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Daily Market Update 2023.9.6 (수)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42%
DOW -0.56%
NASDAQ -0.08%
뉴욕 증시는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속 하락 마감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Daily Market Update 2023.9.6 (수)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42%
DOW -0.56%
NASDAQ -0.08%
뉴욕 증시는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속 하락 마감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Daily Market Update 2023.9.7(목)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70%
DOW -0.57%
NASDAQ -1.06%
뉴욕증시는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속 하락 마감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Daily Market Update 2023.9.7(목)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70%
DOW -0.57%
NASDAQ -1.06%
뉴욕증시는 유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속 하락 마감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3.9.7 (목)
[신흥국 투자전략 최설화] Strategy Idea: 중국은 지금 립스틱 경제
- 중국은 지금 립스틱 경제: 핀둬둬 2Q 매출 고성장, MINISO 신고가 경신, 샘플경제 부상
-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는다면 하반기에도 립스틱 효과는 지속될 전망
- 하반기 립스틱 효과가 강할 부문은 해외여행으로 예상, 한국 내 중국 관광객의 립스틱 효과 수혜는 올리브영이 될 것
https://tinyurl.com/2s3jfcd3
[채권전략 윤여삼] 오늘의 차트: 캐나다 BOC 9월 통화정책회의 금리 동결의 배경
[경제분석RA 남수정] 칼럼의 재해석: Just-In-Time에서 Just-In-Case으로: 공급망 재편과 새로운 전략
https://tinyurl.com/3tmxk2j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신흥국 투자전략 최설화] Strategy Idea: 중국은 지금 립스틱 경제
- 중국은 지금 립스틱 경제: 핀둬둬 2Q 매출 고성장, MINISO 신고가 경신, 샘플경제 부상
-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는다면 하반기에도 립스틱 효과는 지속될 전망
- 하반기 립스틱 효과가 강할 부문은 해외여행으로 예상, 한국 내 중국 관광객의 립스틱 효과 수혜는 올리브영이 될 것
https://tinyurl.com/2s3jfcd3
[채권전략 윤여삼] 오늘의 차트: 캐나다 BOC 9월 통화정책회의 금리 동결의 배경
[경제분석RA 남수정] 칼럼의 재해석: Just-In-Time에서 Just-In-Case으로: 공급망 재편과 새로운 전략
https://tinyurl.com/3tmxk2j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Meritz DM] 매크로 변동성에 가려진 미-중 분쟁 재점화 우려
2023.9.7 (목)
- 불편한 매크로 지표 흐름. WTI 연고점 경신, 달러인덱스도 전일 장중 한때 105pt 상회하면서 SVB 사태 때 나타난 연고점(105.31pt) 근접(104.8pt). 이중 미국채 10년 금리는 전월말대비 17bp 상승한 4.28%, 다시 전고점(4.33%) 트라이 중. 전고점 이후 금리가 다시 안정된 트리거는 8월 23일 발표된 S&P Global PMI 발표. 해당 지표에서 미국, 유럽 공히 서비스업 지수 중심으로 지표가 하락했기 때문
- 통상적인 경우 제조업지수에 관심을 두지만 지난달 실질금리 안정 배경이 서비스업의 동반 둔화 기대였기 때문에 이번 서비스업 지표에 반응이 강했음. 미국 8월 ISM 서비스업지수가 54.5로 전월치(52.7) 상회. PMI가 컨센서스를 2pt 상회한 것은 적지 않은 서프라이즈 수준, 전월대비 하락이 컨센서스(52.5)였던 것에 반해 오히려 상승하며 확장국면 시사. 발표 직후 미국채 10년금리는 약 5bp 상승
- ISM 서비스업지수에 대한 시장 반응만으로 미국 경기 방향을 단정하기는 이름. 연준 베이지북에서는 제조업과 소비재 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물가상승률 둔화, 전반적으로 완만한 경제성장을 언급하며 하반기에는 예상보다 임금상승률이 높았던 상반기와 다를 수 있다고 평가. 금리, 유가, 달러 등 매크로 지표가 전고점 근접에도 실적 개선에 기반해 증시 레벨은 해당 시점보다 높음. 최근 나타나는 금리 변동성이 실적 기반의 증시 추세를 꺾기는 어렵다고 봄
