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11.2K subscribers
1.4K photos
4.22K links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풍성한 서비스를 위해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채널'을 가동합니다. 국내외 전략, 경제, 채권, 계량, 시황 자료를 한 눈에 정리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많은 애용 부탁드립니다.

채권분석 윤여삼 02)6454-4894
경제분석 이승훈 02)6454-4891
투자전략 이수정 02)6454-4893
Download Telegram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6.10(월)

<미국 5월 고용: 서프라이즈에도 9월 인하 전망을 유지하는 이유>

- 5월 비농업 취업자수 서프라이즈; 노동수요 풍부한 업종 중심의 효율적 노동공급

- 5월 시간당 평균임금 0.4% MoM은 4월 기저 영향으로 해석. 구인건수/실업자수 배율 안정화에서 비롯되는 임금 상승률 둔화 흐름에서 이탈 없음

- 전반적인 데이터는 노동수급의 균형 수렴을 지향; 연준 9월 인하 전망 유지

https://tinyurl.com/a3wued8k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안녕하세요. 메리츠 김선우/최설화입니다.

Computex 2024 Key Takeaways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대만: AI Island

- Computex 2024는 9명의 글로벌 IT기업 CEO가 참석하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진영으로 전세계 이목을 집중. 그들이 대만에 모인 근본적인 이유는 더욱 커질 AI 산업 내 반도체 공급망 확보에 있음

- 대만의 반도체 경쟁력은 AI 산업에서 더욱 두드러짐. IC 디자인, 생산, 패키징 및 테스트 단계에 분포된 강소기업과 TSMC와의 협력 시너지는 CoWoS와 같은 선단공정기술로 연결되며 AI칩 생산을 독점

- 한편 오늘의 대만은 안보동맹=기술동맹이라는 지경학적 접근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 미국과 대만의 기술동맹, 대만 정부의 리쇼어링 전략, 파운드리 OEM 모델인 TSMC와 협력 공급망 등 다수 요인은 대만으로 하여금 2019년부터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아시아에서의 경쟁력 회복을 초래했기 때문

-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은 반도체 산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늘 위기 의식을 갖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여러 노력 강구 중

- 단기적으로 현실성 있는 전략은 Run Faster: 대만 정부는 2029년까지 대만형 칩스법을 발표해 해외 선두기업과의 동맹을 진일보 강화하고, 기업들은 분절화 세상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 및 동남아 중심의 해외진출을 확대함으로써 경쟁 우위 확보, 격차 확대하는 것

- 거대한 AI 산업 발전과 함께 앞으로 더욱 많은 기업들 간 경쟁 심화 예상. 다만 대만은 Nvidia를 포함한 글로벌 AI 선두기업들과의 강력한 파트너십 및 선단 공정 기술로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향후 1년 내 대안국가 혹은 기업을 찾기 어려울 전망. Top-down 관점에서 대만증시 및 대만의 AI칩 생산 공급망에 포함되는 글로벌 테크기업에 대한 매수 의견 유지

역사를 바꿀 토큰 발전기, AI 반도체

- 인류와 사회의 발전은 ‘정보’의 개념이 도출되며 가속 전개. 데이터와 정보는 혼돈하기 쉬우나, 후자는 전자의 정제·정리된 개념으로 이해

- 정보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는, 생성형 AI 발전 속 예상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가속화되는 중. 그 기반이 되는 데이터를 담고 연산하는 반도체의 수요 역시 지속 증가

- AI 발전 과정에서 과거 니콜라 테슬라의 'AC 전류 시스템 발전기'를 상기할 필요 있음. GPU는 행렬계산을 통해 토큰을 생성. 이는 발전기의 전력 생산과 유사. 향후 새로운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

- LLM의 등장과 Chat GPT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2023년부터 밸류체인 전후방에서 급격한 투자 집행이 발생하는 중

- 이와 관련해 AI 투자 팽창을 우려하는 시각도 등장하고 있는 와중 대만의 Computex 2024 행사 개막

- 과거 PC 및 관련 부품 박람회 성격의 본 행사는 엔비디아, AMD, 인텔, 퀄컴 등 핵심 반도체 업체 모두가 참가하는 주요 이벤트로 급부상. 해당 업체들의 CEO는 모두 경쟁적으로 기조연설에 적극 참여함

- AI에서 주목해야 하는 건 바로 ‘경쟁’임. 향후 LLM 훈련, 칩 설계 및 생산, 서버 투자, 추론 서비스 확립을 위한 기업간의 투자는 끊임없이 이어질 전망. 2024년 말부터는 기업간 경쟁을 넘어서서 지역간 경쟁으로 전개될 전망. 북미/중동/유럽/동아시아의 투자 경쟁 속 복합 산업 구축이 뒤를 이을 것. 당사는 중동의 투자 확대에 주목

