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11.2K subscribers
1.41K photos
4.24K links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풍성한 서비스를 위해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채널'을 가동합니다. 국내외 전략, 경제, 채권, 계량, 시황 자료를 한 눈에 정리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많은 애용 부탁드립니다.

채권분석 윤여삼 02)6454-4894
경제분석 이승훈 02)6454-4891
투자전략 이수정 02)6454-4893
Download Telegram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21 (수) 마감 시황

셀온을 피해서
1. 다음주 월요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앞두고 나온 저PBR 셀온, 한국 시간 내일 새벽 공개될 FOMC 의사록과 Nvidia 실적을 앞두고 나온 반도체 셀온을 피해 제3지대인 2차전지 반등. 업종 내에서도 그동안 양극재 대비 소외되었던 종목의 강세. 실리콘 음극재의 구조적 성장 기대에 대주전자재료 +7.2%. '그 분'의 8대 종목 중 하나였으나 오래 쉬던 나노신소재(+28%)가 큰 폭의 외형 및 이익 확대 전망에 힘입어 급등. 같은 CNT 관련주인 제이오 +15% (Cf. 제이오: CNT 파우더, 나노신소재: CNT에 용매 +분산재를 섞은 슬러리)

2. 미국 장에서 Tesla(-3.1%)는 약했으나 2/15 LG에너지솔루션의 4680 원통형 배터리 8~9월 양산 계획 언급 이후 TCC스틸 연일 상승(+4.6%, 최근4거래일 동안 +45%), 원통형 캔 소재 독점공급사로 알려짐. 작년 2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신사업 추진을 발표한 동국산업 +14%

3. 2/18 EU 배터리법 시행으로 2031년부터 배터리 원재료 재활용 최소 비율 설정(니켈 6%, 코발트 16%, 리튬 6%, 납 85% 등)된 것도 소재주에 도움(하이드로리튬 +4.4%). 코스모화학(+12%)은 지난 2/6 이산화티타늄 생산 부산물로 발생하는 황산철을 사용해 리튬철인산염(LFP) 배터리 원료인 인산철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허 출원

4. 탑머티리얼(+20%)은 오늘 고성능 LFP 양극재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141억원 설비투자 공시. 에코앤드림(+5.9%)은 어제 새만금에서 전구체 신공장 착공식. 엘앤에프(+3.7%)도 KOSPI에서 선방(작년 LS와 합작해 새만금에 전구체 공장 건설 발표)

5. 오늘은 반도체 트렌드처럼 장비주 상승. 디이엔티 +18%(배터리 레이저 노칭, 프레스 장비), 윤성에프앤씨 +14%(전극 공정 믹싱장비), 필에너지+6.2%(스태킹, 레이저 노칭 장비), 피엔티 +5.8%(롤투롤 공정 장비, LFP배터리 직접 생산 계획), 강원에너지 +5.0%(포스코퓨처엠 광양5단계 공장에 양극재 수세설비 공급 계약), 코윈테크 +4.8%(2차전지 자동화 시스템),대보마그네틱 +4.5%(전자석탈철기(EMF)), 하나기술 +4.2%(고속 스태킹 양산라인 장비), 티에스아이 +3.2%(믹싱장비). 필에너지 모회사 필옵틱스(+25%)는 작년 필에너지 물적분할 후 KOSDAQ IPO 당시 약속했던 주주환원을 지난주 공시(현금ㆍ현물배당 233억원 + 자사주 소각 62억원 vs. 시총 2,821억원)

6. 삼성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AGI 반도체 개발 조직을 신설하고 'AGI컴퓨팅랩'으로 명명. 조직의 리더로는 Google 텐서처리장치(TPU) 플랫폼을 설계했던 3명 중 1명인 우동혁 수석 개발자를 영입.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는 흔히 강인공지능(Strong AI)로 분류되는 범용 인공지능. Sam Altman이 AGI 칩 생태계 구축을 위해 $5조~7조(약6,600~9,300조원) 규모의 펀딩 추진 중. 삼성전자는 HBM 등 AI 연산을 돕는 메모리반도체를 넘어 AI 반도체 두뇌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칩을 개발하겠다는 의지. 일단 뉴로모픽(Neuromorphic) 인공지능칩 테스트를 개발한 네패스아크 상한가(네패스 +8.7%, 오픈엣지테크놀로지 +8.0%, 에이직랜드 +4.2%). Meta CEO인 Mark Zuckerberg 방한 및 이재용 회장 회동 조율 소식도 호재로 작용

7. SK하이닉스는 3월 세계 최초 HBM3E 양산, Nvidia 공급 보도. 한미반도체(-3.9%)는 2/14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 후 기를 펴지 못하고 있음. 대신 삼성전자 벤더인 인텍플러스 어제 +14%, 오늘+2.1%. 2차전지에서 언급된 필옵틱스는 최근 유리관통전극(TGV) 장비 개발 완료 후 일부 고객사 파일럿 라인 공급을 알리기도 함. 회사에 따르면 현재는 실리콘 기반의 TSV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글라스로 대체되면서 점차 TGV로 옮겨가는 추세. 최근 AI 시장 개화에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자 실리콘 기판을 대체할 수 있는 유리(글라스) 기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8. 시그네틱스(+20%)는 MaxLinear 및 여타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Molded UnderFill(MUF) 기술 관련 제품 공급 중. MUF는 반도체에 수천 개의 미세 구멍을 뚫어 위아래로 연결하는 TSV 공정 후 반도체 사이에 주입하는 재료. 수직으로 쌓아 올린 여러 개의 반도체를 단단히 굳혀 접합하는 역할. 삼성전자는 그동안 반도체를 수직 연결할 때 독자 개발한 비전도성 접착 필름(NCF)을 사용해왔음. NCF는 반도체 사이사이에 내구성 강한 필름을 넣어 칩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 NCF는 TSV를 뒷받침하는 핵심 소재로 쓰였으나 다루기가 까다로워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었음. 하이닉스도 2세대 HBM까지는 NCF를 썼으나 3세대(HBM2E)부터MR(Mass Reflow)-MUF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짐. 최근 삼성전자는 MUF를 단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경화(몰딩) 장비를 일본에서 구매. 하이닉스에 뒤쳐진 HBM 공정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MUF 도입 전망

9. MSCI 편입 후보군 변동성 확대
* 2/21 주가 등락 (시총 / 유동시총)
엔켐 -2.0% (5.6조원 / 4.1조원)
두산로보틱스 -2.3% (5.0조원 / 1.5조원)
알테오젠 +7.8% (5.0조원 / 3.8조원)
HD현대일렉트릭 -3.0% (4.7조원 / 2.6조원)
HPSP -0.2% (4.7조원 / 2.7조원)
신성델타테크 -18% (3.4조원 / 2.2조원)
현대로템 +3.3% (3.3조원 / 2.1조원)

10. 오늘 대형 특징주는 삼성생명(+8.1%). 작년 1.9조원(YoY +19.7%) 순이익 발표에 자사주 소각 검토 언급으로 급등. 어제 현대차 -4.2%, 오늘 KB금융 -4.1% 하락으로 저PBR 관련주는 주춤. 오늘 525원 배당기준일 T-2인 신한지주 주가는 200원 하락(-0.5%). (증권) 미래에셋증권 +3.2%, 유진투자증권 +6.5%, (자동차) 코오롱모빌리티그룹 +12%, (타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3.6%, (방송) CJ ENM +4.7%, (화학) 애경케미칼 +3.2%, (지주) 대상홀딩스 +8.2%(정치 테마) 상승. 더블유게임즈(+4.5%)는 게임주답지 않게 작년 흑자 전환 및 장기(2023년~2025년) 배당정책 수립 발표 이후 호조

