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KE - 일정, 테마, 이벤트드리븐
15.1K subscribers
945 photos
9 videos
64 files
7.31K links
중요한 증시일정을 최적의 시점에 알람

* 신규상장주 공모 및 오버행
* 유무상증자 및 CB전환 등 추가상장
* 기업분할, 감자, 액면분할 등에 따른 정지/재개
* 산업 및 개별기업 관련 주요 일정
* 투자경고, 거래정지 등에 따른 일정 안내

공유를 원하는 증시 및 개별종목 일정이 있다면 아래 링크로 알려주세요
https://t.me/awakeplus
채널 내 모든 자료는 참고용이며 투자권유나 추천이 아닙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중졸일용직
M2 전고점 돌파 직전
Forwarded from 재야의 고수들
NEXZ 컴백 정리 (Renova)
① 초동판매 고성장 (10만 → 24만)
② 총판매 고성장 (17만 → 35만*E)
③ 음원은 아직 절대값이 너무 낮음

💋핵심요약 음반 Good, 음원 Bad
- 판매량 작지만, 기울기는 의미 있음
- 전작의 성장정체와 대조적인 결과

#엔터 #하이브 #SM #YG #JYP
#신인런칭 #음반판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트럼프, 미국 의약품 제조 장려 위한 행정명령 서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월요일, 미국 내 제약 공장 승인 시간을 단축하고 국내 제조를 장려하는 새로운 규제의 일환으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명령은 미 식품의약국(FDA)에 대해 검토 절차를 간소화하고, 공장이 가동되기 전 국내 제조업체에 조기 지원을 제공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FDA가 해외 생산자의 원료 의약품 원산지 보고 의무를 보다 철저히 단속하고, “비준수 시설 목록을 공개적으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FDA 국장 마티 마카리(Marty Makary)는 서명식에서 FDA가 앞으로 해외 공장에 대한 불시 점검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미국 내 공장과 비슷한 수준의 감독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명령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에도 공장 건설 승인 절차를 신속히 처리하라는 지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의약품 생산을 확대하려는 최근 움직임의 연장선이다. 그는 최근 몇 달간 의약품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을 반복해 왔으며, 이 분야는 그간 인도주의적 우려로 인해 무역전쟁에서 제외되어 왔다.

업계 전문가들과 기업들은 새로운 의약품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데 최소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이처럼 긴 기간은 국가 안보 측면에서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에서 “우리는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있으며, 의료 공급망을 영구적으로 미국으로 되돌릴 것이다. 우리의 의료 장비, 의약품, 치료제는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가 이번 행정명령 내용을 최초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의약품과 반도체 수입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으며, 이들 분야의 외국 의존도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로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관세율과 시행 시점은 명확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 향후 2주 내로 관련 발표를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연간 2,000억 달러 이상의 처방약을 수입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업계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최근에는 로슈(Roche), 노바티스(Novartis), 일라이 릴리(Eli Lilly),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등 주요 제약사들이 미국 내 제조시설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발표한 바 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sign-order-encourage-domestic-drug-manufacturing-wapo-reports-2025-05-05/
우주항공

📌 2025년 5월 중국 톈원2 발사
📌 2025년 2분기 스타링크 서비스 국내 도입
📌 2025년 파이오니어 스테이션 개장
📌 2025년 연내 우주분야 '중소스타트업 스마일업' 사업 추진

📁 한국항공우주, 에이치브이엠, 아주IB투자, 쎄트렉아이, 미래에셋벤처투자, 이노스페이스, LK삼양, 한컴위드, 한글과컴퓨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루미르,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AP위성, 컨텍, 인텔리안테크, 세아베스틸지주, 제노코, 엔케이, 비츠로테크, 한양이엔지, 파버나인, 덕산하이메탈, 센서뷰, 파이버프로, 와이제이링크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 유인 탐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발사 횟수를 대폭 늘릴 수 있게 됐다.
미 연방항공청(FAA)은 스페이스X 측이 신청한 스타십 발사 횟수 확대를 허가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6일(현지시간) 전했다.
이에 따라 스타십의 연간 최대 발사 횟수는 종전의 5회에서 25회로 늘어나게 됐다.
FAA는 스타십의 발사와 착륙 횟수를 늘리는 것이 주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는 "이번 규제 완화는 스페이스X에 큰 호재로, 스타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우주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짚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71991?sid=104
로봇