- 어제 이슈 중 더 주목할 부분은 국가간 규제. EU의 빅테크 규제는 이미 시장이 예상하던 범위이나, 중국 공무원의 애플 사용 규제는 경계. 애플의 2Q23 기준 중국향 매출이 19.2%, 이미 매출 성장세에 대한 의구심이 있던 애플, 대장주에 대한 의심은 시장 상단 눈높이를 제한하게 하는 요인. 가장 중요했던 이벤트는 중국의 7나노 반도체 자체 개발 가능성이 확인된 이슈. 최근 군사 용도의 최첨단 기술 중심으로만 규제하겠다며 중국에 다소 우호적인 스탠스였던 미국의 대중 규제가 다시 강화될 가능성. 미국의 대중국 수출규제 회의론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내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양당이 해당 이슈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고려해볼 필요
(자료) https://tinyurl.com/3jrt62dt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DM] 매크로 변동성에 가려진 미-중 분쟁 재점화 우려
2023.9.7 (목)
- 불편한 매크로 지표 흐름. WTI 연고점 경신, 달러인덱스도 전일 장중 한때 105pt 상회하면서 SVB 사태 때 나타난 연고점(105.31pt) 근접(104.8pt). 이중 미국채 10년 금리는 전월말대비 17bp 상승한 4.28%, 다시 전고점(4.33%) 트라이 중. 전고점 이후 금리가 다시 안정된 트리거는 8월 23일 발표된 S&P Global PMI 발표. 해당 지표에서 미국, 유럽 공히 서비스업 지수 중심으로 지표가 하락했기 때문
- 통상적인 경우 제조업지수에 관심을 두지만 지난달 실질금리 안정 배경이 서비스업의 동반 둔화 기대였기 때문에 이번 서비스업 지표에 반응이 강했음. 미국 8월 ISM 서비스업지수가 54.5로 전월치(52.7) 상회. PMI가 컨센서스를 2pt 상회한 것은 적지 않은 서프라이즈 수준, 전월대비 하락이 컨센서스(52.5)였던 것에 반해 오히려 상승하며 확장국면 시사. 발표 직후 미국채 10년금리는 약 5bp 상승
- ISM 서비스업지수에 대한 시장 반응만으로 미국 경기 방향을 단정하기는 이름. 연준 베이지북에서는 제조업과 소비재 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물가상승률 둔화, 전반적으로 완만한 경제성장을 언급하며 하반기에는 예상보다 임금상승률이 높았던 상반기와 다를 수 있다고 평가. 금리, 유가, 달러 등 매크로 지표가 전고점 근접에도 실적 개선에 기반해 증시 레벨은 해당 시점보다 높음. 최근 나타나는 금리 변동성이 실적 기반의 증시 추세를 꺾기는 어렵다고 봄
- 어제 이슈 중 더 주목할 부분은 국가간 규제. EU의 빅테크 규제는 이미 시장이 예상하던 범위이나, 중국 공무원의 애플 사용 규제는 경계. 애플의 2Q23 기준 중국향 매출이 19.2%, 이미 매출 성장세에 대한 의구심이 있던 애플, 대장주에 대한 의심은 시장 상단 눈높이를 제한하게 하는 요인. 가장 중요했던 이벤트는 중국의 7나노 반도체 자체 개발 가능성이 확인된 이슈. 최근 군사 용도의 최첨단 기술 중심으로만 규제하겠다며 중국에 다소 우호적인 스탠스였던 미국의 대중 규제가 다시 강화될 가능성. 미국의 대중국 수출규제 회의론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내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양당이 해당 이슈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고려해볼 필요
(자료) https://tinyurl.com/3jrt62dt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elegram
메리츠 선진국 전략 황수욱
메리츠증권 선진국 투자전략 애널리스트 황수욱 개인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미국, 유럽 탑다운 투자전략 코멘트, 전략공감, 월간보고서 등 주요자료를 업데이트합니다.
미국, 유럽 탑다운 투자전략 코멘트, 전략공감, 월간보고서 등 주요자료를 업데이트합니다.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China Credit Risk Daily, 2023.9.7(목)
<안되면 될 때까지>
-부동산 추가 완화 기대에 홍콩 부동산주 폭등
-중앙정부 차원의 추가 공식 부양책은 부재. 그러나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산하 기관지인 증권시보에서 투자신뢰를 회복하고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1선도시 외 기타 지역에서는 주택 구매제한 요건을 풀 수 있는 만큼 빨리 풀어야 한다고 보도해, 지역별 추가 완화책 출범에 대한 기대가 부각됨.
