0.5%, Intercontinental +2.0%
- 레스토랑: Fiesta +5.2%, BJ's Restaurant +3.3%, YUM Brand +3.1%, Wendy's +3.1%

* CDC, 크루즈 업체들이 이번 여름부터 운항 재개 발표
- Carnival +1.8%, Norwegian Cruise +4.6%, Royal Caribbean +1.8%

* 상장후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업체 Coursera(COUR), 4일간 +70% 상승기록

<Charts> 리오프닝 = 리테일 자금 유출(?) => Back to Normal?
<Hyomin Hyott Lee - 20210408>
S&P +0.15%, Nasdaq -0.07%, Dow +0.05%, Russell -1.6%, 10yr T-Yield 1.67(Up), Dollar Index 92.4(Up), Gold $1,737(Down). WTI Crude 59.7(Up)

<Sector>
- Outperform: Tech +0.5%, Communication +0.8%, Financials +0.5%
- Underperform: Materials -1.7%, Industrials -0.5%, Staples -0.3%, Healthcare -0.2%

<Data Released>
- 미국 2월 Trade Balance -$71.1B vs est -$70.5B, prior -$67.8B
- 미국 4월 첫째주 MBA Mortgage Applications -5.1% vs prior -2.2%
- 미국 2월 Consumer Credit Total Net Change $27.5B vs est $2.8B, prior $0.9B
- 인도 기준금리 4.00% 동결

<Macro>
- Fed Minutes, 당분간 테이퍼링 계획 없음을 재차 시사
- 미국 2월 무역적자 사상 최대. 수입의 증가보단 수출 감소가 큰 상황
- Yellen, 법인세 제대 개편으로 큰 세수효과가 예상되면서, 바이든의 인프라 지출을 충분히 충당 가능하다고 설명
- 달라스 FED 총재 Kaplan, 올해 여름에 인플레이션이 2.5%를 크게 넘어선뒤 완화될 것, 연말이면 실업률은 4%에 접근할 것으로 기대.
- JPMorgan 다이먼의 서한, 팬데믹 이후 미국 경제반등이 2년간 지속 될 것, 과잉저축과 추가 재정지원, 막대한 적자예싼, 양적완화, 새로운 인프라 부양, 백신확대로 이번 호황이 2023년까지 쉽게 이어질 것이라 언급.
- 프랑스, 글로벌 법인세 규정 개편과 Facebook, Google과 같은 대형 테크 업체들에 대한 디지털세가 필요하다고 주장. 지난번 Yellen이 제시한 21%에 합의할 생각이 있다고 언급.
- Guggenheim의 Scott Minerd, 주식시장이 지속 상승할 것이라 예측하지만, 단기간내에 또다른 스타일의 Archegos 이슈들이 여러건 일어날 것이라 경고

<Stock>
*제 2의 Archegos? JPMorgan 금일 장 종료 이후 Academy Sports and Outdoors(ASO) 9백만주 블록발표. 주가 -7%대 하락중.

* GS, 미국내 쓰레기 처리 업체들에 대해 이닛 자료를 적으면서 매수 권유
- UN등에서 지정한 Sustainable Development 목표에도 가깝고, 안정적인 현금 비율 & 밸류에이션도 안정적인 상태, 매년 쓰레기량이 20~25%씩 증가하면서 리사이클링으로 인한 마진 확대
- Waste Management(WM) +0.6%, Waste Connections(WCN)+1.4%, Republic Services(RSG)+0.8% 하며 세종목 모두 신고가 갱신

* 해운 업체들의 기대감 증가
- Costco Shipping, 1분기 수익이 15B yuan 이상 나올 것으로 기대, Shipping Rate 역시 4분기 대비 54% 상승. 타이트한 공급과 수요 확장으로 지속적인 상승 기대 발표.
- Frontline(FRO) +2.3%, AP Moller(MAERSKB DC) +2.0%, Eagle Bulk(EGLE) +5.6%, Euroseas(ESEA) +3.6%, Star Bulk(SBLK) +2.3%

* 견고한 상승세를 보이는 레스토랑 업체들
- Bloomin' Brand(BLMN)+4%, Cheesecake Factory(CAKE) +2.6%, Chipotle(CMG) +0.8%, Fiesta Restaurant(FRGI) +3.0%

<Charts> 과매수 구간으로 깊게 들어가기 시작한 S&P500
[주간 일정 update]
봐야할게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중국 수출/GDP, 독일 ZEW, 미국 어닝 시즌, 글로벌 물가지표, 연준 발언, 미국 소매판매, 중국 유동성 공급 지표까지...

