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68K subscribers
28.9K photos
13 videos
79 files
12.5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가능한 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말씀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인도 뉴델리 지역 기온, 평년도 수준 대비 상회 중

#기상 #석탄 #천가
#인도 #전력 망 주파수, 50헤르츠 목표 이탈 수준

전력망에 로드가 많이 걸리면 헤르츠가 급락하는 현상이 벌어지며 정전이 발생합니다.
글로벌 현재 수요 대비 향후 #원자재 수요 성장 전망 수준

#리튬, 흑연, 코발트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원자재 수요 성장이 가파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리튬은 현재 수요에서 무려 42배(4200%) 증가할 것

전기차 타고 다니려면 차 한 대당 수억씩 하겠네... ㅋㅋ
당연히 저렴한 #휘발유 차 수요가 더 생겨날 것이 자명합니다.
Polaristimes
#미국 정부 #부채 와 이자비용 관련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솔직히 몇 차례나 다뤘는데도 아직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지치려고 합니다.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blog.naver.com/polarisforblog/223014458091
지난 30여년 간 #미국 재정적자(청색) 및 외국인들의 미국 정부 #국채 매입량 역차트(적색)

이전 블로그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내용과 유사한 내용입니다.
08년 금융위기 전까지는 재정적자분의 국채 발행량을 외인들이 사실상 전량 매입했지만, 08년 이래 재정적자가 거세지면서 이제는 외인 매수량과 #재정적자 간 격차가 생겼고, 여태까자 해당 격차는 #연준 이 양적완화로 메워 왔습니다.

양적긴축을 지속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긴축불가
#미국 #크레딧 중 정크본드로 격하된 회사채 규모, 2020년 이래 최고치

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침체
#러시아#볼리비아, 국경 간 결제에 달러를 버리고 자국통화로 결제하기로 합의

#탈달러 행렬은 계속됩니다.
#지정학
#독일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 55% 정도로 극히 건전한 수준

독일은 바이마르 공화국 당시의 교훈을 아주 잘 따르고 있습니다.

물론, 자국 통화인 마르크가 아니라 공동통화 유로를 쓰고 있는 점은 고려 대상입니다.
독일 하나가 잘 한다고 해서 #유럽 의 몰락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Polaristimes
#미국 #주택 PIR, 6.5 수준으로 극히 건전 아무리 보수적으로 잡아도 15 위에서 노는 #한국 주택 시장과는 근본적으로 결이 다릅니다.
글로벌 주요국 #주택 거품지수

2번째 PIR(주택중위소득비율), 3번째 PRR(주택임대료비율)
그 어디를 봐도 미국 주택 시장은 #영국, #캐나다, #호주 등 글로벌 주요국 대비 훨씬 건전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laristimes
#미국 바이든 정부, 고신용자 및 높은 #주택 계약금 보유자들에게 더 많은 수수료를 매기는 방침 도입 신용점수 높고 담보금이 많은 게 죄가 되는 나라, 미국. #증세 https://www.zerohedge.com/personal-finance/biden-punish-good-credit-homebuyers-subsidize-high-risk-mortgages
이번 #미국 주담대 개편안 관련 상세내역

LTV 비율이 높을수록( #대출 비중이 높을수록), 그리고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할인률이 높아집니다.
(물론 또 LTV 비율이 60~80% 언저리라면 신용점수가 높아도 할인을 받는데... 좀 일관성이 없네요.)

