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포하 I Dont focus on hype
2.34K subscribers
656 photos
2 videos
3 files
467 links
채팅방 : https://t.me/Dontfocushypechat

투자 권유 채널이 아닙니다. DYOR. NFA.
Download Telegram
크립토 가치투자의 현실.

알트를 절대 사지마.


ZK는 프라이버시 목적으로 출시한거면 성공한듯.
진짜 기억속에서 사라짐. 영지식 되어버림.
🫡5👏1
Forwarded from Mutt Technologies (Mutt)
Pump.fun 인증서 목록에 verify.pump.fun 추가되었고, 클릭시 KYC 업체인 https://withpersona.com/ 로 리다이렉트됨 (검증된 곳인지는 잘 모름)

ICO 참가자에게 KYC 요구할 거 같은데, 겸사겸사 시빌/봇 필터링 하려고 에어드랍에도 KYC 요구할 가능성 있을듯?

하여간 TGE soon 인건 맞는듯 (제발)
Forwarded from 돈 못버는 방 (팡팡 Pang.xx)
Upbit

- 스티커 두개얻음 😱
- 판교 현백 주차 개빡셈 (30분걸림)
- 갤럭시 쌀먹 대실패
- 원피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2
🔽 최근 해외에서 많이 언급되었던 알트코인 OTC 에서 사기사례가 나왔습니다.

BERA GRASS SUI ZRO BERA 등 많은 프로젝트에 대한 OTC 딜이 있다고 유인하고, 몇몇 물량은 초기에 배분에 신뢰를 샀다가 결국에는 사기로 결론나는 방식인 것 같고, 피해규모만 650억원에 달한다고 하네요.

거론된 코인만 해도 원문상에 Sui, Near, Aptos, Sie, Highstreet, Altlayer, Kava, Grass, Movement, Bio, Sandbox, Graph, Ronin Axelar, Celestia, Layerzero, Renzo, Beam, Conflux, Wormhole, Arkham, Adventure Gold, Immutable, Vana, Berachain, Virtuals, Berachain, EGLD, Fluid 등 엄청 다양한듯 합니다.

배후에는 Aza Ventures라는 곳이 언급되는 중.
결론: 꾸준함이 중요하다.

지금 당신이 에어드랍 작업을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함.

크립토는 벨류에이션(FDV, Mcap) 측면에서도 어느날 갑자기 스텝업이 되는 시즌이 있는데 이때 불장이 온거고, 예측 가능한 상황이 아님.

작년 10월부터 $MOVE, $ME, $BIO(Launchpool), $SOLV(Megadrop) 등등이 예시로 적절해보이는데,
이들은 작년 여름 알트코인의 벨류가 쳐박고 죽쓰고 있을 때 갑자기 가을이 오며 FDV 1B > 위로 TGE를 한 케이스임.

이 시기를 설명드리면, 밈코인이 시장을 지배하여 유틸리티 기반 알트코인은 바이낸스 거의 상장하지도 못하고 바이비트, 비트겟에 FDV 200m> 안쪽으로 상장해서 개쳐박는게 패턴이였음. (PIXELFI, Aark 등등 있음)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지금은 모두가 Binance alpha 하면 FDV 120m~/Mcap 20m~ 생각하는데, 이게 어느 시점에 Binance alpha가 FDV 300m~/Mcap 50~60m로 TGE한다는 것.


그래서 이 시점을 우리가 알 수 있냐? 그건 모름.

하지만, 사전 에드작을 통해 불장에 수익 실현이 될 수 있음.

여름은 상상 이상으로 힘들긴 해... ☀️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
작년이 그리워요. 🥲

2024 상장 프로젝트 평균 FDV $700m~.


참고글애니모카가 2024 거래소 상장 분석한건데, 살살 작년 시장 복기 겸 읽으면서 볼만함.
3
기대하는 프로젝트. INK.

- Kraken은 내년 1분기 최소 $10B 벨류에이션 위로 IPO를 목표 중.
- 24년 $1.5B 영업이익을 냈고, 25년 1분기에는 약 $500m~ 발생.
- 현재 장외 거래는 벨류에이션 $7~8B에 Buyer 수요가 있어보임. (기관 입장에서도 현재 CRCL 다음으로 Crypto-ipo로 준비된 곳이 이곳 뿐이라 관심도 높아보임)

또한, 최근 $ink 발표하며 에어드랍과 함께 Kraken L2 Token 출시를 암시.


Kraken이 Binance, Coinbase 등 메이저 거래소만큼의 인지도, 퍼포먼스를 내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성과를 보충하는 차원에서 INK를 활성화시키고 $INK를 성공적으로 TGE하여 Kraken IPO를 성공적으로 이끌려고 할 것 같음.

더 디테일하게는 $INK를 FDV 1B> 위로 TGE 시키려는 것이 목표로 보이고, 연말 정도에 TGE하지 않을까 싶음.

