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소리통 NEO by Davidstockinfo
19.2K subscribers
4.96K photos
44 videos
226 files
40.6K links
Global Macro & Sector Data support.

행복한 데에는 가족만 한 것이 없고 즐거운 데에는 친구만 한 것이 없으며, 돈 버는 데는 주식소리통만 한 데가 없다.
Download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日·필리핀서도 '러브콜'…LS 전력기기 수주 봇물

오늘 11일 LS일렉트릭 약 360억 규모 ESS 발전소 구축 사업 수주 발표. 한국 기업이 따낸 일본 계통 연계 ESS사업 중 최대 규모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일본 ESS 시장 공략 가속화

오늘 LS에코에너지는 베트남 생산 법인이 필리핀 정부 추진 풍력발전 프로젝트 케이블 공급 파트너사로 참여 소식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방송알림] 전자제품 관세 철회, 트럼프 다음 필살기는 무엇?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로 인해 저번주 증시가 웃고 울었습니다.

모든 수입품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했던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제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다음 수는 무엇일까요?

오늘 라이브 방송 오후 6시 30분에 함께 알아보시죠!

https://youtube.com/live/g-nEXjbw3e0?feature=share
12일 트럼프 대통령, 희토류 관련 안보 문제로 행정명령 준비중이라 보도.

14일 중국, 보란 듯이 그 항목에 대해서 "수출 금지 조치"

어쨋거나, 자동차 우주 방산에 쓰이는 재료들이고, 그에 따라 단기적으로 부품이나 재료 수급에 문제는 생길 것으로 판단.

"이거 금지 해주세요" 라고 트럼프의 행정 명령에 적시 해주는 느낌...

지금은 서로 멱살을 잡지만, 과연 누가 더 버틸 것이냐? 하는 점은 관전 포인트.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주식소리통 NEO by Davidstockinfo
Photo
<번역>

트럼프, 핵심 금속 비축을 위한 행정명령 추진: FT

(블룸버그)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행정부는 태평양 해저에서 핵심 금속을 비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준비 중이라고 파이낸셜 타임즈(FT)가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미국의 국내 천연자원 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외국, 특히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핵심 광물 생산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비상 권한을 발동한 바 있다.

미국 법에 따라 심해 채굴을 신속히 승인하고, 희토류 원소를 포함한 핵심 금속의 비축을 추진하는 더 광범위한 움직임도 진행 중이다. FT는 이와 관련된 계획을 잘 아는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러한 비축은 미국이 중국과의 갈등 상황에서 자국 내에 중요한 금속 재고를 확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전했다.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4/14 Bloomberg>

1)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달러 약세 베팅
금요일 밤 달러-원 환율(BGN)은 달러 급락세가 이어지면서 전거래일 대비 약 34원 내린 1,420원 부근에서 마감. 3거래일에 걸쳐 60원 넘게 하락. 블룸버그 달러지수(BBDXY)는 작년 10월초 이래 저점을 다시 썼음. 미-중 간 무역 갈등이 격화되자 미국 자산으로부터의 광범위한 탈출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옵션 트레이더들은 5년래 처음으로 달러에 대해 약세 베팅으로 돌아섰고, 미국 주식과 미국채에 이어 달러도 희생양이 되었음. 엔화와 스위스프랑, 금 등 전통적 안전 피난처로 자금 유입이 가속화됐고, 유로화는 3년래 고점으로 급등하면서 2거래일 기준 2009년 이후 최대폭 올랐음. 달러 약세 포지셔닝으로의 전환이 극단적으로 진행되면서 달러가 안전자산이자 가치 저장 수단이라는 오랜 전제가 시장에서 재조정되는 양상

2) 중국, 대미 관세 최종 125%로 맞불
트럼프가 대중관세를 최대 145%까지 올리자 중국 정부가 4월 12일부터 대미 관세를 기존 84%에서 125%로 인상. 이에 따라 양국은 사실상 전면적인 무역 중단에 가까운 관세전쟁에 돌입. 중국 재정부는 “현재의 관세율 하에서는 미국산 제품은 중국에서 더이상 판매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만일 미국이 추가로 관세를 인상한다 해도 더 이상 대응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밝혔음.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고관세 남용은 단지 숫자 놀이에 불과하다며, 경제적으로 의미가 없고 관세를 단지 강압과 협박의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어 이제는 “농담이 되어버렸다”고 조롱. 시진핑 주석은 “중국의 발전은 타인의 호의에 의존하지 않았고 어떠한 불합리한 억압도 두려워하지 않았다”고 강조

3) 콜린스, ‘필요 시 시장 안정 조치’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시장이 계속해서 잘 기능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동성에 대한 우려는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도, “시장 기능이나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연준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을 보유하고 있다”며 필요 시 시장에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음.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이민 억제 조치가 경제 성장 둔화와 실업률 상승, 인플레이션 확대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 그는 “이민 감소로 노동력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관세와 불확실성이 중첩됨에 따라 올해 실질 GDP 성장률은 1% 이하로 크게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

4) 美 소비심리 사상 두 번째 최저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전월비 6.2포인트 하락한 50.8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 53.8을 크게 밑돌았음. 이는 2022년 6월 기록했던 50을 제외하면 1970년대 이후 집계된 결과 중 가장 낮은 수치. 향후 5~10년간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연평균 4.4%로 1991년 이후 최고치로 높아졌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월 5%에서 1981년 이래 최고치인 6.7%로 급등. 고용 시장 전망 역시 비관적으로 바뀌어 향후 1년 내에 실업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의 비율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