11. 전일 중국은 6개월 만의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발표. 유동성 측면에서 호재. 춘절 연휴 이후 중국 증시 반등세 지속. 오늘도 상해종합 +1.0%, Hang Seng +1.6% 상승. 관련해 한국 소비주도 나쁘지 않은 흐름. (패션) F&F +4.6%, (음식료) 삼양식품 +3.6%, (엔터) 디어유 +3.6%, 하이브+2.9%, (화장품) 코스맥스 +3.2%, 씨앤씨인터내셔널 +4.7%, 브이티+6.2%, 코스메카코리아 +8.3%, 실리콘투 +28%(서구권 매출 증가 기대), (국내 상장 중국기업) 씨엑스아이 +8.9%, 골든센츄리 +7.9%

12.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기술 알키미스트(연금술사) 프로젝트' 신규 테마로 3개 유망 기술(인간의 육체 노동을 대신할 휴머노이드, 미래 반도체 소자, 초연결 지능제조 플랫폼)을 선정, 연구 과제 공고를 한다고 밝힘. 여러 소소한 일정 + 대안 종목 찾기에 로봇주 강세(삼익THK +14%, 해성티피씨+14%). LIG넥스원(+7.5%)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LIG넥스원과 1,663억원 규모 천궁-Ⅱ 2차양산 장입유도탄 관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13. 신성델타테크 장중 고가 +25% → 종가 -18% 마감으로 미친 변동성. 이외 특징주: 링크제니시스 +11%(Elon Musk 뉴럴링크 임상 실험 순항), 위메이드맥스 +3.3%(민주당 비트코인 현물 ETF 투자 허용 공약), 한전기술+4.1%, 두산에너빌리티 +2.8%(원전), 덕산네오룩스 +6.4%(OLED, 실적 기대), 유티아이 +6.3%(핸드셋), 비상교육 +5.1%(교육), 파마리서치+3.4%, 보로노이 +8.9%, 부광약품 +4.
5%, 메드팩토 +16%(헬스케어), 아이센스 +5.8%(대통령실, 소아당뇨 혈당측정기 건보 지원 조기 시행), 젬백스링크 +15%(2/19 보그인터내셔날과 박강규, 유미씨로부터 감사 선임과 현금 배당 건에 대한 의안상정가처분 신청 제기 공시), 하인크코리아 상한가(무상증자 권리락 착시 효과)

14. Nvidia 실적 발표와 FOMC 의사록 모두 시장에 긍정적인 내용이 아닐 것이란 컨센서스. 그러나 조정시 매수하려는 대기 수요의 존재로 낙폭도 제한적. Nvidia 급매를 잡으려는 사람이 많을수록 급매가 나오지 않을 확률 역시 상승. 단기적으로는 시장 상승 모멘텀이 둔화되며 순환매 사이클 지속 가능

(자료) http://tinyurl.com/mry7uufn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2.22 (목)

우려를 압도한 NVDA 실적

(자료) http://tinyurl.com/bdz77em5

엔비디아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높아진 시장 눈높이를 다시 상향시키는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데이터센터 뿐만 아니라 전 사업부의 매출이 기대를 상회했습니다. 제시한 다음 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는 다다음 분기 블룸버그 컨센도 크게 비트하는 자신감 넘치는 수준이었구요.

인상적인 부분은 젠슨 황이 AI산업이 티핑포인트에 도달했다고 언급한 부분입니다. 티핑포인트란, 대중의 반응이 한순간 폭발할 때를 의미합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2.22(목)

[시황 이수정] San Altman 관련 단상

- Sam Altman의 OpenAI 퇴출과 복귀는 이상주의에 대한 자본주의 승리

- AGI는 개발될 수밖에 없으며, 개인은 AI Literacy를 갖추며 자본가가 되어야 함

- $7조 반도체 펀딩은 Nvidia의 독점력을 방증, 장기적으로는 맞춤형 칩으로 진화 여부가 중요

http://tinyurl.com/yc6mke9v

[경제분석 이승훈] 오늘의 차트: 독일 경기부진이 길어질 수 있는 요인들

[화장품/의류 RA 장예종] 칼럼의 재해석: 세포라 키즈

http://tinyurl.com/4fbbs7s4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The Bond Shorts: 이연되는 인하기대, 흔들리는 입찰신뢰 2024.2.22(목)

- 불과 2주 사이 1월 CPI 결과 확인 이후 미국채 시장 입찰심리가 얼어붙을 저도로 쉽지 않은 국면

- 그렇지만 시소게임은 계속되며 4.3%를 넘어서는 금리부담이 다시 채권을 싸게 살 영역이라는 인식을 높일 것으로 판단

(자료) http://tinyurl.com/4n67ywnv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메리츠증권 채권분석 윤여삼]

Policy Watcher: 한국 금통위(2월): Uncertainty, 그래도 예상경로 유지 2024.2.22(목)

- 한은총재 '불확실성 여전히 높다'고 강조, 그러나 우리는 올해 3분기 인하 전망 유지

- 미국 통화정책 완화기대 이연 & 국내 상반기 인하기대 난망에도 불구, 1)내수부진 + 국내 물가안정 기조 유지, 2)미국 정책에 기계적 연동된 것 아님. 3)3개월 이후 인하의 필요성을 열어두는 금통위원 등장으로 2월 금통위 내용 비둘기적 평가 우세

- 당사 예상대로 물가와 금융안정(부동산 PF) 문제가 현실화되면 6개월 내 인하를 감안하여 현 기준금리 부근 국고금리 매수영역으로 판단


(자료) http://tinyurl.com/492bmuja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2.22 (목)

미국 공급망 재편 수혜는 일본?

(자료) http://tinyurl.com/fnahz2a8

오늘 Nikkei225는 전일대비 2.2% 상승, 39,000pt를 돌파하며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어제 엔비디아 실적이 반도체 제조업 관련한 일본 증시 기대감을 불어넣어준 것도 있지만, 미국 공급망 재편에 일본이 수혜일 수 있다는 기대감도 관심가져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항만 크레인 중 80%를 차지하는 중국산 크레인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자국내 생산으로 대체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인프라 투자법안에서 마련한 재원 중 200억 달러를 활용하겠다는 건데요.

핵심은 미국 내 크레인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이 일본 Mitsui E&S의 자회사인 PACECO라는 점입니다. 해당 기업은 비상장 회사이지만, 여기에 따른 주가반응으로 Mitsui E&S는 전일대비 26.2% 급등했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22(목) 마감 시황

젠슨 황 그는 신인가?

1. Nvidia는 모두가 셀온을 우려한 결과 오히려 미리 빠지고 실적발표 후 시간외 상승 중. 지난 분기 매출은 $221억으로 QoQ +22%, YoY +265%, 이중 데이터센터 매출이 $184억으로 QoQ +27%, YoY +409%, EPS는 $5.16으로 QoQ +28%, YoY +546%. 무엇보다 중요한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매출 $240억로 제시. Street 컨센서스 대비 큰 폭의 서프라이즈는 아니나 GPM 77%의 자신감은 Nvidia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 독점기업은 가격수용자가 아니라 가격설정자이기 때문. 젠슨 황 CEO는 가속 컴퓨팅과 생성AI가 전환점(Tipping poin)에 도달해 전반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언급

2. Intel은 IFS(Intel Foundry Services) Connect 2024 행사에서 올해 말 18A(1.8nm) 공정, 2027년까지 14A(1.4nm) 공정 양산 계획 발표. 18A는 기존에 2025년부터 양산 계획이었으나 당겨졌고, 14A 로드맵은 처음 공개됨. 회사는 3년 전 파운드리 사업 재진출을 선언했을 때 냉소적인 시각이 많았지만, 이미 $150억 규모의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고 설명(Intel 자체 물량 제외). 행사 중간에는 Satya Nadella Microsoft CEO가 화상 메시지를 통해 인텔 파운드리와의 협업 소식을 발표. 현지 시각 오후 4시에는 Sam Altman OpenAI CEO도 참석 예정. 바이든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America First), 서구(western) 제조업 재건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음