-또한 외신에서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1선도시 내 핵심구역 외 기타 구역에서의 주택구매제한도 푸는 등 강력한 부양책을 앞으로 몇 주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 이에 정책당국의 공식 언급은 없었으나, 정책 기대감에 홍콩에 상장된 민영 디벨로퍼 주가는 일제히 급등. 특히 부도 위기에 처한 헝다와 SUNAC 주가는 각각 83%, 68% 폭등
-9/5일까지 30개 주요도시의 주택 거래면적은 전년대비 24% 감소. 속도는 느리지만 전일대비 4%p의 낙폭을 축소하는 모습은 긍정적
-정책 기대에 중국발 신용위험이 안정화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빠르게 해소되어 가는 것도 아직 아님. 9월 분기말 앞두고 중국의 단기자금금리는 횡보, 크레딧 스프레드도 소폭 반등, 역외 위안화 환율은 7.32위안/달러까지 절하함. 그러나 역외 달러채권 스프레드는 컨트리가든의 달러 이자 상환으로 소폭 하락함. 전반적으로 중국 정부의 정책 효과를 기다리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
자료: https://tinyurl.com/2zuf7t9n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China Credit Risk Daily, 2023.9.7(목)
<안되면 될 때까지>
-부동산 추가 완화 기대에 홍콩 부동산주 폭등
-중앙정부 차원의 추가 공식 부양책은 부재. 그러나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산하 기관지인 증권시보에서 투자신뢰를 회복하고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1선도시 외 기타 지역에서는 주택 구매제한 요건을 풀 수 있는 만큼 빨리 풀어야 한다고 보도해, 지역별 추가 완화책 출범에 대한 기대가 부각됨.
-또한 외신에서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1선도시 내 핵심구역 외 기타 구역에서의 주택구매제한도 푸는 등 강력한 부양책을 앞으로 몇 주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 이에 정책당국의 공식 언급은 없었으나, 정책 기대감에 홍콩에 상장된 민영 디벨로퍼 주가는 일제히 급등. 특히 부도 위기에 처한 헝다와 SUNAC 주가는 각각 83%, 68% 폭등
-9/5일까지 30개 주요도시의 주택 거래면적은 전년대비 24% 감소. 속도는 느리지만 전일대비 4%p의 낙폭을 축소하는 모습은 긍정적
-정책 기대에 중국발 신용위험이 안정화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빠르게 해소되어 가는 것도 아직 아님. 9월 분기말 앞두고 중국의 단기자금금리는 횡보, 크레딧 스프레드도 소폭 반등, 역외 위안화 환율은 7.32위안/달러까지 절하함. 그러나 역외 달러채권 스프레드는 컨트리가든의 달러 이자 상환으로 소폭 하락함. 전반적으로 중국 정부의 정책 효과를 기다리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
자료: https://tinyurl.com/2zuf7t9n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The Bond Monthly 9월: 不安, 美10년 4.5%와 韓10년 4.0% 2023.9.7(목)
대외) 예상보다 양호한 미국경기와 물가불확실성으로 미국채10년 4.3% 전고점, 추가상승 위험도 제기되나 상승추세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
- 0%대 예상되었던 올해 미국 성장률, GDP 2%p 이상 늘어난 재정적자 확대로 인해 예상보다 높은 2%대까지 올라오면서 채권시장 부담요인 작동
- 미국채 공급증대 부담은 만기가 짧다는 점에서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고물가 장기화 우려 또한 주거비 중심 안정화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
- 미국 추가 인상우려와 기간 프리미엄 확대를 감안해도 미국채10년 4.5% 정도에서 의미있는 수준, 기술적 부담 감안 4.8% 상단 제시에도 매수영역 판단
국내) 미국금리 상승충격이 없었다면 내부적으로 국내 금리상승을 견인할 재료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현 국고3년 3.8%와 국고10년 3.9%대 투자 영역
