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decision
4.52K subscribers
86 photos
1 file
481 links
Eco.decision / Presso magazine
Download Telegram
효성중공업 1Q24 실적 Review - 24. 04. 26

※ 동사 보유중입니다.

1Q24 실적 9,845 / 562 / 217 / OPM 5.7%.
컨센서스 대비 매출 -2% / 영업이익 -14% / 순이익 -44% 쇼크.
시장에서 워낙에 쇼크라는 이야기가 많았고 컨센서스도 많이 내려와있기는 했으나 그보다 조금 더 안 나옴.

1. 부정적인 부분
- 실적 쇼크
실적이 예상보다도 좀 더 안 나왔음. 건설부문은 컨센서스를 맞췄으나 중공업 부문의 OPM 컨센서스는 7~8% 수준이었으나 실제로는 6.2%에 그침. 별도법인에서 출하되는 제품마진이 기대보다 좋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되고 매출액으로도 컨센서스 대비 약간 모자란 모습.

- 마진률
상술했듯 현일렉 대비해서 마진률이 늦게 올라오고 있음. 전년동기 현일렉이 비슷한 매출액으로 OPM 8.1%를 기록했으나 동사는 6.2% 기록. 다소 뒤늦었던 미국 공장 가동률 회복과 그로 인한 수주 지연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미국향 매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됨.

2. 긍정적인 부분
- 수주
별도 기준 8,298억 수주. 수주잔고가 전분기 대비 4천억 이상 증가해 4.1조까지 상승. IR자료상 별도 수주는 유럽향 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주가 많았던 것으로 보이고, 연결 기준으로도 수주를 체크해보아야겠으나 미국 법인 흑자와 동시에 급격하게 수주가 늘어났던 점 / 현일렉이 1년 전에 비슷한 길을 걸어갔으며 올 1분기 북미향 수주 호조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역시 나쁘지 않았을 것으로 보임.

- 미국 법인
미국법인 생산 확대 + 수익성 증가 지속이 QoQ 생산확대라는 전제 하에, 미국 법인 마진률은 최소 하이싱글 ~ 10% 이상까지 올라온 것으로 판단. 1분기 기준으로는 전사 마진보다 오히려 미국 법인 마진이 더 좋았던 것으로 보임. (별도 마진 5% 내외 VS 미국 법인 마진 7~12% 추정)
이는 사측에서 컨퍼런스콜 등을 통해 제시했던 미국법인 마진률 레벨과는 차이가 좀 나는 수준. 사측에서는 24년 미국 법인의 마진을 전사 수준까지 올라올 것으로 판단했으나 개인적으로는 1Q24 실적에서 이미 전사 마진률을 뛰어넘은 것으로 추정하며 현대일렉트릭 미국법인이 보여준 길을 거의 그대로 걸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 (4Q23 현대일렉트릭 미국법인 마진률 20%대)

3. 결론
당장의 실적은 변명의 여지 없이 좋지 못한 실적이 나왔습니다. 다만 IR자료의 세부적인 내용과 1분기 수주에는 긍정적인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하이싱글 수준으로 보고 있던 24년 미국 법인의 마진률이 예상보다 크게 좋을 것으로 보여 전사 OPM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또한 실적 계절성과 분기별 OPM 추이, 수출데이터 레깅과 창원시 대형 변압기 수출액 / 단가를 감안하면 2분기 수출물량의 마진률도 예상보다 별도법인 OPM이 부진했던 1분기 대비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건설부문은 여전히 큰 존재감 없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2분기 중공업 마진은 10% 초반은 충분히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크게 코멘트하지 않았고...