시장의 방향이 명확히 보이지 않으니, 신경 쓰이는게 많아집니다. 다음주 주간 시황/ETF 자료로 다시 연락드리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십시요
<Hyomin Hyott Lee - 20210412>
한주리뷰: S&P +2.7%, Nasdaq +3.1%, Dow +2.0%, Russell -0.5%, 10yr T-Yield 1.65(Down), Dollar Index 92.1(Down), Gold $1,743(Up). WTI Crude 59.3(Down)

<Weekly Sector>
- Outperform: Tech +4.6%, Discretionary +3.9%, Communication +3.1%, Financials +1.9%
- Underperform: Energy -4.2%, Real Estates +0.5%, Materials +0.7%

<Data Released On Friday>
- 미국 3월 PPI Final Demand yoy +1.0% vs est +0.5%, prior +0.5%
- 독일 2월 Industrial Production mom -1.6% vs est +1.5%, prior -2.0%
- 중국 3월 CPI yoy +0.4% vs est +0.3%, prior -0.2%
- 중국 3월 PPI yoy +4.4% vs est +3.6%, prior +1.7%

<Macro>
· S&P500 지수 신고가 경신하며 주간 3주연속 상승, RSI상 과매수 영역 접근
· Powell, 백신접종률 상승과 정책 지원에 기반하여 미국경제가 더 빠른 성장과 고용으로 가는 Inflection point에 있다고 언급.
· BNY Mellon, 현재 강한 리플레이션 트레이드 모멘텀을 찾기 힘듬, 다만 추가 지표가 나온다면 다시 재현 가능. 모든 인플레이션 지표가 중요해짐
· Clarida, 노동시장과 물가의 실제 지표 개선을 원하고 있으며, 여전히 상하방 리스크가 모두 존재. 물가가 급하게 뛰기 시작하면 이에 대응할 정책수단 있다고 발언.
· 달라스 FED 총재 Kaplan, 10년물이 1.75~2.0%까지 튈수 있음, 시장에서 우려가 증가하기 시작한다면 이례적 완화조치의 일부 정상화를 조금 일찍 결단 내릴 수 있다고 발언
· ECB의 Lagarde,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PEPP를 다시 확대하고 연장 가능
· JPMorgan, 아시아 경제회복 기대가 대부분 이미 가격에 반영, EM 아시아 증시 투자의견 중립으로 하향 조정
· 중국, Alibaba에 반독점법 위반으로 28억달러 과징금 부과. 이러한 결과에도 공개서한을 통해 정부의 규제와 서비스로 알리바바가 이와같은 성장을 보였다고 감사의사 표현
· DRAM 현물 가격 연고점 갱신

<Weekly ETFs>
- 다시 찾아온 모멘텀, Growth의 시대
· MTUM(Momeuntum ETF) +4.3%하며 MTUM/VLUE 3월말 저점 이후 조금씩 나오기 시작한 반등세
· MGK(Mega Cap Growth) +4.6%, SCHG(Large Cap Growth) +4.5%, IVW(S&P500 Growth) +4.1%, VONG(Russell 1000 Growth) +4.1%
· 핀테크 ETF들의 반등. FINX(Fintech) +4.5%, ARKF(ARK FIntech) +4.2%, IPAY(Mobile payment) +4.2%

<Charts> Morgan Stanley, Leadership is shifting
<Hyomin Hyott Lee - 20210413>
S&P -0.02%, Nasdaq -0.36%, Dow -0.16%, Russell -0.43%, 10yr T-Yield 1.67(Up), Dollar Index 92.09(Down), Gold $1,732(Down). WTI Crude 59.7(Up)