문제는 메인넷이 올해 2월 정도로 나왔는데 생태계가 뭐가 없음...


= 돈이 많은 곳에서 성공시키려는 의지가 있어보이므로 관찰 중.
2
알트장은 옵니다.

3개월마다 6일 옴. ㅋㅋ
😢5
Forwarded from 겁쟁이들의 쉼터 (Chill)
🫠 레전드 하락 중에 할 거 없어서 갑자기 끄적여보는 pump.fun 세일 관련 정리 및 생각

공식 매체 확인 내용

Pump.fun은 $1B 규모의 Token Sale을 기획 중이며, Sale Valuation은 $4B 로 추정. 다만, Pump.fun은 이에 대해 공식적인 발표는 진행하지 않은 상황

- 출처: Blockworks

관련 루머 및 정황들

1. IPO 및 ICO 관련 초기 루머 (2월 9일)
- Dutch Auction 모델 채택
- CEX와의 협업 준비 내용
- 여러 건의 소송으로 인해 출시 날짜 불확실
- 출처: WuBlockchain

2. Token Allocation 및 ICO 루머 (6월 20일)
[Token Allocation]
- Public Sale: 25%
- Airdrop: 10%
- Protocol Reserve: 10%
- Team & Advisor: 20%
- VC + Private Investors: 35%

해당 내용에 따르면, 모든 $PUMP 토큰은 TGE 시 100% 언락되며 Vesting은 없을 예정이며, $PUMP의 유틸리티바이백 + 수익 쉐어 유틸리티가 포함될 예정

- 출처: Moon5 Labs

3. ICO 연기 루머 (6월 22일)
- 이전에 제기된 소송들로 인한 법적 이슈(수익 쉐어 구조 추정)로 인해, 출시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
- 실제로 6월 중순 내로 출시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지배적이었으나, 현재까지 소식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그에 대한 원인으로 법적 이슈가 유력한 상황
- 출처: CryptoSlate

Private ICO 진행 상황 (추정)

CCvAhqy38oSZRvjZ4EZuV2oFfdNuEkKZdg12t7ZmfkSn
wczmirTBMa3tGisAeecZcGbzvgi6VAG4Gu8uamtHBf3
0x774A9BA18223240BB4deC7AF1C9Aa32bfD7b9a6d

위 3개의 Multi-sig Account 및 Vault 에서 $PUMP ICO 참여 정황들이 발견되면서 $395M 규모의 펀딩은 이미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남은 $5M 은 이전 라운드 및 초기 투자 물량에 할당된 것으로 추정

Pump.fun의 NEXT?


간단하게 수익성 관점에서 Hyperliquid 와 Pump.fun을 비교해보면 결과는 아래와 같다.

Hyperliquid
- Cultimative Revenue: 약 $297M (약 7개월 간)
- Half-year Revenue: 약 $287M
- Market Cap: $11.22B
- FDV: $33.62B


Pump(Swap+Platform)
- Cultimative Revenue: 약 $701M (약 15개월 간)
- Half-year Revenue: 약 280M
- Market Cap: ?
- FDV: $4B


Hyperliquid의 약 7개월 간 누적 수익은 약 $297M을 달성 중이며, 여기서 초기 거래량이 없던 시기(약 1달)를 빼면 6개월간 $287M 정도의 프로토콜 수익을 기록 중인 셈

Pump.fun은 약 15개월 간 약 $701M의 누적 수익을 올렸으며, 이를 평균 6개월 간 수익으로 계산하면 약 $280M 정도로 $287M을 기록 중인 Hyperliquid와 비슷함.

이런 관점으로 봤을 때, $4B FDV는 출시 당시 $HYPE가 3달러 후반 ~ 4 달러에서 시작했던 것을 감안하면 높은 Valuation은 아닌 셈.

그리고 정말로 $PUMP의 Private Sale이 $4B Valuation 으로 저렇게 빠르게 마감된 것 이라면, 결국 VC 또한 Pump.fun의 NEXTHyperliquid 처럼 강력한 프로덕트의 Revenue를 보유하고 있는 L1(or L2?) 및 인프라로 바라보고 있을 것.

결론 및 생각

생각해보면 생태계 전체를 놓고 보아도 최상위권의 수익성과 가격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프로토콜인 Hyperliquid.

현재까진 이상적인 토큰 분배를 통해, 비교적 탄탄하게 토큰의 플라이 휠을 굴려나가고 있으며, 역대급 에어드랍으로 인해 촉발된 강력한 Fomo 와 열렬한 지지층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기대감을 끌어올리는 플레이를 진행 중.

이로 인해 비슷한 최상위권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는 Pump.fun에 대한 기대감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4B Valuation 의 ICO 진행은 크게 2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함.