1분기와 달리 2분기 실적은 현재 컨센서스인 12,720 / 1,025억 대비 OP 면에서 크게 비트하는 모습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상술했듯 예상보다 좋은 북미 법인 마진률과 계절성에 기반한 1분기 대비 2분기의 중공업 부문 OPM 갭 (최소 5% 이상), 전년 대비 올라온 가동률 (YoY 매출 +1,200억, 참고로 2Q23은 7,117억이었음) 을 기반으로 한 탑라인 성장을 감안한 판단입니다.
효성중공업이 현대일렉트릭보다 정확히 1년 느리게 같은 길을 걸어가고 있습니다. 현일렉과 다르게 2분기 실적이 좋은 효성중공업의 경우 2분기에는 현대일렉트릭과의 갭을 줄인다는 체감이 더 분명하게 느껴지는 실적을 받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 덧붙여
왜 일회성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실적이 나름대로 보수적으로 예상했다고 생각했던 실적보다도 좋지 않게 나왔는지를 1시간동안 생각해보고 있었고 결론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 예상보다 1분기에 잔여 저마진 사업 인식분으로 인해 별도법인 마진률이 좋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
- 효성중공업이 현일렉보다 1년 느리고 상대적으로 마진이 아쉬운 유럽향 매출비중이 아직은 높다는 점.
이 두 가지를 너무 얕잡아보고 1분기 마진률을 과하게 긍정적으로 계산했다는 것이었습니다.

22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미국향 수주분의 인식률이 높아질 2Q24부터는 다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당장의 오판과 더불어 많은 분들이 보고 있는 채널에 과하게 긍정적인 부분만을 비쳐보이게 한 것 같다는 점에서 죄송스럽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주가는 모르겠으나 실적은 2분기부터 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1Q24 연결실적 / 연결 수주잔고 등에 대한 확인이 추가로 필요해 업데이트할 부분이 더 생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현재 확인할 수 있었던 내용으로 업데이트드릴 수 있는 부분은 이정도까지인 것 같습니다. 추가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부분이 생기면 채널을 통해 최대한 빨리 업데이트드리겠습니다.

모두 좋은 오후 되시고 좋은 주말 보내실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Forwarded from 루팡
테슬라 FSD 중국 잠정 승인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시스템(FSD)이 중국 정부로부터 예비 승인을 받았다고 이 문제에 정통한 관계자들이 밝혔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이날 오후 개인 제트기를 타고 베이징을 떠났습니다.
2024.04.30 08:30:08
기업명: LG화학(시가총액: 27조 9,19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16,094억(예상치 : 122,790억)
영업익 : 2,646억(예상치 : 1,637억)
순이익 : 1,367억(예상치 : 93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1Q 116,094억/ 2,646억/ 1,367억
2023.4Q 131,348억/ 2,474억/ 1,285억
2023.3Q 134,948억/ 8,604억/ 5,850억
2023.2Q 145,415억/ 6,156억/ 6,708억
2023.1Q 144,863억/ 7,910억/ 6,69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3080003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1910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골드만삭스, 2030년에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2020년의 3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관련 종목: GRID(미국 상장 스마트그리드 테마 ETF), HANARO CAPEX설비투자iselect(국내 상장 ETF)
Forwarded from KB시황 하인환
[3월 외국인 관광객 업데이트]
- 중국: 추가 증가
- 일본: 갑자기 급증
- 미국: 갑자기 급증

참고자료: https://bit.ly/44gTUkF
관심: 화장품 + H&B스토어
[AMD 1Q24 : 컨센 소폭상회]
(Feat. 마진율이 올라올 수 있을까?)