<Sector>
- Outperform: Discretionary +0.6%, Real Estates +0.6%, Staples +0.5%, Materials +0.4%
- Underperform: Tech -0.5%, Energy -0.8%, Communication -0.4%

<Data Released>
- 미국 3월 Monthly Budget Statement -$659B vs est -$658B, prior -$645B
- 인도 2월 Industrial Production yoy -3.6% vs est -3.0%, prior -0.9%
- 중국 3월 New Yuan Loans CNY 2730B vs est 2300B, prior 1360B
- 중국 3월 Money Supply M2 Yoy 9.4% vs est 9.5%, prior 10.1%
- 유로존 2월 Retail Sales mom +3.% vs est +1.7%, prior -5.2%

<Macro>
- 세인트루이스 FED 총재 Bullard, 미국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75%에 이르면 채권매입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언급. Bloomberg, 현재 접종률은 1차 36%, 완료된 접종률은 22% 수준.
- 다만, Bullard, FED가 과거보다 덜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어, 어느정도의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을 허용할 것이라 언급.
- Bloomberg, Yellend의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을 것이란 얘기가 돌기 시작.
- Goldman Sachs, 미국의 증세안이 내년 기업 실적 성장에 타격을 줄 것이라 재차 경고. 기본 시나리오로 S&P500이 내년 약 9%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나, 증세안이 체택된다면 5%성장에 그칠것
- 미국 SEC, SPAC관련 회계 규정 관련안 변경으로 최근 SPAC으로의 투기를 식히려고 준비중

<Stock>
*음식 딜리버리 업체들의 반등
- Uber, 딜리버리 서비스 매출이 신고점 갱신했다는 소식 발표. +3.0%
- GrubHub +2.1%, DoorDash +5.2%

* 럭셔리 업체들의 반등
- Bloomber, 미국 소비 Boosting 기대감 증가 + 중국 소비의 회복으로 리오프닝 이후 정체되던 럭셔리 업체들의 주가 상승기대
- Movado(MOV) +6.7%, Canada Goose(GOOS)+0.7%, Ralph Lauren(RL) +0.2%, LVMH(MC FP) +0.3%, Signet Jewelers(SIG) +7.9%

* Intel, Auto Chip 숏티지 이슈 해결 위해, 내부 공장을 이용한 관련 반도체 설계 준비중. 다만, Nvidia가 CPU 특성화된 첫번째데이터 센터 발표에 -4.5%하락. Nividia +5.6%
* JPMorgan, 어닝시즌을 앞두고 Pepsico(PEP)가 최근 EM 및 유럽지역에서 재차 매출 반등세를 보일 것이라 언급하며 투자의견 상향조정. +0.3%
* Morgan Stanley, BIDU 지분 3월 filing 에서 5.2% 지분에서 최근 0.9%로 하락, Archegos Capital 영향.

<Charts> GS가 Biden의 공약 및 이전 제안들을 통해 예측한 각 플랜마다의 다른 규모와 속도
[위클리 / ETF 시황 업데이트]
전체적으로는 지난주와 별다를게 없는 시황입니다.

*2분기 들어 국채 금리의 안정화(달러 강세 정체)로 스타일과 테마의 초기 변화(Tech > Small cap, Growth > Value)가 보이긴 하지만 트렌드의 변화라고 하기엔 너무 초반입니다.

아마 주도주의 등장은 어닝 시즌이 지나가면서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첨부파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월 세미나 제안]
작년 선제적인 타이밍에 발간된 은행주 추천(성장주로의 귀환) 자료에 대한 호응이 상당히 컸습니다.

두번째 Pick으로 ‘바이오는 미국부터’가 발간되었습니다.

발간과 동시에 세미나 요청이 몰리고 있습니다. 시기 적절한 테마라 생각되오니 세미나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컨콜/세미나 관련 요청은 메일 및 문자/유선 등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