- 국내 성장률 개선 기대 낮은데다 수출부진과 부동산 위축, PF 문제로 인해 한국 경제회복 탄력 더디게 진행, 2024년까지 경기모멘텀 금리안정 우호적
- 8월 물가 예상보다 반등했고, 가계부채 증가, 외환시장 불안심리 높지만 추가 긴축보다는 중립적 기조 유지하면서 금융안정 조율해 나갈 것
- 기준금리 3.75% 가능성을 일부 반영하고 역캐리 부담을 덜어낸 현 국고금리는 투자 가능영역, 우량 크레딧 중심 깔고 갈 정도의 수익성은 채권에서 확보 가능
(자료) https://tinyurl.com/4c7jef83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t.me/Meritz_strategy
The Bond Monthly 9월: 不安, 美10년 4.5%와 韓10년 4.0% 2023.9.7(목)
대외) 예상보다 양호한 미국경기와 물가불확실성으로 미국채10년 4.3% 전고점, 추가상승 위험도 제기되나 상승추세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
- 0%대 예상되었던 올해 미국 성장률, GDP 2%p 이상 늘어난 재정적자 확대로 인해 예상보다 높은 2%대까지 올라오면서 채권시장 부담요인 작동
- 미국채 공급증대 부담은 만기가 짧다는 점에서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고물가 장기화 우려 또한 주거비 중심 안정화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
- 미국 추가 인상우려와 기간 프리미엄 확대를 감안해도 미국채10년 4.5% 정도에서 의미있는 수준, 기술적 부담 감안 4.8% 상단 제시에도 매수영역 판단
국내) 미국금리 상승충격이 없었다면 내부적으로 국내 금리상승을 견인할 재료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현 국고3년 3.8%와 국고10년 3.9%대 투자 영역
- 국내 성장률 개선 기대 낮은데다 수출부진과 부동산 위축, PF 문제로 인해 한국 경제회복 탄력 더디게 진행, 2024년까지 경기모멘텀 금리안정 우호적
- 8월 물가 예상보다 반등했고, 가계부채 증가, 외환시장 불안심리 높지만 추가 긴축보다는 중립적 기조 유지하면서 금융안정 조율해 나갈 것
- 기준금리 3.75% 가능성을 일부 반영하고 역캐리 부담을 덜어낸 현 국고금리는 투자 가능영역, 우량 크레딧 중심 깔고 갈 정도의 수익성은 채권에서 확보 가능
(자료) https://tinyurl.com/4c7jef83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t.me/Meritz_strategy
Telegram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풍성한 서비스를 위해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채널'을 가동합니다. 국내외 전략, 경제, 채권, 계량, 시황 자료를 한 눈에 정리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많은 애용 부탁드립니다.
채권분석 윤여삼 02)6454-4894
경제분석 이승훈 02)6454-4891
투자전략 이수정 02)6454-4893
풍성한 서비스를 위해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채널'을 가동합니다. 국내외 전략, 경제, 채권, 계량, 시황 자료를 한 눈에 정리할 수 있는 채널입니다. 많은 애용 부탁드립니다.
채권분석 윤여삼 02)6454-4894
경제분석 이승훈 02)6454-4891
투자전략 이수정 02)6454-4893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30907 (목) 마감 시황
집중 투자
1. 중국 Apple 규제(공무원들에게 아이폰 사용 금지령)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LG이노텍(-6.1%)과 비에이치(-7.2%)만 체험. 최근 애플 분기 매출에서 중화권은 16% 차지. 화웨이가 3년만에 5G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 60프로'를 출시하자 자국 제품을 밀어주기 위한 조치. 화웨이 폰에 7나노 반도체를 공급한 SMIC는 미국 조사 우려에 홍콩에서 현재 -7%