3. FOMC 의사록 발표 이후 미 국채 금리가 올랐지만 주식시장에서는 아예 묻힘. 일본Nikkei 225 지수는 오늘+2.2% 올라 사상 최고치 경신, 반도체 강세(DISCO +9.4%, 어드반테스트+7.5%, 토와+13%, 니혼마이크로닉스+10%, 도쿄일렉트론+6.0%, 고쿠사이 일렉트릭+5.8%, 동경정밀+5.2% 등). 대만 가권지수+0.9%, 상해종합과 홍콩Hang Seng 지수도+1%대 상승

4. 한국도 올랐으나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 KOSPI +0.4%, KOSDAQ +0.7%. 지수 2,600pt 후반대에서 계속 외국인 선물 매도가 나오며 박스 상단을 뚫지 못하고 있음. SK하이닉스(+5.0%)가 올라도 삼성전자(+0.1%)가 약하고 저PBR 컨셉이 아시아 내에서 겹치면서 외국인 최애의 시장은 되지 못하는 모습

5. Nvidia 시간외 상승+ Mark Zuckerberg 방한에 반도체 약진. 하이닉스 상승에 SK스퀘어(+5.2%) 연동. 당연히 한미반도체(+6.7%)를 위시한 HBM 관련주 강세(피에스케이홀딩스+21%, 제우스+12%, 아이엠티+8.2%, 오픈엣지테크놀로지+8.2%, 에스티아이+7.5%, 윈팩+6.9%, 제너셈+6.4%, 오로스테크놀로지+5.4%)

6. 가온칩스는 일본 토요타 그룹의 토멘 디바이스와 MOU 체결, 일본 시스템 반도체 수주 활동에 대한 의지. 가온칩스는 삼성 파운드리의 디자인솔루션 파트너사 중 유일하게 일본 도쿄에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음. Intel 파운드리 뉴스와 Zuckerberg 방한에 힘입어 상한가

7. 시스템반도체(에이직랜드+16%, 시그네틱스+13%, 어보브반도체+12%, 퀄리타스반도체+9.9%, 테크윙+8.8%, 디아이+8.7%, 칩스앤미디어+7.5%, 넥스트칩+6.9%, 네패스아크+6.1%, 텔레칩스+5.7%, 자람테크놀로지+5.5%, 고영+5.4%, SFA반도체+4.6%, 에이디테크놀로지+4.0%, 매커스+3.6%). OLED 장비(엘오티베큠+17%, 티에스이 +12%), PCB(이수페타시스+6.6%), EUV(에프에스티+9.6%)

8. Google은 오픈소스 AI 모델 '젬마 (Gemma)'를 공개. 그동안 폐쇄형 AI 진영의 대표 주자였던 Google이 오픈소스 AI 모델을 공개한 것은 의외의 행보. 젬마는 제미나이(Gemini)를 개발하는 데 쓰인 것과 동일한 기술로 만들어진 경량 모델. 직접적 수혜주는 없었지만 순환매 측면에서 로봇(두산로보틱스+4.9%, 에브리봇+14%, SNT다이내믹스+3.0%), 소프트웨어(폴라리스 +10%, 리노스 +7.7%, 마음AI +7.1%, 플리토 +6.1%, 이스트소프트 +5.6%, 코난테크놀로지 +4.2%, 한글과컴퓨터 +3.1%) 상승. 최근 외국인들의 삼성전자 제외 삼성그룹주 선호로 삼성에스디에스 +6.9%. 신규상장한 날씨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케이웨더 +137%

9. 어제 국회에서 수출입은행 자본금 한도를 기존 15조원에서 25조원으로 10조원 더 늘리는 내용의 법안 통과. 2022년 폴란드와 맺은 '1차 방산 수출 계약'에서 이미 자기 자본의 40%에 해당하는 약 6조원을 폴란드에 융자해 특정국가에 대한 금융지원 한도 소진. 이에 K9 자주포 308문, K2 전차 820대 등 30조원 규모의 2차 방산 수출 계약을 위해 법정 자본금 한도 증액이 불가피했음. 다행히 최대 난관이던 기획재정위원회 경제재정 법안소위를 통과하며, 법안 처리 마지노선인 오는 29일 국회 본회의도 통과할 것으로 기대. 방산주 반응(현대로템+16%, 풍산 +8.8%)

10. 알테오젠은 장중 Merck와 라이선스 변경 계약 체결 공시. 2020년 6월 맺었던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 라이센스 계약'에서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제품군에 한해 조건을 비독점 → 독점적으로 수정하는 대신, 변경계약 합의금 267억원 수령 + 마일스톤 대금 5,750억원 증액 (MSD 제품 품목허가, 특허연장, 누적 순매출 조건 달성 시) + 마일스톤 달성 후 상업판매에 따른 로열티 수취 조건 추가. 공시후 셀온 매물이 쏟아지며 장중 한때 -9.5%까지 밀렸지만 종가는 +12%로 말아올림. 작년말 고점을 넘어서 52주 신고가 경신. 헬스케어 선별적 선방(지노믹트리+11%, 삼천당제약+3.4%, 레고켐바이오+5.9%, 에이비엘바이오+3.4%). 의대 파업 문제가 심화되며 의료AI 상승(제이엘케이 +9.5%, 뷰노 +6.2%, 루닛 +5.5%)

11. 주주환원책이 이미 확정된 회사보다 나중에 발표될 삼성생명(+4.3%) 각광. 당장 다음주로 배당기준일이 임박한 현대차, 은행주들보다 기아(+2.1%)의 상대적 강세. 이외에는 영원무역홀딩스(+4.8%), 세아제강지주(+5.6%) 정도로 소소. 다음주 월요일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가 임박해 오히려 셀온 경계

12. 윤석열 대통령은 경남 창원시 민생토론회에서 3.3조원 원전 일감, 1조원 특별금융 언급. 또한 소형모듈원전(SMR)을 비롯한 원전 관련 R&D에 4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언(두산에너빌리티 +2.1%, 비에이치아이 +4.0%, 대창솔루션 +10%, 우진엔텍+12%)

13. 이외 특징주는 (초전도체) 아센디오 상한가, 그린리소스+18%, 신성델타테크+12%, (2차전지 중 Laggard) 에코프로머티+3.6%, 레이크머티리얼즈+12%(전고체), (Twitch 철수) 아프리카TV +6.5%, (엔터) 디어유+16%, (보일러) 경동나비엔+6.2%, (교육/의대증원) 아이비김영 상한가

14. 반도체와 저PBR 사이에서 와리가리하다가 지쳐버린 한 달. 지수 상단도 막힌듯한 느낌에 일본 증시를 보며 소외감이 느껴지는 레벨. 그래도 Nvidia를 보면 올해는 실적주 위주의 플레이 유효

(자료) http://tinyurl.com/4evhwkyz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23 (금) 마감 시황

헬스케어 R&D 인력 2,000명 증원

1. 알테오젠(+25%)은 어제 드디어 나온 MSD와의 키트루다 SC 변경 계약 공시에 따른 실적 전망 상향 조정으로 오늘도 급등 . 해외 기술수출(License Out, L/O) 계약에 따른 마일스톤(Milestone, 단계별 기술료) 수령이 기대되는 제약바이오 종목 동반 상승(펩트론 +16%, 바이오다인(1:4 무상증자) +9.8%, 올릭스 +7.5%, 에스티팜 +7.5%, 오스코텍 +6.3%, 삼천당제약 +6.1%, 셀트리온제약 +4.4%, 유한양행 +4.2%)

2. 작년 말 Janssen Biotech에 2.2조원 규모의 항암후보물질 기술 이전 협약을 맺은 레고켐바이오는 오늘 급등했다가 차익실현이 나오며 장중 고가 +11% → 종가 -2.0%으로 마감. 1월 오리온의 인수 발표에 따른 하락 이후의 부담. 레고켐바이오와 함께 4/5~10 AACR(미국 암연구학회) 참여하는 기업도 호조(에이비엘바이오 +5.9%, 큐리언트 +5.1%, 지씨셀 +6.2%)