•장중 -1.14% / 오늘 장전 -6%

•EPS : $0.62 vs $0.60e
(GPM : +47% vs Nvidia +76%)

•Revenue : $5.47B vs $5.42Be
DataCenter(EPYC) : $2.3B
(YoY+80%)
Client(Ryzen) : $1.3B
(YoY +85%)
Gaming(Radeon) : $922M
(YoY -48%)
Embedded(Xilinx) : $846M
(YoY -46%)

•2Q24 가이던스
Revenue : $5.4~6.0B vs $5.63Be
GPM : +53%

SMART한 주식투자
Forwarded from 하나 IT 김록호,김현수,김민경 (영규 김)
[AMD 실적 발표]

하나증권 IT 김록호/김영규


FY1Q24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었고, FY2Q24 가이던스 역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제시했습니다. 실적 상회 및 상향 조정이 없다는 점이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시간외주가는 7% 가까이 하락하며 실망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다만, 데이터센터향 신규 CPU 및 GPU가 FY3Q24 출시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FY2Q24 실적 발표에서 제시되는 가이던스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FY1Q24 실적(NoN-GAAP 기준)

매출액 $54.7억 (YoY +2%, 컨센서스 $54.5억)
GPM 52% (컨센서스 52%)
영업이익 $11.3억 (컨센서스 $11.1억)
EPS $0.62 (컨센서스 $0.6)

*FY1Q24 실적 세부내역

Data Center 매출 $23억 (YoY +80%), OPM 23%
- MI300 출하량 증가와 서버 CPU 판매의 두 자릿수 증가가 매출 견인하면서 서버 CPU 비수기 일부 상쇄
- 기업 채택 증가 / 클라우드 확대로 1분기에 서버 CPU 매출 점유율 확대
- 여러 파트너들이 H100에 비해 MI300X에서 주력 LLM 실행 시 초당 토큰 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경험중
-2024년 GPU 매출이 기존 예상처럼 35억~4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

Client 매출 $14억 (YoY +85%), OPM 6%
- Ryzen 데스크탑 CPU 판매가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수 성장하며 매출 견인
- Ryzen 모바일 CPU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거의 두배 증가
- 이달 초 데스크탑 PC용 AI 가속기를 탑재한 Ryzen pro 8000 프로세서 출시
- 올해 말 차세대 Ryzen AP 출시할 것

Gaming 매출 $9억 달러 (YoY -48%), OPM 16%
- 반맞춤형 SOC 매출은 콘솔 게이밍 사이클 5년차에 접어들면서 감소

Embedded 매출 $8억 (YoY -46%), OPM 41%
- 고객사 재고 조정에 따라 매출 감소함
- 2분기 보합을 보이다가 하반기에 점진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
- 장기적으로 엣지에서의 AI가 컴퓨팅 수요 증가시킬 성장 기회로 보고 있음

*FY2Q24 가이던스
매출액 $54~60억 (컨센서스 57.2억달러)
GPM ~53% (컨센서스 53%)

Data Center (QoQ + 두 자릿수 증가)
-Data Center GPU 증가가 견인할 것

Client (QoQ 증가 예상)

Gaming (QoQ double-digit 감소)
- 수요에 따라 매출 감소 예상

Embedded (QoQ Flat)
- 2분기 보합을 보이다가 하반기에 점진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

자료: https://bit.ly/3UFBCWX
[SMCI 3Q24 : 초성장주의 매출쇼크]
(Feat. 그냥 사전발표했으면 한번만 빠질 수도 있었을 텐데…)

✔️AI 반도체관련 기업 1Q24실적
ASML : Disappointed
Intel : Disappointed
Cadence : Disappointed
Vertiv : Success
SMCI : Disappointed
AMD : Disappointed
ARM : 5/8
Nvidia : 5/22
Synopsys : 5/22
Dell : 5/30

•장중 현재 -17%

•EPS : $6.65 vs $5.84e

•Revenue : $3.85B vs $4.08Be

•가이던스 4Q24
EPS : $7.62~$8.42 vs $7.24e
Revenue : $5.1~$5.5B vs $4.87Be

SMART한 주식투자
[PRESSO_DAILY 240502 모닝브리핑]
FOMC 역시 금리동결! 실적발표로 출렁이는 증시
https://blog.naver.com/ecodicision/223433651622

※ 누구에게든 공유 가능한 경제적 이해를 위한 데일리 리포트
※ 실시간 경제 소식 https://t.me/eco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