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27, 2024
August 27, 2024
August 28, 2024
August 28, 2024
Forwarded from BioMoment-Oncology
1. LCB14
- HER2 ADC
-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위암 환자 대상 T-DXd의 임상 결과와 비교해 유사한 효능 및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했음(DESTINY-Gastric06).
- 이전에 2회 이상 처방 받은 경험이 있는 코호트1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ORR(37.5% vs 35.6%), mPFS(4.3m vs 5.7m), mOS(10m vs 10.2m) 등은 유사했지만, 3등급 이상의 부작용 발생 비율(26.1% vs 73.7%) 및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투여 중단 비율(0% vs 12.6%)이 낮았음.
- 이전에 1회만 처방 받은 경험이 있는 코호트2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효능은 유사한 것처럼 보이나 역시 안전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었음. 자세히보면, LCB14는 Enhertu와 비교해 3등급 이상의 부작용 발생 비율(26.1% vs 56%) 및 심각한 TEAE 발생 비율(13% vs 42%), 약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 비율(0% vs 3%), 약물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투여 중단 비율(0% vs 19%) 등이 낮았음.
- Post Enhertu로 포지셔닝?
- MMAF 말고 다른 Payload를 적용했으면 어땠을까?
2. LCB71
- ROR1 ADC
-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Merck의 ROR1 ADC 'Zilovertamab Vedotin'과 비교해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더 우수한 항종양 효능을 확인했음(ORR 50.0% vs 29%).
- 이번에도 안전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했음. LCB71은 Zilovertamab Vedotin과 비교해 약물 투여와 관련된 3등급 이상의 부작용 발생 비율(14.3% vs 52%), 약물 투여 중단 비율(0% vs 62%) 등이 낮았음.
- CR 비율은?
- DLBCL 영역에서 어떤식으로 포지셔닝?
- NSCLC(1PR, 3 SDs), Pancreatic(1 PR), TNBC(1 SD), Ovarian Cancer(1 SD) 등 다양한 암종에서도 효과를 확인했다고 언급했음. Spider Plot 결과는?
텔레그램 링크: https://t.me/biomoment
작성자: 박동영
- HER2 ADC
-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위암 환자 대상 T-DXd의 임상 결과와 비교해 유사한 효능 및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했음(DESTINY-Gastric06).
- 이전에 2회 이상 처방 받은 경험이 있는 코호트1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ORR(37.5% vs 35.6%), mPFS(4.3m vs 5.7m), mOS(10m vs 10.2m) 등은 유사했지만, 3등급 이상의 부작용 발생 비율(26.1% vs 73.7%) 및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투여 중단 비율(0% vs 12.6%)이 낮았음.
- 이전에 1회만 처방 받은 경험이 있는 코호트2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효능은 유사한 것처럼 보이나 역시 안전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었음. 자세히보면, LCB14는 Enhertu와 비교해 3등급 이상의 부작용 발생 비율(26.1% vs 56%) 및 심각한 TEAE 발생 비율(13% vs 42%), 약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 비율(0% vs 3%), 약물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투여 중단 비율(0% vs 19%) 등이 낮았음.
- Post Enhertu로 포지셔닝?
- MMAF 말고 다른 Payload를 적용했으면 어땠을까?
2. LCB71
- ROR1 ADC
-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Merck의 ROR1 ADC 'Zilovertamab Vedotin'과 비교해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더 우수한 항종양 효능을 확인했음(ORR 50.0% vs 29%).
- 이번에도 안전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했음. LCB71은 Zilovertamab Vedotin과 비교해 약물 투여와 관련된 3등급 이상의 부작용 발생 비율(14.3% vs 52%), 약물 투여 중단 비율(0% vs 62%) 등이 낮았음.
- CR 비율은?
- DLBCL 영역에서 어떤식으로 포지셔닝?
- NSCLC(1PR, 3 SDs), Pancreatic(1 PR), TNBC(1 SD), Ovarian Cancer(1 SD) 등 다양한 암종에서도 효과를 확인했다고 언급했음. Spider Plot 결과는?
텔레그램 링크: https://t.me/biomoment
작성자: 박동영
August 29, 2024
Forwarded from 용산의 현인 (MH LEE)
엄민용 애널이 알테오젠으로 확뜨니 메디톡스로 유명했던 이동건 애널은 리가켐바이오로 컨셉 잡으시는듯.
각자 대표종목 확실히 미는게 여러 기업들 coverage 하는것보다는 정보전달에 있어 신뢰성은 있어보이고 좋네요.
각자 대표종목 확실히 미는게 여러 기업들 coverage 하는것보다는 정보전달에 있어 신뢰성은 있어보이고 좋네요.
August 31, 2024
August 31, 2024
August 31, 2024
September 1, 2024
Forwarded from 제약바이오(권해순): 제 3 성장기, 시즌2
20240902_권해순.진화의 시작.pdf
3.6 MB
[유진투자증권 바이오제약 권해순] 2024.09.02
리가켐바이오(BUY. TP 14만원. 목표주가 상향)
ABL바이오 (BUY. TP 5만원.목표주가 상향)
알테오젠 (BUY. TP 40만원.목표주가 상향)
에스티팜 (BUY. TP 13만원)
안녕하세요. 유진투자증권 바이오제약 담당 권해순입니다. 바이오제약업종 인뎁스자료를 발간하였습니다.