3. 한편 J&J Innovative Medicine(구 얀센)은 작년 12/21 허가를 신청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세팅, 자사 항암제 '리브리반트(Rybrevant, 성분 아미반타맙)' + 유한양행으로부터 도입한 '레이저티닙(lazertinib, 국내 제품명 렉라자)' 병용요법이 FDA 우선심사(Priority Review) 대상으로 지정되었다고 밝힘. 일반심사 기간은 통상 약 10~12개월인데 우선심사 기간은 6개월. 즉 시판 허가 여부 결정이 기존 10~11월에서 이르면 6~8월로 앞당겨진 것. 레이저티닙과 NSCLC 1차 치료제 시장에서 경쟁할 AstraZeneca(AZ)의 표적항암제 '타그리소(Tagrisso, 성분 오시머티닙) + 화학요법' 병용은 작년 10월 FDA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돼 심사 4개월 만인 올해 2/19 승인받았기 때문에 '리브리반트+레이저티닙' 역시 8월이 아닌 6월 심사 결과 기대

4. 메드팩토(+16%)는 데스모이드 종양 치료에 대한 '백토서팁 + 이마티닙' 병용요법 관련 논문이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됨. 작년 말 FDA로부터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백토서팁 + 펨브롤리주맙(제품명 키트루다)'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은 바 있음

5. 자금 여력이 마땅치 않은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임상 1~3상 단계에서 신약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판단 하에 기술수출을 진행. 파이프라인 권리를 파트너 기업에게 팔되, 초기 계약금과 기술이전료 + 개발 단계별 기술 수입료(마일스톤) + 생산된 제품의 경상기술료(로열티)를 받는 방식. 알테오젠이 전환사채 발행, 주주배정 유상증자 없이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만으로 흑자 전환하며 박수를 받을 수 있는 이유

6. 반면 HLB는 위암, 간암, 대장암, 선양낭성암종 등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중인 경구용 표적항암제 = 리보세라닙(Rivoceranib) 임상 3상과 상업화를 자체 힘으로 성공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16년 동안 투자하며 주주들과 고통을 공유함. 2019년에는 위암 3차 치료제 다국가 임상 3상에 실패하며 시장의 충격을 안긴 바 있음. 현재 리보세라닙은 R&D 파이프라인에서 간암 1차 치료제와 위암 3차 치료제 글로벌 3상을 마침. 이중 현재 상용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파이프라인은 간암 1차 치료제. '리보세라닙' +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은 3월 중 FDA 파이널 리뷰, 5/16 신약허가(NDA, New Drug Application) 일정을 앞두고 있음. 이벤트 공백기에 제3지대로 헬스케어에 주목

7. 미국에서도 비만주(Novo Nordisk +4.3%, Eli Lilly +3.2%)와 AI 신약개발(Recursion Pharmaceuticals +21%, Exscientia +9.4%) 상승. 우리 정부는 대학별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신청을 3/4까지 받기로 하고, 병의원 비대면진료 전면 허용 발표(유비케어 +15%, 비트컴퓨터 +5.9%, 알서포트 +4.3%)

8. Nvidia +16% 상승, 사상최고치 경신. 반도체 전반 강세(AMD +11%, ASML +4.8%, AMAT +4.9%, CDNS +5.1%, SNPS +6.9%), Micron(+5.4%)도 간만에 반등, Super Micro Computer(SMCI +33%) 급등. 빅테크도 상승(Meta +3.9%, Amazon +3.6%, Microsoft +2.4%). 일일 순 방문자수 7,000만명의 북미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 Reddit(RDDT) IPO 추진. Sam Altman이 주요 주주로 등재되어 있음. Reddit은 증권신고서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보유량도 공개. 한편 Nvidia 급등에 월드코인(WLD) +21% 상승, 백서 기준 100억 개를 발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기반한 완전 희석 시총은 $865억(약 115조원)으로 Open AI(비상장, $860억으로 평가)를 넘어섬. 코인 시세 회복에 Coinbase +5.2%

9. 오늘 한국은 SK하이닉스(+3.1%)가 52주 신고가 경신. 다만 시가(+6.7%)보다 종가가 낮게 끝나 음봉 기록(에이디테크놀로지 +15%, 고영 +11%, 티이엠씨 +6.7%, 와이씨켐 +18%, 파두 +5.0%). 대신 삼성 AGI 반도체 개발 기대에 뉴로모픽 칩 테마가 두드러짐(앤씨앤 +22%, 에이직랜드 +20%, 자람테크놀로지 +7.0%, 네패스아크(단기과열 지정예고) +4.1%)

10. KoAct 배당성장액티브 ETF 2/27 상장 예정. 기존에도 배당 관련 ETF는 많았지만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의 세부안을 발표한 바로 다음 날 상장하면서 밸류업 1호 ETF로 분류, 시장의 주목도 상승. 현금 창출 능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배당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에 투자. 배당수익률과 함께 ROE, 잉여현금흐름 등의 지표도 고려한다는 방침. 총 45개 종목을 편입하는데 최대비중 종목은 하나금융지주와 현대차(비중 8%)이며 LG화학, 삼성전자(5%), 한화, HD현대, 삼성물산, LG(4%) 등 지주사가 다음. 고배당 종목만 담는 것이 아니라 주주환원책 강화에 따른 주가 상승에 타겟(연 분배율이 다른 고배당 ETF보다 1~2%포인트 낮은 4.2% 수준). 오늘 시장은 금융주 위주로 반영

* 2/23 저PBR 특징주
- 금융: 하나금융지주 +3.3%, 메리츠금융지주 +9.3% (김용범 메리츠금융 부회장 "주주환원, 순익 50% 이상도 가능"), DB손해보험 +4.5%, 삼성증권 +3.6%, 키움증권 +3.9%, 삼성화재우 +3.3%, 한화손해보험 +7.1%

- 기타: 한국전력 +2.2%, 영원무역홀딩스 +5.4%, 세아베스틸지주 +7.6%, 넥센타이어 +3.2%, 롯데렌탈 +3.2%, 빙그레 +3.6%

11. 코오롱모빌리티그룹(+11%)은 무슨 상관인가 싶지만 고객사인 로터스의 전기차 부문 계열사인 로터스 테크놀로지가 2/23 오늘 NASDAQ에서 거래를 시작할 예정.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지난해 5월 로터스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한 국내 유일의 로터스 공식 수입사. 이외 특징주: [Vision Pro] 롯데정보통신 +5.7%, [MWC/6G] 아이즈비전 +13%, [로봇] 에브리봇 +16%, [2차전지] 지오릿에너지 상한가(리튬), 탑머티리얼 +8.0%(LFP 양극재), 덕산테코피아 +8.3%(전해액), 이수스페셜티케미컬 +6.1%(전고체), [임플란트] 덴티움 +8.2%, [결제] NHN KCP +5.9%, [Twitch/치지직] 플레이디 +16%, [IPO] 코셈 +60%, 이에이트 +13%, [초전도체] 다보링크(신사업 추진)/테라사이언스/아센디오 상한가