어쨌든, 저신용자에게 대출을 늘리는 것은 부실대출을 키우는 것이고, 이러힌 정책을 이행하는 것은 향후 주택시장의 #붕괴 리스크를 높일 뿐입니다.
Bison interest 추산 올해 하반기 글로벌 #석유 시장 적자, 도합 -260만 배럴 될 것

수치도 중요하지만, 어떤 요소가 얼마만큼 적자에 영향을 끼칠 것인지 구성요소를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여러분들 자신의 추정치를 넣어서 개정 및 역산해 보면 스스로의 올해 적자 전망치가 나오겠죠.
#공급부족
#미국 1개월물 및 3개월물 초단기 #국채 #금리, 전례 없는 수준의 급격한 다이버전스 기록

국채시장에서는 1~3개월 내(즉 6월 초~8월 초) 내로 X-date가 도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여태까지는 #부채 한도 도달에도 불구하고 1-3개월물 간 갭이 이만큼 벌어진 적이 없다는 점을 유의깊게 상기해야 합니다.
#사회분열
Polaristimes
#이라크 와 쿠르드 자치구, #석유 수출 재개 협약 체결 45만 배럴 공급이 공식적으로 돌아왔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런 #지정학 적 소규모 다툼은 단기적 이벤트입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baghdad-erbil-sign-deal-restart-northern-oil-exports-2023-04-04/
#이라크 - #터키 중재안이 3/23에 발표되었으나 여전히 이라크 북부(쿠르드족 자치구) 지역 #석유 수출은 멈춰 있다.
터키는 침묵하고 있으며 확실히 15억 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할 의사가 없고 이는 계류 중인 2번째 사건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적어도 5/14일 터키 총선 때까지는 유의미한 결정이 없을 듯

#지정학 #공급부족
Polaristimes
텔레그램 가입자 수 및 블로그 이웃 수 대폭 확대에 감사드리는 마음으로 현재 제가 생각하는 투자 방향에 대해 좀 더 직설적으로 쓴 블로그 글을 올렸습니다. 혹시나 해서 노파심에 말씀드리지만, 항상 투자는 개인의 판단입니다. https://blog.naver.com/polarisforblog/222986460176
#캐나다 #석유 #지정학 적(≒정치적) 리스크는 현실이다.
앨버타 주에서 NDP의 지지율은 기묘할 정도로 높으며, 캐나다 정부는 점점 #석유#천가 업계에 적대적이고 규제 당국은 생산량 유지 및 성장을 방해하는 장벽을 높이고 있다.

일전에 분명 말씀드렸습니다.
정치적 리스크는 #브라질, #아르헨티나#콜롬비아 등 남미보다 서구 쪽이 더 높다고요.
#ESG #투자부족
Polaristimes
#러시아 노박 부총리: 러시아가 #석유 감산할 필요는 없다 #중국, #이란, #리비아, #베네수엘라 등의 수급 문제로 인해 #OPEC+의 역할의 중요성이 상승하고 있다. 러시아는 #석유 결제에 대해 루블화를 요구할 생각이 없다 #지정학 #시대의_변곡점 #에너지
#러시아 노박 부총리, #에너지 무역에서 달러와 유로를 배제할 것이라 밝혀

최근 나온 뉴스의 연장선상 아닌가? 라고 단순히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노박 부총리는 작년 6월까지만 해도 #석유 의 루블화 결제 가능성에 대해 부정한 바가 있습니다.

근 1년 사이 러시아의 #탈달러 노선이 더욱 명확해지고 정교해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지정학 #시대의_변곡점
美정부, 'MMF·헤지펀드' 등 비은행 금융기관 규제 강화 방침 < 채권/외환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바이든 행정부가 머니마켓펀드(MMF)와 헤지펀드, #암호화폐 기업 등 비은행권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 회의에서 "비은행권 금융기관 지정을 어렵게 만드는 위원회의 기존 지침에 특정 요소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당시 금융당국은 연방 정부가 비은행 금융기관을 SIFI로 지정하려면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전에 잠재적으로 위험한 활동에 대한 오랜 검토 기간을 먼저 거치도록 요구해 지정 자체를 어렵게 만들었다.

옐런 장관을 비롯한 많은 금융 규제 당국자들은 암호화폐 기업을 포함해 비은행권 금융기관들이 금융 안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잠재적 위험성을 경고해왔다.

또한 헤지펀드의 과도한 차입이나 MMF의 자금 유출 등이 금융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전반적인 규제 강화를 촉구해왔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3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