2024년 국내 바이오제약산업의 진화는 2004~2014년, 2015~2023년에 걸쳐 이뤄진 두 번의 '레벨 업'과는 다르다고 판단합니다.
"확산과 지속" 입니다. 소수 기업들의 투자 성과가 가시화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 기업들이 성과를 나타내는 구간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최근의 바이오제악업종 지수의 상승을 일시적이라고 보지 않으며, 2025년까지도 지속 가능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다수의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의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가 지속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4분기 Top pick으로 리가켐바이오 (BUY. TP 14만원)와 ABL바이오(BUY, TP 5만원)를 추천합니다. 두 바이오텍은 ADC와 이중항체 분야에서 글로벌 유망 바이오텍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한 파이프라인들이 우수한 임상결과를 통해 증명되면서 파이프라인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고, 하반기에 글로벌 빅파마로 기술 이전이 자행되면서 기업가치가 레벨 업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이 외에 알테오젠(BUY. TP 40만원)과 에스티팜(BUY. TP 13만원)도 투자유망종목으로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금일 발간자료를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리가켐바이오(BUY. TP 14만원. 목표주가 상향)
ABL바이오 (BUY. TP 5만원.목표주가 상향)
알테오젠 (BUY. TP 40만원.목표주가 상향)
에스티팜 (BUY. TP 13만원)
안녕하세요. 유진투자증권 바이오제약 담당 권해순입니다. 바이오제약업종 인뎁스자료를 발간하였습니다.
2024년 국내 바이오제약산업의 진화는 2004~2014년, 2015~2023년에 걸쳐 이뤄진 두 번의 '레벨 업'과는 다르다고 판단합니다.
"확산과 지속" 입니다. 소수 기업들의 투자 성과가 가시화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 기업들이 성과를 나타내는 구간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최근의 바이오제악업종 지수의 상승을 일시적이라고 보지 않으며, 2025년까지도 지속 가능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다수의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의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가 지속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4분기 Top pick으로 리가켐바이오 (BUY. TP 14만원)와 ABL바이오(BUY, TP 5만원)를 추천합니다. 두 바이오텍은 ADC와 이중항체 분야에서 글로벌 유망 바이오텍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한 파이프라인들이 우수한 임상결과를 통해 증명되면서 파이프라인의 가치가 상승하고 있고, 하반기에 글로벌 빅파마로 기술 이전이 자행되면서 기업가치가 레벨 업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이 외에 알테오젠(BUY. TP 40만원)과 에스티팜(BUY. TP 13만원)도 투자유망종목으로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금일 발간자료를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September 1, 2024
September 5, 2024
September 5, 2024
11월 예정된 World ADC Awards에서 리가켐바이오가 3부문에 후보로 등재되었습니다.
우리회사는 기존 5년간 수상 부문인 Best ADC Platform Technology 외에 새롭게 Best New Drug Developer 에 후보로 올랐고,
LCB84(TROP2 ADC) 가 Most Promising Clinical Candidate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ASCO2024에서 LCB14(HER2 ADC) 위암 및 위식도암 임상 2상과 LCB71(ROR1 ADC) 혈액암 및 고형암 임상 1상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며, ADC 글로벌 산업내 당사 기술 및 파이프라인에 대한 주목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11월 World ADC Awards 본 수상 결과에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우리회사는 기존 5년간 수상 부문인 Best ADC Platform Technology 외에 새롭게 Best New Drug Developer 에 후보로 올랐고,
LCB84(TROP2 ADC) 가 Most Promising Clinical Candidate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 ASCO2024에서 LCB14(HER2 ADC) 위암 및 위식도암 임상 2상과 LCB71(ROR1 ADC) 혈액암 및 고형암 임상 1상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며, ADC 글로벌 산업내 당사 기술 및 파이프라인에 대한 주목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11월 World ADC Awards 본 수상 결과에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September 11, 2024
September 14, 2024
September 14, 2024
어제까지 ESMO 2024 출장 관계로 어제 발간됐던 메리츠증권의 리가켐바이오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 공유를 못드렸었네요.. 그리고 오늘은 유진투자증권에서 리가켐바이오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해주셨습니다. "확대되는 TROP2 ADC 치료제 시장"이라는 제목으로 당사 리포트를 작성해주셨습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바이오텍 Top pick으로 리가켐바이오를 제시해주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September 20, 2024
September 20, 2024
오늘 장중 사상 최고가(99,800원)를 기록했습니다. 다음주부터 10월까지 진행될 국내 NDR 일정들과 순항 중인 저희 파이프라인들, 목표로 하고 있는 기술이전 성과들의 가시화, 이번 ESMO에서도 어김없이 확인된 ADC에 대한 높은 빅파마들의 관심과 수요를 감안한다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구간이라고 판단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September 20,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