12. 다음주는 NASDAQ은 질주와 상관없이 한국 반도체 단기 셀온 여부 vs.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강도가 중요. 다음주 현대차와 은행주 배당락이 있어 고배당주 단기 소강 가능성도 농후. 제3지대를 찾아보는 것도 방법
* 다음주 일정
- 2/24(토) TSMC 일본 구마모토 공장 준공식, 미국 공화당 경선(사우스캐롤라이나)
- 2/25(일)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전국 대표자 비상회의 및 규탄대회
- 2/26(월) MWC 2024(~29),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싱가폴~태국 출장
- 2/27(화) KoAct 배당성장 액티브 ETF 상장, 에이피알 IPO, 바이오다인 무상증자 신주배정기준일 T-2, Twitch 한국 서비스 종료, 미국 공화당 경선(미시간)
- 2/28(수) 유럽 영상의학회 ECR 2024(~3/2), 한미반도체 단기과열종목 지정 기한, 휴림로봇 주식병합 거래 재개,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사업 기업 결정
- 2/29(목) MSCI 분기 리뷰 적용(에코프로머티/한진칼 편입), 셀트리온헬스케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출시
- 3/1(금) 삼일절 휴장, FDA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파이널 리뷰(3월 중)

* 배당 일정
- 2/26(월) 하나금융지주/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배당기준일 T-2
- 2/27(화) 현대차, KB금융/JB금융지주/BNK금융지주 배당기준일 T-2

(자료) http://tinyurl.com/5xt7whmw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4.2.26 (월)

생각보다 빨리 윤곽이 보이는 듯한 미국 대선

(자료) http://tinyurl.com/at54fmvz

공화당 2위 후보 헤일리가 주지사로 지냈던 사우스 캐롤라이나 프라이머리는 트럼프를 이길 수도 있다는 이변 기대감이 그나마 있었던 지역이었습니다. 그런데 투표 결과 트럼프의 압승이었습니다. 유일한 변수였던 사법 리스크도 2월 초 사실상 해소된 것이 확인되어 공화당 대선 후보는 예상대로 트럼프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선에 대한 주식 시장 대응은 생각보다 빠르게 심플해지는 것 같습니다. 바이든이 대선 승리의 key인 경합주에서 승리를 위해 전기차 목표를 늦추면서 주식시장 관점에서 대선 결과로 전기차에 베팅하는 것은 이미 힘을 잃었다고 봅니다. 대선 결과에 따른 남은 변수는 미국의 국제관계 정도인 것 같습니다. 첨단기술 지원, 중국견제는 초당적 사안이구요.

대선 결과 측면에서 또다른 대선 변수로 떠오르는 테일러 스위프트 효과(민주당 지지)는 이미 미국 사람들도 상당 부분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라 오히려 대선 관련 서베이에 이미 녹아져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입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해외채/크레딧 임제혁]
The Bond Weekly: 미국채 금리, 조정의 막바지 2024.2.26(월)

- 선물 반영 연내 인하 기대 3.2번으로 조정, 연준이 12월 제시한 인하폭에 도달

- 기존에 제시한 미국채 10년 4.3% 유의미한 상단. 추가적인 상승폭 제한적일 것

- 중소기업 중심의 고용둔화 기조 지속 중. 본격화되는 부채부담 또한 부담 요인

http://tinyurl.com/5a3n73pa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26(월) 마감 시황

대장주로 응집

1.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세부 방안 발표 후 셀온에 하락. 적극적인 주주 환원을 유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센티브(당근) 혹은 페널티(채찍)의 부재로 실망 매물 우세. 다만 정부는 상반기 내에 추가 세미나 등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세제지원 방안은 준비되는 것부터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힘

2. 외국인은 오전 KOSPI 현물 -1,144억원 순매도에서 오후 들어 순매수 전환, +1,143억원. 선물 역시 오전 10시 30분경 -1,745억원에서 종가 +2,345억원 순매수로 전환. KOSPI 지수 장중 저가 -1.42%에서 절반 가량 되돌린 -0.77%로 마감. 외국인은 KOSDAQ도 +2,345억원 순매수, 지수 -0.13% 강보합

3. 알테오젠(+19%)과 엔켐(+12%) 2대장이 KOSDAQ 견인. 이들은 다음 MSCI 편입 후보군이기도 함. 알테오젠은 파도파도 미담만 나오는 상황. (a) MSD의 키트루다가 유럽의약청 산하 의약품 위원회(CHMP)로부터 긍정적인 의견을 받아 EU에서 시판 승인을 위한 단계 중 하나 통과. (b) 알테오젠이 2017년 중국 치루제약(Qilu Pharmaceutical)에 기술이전 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ALT-L2의 임상 완료에 따른 마일스톤 청구, (c) 3/6~3/8 '2024 한경바이오인사이트 포럼'에 발표 기업으로 참가해 IR 예정

4. (d) 항체약물접합체(ADC) 피하주사(SC) 플랫폼 기술 개발: 주말 사이 전태연 알테오젠 부사장의 “동네 병원서 항암제 맞는 시대 열린다” 인터뷰가 화제. ADC를 상업화한 기업과 물질이전 계약 체결 단계에 있고, 이 회사가 동물실험에서 ADC도 피하주사로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언급. 현재 개발된 ADC 제품은 대부분 정맥주사(IV) 제형으로 SC 제형 제품은 전무. ADC 뿐만 아니라, 이중항체, RNA(리보핵산)의약품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힘. 마침 작년 10월 MSD는 일본 Daiichi Sankyo와 ADC 3종에 대한 글로벌 개발ㆍ상업화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계약금 $40억(약 5.4조원), 전체 계약 규모 $220억(약 30조원))

5. 알테오젠에 고무된 제약/바이오 업종 강세. 바이오(앱클론 +14%, 와이바이오로직스 +12%, 지아이이노베이션 +10%, 툴젠 +7.2%, 강스템바이오텍 +4.6%, 오스코텍 +4.6%, 에이비엘바이오 +4.2%, 고바이오랩 +4.1%). 제약(퓨쳐켐 +12%, 녹십자웰빙 +9.1%, 네오이뮨텍 +5.7%, 메드팩토 +4.9%, 대화제약 +4.6%, 유한양행 +4.3%, 큐리언트 +4.2%, 에이프릴바이오 +3.3%). 한편 메디톡스(-13%)는 비동물성 액상형 보툴리눔톡신 제제 ‘MT10109L’의 FDA 품목허가(BLA) 심사가 거절됐다고 공시하며 52주 신저가에서 다시 급락

6. 엔켐(+12%)도 양극재 제외 2차전지 밸류체인 상승 견인(이수스페셜티케미컬 +22%, 필에너지 +10%, 애경케미칼 +8.2%, 광무 +6.8%, 강원에너지 +6.4%, 에코앤드림 +6.4%, 레이크머티리얼즈 +3.7%, 중앙첨단소재 +2.7%). OLD 2차전지 중에는 엘앤에프(+3.3%)가 그나마 Bottom-fishing

7. 지난주 금요일 2개 분기 연속 흑자 발표로 추정치가 상향조정된 한국전력(+5.5%) 52주 신고가 경신. 2021~22년 적자로 인한 무배당 이후 배당 재개 가능성과 총선 이후 주택용 전기요금 인상 기대감 반영. 오늘 장중 호실적(2023년 매출 YoY +8.6%, 영업이익 YoY +159%, 당기순이익 YoY +356%)을 발표한 성우하이텍도 급등(+17%). KOSDAQ에서 귀한 PBR 1배 미만 종목

8. 반면 지역난방공사는 4분기 영업이익이 4,933억원(vs. 예상치 155억원)으로 시총(4,573억원)보다 많이 나온 것으로 발표돼 장중 상한가, 이후 연료비 미수금(4,179억원)이 한꺼번에 회계 반영되며 생긴 착시임이 인지되며 종가 +2.0%까지 밀림. 다만 일회성을 제외하고 보더라도 5개 분기 연속 영업손실 후 흑자 전환(754억원)은 긍정적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7.9%)도 방산 수출에 따른 호실적 기대가 주가 견인. 오늘 루마니아에 1조 규모 'K9' 수출 풍문 관련 협의 중 but 미확정, 1개월 이내 재공시 예정이라고 발표. 한화오션(+4.8%)은 지난주 오세아니아 선주와 VLCC 2척 건조 계약 발표(3,420억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가)에 이어 카타르 에너지와 표준 선형급 LNG 운반선 12척 (기존) + 초대형 선형인 Q-max LNG 운반선 수척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짐