- Top Pick: SK하이닉스 (000660) 1) 스페셜티 메모리의 최강자. HBM 실적 추정치 재차 상향조정 2) 스페셜티 메모리가 아날로그 특성과 주요 고객 파트너십에 기반함에 따라 Tier2 와의 간극은 쉽사리 좁혀지지 않을 전망 3) 역대 최대 전사 이익 올해 경신 후 내년 이익 폭증. 이는 재평가를 견인

보고서 링크 (요약본): https://tinyurl.com/5n7hkn3r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6.11 (화)

WWDC 애플 AI 전략 공개

(자료) https://zrr.kr/vVMV

애플이 개인용 인공지능 시스템인 Apple Intelligence를 발표했습니다. 핵심은 1) 다수 앱에 걸친 상황에 대한 대처, 2)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맥락을 파악, 일상적 업무 간소화 기능인 듯 합니다.

하반기 전망에서 애플은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 해결의 열쇠로 온디바이스 AI를 추구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WWDC에서도 이부분이 강조되었습니다.

향후 관건은 핵심 기능, 프라이버시 문제 해결이라는 두 포인트에 대해 계속 확신을 줄 수 있는지 여부일 것 같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6.11(화)

[채권전략 윤여삼] Strategy Idea: 2024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2 채권전략(해설판): 평균의 함정

- 미국 주도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양호한 경제여건으로 금리상승 우려. 미국경제 침체는 아니지만 모멘텀 측면에서 재정기여도 약화되면, 점차 둔화세로 전환될 전망

- 펜데믹 위기 극복 위해 과도하게 사용된 부채 → 미국 정부와 가계, 기업 공히 관리가 필요한 영역 부각. 2025년까지 미국 중립금리 3%대 중반을 목표로 금리하향 안정 전망

- 취약한 내수와 제약적인 기준금리 여건을 반영 10월 정도 금리인하를 실시하여 2025년 상반기까지 2.75% 인하 가능성. 대외보다 한국금리 안정의 이유 확인될 것

(자료) https://tinyurl.com/5c8aen8v


[투자전략/시황 RA 이상현] 오늘의 차트: S&P500 밸류에이션 쏠림 현상?

[경제분석 이승훈] 칼럼의 재해석: 팬데믹 이후 국가별 경제성장 격차는 왜 유발되었나?


(자료) https://tinyurl.com/29cj3yz9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6.12(수)

[경제분석 이승훈] Strategy Idea: 2024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3 경제전망(해설판): 금리가 내리면

- 느리지만 미국의 연속적인 디스인플레 흐름 가능할 것: 연준 9월 인하 전망 유지

- 금리가 내리면 투자 사이클 개선; 특히 제조업 회복 모멘텀 확대에 주목

- 미국/유로존 제조업 회복은 한국 수출에 우호적 환경 조성, 주식/채권에 긍정적

https://tinyurl.com/3e54k3ae

[유틸리티/건설 RA 윤동준] 칼럼의 재해석: 중국의 과잉 공급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자세

https://tinyurl.com/3bnth7d5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6.12 (수)

애플 신고가 경신

(자료) https://zrr.kr/lAsx

WWDC 이후 애플의 AI 전략이 아이폰 교체주기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글로벌 IB들의 전망에 힘입어 2023년 7월 이후 애플이 처음으로 유의미하게 역사상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1년전 애플이 AI 흐름에서 도태되는 것처럼 보였으나, B2C 확산의 최대 강자 중 하나로 다시 등장하면서 주가는 새 페이즈를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S&P500 시총 상위 3개 종목이 AI 트렌드에서 각각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면서 각축을 벌이고 있습니다. 5월말 발간한 하반기 전망에서 그렸던 AI B2B 사이클에 애플 중심의 B2C 사이클이 얹어지는 하반기 강세장이 시작되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6.13(목)

[FX/원자재 박수연] Strategy Idea: 2024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4-1 FX(해설판): 돈의 흐름

- 달러 수요의 구조적 증가. 대다수 국가 환율은 외환위기 수준까지 상승

- 외환시장에는 금융경제가 실물경제보다 중요해져. 팬데믹은 기폭제

- 현재는 1980년대와 유사. 1) 금리 인하, 2) 확장재정, 3) 미국 경기 우위가 동반된 시기

- 중장기 강달러 전망 유효. 다만 연준 인하 전후 V자 움직임 예상. 달러/원 연말 1,350원

https://zrr.kr/CsTi

[경제분석 이승훈] 오늘의 차트: 5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주요 특징 3가지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칼럼의 재해석: 석유 산업 내 딜 증가의 시사점

https://zrr.kr/dSoS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이승훈의 경제脈_2024.6.13(목)