2. 국내 증시는 빅테크 규제보다는 유가 및 금리 상승 우려가 주효해 2차전지와 KOSDAQ 위주로 녹아내림. 에코프로 60일 이평선 하향 이탈, 에코프로비엠은 9월 들어 이미 60일선을 뚫고 내려와 120일선 근접. 상반기 개인 매수 & 외국인/기관 숏 → 하반기 개인 차익실현 & 외국인/기관 숏커버 → 에코프로 8월 말 MSCI 편입 이후 뚜렷한 매수 주체가 없어진 상황. 어제 오후부터 흘러내려 오늘 장중 백만원도 깨졌기 때문에 내일 반등하지 못한다면 어려움
3. KOSPI와 KOSDAQ은 20일선(각각 2,548pt, 904.8pt)은 지키며 마감. 오늘 KOSPI 매도 주체는 외국인이 아니라 기관이었음. 외국인은 삼성전자(+924억), SK하이닉스(+287억),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하이퍼클로바X 도입 (단독) 뉴스가 나온 NAVER(+234억) 순매수하며 반도체 선호 지속. 또한 에코프로 매수(+272억)/에코프로비엠 매도(-561억), POSCO홀딩스 매수(+288억)/포스코퓨처엠 매도(-700억), 엘엔에프(-242억), LG에너지솔루션(-234억) 매도로 양극재 확신의 숏 시작
4. 롯데관광개발(-5.5%)은 화요일(9/5) 공개한 8월 실적에서 카지노 매출이 MoM -10.9% 감소해 파라다이스(MoM +23.4%), GKL(MoM +7.3%)에 비해 둔화됨. 드롭액(MoM +2%)은 그대로였으나 홀드율이(13.5%) 낮아짐. 롯광이 CB 발행에 따른 부담이 유독 많은 종목이긴 하나, 호텔신라(-2.3%), LG생활건강(-2.3%) 등도 함께 약했다는 점에서 오늘 올리브영 세일 종료와 함께 중국 소비주 테마도 쉬어갈 가능성
5. AI 테마 + MSCI 편입 후보군 강세 지속. 자율주행: 현대오토에버(시총 5.9조, +7.5%),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3.7조, +8.3%), AI진단: 루닛(3.1조, +5.5%). 이들을 대장으로 아래 종목들도 매일 시세가 나오고 있음. 오늘은 지수 하락 중 반도체의 선방이 돋보임: 파두(2.0조, +5.3%), 하나마이크론(1.5조, +3.7%), 두산테스나(0.8조, +4.0%), 에스티아이(0.5조, +16.6%)
6. "15억 초과 아파트 대출금지 = 아파트 1채의 적정 가격 15억"으로 해석돼 가격 키맞추기가 일어났던 것처럼 업황에 상관없이 MSCI 편입 허들이 목표시총이 되어버린 상황. 금리가 안정되고 새로운 매수세가 유입되어야 쏠림 완화
(자료) https://tinyurl.com/446kxu29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30907 (목) 마감 시황
집중 투자
1. 중국 Apple 규제(공무원들에게 아이폰 사용 금지령)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LG이노텍(-6.1%)과 비에이치(-7.2%)만 체험. 최근 애플 분기 매출에서 중화권은 16% 차지. 화웨이가 3년만에 5G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 60프로'를 출시하자 자국 제품을 밀어주기 위한 조치. 화웨이 폰에 7나노 반도체를 공급한 SMIC는 미국 조사 우려에 홍콩에서 현재 -7%
2. 국내 증시는 빅테크 규제보다는 유가 및 금리 상승 우려가 주효해 2차전지와 KOSDAQ 위주로 녹아내림. 에코프로 60일 이평선 하향 이탈, 에코프로비엠은 9월 들어 이미 60일선을 뚫고 내려와 120일선 근접. 상반기 개인 매수 & 외국인/기관 숏 → 하반기 개인 차익실현 & 외국인/기관 숏커버 → 에코프로 8월 말 MSCI 편입 이후 뚜렷한 매수 주체가 없어진 상황. 어제 오후부터 흘러내려 오늘 장중 백만원도 깨졌기 때문에 내일 반등하지 못한다면 어려움
3. KOSPI와 KOSDAQ은 20일선(각각 2,548pt, 904.8pt)은 지키며 마감. 오늘 KOSPI 매도 주체는 외국인이 아니라 기관이었음. 외국인은 삼성전자(+924억), SK하이닉스(+287억),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하이퍼클로바X 도입 (단독) 뉴스가 나온 NAVER(+234억) 순매수하며 반도체 선호 지속. 또한 에코프로 매수(+272억)/에코프로비엠 매도(-561억), POSCO홀딩스 매수(+288억)/포스코퓨처엠 매도(-700억), 엘엔에프(-242억), LG에너지솔루션(-234억) 매도로 양극재 확신의 숏 시작
4. 롯데관광개발(-5.5%)은 화요일(9/5) 공개한 8월 실적에서 카지노 매출이 MoM -10.9% 감소해 파라다이스(MoM +23.4%), GKL(MoM +7.3%)에 비해 둔화됨. 드롭액(MoM +2%)은 그대로였으나 홀드율이(13.5%) 낮아짐. 롯광이 CB 발행에 따른 부담이 유독 많은 종목이긴 하나, 호텔신라(-2.3%), LG생활건강(-2.3%) 등도 함께 약했다는 점에서 오늘 올리브영 세일 종료와 함께 중국 소비주 테마도 쉬어갈 가능성
