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혼자매매-차트&온체인
250325 : $3,169 250325 : $3,773 250327 : $3,538 250327 : $3,844 250328 : $4,200 잔고 기준입니다. 하루에 3~4천불씩 벌면 저도 좋겠네요. ㅋㅋ
부모님 수술비, 칠순 여행비 등으로 전액 출금했습니다.
와이프 몰래 꽁꽁 숨겨둔 마지막 비자금이었는데 가슴이 아프네요.
다음주부터 5만원으로 100만원 챌린지 해보겠습니다.
포지션시 간간히 종목도 올려볼게요.
와이프 몰래 꽁꽁 숨겨둔 마지막 비자금이었는데 가슴이 아프네요.
다음주부터 5만원으로 100만원 챌린지 해보겠습니다.
포지션시 간간히 종목도 올려볼게요.
❤29🔥1🥰1
#GRASS
요것도 그냥 슬쩍 본 차트인데 4시간봉에 하락 다이버전스가 보이네요.
슬쩍 보고 종목을 찾았으니
그럼 이제 진짜 숏트라이가 가능한지 쪼개보는겁니다.
그리고 어디서 타점을 잡을지가 중요하구요.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와도 내가 판단한 가격위로 시세를 더올리고 빠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으로 신뢰도를 높여야 합니다.
요것도 그냥 슬쩍 본 차트인데 4시간봉에 하락 다이버전스가 보이네요.
슬쩍 보고 종목을 찾았으니
그럼 이제 진짜 숏트라이가 가능한지 쪼개보는겁니다.
그리고 어디서 타점을 잡을지가 중요하구요.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와도 내가 판단한 가격위로 시세를 더올리고 빠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으로 신뢰도를 높여야 합니다.
나혼자매매-차트&온체인
급등이후 단기조정 시 낮은프레임으로 쪼개보면서 반등포인트를 찾을수가 있습니다. 보조지표 통해서 다이버전스 확인하고 오더블록으로 신뢰도를 높이면 됩니다. 더 딥다이브하게 테크닉이 없어도 충분
같은 맥락
물론 후분석이라 더 잘보이는것도 있습니다.
물론 후분석이라 더 잘보이는것도 있습니다.
❤1
타 채널에서 레버리지 10-20배로 높은 수익률 올리는거에 혹하지 말고 적당한 레버리지로 5퍼든 10퍼든 적절히 익절하고 꾸준히 버는게 중요합니다.
💯5👍4
나혼자매매-차트&온체인
#GRASS 요것도 그냥 슬쩍 본 차트인데 4시간봉에 하락 다이버전스가 보이네요. 슬쩍 보고 종목을 찾았으니 그럼 이제 진짜 숏트라이가 가능한지 쪼개보는겁니다. 그리고 어디서 타점을 잡을지가 중요하구요.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와도 내가 판단한 가격위로 시세를 더올리고 빠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으로 신뢰도를 높여야 합니다.
5배짜리라 지금은 시세로 2프로도 안되게 하락한거지만
수익률에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안정적으로 먹을수 있느냐에 집중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TP 1.65였는데 정리하고 자야겠습니다
철칙 1 오버나이트를 하지않는다.
수익률에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안정적으로 먹을수 있느냐에 집중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TP 1.65였는데 정리하고 자야겠습니다
철칙 1 오버나이트를 하지않는다.
❤7
(2025-06)_opinion_신보성.pdf
344.1 KB
트럼프행정부 스테이블코인 육성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트럼프행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육성 기조
1) 미국은 달러표시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지원하려는 입장
2) 이는 달러 수요 증가 및 기축통화 지위 강화를 위한 전략
2. 스테이블코인의 문제점
1) 통화창출권을 민간(코인 발행업자)에게 부여하게 되어 국가의 통화 주권이 약화됨
2) 코인이 현금처럼 쓰이게 되면 통화량이 실질적으로 증가함 → 과도한 유동성과 부채 증가 유발
3) 발행업자가 자금 유입 없이도 국채 매입하며 코인을 발행할 수 있게 되면 무제한 발행 유인 발생
3. 시뇨리지(seigniorage)의 집중
1) 코인 발행자는 아무런 실질 비용 없이 막대한 이익(시뇨리지)을 누림
2) 과거 왕이 금화를 발행해 이익을 얻었던 것처럼, 현대에는 은행과 코인업자가 이 역할을 수행
3) 이런 이익은 원래 국민 전체에게 돌아가야 할 공공재적 성격을 가짐
4. 민간 통화창출의 위험
1) 은행도 이미 대출을 통해 예금(통화)을 허공에서 만들어내는 특권을 가짐
2) 코인업자까지 이런 특권을 갖게 되면 시중 통화량과 민간부채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날 위험 존재
5. 정책적 제언
1)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정책을 무조건 따라갈 필요는 없음
2)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신중히 접근해야 하며, 제도 도입 시에도 속도 조절과 사회적 합의가 필수
1. 트럼프행정부의 스테이블코인 육성 기조
1) 미국은 달러표시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지원하려는 입장
2) 이는 달러 수요 증가 및 기축통화 지위 강화를 위한 전략
2. 스테이블코인의 문제점
1) 통화창출권을 민간(코인 발행업자)에게 부여하게 되어 국가의 통화 주권이 약화됨
2) 코인이 현금처럼 쓰이게 되면 통화량이 실질적으로 증가함 → 과도한 유동성과 부채 증가 유발
3) 발행업자가 자금 유입 없이도 국채 매입하며 코인을 발행할 수 있게 되면 무제한 발행 유인 발생
3. 시뇨리지(seigniorage)의 집중
1) 코인 발행자는 아무런 실질 비용 없이 막대한 이익(시뇨리지)을 누림
2) 과거 왕이 금화를 발행해 이익을 얻었던 것처럼, 현대에는 은행과 코인업자가 이 역할을 수행
3) 이런 이익은 원래 국민 전체에게 돌아가야 할 공공재적 성격을 가짐
4. 민간 통화창출의 위험
1) 은행도 이미 대출을 통해 예금(통화)을 허공에서 만들어내는 특권을 가짐
2) 코인업자까지 이런 특권을 갖게 되면 시중 통화량과 민간부채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날 위험 존재
5. 정책적 제언
1)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정책을 무조건 따라갈 필요는 없음
2)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신중히 접근해야 하며, 제도 도입 시에도 속도 조절과 사회적 합의가 필수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