<6월 FOMC: 연내 한 번보다는 적어도 두 번 인하에 무게>

- 6월 FOMC에서는 물가안정에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는 성명서 문구와 달리, 4Q24 Core PCE 전망이 2.8%, 24년 말 적정 FFR 중위수는 5.1%(1회 인하)로 상향조정

- 물가전망의 보수성 및 5월 CPI 미반영. 데이터 입수되는대로 재조정 가능성 내비쳐

- 좋은 위치라 언급한 Core PCE 2.6~2.7% 수 개월간 이어질 것. 9월 인하 view 유지

https://zrr.kr/itS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Policy Watcher: 미국 FOMC(6월): 2인분 같은 1인분, 전망경로 유지 2024.6.13(목)

- 우리는 하반기 전망에서 올해 연준 3차례 인하 전망을 엣지뷰로 제시. 연준의 점도표가 올해 3차례 → 1차례 인하로 상향되었지만, 당사는 2+α의 인하 가능성 유지

- 6월 초까지 물가와 고용지표 경로는 올해 금리인하 기대를 후퇴시킬 정도인 점은 인정하나 1차례 인하 전망은 보수적 입장. 그럼에도 2025년은 기존 3차례 → 4차례로 상향했고, 2026년까지 3.1% 인하 전망은 유지했다는 점에서 당사도 의견 유지

- 파월도 인정한 '초(超) 데이터 의존적' 의사결정, 7~8월 물가중심 경기지표 둔화 및 일부 부채관련 노이즈 확산될 경우 9월 금리인하 실시할 것


(자료) https://tinyurl.com/muazd6cc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6.14 (금)

M7 vs 그외 실적 궤적 비교

(자료) https://zrr.kr/ZoUr

Bloomberg에 따르면 M7과 M7 제외 S&P500 종목의 실적 성장률 격차가 내년 1분기까지 축소되다가 2분기부터 다시 벌어지는 궤적이 나타납니다.

두가지 포인트가 있다고 봅니다. 첫째는 어찌됐든 M7의 실적성장률이 나머지 종목을 계속 상회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내년 2분기부터 격차가 다시 확대된다는 것입니다.

12개월 선행해서 반영하는 주가를 고려할 때 하반기에도 빅테크 중심의 포트 구성, 나머지에서 AI 수혜주 알파찾기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FX/원자재 박수연]

BOJ 6월 Review: QT도 YCC 폐지처럼, 시나브로_2024.6.14(금)

- 정책 변화 부재. 국채 매입 규모 축소 계획은 7월에 발표 예정

- 국채 매입 규모의 상당한 축소를 언급. 그러나 예측 가능성과 유연성도 동시에 강조

- 이미 국채 매입 줄어들었음. 금리 인상도 경기 개선 확인된 10월 이후로 전망

- BOJ로 인한 시장충격은 제한적일 것. 연말 달러/엔 155엔, 엔/원 870원 전망 유지

(보고서) https://bit.ly/4ekJZiy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채권분석 윤여삼]
The Bond Weekly: 열린 하단, 올해 내내 밀림사자 2024.6.17(월)

- 미국채10년 4.2%는 올해 2번+α를 기대하는 영역

- 국내 내수 둔화 압력 지속, 통화완화 기대의 확산

(자료) https://tinyurl.com/35r34n4a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6.18(화)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Strategy Idea: 2024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5-1 글로벌전략(해설판): AI B2B → B2C

- 상반기까지 이어진 AI B2B 투자 사이클(AI-데이터센터-전력인프라-에너지) 추세 지속

- 하반기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 해결과 맞물리는 온디바이스 AI 중심의 B2C 확산 시작

- 미 증시 기존 추세에 새 상승 여력 얹어지는 강세장 예상, S&P500 상단 6,000pt 제시

https://tinyurl.com/bdfmeh7k

[채권전략 윤여삼] 오늘의 차트: 미국채 입찰 수요 안정성 회복

[인터넷/게임 RA 강하라] 칼럼의 재해석: 메타, 광고 부문 적극적 변화 도입 중

https://tinyurl.com/5fwmzjm5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6.18 (화)

강세장 신고가 경신 패턴

(자료) https://zrr.kr/5Czg

상반기 좋았던 흐름이 하반기 이어질지 가늠해보고자 과거 비슷한 패턴의 강세장에서 신고가 경신 흐름을 분석해보았습니다.