5) JP모간 CEO, ‘미국채 시장 소동으로 연준 개입할 수도’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채 시장에서 “소동”이 일어나 연준이 개입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 그는 “각종 규정과 규제로 인해 소동이 발생할 것”이라며, 그 시점이 오면 연준이 개입하겠지만 “어느 정도 패닉이 발생하고 나서야 움직일 것”이라고 언급. 최근 미국채 장기물 금리가 급등하자 미국채의 안전 자산 매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헤지펀드 등이 베이시스 트레이드 청산에 나서고 있다는 두려움이 일었음. 다이먼은 “미국채 시장에서 유동성이 낮아지고 스프레드가 크게 벌어지고 변동성이 높아지면 자본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며, 은행 규제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
(자료: Bloomberg News)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 의료기기(Overweight) - 또다시 역대급

▶️ 2025.03월 피부과 의료 관광 소비 금액 YoY +103%

2025.03월 의료 관광 소비금액은 1,395억원으로 YoY +72%, MoM +46% 성장하였으며, 그 중 피부과 소비금액은 712억원으로 YoY +103%, MoM +46% 성장하며 2024.11월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 2025.01월과 02월 비수기를 지나 회복세를 보였으며, 특히나 2025.02월 큰 폭의 감소를 보였던 중국 피부과 소비 금액이 273억원을 기록하며 YoY +118%, MoM +59%를 달성

1) 2025.05월 주변국 연휴철 도래, 2) 한한령 해제, 3) 3Q25 중국 단체 관광객 일시적 비자 면제와 함께 역대급 미용 의료 관광 실적 달성 기대. 휴젤(BUY, TP 45만원)과 클래시스(BUY, TP 7.2만원) 최선호하며, 인바운드 의료 관광 업종 주목. 국내 미용 의료기기 제조 업체 및 택스리펀드 대행 업체 등

▶️ 턴어라운드 기업군 주목

덴티움(BUY, TP 10만원), 씨젠(Not Rated) 주목. 2025.03월 얼라인 파트너스 투자 전후로 덴티움은 관계사였던 제노스의 임플란트 소재 사업부를 양수하며 이익률 개선 단초 마련. 또한 베트남과 중국에 증설을 통해 중저가 대응 가능, 해당 물량 관세청 수출 데이터에 트래킹되지 않기에 서프라이즈로 작용 가능

씨젠은 분기 매출액 1,000억원이 영업이익 기준 BEP 레벨. 4Q24 기준 COVID 관련 매출은 전체 매출 비중 2.9%에 불과하며, Non-COVID 매출액 비중은 60%를 상회하며 YoY +20% 넘는 성장률 기록 중. 동사 CAPA 증설 완료되었으며 시약 매출 증가에 따라 영업 레버리지 또한 달성 가능. 2025년에도 YoY +20% 넘는 성장세를 기록한다면 OPM 10% 상회 가능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lBOwkr >
미국 4월 미시간 대학교 소비자 심리 지수 50.8 4개월래 연속 하락

시장 예상치인 54.5를 큰 폭으로 하회

전년 동월 대비 34.2%로 급락

향후 1년간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고 본 응답자 비중은 5개월 연속 증가

정치 성향과 무관하게 전 계층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 4개월 연속 0.5%p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흐름이 나타남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미니애 연은 총재, 美국채시장 두고 "아직 큰 혼란 보이지 않아"

"아직 큰 혼란은 보이지 않고, 일부 스트레스는 있지만 지금까지는 잘 조정되고 있는 것 같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현재 전반적으로 유동성 우려는 없으나 (금융 시장 혼란의 상황에서) 필요하다면 개입하여 시장을 도울 준비되어 있다고 발언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알테오젠 (196170)_빅파마가 선택한 Hybrozyme 기술 (한국IR협의회)

■알테오젠은 IV제형의 SC제형 전환 기술 Hybrozyme, 지속형 바이오의약품 기술 NexP 등 플랫폼 기술 및 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

투자포인트는 1) Hybrozyme 플랫폼 확장성에 기반한 탄탄한 글로벌 파트너십, 2) 글로벌 매출 1위 의약품 키트루다 SC제형 연내 출시 기대, 3) 글로벌 1위 ADC 제품 엔허투SC 개발 파트너십 확보로 향후 SC제형 개발 수요 증가 예상

■ 2025년 매출액 1,623억원(+57.8% yoy) 추정. 기술용역 매출액 1,323억원(+73.1% yoy)으로 아스트라제네카(메드이뮨) 관련 계약금, 산도즈, 머크 등에서 마일스톤 유입 예상. 머크의 키트루다SC FDA 허가 여부 9월에 확인 가능하며, 4분기 출시에 따른 마일스톤 기대. 2025년 머크 및 글로벌 제약사의 신규 임상1상 진입, 다이이치산쿄의 엔허투SC 임상1상 개시 등 다양한 이벤트에 주목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모든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 감지하는 진단 센서 개발

포스텍과 아산병원이 개발한 진단 센서

환자의 침(타액)을 사용할 수 있어 현장 검사 가능

오미크론을 포함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 정확하게 감지.

독감 같은 다른 바이러스와도 확실히 구별되어 오진 가능성 거의 없음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주가 150만원 간다" 모건스탠리 콕 집었다…환율 덕에 '삼바' 춤출까

삼바 환율 덕에 1분기 호실적 발표 예상하며 실적 상향 조정

*삼바 1분기 실적 발표 4월 23일

실적 안전성을 갖춘 데다 성장 잠재력이 뛰어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투자 매력을 눈여겨볼 만하단 평가가 우세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국내 장 상승 출발. 오늘 오전장 가장 큰 테마는 AI

[속보]이재명 "AI투자 100조 시대 열것…국가AI위원회 강화"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