📌 2025년 5월 삼성 AI로봇 볼리 구독상품 포함

📁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LIG넥스원, 고영, 씨메스, 로보로보, 이랜시스, 하이젠알앤엠, 알에스오토메이션, 엔젤로보틱스, 케이엔알시스템, 티로보틱스, 인탑스, 뉴로메카, 에브리봇, 로보티즈, 디알텍, 에스에프에이, 로보로보, KEC, 에스엠코어, 휴림로봇, 티라유텍, 케이피에프, 영우디에스피, 에스피지, 에스비비테크, 해성티피씨, 피엔에스미캐닉스, 한국무브넥스, 에스피시스템스, 유진로봇, NAVER, 우림피티에스, 코닉오토메이션, 스맥, 푸른기술, 고영, 삼익THK, 클로봇, KH바텍, 큐렉소, 에스엘, HL만도

LG전자가 두 팔과 바퀴가 달린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화에 착수했다. 앞서 공개한 반려로봇도 아직 양산 전이지만 차세대 휴머노이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동시다발적으로 상용화 스케줄을 앞당기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가전 제품을 담당하는 HS사업본부를 중심으로 로봇선행연구소 등과 ‘넥스트 폼팩터 태스크’를 운영해 차세대 로봇 폼팩터(유형)로 가정용 휴머노이드를 개발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경영진은 태스크 결론을 토대로 최종 조율을 거쳐 휴머노이드 폼팩터의 세부 사항을 확정할 계획이다. 출시는 내년 이후다. LG전자 관계자는 “전복 위험 등 안전 요소 등으로 완벽한 휴머노이드 구현에는 더 시간이 필요하지만 앞으로 가야 할 로봇 기술의 방향을 구체화한 것”이라며 “내부 조직 개편도 진행하는 등 휴머노이드 사업화를 본격화했다”고 설명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81940?sid=101
비만 치료제

📁 펩트론, 라파스, 대봉엘에스, 인벤티지랩, 제넥신, 삼천당제약, 신신제약, 한독, 블루엠텍, 디앤디파마텍, 대원제약, 한미약품, 애니젠, 일동제약, 넥스턴바이오, 한미약품, 한국비엔씨, HK이노엔, 큐라티스, 에스엘에스바이오, DXVX, 보령, 팜스빌, 한국파마, 진양제약, 한독, 나노엔텍, 대화제약,

한미약품 비만 신약의 연구·개발(R&D) 성과가 하반기로 가면서 윤곽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근육 증가·체중 감량 효과를 함께 보이는 '계열 내 최초' 신약 후보물질과 '한국형 비만 치료제'로 내세운 파이프라인이 연내 데이터 발표를 앞두고 있어서다. 실적도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이 이어지면서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오는 6월 20~23일로 예정된 미국 당뇨학회(ADA)에서 비만 치료제 'HM15275'의 미국 임상 1상 결과와 'HM17321'의 영장류 효능·안전성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HM15275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IP(위 억제 펩타이드)·글루카곤의 비만 치료 삼중작용제로, 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비만 대사 수술의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가 기대되는 약물이다. HM17321의 경우 근육 증가와 체중 감량이 동시에 가능한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신약으로 개발 중이다.
한미약품의 R&D 주요 성과와 실적 개선은 올 하반기에 더 뚜렷해질 전망이다. 한국형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경우 국내에서 가장 빠른 상용화가 기대된다. 현재 임상 3상을 진행 중으로 하반기 3상 종료 후 결과 발표가 예정돼 있다. 업계에선 이르면 4분기 안으로 신약허가 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약품의 비만 신약 개발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의 가장 선두에 있는 후보물질로, 당초 2027년 1분기로 계획했던 출시 일정이 내년 4분기로 앞당겨진 상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9940
카페24, 필굿뮤직 D2C 자사몰 구축 및 유튜브 쇼핑 기능 지원

- 필굿뮤직은 타이거JK, 윤미래, 비비 등 유명 아티스트가 소속된 레이블
-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 기반의 스토어 구축을 지원
- 관리자 페이지 하나로 모든 글로벌 스토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사업 효율성을 높임
- 연예 기획사 특성에 맞게 주요 대중음악 순위 시스템과 필굿뮤직 스토어를 연동해 팬이 음반을 구매하면 소비량이 차트에 반영되는 기능도 구현

- 카페24 이재석 대표: "아티스트가 콘텐츠와 커머스를 결합한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팬덤과 직접 소통하고자 하는 이커머스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도 엔터테인먼트 회사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고객사가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플랫폼 기능을 고도화할 것"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657496
#제주은행 #신한은행 #더존비즈온
더존비즈온 관계자는 "제주은행 지분 참여는 단순 투자를 넘어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선택"이라며 "제주은행의 디지털부문 사업을 함께 추진함으로써 디지털뱅킹의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한금융그룹은 다른 금융기관보다 더존비즈온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신한은행은 2021년 더존비즈온에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했으며, 신한투자증권의 특수목적법인(SPC)인 신한밸류업제일차주식회사는 2024년 3분기말 기준 9.88%의 더존비즈온 지분을 보유한 2대주주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92630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오빠몬
하이브 소속 캣츠아이 미쳐버림...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