1. Pump.fun의 마지막 시장 타이밍을 노린 Exit play

-> 위에 언급한 기대감을 바탕으로 Crypto 시장의 대규모 유동성($1B)을 드레인

2. 단순한 밈코인 런치패드가 아닌, Pump.fun 이라는 강력한 네이티브 앱을 중심으로 명확한 수익성을 제공하는 L1(or L2)

-> 기존 실제 유동성이 낮은 거버넌스 토큰들에 비해, 바이백 메커니즘과 수익 공유 유틸리티를 통해 명확한 바닥가를 제공하는 로직을 가진 $PUMP -> 이런 탄탄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좀 더 범용적인 Defi 인프라 구축

물론 현재는 ICO 자체가 연기된 것이 기정 사실처럼 보이지만, 도넘은 하락 때문에 할게 없어서 주절주절 정리해봤습니다.
Forwarded from 돌찬 공지방 (IQ0 | Dolchan)
퍼프 덱스 칼협 🔪
: KYC 해야함

증정금 250불 받기

6/23 9시~ 부터
선착순 천 명한테만 250불 넣으면 250불 받음
25k 거래량 채워야 언락됨.

0.1% 수수료+스프레드 때문에 200불 정도 받을듯.
장 박살났는데 200불이면 감사합니다 인사 100번

+ 레퍼럴 포인트 500포 받음.

TGE 4분기

크라켄 ink 체인이고, 크라켄 유일한 희망이라서 밀어줄 듯.
알다시피 크라켄은 26년 Q1에 IPO라서 거래소/체인 지표 어떻게든 영끌해야 높은 벨류로 엑싯 가능함.
(코인이나..주식이나.. 유저 수,거래량 이런거 중요)

포인트 벨류는 포당 0.25불 정도 나올듯
(이유는 저녁에 쓸 예정)

퍼프덱스 특성상 유저 많아지면 포인트 얻기 힘들어짐
지금 500포 엄청 많이 주는 것 일듯

https://trade.rails.xyz/sign-up?code=6cYa9E
광고 글 아님. 개인적으로 좋다고 생각해서 올리는 글임. 광고 주셈.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
서클 $270 기록하고, 모든 IPO 예정 중인 크립토 주식을 장외로 매수하려는 고래 등장.

$5m+ 사려는 것 보면 포모 제대로 온 기관이거나 고래로 보임.
2
디파이는 건전한 성장 중.

과거, 20~22 디파이 썸머 때는 매 분기마다 평균 $1.5B 규모의 인센티브가 시장에 뿌려졌었고, 이제는 평균 $100m~200m 수준의 인센티브만 분배되고 있음.


그래도 긍정적인 부분은 루나 파산 이후로 TVL 면에서는 꾸준히 우상향을 그리는 중.

또한, 디파이에서 사용된 인센티브 총 가치보다 유동성 공급자가 LP 공급을 통해 얻은 수익의 총 가치가 이를 뛰어넘음. (= 수익 > 비용)

참조는 토큰터미널을 활용하여 Exponetial.Fi가 작성한 인센티브 주제의 글. 볼만함. 다른 내용도 많음.
Forwarded from SB Crypto
근래 Ink 체인(Kraken L2) 관련하여 텔방에서 이야기가 나오는 PerpDEX 중 하나인 Rails 데이터를 조금 살펴보았습니다.

다른 Perp에 비해 딱히 데이터나 캠페인에 대한 페이지가 뚜렷하지 않고 docs에도 별도의 컨트랙트 내용이 없어 제가 확인할 수 있는 단일 컨트랙트만 확인한 내용이라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explorer에 따르면 거래데이터를 ink가 아닌 외부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보입니다. 웹에서 연결된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Rollup이라는 컨트랙트로 연결되고, 크게 deposit/withdraw와 NewBlock 이라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에 대한 내용을 NewBlock에 모아서 기록하는 중앙 집중식 처리 방식이라 거래 자체는 따로 볼 수 없습니다)

해당 컨트랙트에는 USDT0로 deposit/withdraw가 가능한데 이를 기반으로 현재 USDT를 보낸 주소의 개수는 464개로 별도의 핫월렛/콜드월렛 분리나 별도의 중간 컨트랙트가 있지 않는 한 대략적인 예치 주소는 464개일 가능성이 큽니다. (근데 이게 예치를 하면 그에 비례하게 컨트랙트 토큰이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아마 이런 것을 보면 대부분 direct 예치이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혹시나 여기 예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아는 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당 컨트랙트만 보았을 때 TVL은 $5M로 다른 신규 Perp에 비해 아직은 신생아 수준입니다.

그리고 요새 대시보드 열심히 만들어두고 있는데 Dune 계정있는 분들은 Star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름 땀과노력이 들어간 하나하나의 결과물입니다 🥹

https://dune.com/hashed_official/r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