5. AI 테마 + MSCI 편입 후보군 강세 지속. 자율주행: 현대오토에버(시총 5.9조, +7.5%),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3.7조, +8.3%), AI진단: 루닛(3.1조, +5.5%). 이들을 대장으로 아래 종목들도 매일 시세가 나오고 있음. 오늘은 지수 하락 중 반도체의 선방이 돋보임: 파두(2.0조, +5.3%), 하나마이크론(1.5조, +3.7%), 두산테스나(0.8조, +4.0%), 에스티아이(0.5조, +16.6%)
6. "15억 초과 아파트 대출금지 = 아파트 1채의 적정 가격 15억"으로 해석돼 가격 키맞추기가 일어났던 것처럼 업황에 상관없이 MSCI 편입 허들이 목표시총이 되어버린 상황. 금리가 안정되고 새로운 매수세가 유입되어야 쏠림 완화
(자료) https://tinyurl.com/446kxu29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Daily Market Update 2023.9.8(금)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32%
DOW +0.17%
NASDAQ -0.89%
뉴욕증시는 중국발 악재에 혼조세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Daily Market Update 2023.9.8(금)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32%
DOW +0.17%
NASDAQ -0.89%
뉴욕증시는 중국발 악재에 혼조세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China Credit Risk Daily, 2023.9.8(금)
<채권시장은 안정적, 주식시장은 일희일비>
-각 지역의 잇따른 구매제한 규제 철폐, 주택 거래지표 개선
-선양, 창춘, 다롄, 난징 등 일부 도시에서 잇따라 부동산시장 부양을 위한 다양한 규제 완화에 나섬. 주요 골자를 요약하면 1) 주택 구매제한 요건을 폐지하고, 2) 이구환신(以舊換新) 등 수요로 주택을 구매하면 이자 보조금을 지급하며, 3) 농민공/대학생이 주택을 적극 장려하는 것. 향후 더 많은 지역이 비슷한 규제 완화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
-9/6일까지 30개 주요도시의 주택 거래면적은 전년대비 22% 감소하며 전일대비 1.6%p 낙폭을 축소. 지역별로는 2선도시의 주택 거래량이 전년동기비 8.9% 증가하며 플러스 증가율 유지(1선 -45.8%, 2선 +8.9%, 3선 -41.2%)
-금융시장 반응은 채권시장은 대체로 안정적이나 주식시장은 일희일비 양상. 단기자금금리, Hibor 금리는 모두 안정적이었고, 해외와 본토의 크레딧 스프레도 횡보 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이어감
-그러나 전일 급등했던 홍콩 디벨로퍼 주가는 하루 만에 차익매물 출회로 하락했고 컨트리가든은 막판 12.3% 하락함. 외국인은 본토주식시장에서 71억 위안을 순매도하며 다시 매도액이 확대됨. 한편 역외위안화 환율은 미국채 금리 상승,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7.34위안/달러까지 가치가 하락
자료: https://bit.ly/3qUYRk0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China Credit Risk Daily, 2023.9.8(금)
<채권시장은 안정적, 주식시장은 일희일비>
-각 지역의 잇따른 구매제한 규제 철폐, 주택 거래지표 개선
-선양, 창춘, 다롄, 난징 등 일부 도시에서 잇따라 부동산시장 부양을 위한 다양한 규제 완화에 나섬. 주요 골자를 요약하면 1) 주택 구매제한 요건을 폐지하고, 2) 이구환신(以舊換新) 등 수요로 주택을 구매하면 이자 보조금을 지급하며, 3) 농민공/대학생이 주택을 적극 장려하는 것. 향후 더 많은 지역이 비슷한 규제 완화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
-9/6일까지 30개 주요도시의 주택 거래면적은 전년대비 22% 감소하며 전일대비 1.6%p 낙폭을 축소. 지역별로는 2선도시의 주택 거래량이 전년동기비 8.9% 증가하며 플러스 증가율 유지(1선 -45.8%, 2선 +8.9%, 3선 -41.2%)