10. 넷마블(+3.5%)은 4년 만에 발행한 회사채 2,000억원이 완판됨. 금리가 5%를 넘는 수준으로 결정되면 4,000억원까지 증액하려 했으나 이 부분은 불투명. 2/28 이번주 수요일 ‘제2의 나라: 크로스월드’ 중국 출시 예정. 또한 인기 웹툰 IP로 제작한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를 비롯해 신작 3종 상반기 내 런칭 계획

11. 업종 내 1등주=대장주만 살아남는 현상 심화. HD현대일렉트릭(+3.9%)은 AI 붐에 각광받는 K-변압기 3대장 중 단연 앞서는 모습. 알테오젠, 엔켐 만큼 안전빵은 아니지만 시가총액 수준이 MSCI 편입 후보군에 속하며, 데이터센터가 필요로 하는 초고압 변압기 매출 비중이 타사 대비 높다는 장점. 2030년까지 생산 능력을 2배로 늘릴 계획

12. 반도체도 대장인 한미반도체의 약진. 장중 고가 +15% → 종가 +5.3%로 밀리긴 했으나 2/14부터 단기과열종목(3거래일 단일가매매) 지정예고에 걸려 주가가 많이 오르면 안되기 때문. 업종 전반이 오르기보다 개별주 움직임(큐알티 +11%, 케이씨텍 +11%, 에이직랜드 +5.7%, 이오테크닉스 +4.5%, 주성엔지니어링 +4.2%, 에스티아이 +3.4%, 오로스테크놀로지 +3.1%)

13. 효성(-5.1%)은 금요일 분할계획 공시. 존속 법인이 신설법인을 자회사로 두는 물적 분할이 아니라 존속법인 주주들이 일정 비율로 신설법인 지분을 나눠 갖는 인적 분할 방식. 즉 '형제 공동 경영'에서 '각자 경영' 체제로 전환 예정. 기존 지주사 효성은 조석래 명예회장의 장남, 조현준 회장이 그대로 대표를 맡고, 신설 지주사는 3남인 조현상 부회장이 대표를 맡게 됨. 자산은 존속지주 0.82 : 신설지주 0.18 비율로 분할. 존속지주사에 효성화학, 중공업, 티앤씨, ITX가 남고, 신설지주사에 신사업이 배정되며 효성첨단소재가 속하게 됨(오늘 주가 효성중공업 +4.9%, 효성첨단소재 +3.1%). 6/14 임시 주주총회, 6/28 분할신주배정기준일, 6/27~7/28 매매거래정지, 7/29 변경상장 예정

14. 이외 특징주: (신규주) 코셈 상한가, 레이저옵텍 +25%, 사피엔반도체 +12%, 케이웨더 +9.0%, (파묘 흥행/영화) CJ CGV +5.7%, NEW +5.7%, 쇼박스 +5.2%, (AI소프트웨어) 포바이포 +14%, 한글과컴퓨터 +3.5%, (핸드셋) 유티아이 +5.6%, (6G) 에이스테크 +12%, 와이팜 +10%, (초전도체) 테라사이언스 상한가, (원전) 현대건설 +2.1% (불가리아 원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15. 오늘 밸류업 셀온은 이번주 배당락 회피 매도가 선행한 측면도 있음. 외국인이나 연기금이 적극적으로 매수해주지 않는다면 지수 박스권 내에서 당분간 일정 매매가 횡행할 가능성. 저PBR 2차 랠리를 위해서는 총선 결과에 따라 정책의 강도가 결정될 필요

(자료) http://tinyurl.com/mvddcd78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2.27(화)

[Passive/ETF 최병욱] Strategy Idea: 일본 ETF 투자가이드: (2) 밸류업 프로그램

- 국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향후 가늠을 위해 모델인 일본 확인해볼 필요

- 국내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당근과 채찍. 강제성 vs 인센티브

- 일본 JPX Prime 150 Index ETF 출시. 향후 모니터링 필요

http://tinyurl.com/2tfpfx7j

[선진국 황수욱] 오늘의 차트: 일본 백화점 주가 상승을 이끈 요인들

[통신/미디어 RA 김민영] 칼럼의 재해석: 일본 음악 시장 내 K-Pop 추가 수요 기대

http://tinyurl.com/mr2y4jy7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27(화) 마감 시황

아무 일도 없으면 어떡하지

0. Nvidia와 Tesla의 상대강도가 순환매를 시사. 호재나 일정이 없으면 주가가 취약해질 수 있음

1-1. Micron(+4.0%), 5세대 HBM3E 양산 발표, 기존 예상보다 1~2개 분기 이른 시작. 25GB 용량에 8단(H) 제품으로 경쟁사보다 30% 적은 전력 소비 주장. 2분기부터 출하를 시작하는 Nvidia H200 GPU에 장착될 예정

1-2. SK하이닉스(-4.9%)도 HBM3E를 상반기 중 양산할 계획이지만, 4세대 HBM3를 Nvidia에 독점 공급하며 누렸던 프리미엄이 5세대부터는 깨질 것이란 우려에 주가 하락. 한편 삼성전자(+0.1%)는 세계 최초로 36GB 12단 HBM3E 개발에 성공했으며 샘플을 고객사에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밝힘. 상반기 중 HBM3E 양산, 2025년 차세대 HBM4 샘플링, 2026년 양산 계획

1-3. 결국 메모리 3사 간 수율 경쟁. TSMC 패키징 병목현상만 해소되면 AI 반도체도 출하량 확대로 Commodity화. 주도권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넘어갈 개연성

1-4. 일단 HBM 양산 뉴스에 관련주 강세. 한미반도체(+6.4%) 내일 홍콩 IR 예정, 큐알티(+25%)는 회사의 악성루머(유상증자, 최대주주 지분 매각설 등) 적극적 부인 & 2대주주(신기술사업투자조합)로 추정되는 기타법인 매도(오버행) 마무리 인식에 급등(예스티 +16%, 아이엠티 +12%, 케이씨텍 +8.6%, 제우스 +7.8%, 피에스케이홀딩스 +5.3%, 오로스테크놀로지 +4.9%, 오픈엣지테크놀로지 +4.1% / 주성엔지니어링 +3.9%(비메모리), 코세스 +6.4%(On-Device))

2-1. 비트코인 $54,000 돌파, 2년 만에 최고가. 4월 비트코인 반감기, 5월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일정과 MicroStrategy의 3,000BTC 추가 매입 발표가 호재로 작용, Coinbase 주가 +17%

2-2. 한국에서는 지난주 더불어민주당이 4·10 총선 공약으로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 중개와 투자 허용을 추진한다는 뉴스. 또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5월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비트코인 현물 ETF를 논의(기존)할뿐만 아니라 대체불가능토큰(NFT)을 가상자산 분야에 포함시킬지도 협의한다는 단독 기사(어제). 두나무/STO/NFT 관련주 상승(한화투자증권 +5.7%, 갤럭시아에스엠 +25%, 우리기술투자 +10%, 아이티센 +6.2%, 핑거 +6.0%, 갤럭시아머니트리 +5.9%, 헥토파이낸셜 +4.9%, 케이옥션 +2.9%, 서울옥션 +2.6%)

3-1. ARK Invest의 Cathie Wood는 최근 Nvidia, TSMC 고가 매도 & Tesla 저가 매수. 또한 중국 전기차 업체 Li Auto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순익을 기록하며 ADR이 +19% 폭등하자 미국에서 전기차 연쇄 상승(Xpeng +6.8%, Rivian +6.3%, Nio +4.6%, Lucid Motors +4.3%, Tesla +3.9%). 홍콩에서 Li Auto +25%(본토 BYD +4.1%)