5월까지 누적수익률이 10%를 넘었던 1961년 이후 16번 사례에서 연평균 신고가 경신 횟수는 53.1회, 6월 17일까지 평균 33.1회 신고가를 경신했었습니다.

올해는 어제까지 32번의 신고가를 경신하며 과거 강세장과 비슷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6.19(수)

2024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5-2 중국전략(해설판): 기승전 가성비

- 경기부양 패키지로 하반기 중국 경기 추가 회복 예상. 단 회복 기울기는 관찰 필요

- 중국 증시는 밸류에이션 정상화 기반영. 하반기 기업이익 전망치 상향되면 추가 랠리 가능

- 투자전략: 숲보다는 나무, 가성비로 승부 보는 플랫폼 기업과 전기차 성장기업에 주목

https://tinyurl.com/mtcexh6s

[음식료/유통 김정욱] 칼럼의 재해석: 미국 레스토랑 업게 부진 속 '패스트 캐주얼' 부상

https://tinyurl.com/yskkct6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6.20(목)

[Passive/ETF 최병욱] Strategy Idea: 2024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해설판)
5-3. ETF_중요한 것은 숫자

- 하반기는 단순 Narrative뿐 아니라 이익이 중요한 팩터가 될 것으로 전망

- Narrative & Numbers로 봤을 때 1) 검증된 Narrative(이익과 Narrative 모두 존재),
2) Numbers First(Narrative는 부족하나 이익이 먼저 상승) 주목 필요

- 1) 검증된 Narrative: AI, 반도체, 중국 플랫폼, 유틸리티 2) Numbers First: 풍력, 광고

https://vo.la/WVhri

[신흥국 최설화] 오늘의 차트: 페트로달러 협약 종료, 탈달러화로 이어질까?

[채권전략 윤여삼] 칼럼의 재해석: 스웨덴 정책금리 인하 배경과 시사점

https://vo.la/eEOOR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채권분석 윤여삼]
The Bond Weekly: August Rush? 다소 앞서간 기대 2024.6.24(월)

- 미국채10년 4.2%대 유지, 경기와 물가가 더 식을지 확인 구간

- 국내 8월 인하 가능성, 그래도 아직은 신중한 구간

(자료) https://tinyurl.com/kwvyw2p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6.24 (월)

애플의 AI 전략은 플랫폼 장악?

(자료) https://zrr.kr/IhNj

WSJ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애플 인텔리전스에 자사 생성형 AI를 통합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해왔습니다. 이 외 구글, Anthropic, Perplexity도 같은 노력 중이라고 합니다.

애플 사용자는 여러 생성형 AI 모델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애플이 얻는 경제적 이점은 없고, AI 회사들이 구독료를 받습니다.

표면적으로 애플 인텔리전스에 여러 AI 회사들이 참여하는게 애플에게 금전적 이익은 주지 않지만, 이 대목에서 현대 빅테크들의 독점 전략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AI 사용에 애플 아이폰을 '익숙'하게 하려는 전략을 채택하는 것으로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이 AI 사용에 아이폰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끔 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입니다. 2010년대 빅테크들의 독점 전략과 유사합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6.25 (화)

엔비디아 조정 이유?

(자료) https://zrr.kr/O9M5

지난주부터 이어진 엔비디아 조정 이유로 젠슨황 등 내부자의 매도세가 부각되는 듯 합니다.

<그림 1>은 이틀전 레딧에 게시된 차트인데, 이것만 보면 이번 매도세가 매우 강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거래금액은 주가가 오르면 커지기 마련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림 2>와 같이 거래량 기준으로 보면 내부자 매도세가 이례적으로 강한 상황은 아닙니다.

과거와 다른 강한 매도세가 나타나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조정 폭 우려는 덜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초에는 내부자들의 매도세 이후 조정 나타났지만 실적발표 이후 추세를 회복했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경제분석 이승훈, FX/원자재 박수연]
이승훈의 경제脈_2024.6.26(수)

<프랑스 총선 점검: 극단주의는 없다>

- EU의회 선거 참패 이후 프랑스 전격 조기총선: 6.30 1차 투표, 7.7 2차 투표 예정

- 가능성 높은 순: RN다수당 + 과반 미달 > RN다수당 과반 득표 > 현상 유지

- RN이 과반 다수당이 되었을 때도 국방/외교, 마크롱 공통분모 영역 변화 없음

- 재정적자 전면 확대도 건전성 우려/EDP 착수 제안 감안시 현실화 가능성 낮음

- 유로화는 선거 결과 공표 이후 절상; 의회 출범 이후 건전성 문제로 절상 제한

(보고서) https://zrr.kr/Aec0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