3-2. 반면 한국 2차전지 주가 반응은 미미(강원에너지 +16%). 엔켐(+0.5%)은 투자경고종목 지정일 2/14부터 나름 자중한 결과 내일부터 투자경고종목 지정 해제. 에코프로비엠(-2.3%)은 장 마감 후 이전상장 이사회 결의 발표, 3/26 정기주총에 의안 상정, 시간외 +9%

4. 지수 하락시 풋종목 역할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7.8%) 이틀 연속 강세, 신고가 경신. 호재와 일정 풍년: 이스라엘 Elbit Systems와 호주 수출형 미래형 궤도 보병전투장갑차량(IFV) '레드백'에 장착하기 위한 $6억(약 8,000억원) 규모의 첨단 방호 시스템 계약 기사. 오늘 도심항공교통(UAM) 활용 촉진 및 지원을 위한 법률(2023-10-24 공포, 2024-04-25 시행) 시행령 제정령안 입법예고. 2/28 차세대발사체 체계종합사업 개발 입찰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단독 신청, 2/29 수출입은행 자본금 확대법 본회의 처리 예정(한화시스템 +3.5%)

5.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은 올해 국내 함정사업에서 가장 큰 이벤트. 총 수주 금액 7.8조원 규모로 2030년까지 6000톤(t)급 한국형 이지스 구축함 6척의 실전 배치를 목표로 함. 앞서 한화오션이 개념설계를 수행, HD현대중공업이 지난해 말 기본설계를 완료. 방위사업청은 오늘 오후 2시 계약심의위원회를 열고 군사기밀 유출로 논란이 된 HD현대중공업의 입찰 참가자격 제한 여부를 심의(HD현대중공업 +4.7%, 한화오션 +5.2%, 삼성중공업 +3.5%, HD한국조선해양 +2.1% / 대양전기공업 +7.3%, 세진중공업 +3.6%, HSD엔진 +3.1%)

6-1. 셀트리온(+4.7%)은 2024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CCO, 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zation)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의 장기 유효성 및 안전성 관련 연구결과를 처음 공개. 또한 최근 시장에서 확산되고 있는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특허 소송 패소 루머’에 대해 오히려 특허권자의 특허 포기에 따른 소송 종료라며 반박(셀트리온제약 +9.0%)

6-2. 대장주 알테오젠(+0.6%)은 오늘도 선방했으나 내일부터 투자경고종목 지정. 국전약품(+15%)은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한 췌장암 치료 후보물질이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 Orphan Drug Designation)으로 지정되자, 에스엔바이오와 JV를 설립한 이력이 부각되며 상승. 앱클론(+11%)은 기술 수출한 AC101이 현재 중국 상하이 헨리우스 바이오텍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라는 뉴스에 최근 상승. 이외 기술수출 플랫폼 등 개별주 시세(메드팩토 +9.2%, 큐라클 +16%). 펩트론(-17%)은 갑작스런 주가 급락에 회사가 "계획된 일들을 실행하고 있으며 다른 이상 징후나 문제점이 없다"며 공시

6-3. 경영권 분쟁: 한미약품그룹 장·차남은 본인들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주주제안을 3월 열릴 예정인 한미사이언스 주주총회 의안으로 상정해달라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 수원지방법원의 심문기일은 3/6, 예전에 제기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사건의 두 번째 심문기일도 같은 날(한미사이언스 +5.5%)

7. 오늘은 현대차/우/2우B/3우B, KB금융, 우리/DGB/JB/BNK금융지주 결산 배당기준(2/29)일 T-2. 즉 오늘까지 갖고 있어야 배당이 나오고 내일이 배당락. 배당기준일이 하루 먼저였던 하나금융지주(DPS 1,600원)를 보면 어제 주가가 미리 빠졌기 때문에(종가 기준 전일 대비 -3,500원) 오늘 배당락이 다 나오지는 않음(-700원). 오늘 상장한 밸류업 프로그램 1호 ETF, KoAct 배당성장 액티브 ETF는 시가총액 98억원으로 소소하게 시작

8. Mark Zuckerberg 2/28~29 방한을 하루 앞두고 일본 도착, Meta 테마주 플레이디 +14%. 동일고무벨트(DRB)는 'DRB·한국과학기술원(KAIST) 스케치더퓨처 연구센터'를 설립, 카이스트와 AI·VR 기술 결합 초고속 개발 프로세스를 공개해 상한가(DRB동일 상한가). LG전자-Microsoft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로봇 비서인 ‘스마트홈 AI 에이전트’의 기능을 강화하기로 함(로보스타 +16%, 피제이전자 +12%, 인탑스 +6.0%)

9. 특징주: [Twitch 장례식] 아프리카TV +5.2%, [IPO] 에이피알 +27%, [호실적] 지역난방공사 +4.2%(어제) vs. 한국가스공사 시간외 -5.7%(미수금 15.7조원, 작년 7,474억원 당기순손실) [엔터] 하이브 -7.1%, 에스엠 -3.5%(에스파 카리나 열애 인정), [셀온] 뷰노 -7.8% (내일 유럽 영상의학회 ECR 2024)
10. 주도주들도 시장조치의 향연
- 단기과열종목 지정예고: 한미반도체, 솔브레인홀딩스(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
- 단기과열: 탑머티리얼
- 투자주의: 엔켐, 신성델타테크(내일부터, 투자경고에서 격하)
- 투자경고: 에코앤드림(2/16~), 테크윙(2/23~), HD현대일렉트릭(오늘부터), 알테오젠(내일부터)

(자료) http://tinyurl.com/3cak4j2z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4.2.28(수)

[채권전략 윤여삼] Strategy Idea: 해외부동산, 위기보다는 관리가 필요

- NYCB 사태 이후 미국과 주요국 중소형 은행들의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CRE) 투자로 인한 신용위험 가능성 부각. 한국 역시 70조원대 익스포져로 불안심리 고조

- 금리가 소폭 하락했지만 고금리 환경 지속될 경우 평가손실 및 재투자(roll-over) 문제 심각해질 것. 이를 감안할 때 미국 중심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기조 전환 기대

- 문제가 된 대외 금융기관대비 한국 기관들 해외 CRE, 관리 가능 수준 위험으로 평가


(자료) http://tinyurl.com/bdh36tk2


[경제분석 이승훈] 칼럼의 재해석: 미국 소비자들의 식비 부담 증가


(자료) http://tinyurl.com/5n92ezy6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228(수) 마감 시황

청산가치 = PBR 1배 = 상폐빔

0. 3월을 대비하는 매매 필요. PBR 1배 미만이거나, 일정이 있어야 함

1-1. 월요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에서 부족했던 두 가지를 오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언급해주며 관련주 되돌림. (1) 불량 상장사를 증권 시장에서 퇴출할 수 있다고 밝혀 '페널티(채찍)' 제시, (2) 상법이나 자본시장법상 이사회의 주주에 대한 성실의무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언급. (1)은 청산가치 = PBR 1배 즉각 반영 및 강제 숏커버에 따른 주가 급등, '상폐빔'을 의미, (2)는 주주 행동주의를 뒷받침, 주주총회가 예정된 종목에 매수 몰릴 가능성

1-2. 무엇보다 수급이 뒷받침. 외국인은 이복현 금감원장 발언 이후 순매수를 확대해 KOSPI 현물 +4,590억원, 선물 +4,744억원 양매수. 지수 2,700pt 이상은 부담스러워도 2,600pt 초반은 바닥 인식. 특히 오늘 배당락으로 어제 종가 대비 한때 -7,000원(-2.94%) 빠지고 있던 현대차는 종가에 오히려 +9,500원(+3.98%) 오르며 종료. 외국인 기관 쌍끌이 매수

1-3. 호재 또는 3월 일정 존재 여부가 주가 상승폭 결정. [자동차] 3/6 현대차 인도법인 IPO 관련 재공시 기한, 3/20 기아 배당기준일. [지주] 3/15 삼성물산 주주총회(주주제안 표 대결). [시클리컬] 3/4~5 중국 양회. 한편 1분기 배당이 남아있지만 결산 배당에 비하면 미미하고 벌써 살 필요가 없는 은행주는 상대적 약세. 건설업종은 작년 4월 발생한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에 따라 서울시가 시공사 GS건설에 내린 영업정지 처분의 효력을 법원이 정지하며 반등. GS건설은 3월 예정됐던 영업정지를 일단은 피할 수 있게 됨

* 2/28 밸류업 프로그램 특징주
- 자동차: 현대차 +4.0%, 현대차2우B +2.4%, 기아 +4.5%, 현대모비스 +3.6%

- 금융: 삼성생명 +12%(52주 신고가), DB손해보험 +4.1%, 미래에셋증권 +4.0%, 동양생명 +4.7%, 신한지주 +2.1%

- 지주: 삼성물산 +5.6%, 삼성물산우B +4.7%, SK +4.4%, SK우 +3.2%, SK스퀘어 +4.1%, SK네트웍스 +3.4%, HD현대 +3.8%, GS +4.4%, 롯데지주 +4.8%, 한화 +4.6%, 다우기술 +5.6%

- 기타: [정유] S-Oil +4.1%, [건설] HDC현대산업개발 +6.1%(52주 신고가), GS건설 +5.8%, [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4.6%, HD현대건설기계 +4.9%. 두산밥캣 +2.2%, [철강] 현대제철 +3.2%, [화학] 금호석유 +4.8%, 태광산업 +5.9%, [소비] LG생활건강 +3.5%, [공기업] 지역난방공사 +3.1%

2. Carlos Del Toro 미국 해군성(Department of the Navy, DoN) 장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 방문. 미군은 본토에서 해군 함정을 유지·보수·정비(MRO)하는 물량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일부 물량을 해외로 돌리는 방안을 검토 중. HD현대중공업은 작년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를 위한 자격인 MSRA(Master Ship Repair Agreement)를 신청했고, 올 초 야드 실사까지 마친 것으로 알려짐(삼성중공업 +4.6%, HD현대중공업 +4.0%, 현대미포조선 +2.8%, STX중공업 +4.7%). 조선기자재는 PBR 1배 미만인 태웅 +5.3%, 태광 +3.9%, 하이록코리아 +3.6%, 1배 이상인 케이에스피 +11%, HSD엔진 +8.0% 상승

3. 한화에어로스페이스(+8.6%(52주 신고가)는 폴란드 정부와 수출 잔여 물량을 논의 중인데 전체 규모가 $130억(18조원)에 달한다는 보도에 3일 연속 급등. 회사는 2022년 폴란드 정부와 K9 자주포 및 천무 다연장로켓 공급에 대한 포괄적 협약인 기본계약(Framework Contract)을 각각 체결했고, 이후 구체적인 계약 이행사항에 대한 협상을 통해 실행계약(Executive Contract)을 체결하고 있다며 18조원은 확정된 수치가 아니라고 해명 공시. 1개월 이내 재공시 예정. 이외에도 2/29 수은법 국회 본회의 통과, 한국항공우주(KAI) 불참으로 유찰된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 단독입찰/수의계약 예정(현대로템 +4.0%, SNT다이내믹스 +4.9%(52주 신고가))

4. AI도 호재 만발. Zuckerberg 드디어 방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국내 대기업 총수들과 만나 AI 사업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 Apple은 애플카(전기차) 개발팀을 해체해 생성형 AI팀으로 이동시켰다는 기사, LG전자가 휴대폰 사업을 접었을 때만큼은 아니지만 주가는 오히려 상승 마감(+0.8%). 오늘 단기과열 지정예고 기한이 종료되고, 홍콩 IR도 있었던 한미반도체(+8.9%) 급등. 주성엔지니어링(+14%), 피에스케이홀딩스(+6.6%)까지 3종목이 52주 신고가. 이외에도 AI반도체 시장 확대 기대에 밈주식 제외 전반적 상승(리노공업 +3.8%, 이오테크닉스 +12%, 이수페타시스 +5.0%, 동진쎄미켐 +4.6%, 에스앤에스텍 +17%, 와이아이케이 +13%, 넥스틴 +8.4%, 네오셈 +5.9%). AI 소프트웨어는 종목장(캡스톤파트너스 +16%, 동일고무벨트 +13%, 이노뎁 +12%, NHN벅스 +11%, 링네트 +11%)

5. 한편 기획재정부가 어제 발표한 '2023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규칙 개정안'에서 국가전략기술 사업화시설의 범위를 확대. 기존에는 반도체, 2차전지, 백신, 디스플레이, 수소, 미래형이동수단, 바이오의약품 등 7개 분야 50개 시설만 인정됐는데 앞으로는 디스플레이와 수소분야 시설이 추가돼 54개 시설로 확대. 국가전략기술 사업화시설로 지정되면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15%, 중소기업은 25%까지 세액공제 혜택(레이저옵텍 +11%)

6. 에코프로비엠(+8.3%)은 어제 장 마감 후 이전상장, 에코프로(+1.6%)는 오늘 장중 주식 1:5 액면분할 공시. 예상된 이벤트지만 주가가 하도 바닥이라 긍정적 반응. 다만 에코프로비엠은 어제 시간외 종가보다 오늘 본장 종가가 낮게 끝나며 차익실현 우세, 전성기가 한참 지난 모습. 리튬 가격 바닥 인식에 Albermarle +5.8%, 한국에서도 리튬주 반응(금양 +3.7%, 미래나노텍 +24%, 지오릿에너지 +15%, 강원에너지 +6.2%). 폐배터리 테마 성일하이텍(+8.7%)도 Bottom-fishing 동참. 3/6~7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주최 '더배터리컨퍼런스 2024'에서 전고체 배터리 전망 발표 예정(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 에코프로머티는 장마감 후 전구체 제조설비 및 황산메탈 제련설비 신규시설투자 공시(9,573억원)

7. 알테오젠(+4.4%)은 MSD 독점 계약 후 며칠 사이 글로벌 톱10 빅파마의 연락이 쇄도하고 있다는 인터뷰. 헬스케어 전반의 상승기는 지나고 당장 L/O가 발표되거나 임상 또는 출시 일정이 잡힌 기업 위주로 시세. 한편 미국 Viking Therapeutics는 비만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임상 2상 성공에 세 번째 비만치료제 개발사 등극 밸류에이션으로 주가 +121%, 한국 비만치료제 관련주는 경쟁사 증가로 인식해 반응 미미(한국비엔씨 +14%, 인벤티지랩 +4.0). 이외에는 지노믹트리 +7.9% (대장암 진단키트 건강보험 급여등재 유력), 삼천당제약 +11% (1/9 아일리아 국내 특허 만료) 정도가 특징주. 내일 셀트리온 짐펜트라(램시마SC) 미국 출시 예정. 치과 테마에서는 덴티스 상한가, 투명교정 소재 'MESHEET' 미국 FDA 승인 획득(덴티움 +5.9%, 디오 +3.7%)
8. 이외 특징주: [플랜트] 삼성엔지니어링 +8.6%, [유통] 호텔신라 +3.0%, 신세계 +3.3%, BGF리테일 +3.0%, [풍력] 씨에스윈드 +4.2%, [영화] 쇼박스 +12% (파묘 흥행), [게임] 디앤씨미디어 +8.7% (3/19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쇼케이스), 데브시스터즈 +7.4% (쿠키런 인도 퍼블리싱 계약 체결), [자율주행] 젬백스링크 +14%, 오토앤 상한가(삼성벤처투자가 차량 IoT 허브시스템 기업인 모다플에 시드투자자로 참여), [M&A] 솔루엠 +6.0%, [무증락 착시효과] 바이오다인 +12%, [액면병합/거래 재개] 휴림로봇 +7.1%

(자료) http://tinyurl.com/wysxa8s5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