-금융시장 반응은 채권시장은 대체로 안정적이나 주식시장은 일희일비 양상. 단기자금금리, Hibor 금리는 모두 안정적이었고, 해외와 본토의 크레딧 스프레도 횡보 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이어감
-그러나 전일 급등했던 홍콩 디벨로퍼 주가는 하루 만에 차익매물 출회로 하락했고 컨트리가든은 막판 12.3% 하락함. 외국인은 본토주식시장에서 71억 위안을 순매도하며 다시 매도액이 확대됨. 한편 역외위안화 환율은 미국채 금리 상승,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7.34위안/달러까지 가치가 하락
자료: https://bit.ly/3qUYRk0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퀀트 이정연]
Quant Spot Issue 2023.9.8(금)
□ 정기변경 예정일: '23.9.15(금)
□ 대형주 지수 분류 종목(총 8종목)
- 중형주 -> 대형주 : 금양, 코스모신소재, LS, 한화오션, 한미반도체,
한전기술, 한진칼, 한화시스템
□ 중형주 지수 분류 종목(총 37종목)
- 대형주 -> 중형주 : 아모레G, 쌍용C&E, 롯데지주, GS리테일, 팬오션, 한국가스공사, 에스디바이오센서
- 소형주 -> 중형주 : KG케미칼, 삼부토건, DI동일, TCC스틸, 흥아해운, KG모빌리티, 빙그레, 영풍제지, 이수페타시스, 국도화학, 화신, STX, 신성이엔지, SK렌터카, 이엔플러스, 애경케미칼, 서연이화
- 신규 편입(신규 상장 등): NICE평가정보, 비에이치, SK오션플랜트, 바이오노트, 삼성FN리츠, 한화리츠, 한화갤러리아, 현! 대그린푸드, OCI,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동국씨엠, 동국제강, 조선내화
□ 소형주 지수 분류 종목(총 28종목)
- 중형주 -> 소형주 : 동국홀딩스, 영진약품, 세방, 송원산업, 삼천리, 동일산업, SGC에너지, 현대지에프홀딩스, 파미셀! , 제주은행, 에이프로젠, 진원생명과학, 유니드, 대성홀딩스, 서울가스, 남해화학, NICE, 콘텐트리중앙, LF, 일동제약, HD현대에너지솔루션, 티와이홀딩스, KB스타리츠
- 신규 편입(신규 상장 등): 삼성FN리츠, 한화리츠, 한회갤러리아, 현대그린푸드, 동국씨엠
https://vo.la/I3lJ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Quant Spot Issue 2023.9.8(금)
□ 정기변경 예정일: '23.9.15(금)
□ 대형주 지수 분류 종목(총 8종목)
- 중형주 -> 대형주 : 금양, 코스모신소재, LS, 한화오션, 한미반도체,
한전기술, 한진칼, 한화시스템
□ 중형주 지수 분류 종목(총 37종목)
- 대형주 -> 중형주 : 아모레G, 쌍용C&E, 롯데지주, GS리테일, 팬오션, 한국가스공사, 에스디바이오센서
- 소형주 -> 중형주 : KG케미칼, 삼부토건, DI동일, TCC스틸, 흥아해운, KG모빌리티, 빙그레, 영풍제지, 이수페타시스, 국도화학, 화신, STX, 신성이엔지, SK렌터카, 이엔플러스, 애경케미칼, 서연이화
- 신규 편입(신규 상장 등): NICE평가정보, 비에이치, SK오션플랜트, 바이오노트, 삼성FN리츠, 한화리츠, 한화갤러리아, 현! 대그린푸드, OCI,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동국씨엠, 동국제강, 조선내화
□ 소형주 지수 분류 종목(총 28종목)
- 중형주 -> 소형주 : 동국홀딩스, 영진약품, 세방, 송원산업, 삼천리, 동일산업, SGC에너지, 현대지에프홀딩스, 파미셀! , 제주은행, 에이프로젠, 진원생명과학, 유니드, 대성홀딩스, 서울가스, 남해화학, NICE, 콘텐트리중앙, LF, 일동제약, HD현대에너지솔루션, 티와이홀딩스, KB스타리츠
- 신규 편입(신규 상장 등): 삼성FN리츠, 한화리츠, 한회갤러리아, 현대그린푸드, 동국씨엠
https://vo.la/I3lJ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퀀트 이정연]
[Quant Spot, Hot Issue]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반응은?
2023.9.8 (금)
- 최근 이틀간 미증시는 미중갈등 심화 우려에 기술주 중심 하락
- 세부업종으로 보면 IT하드웨어, 반도체 등 IT업종 중심의 낙폭 확대. 이들 업종은 중국향 매출 비중이 큰 것이 특징
- 증시 체력 약해진 상황에서 시장 악재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IT업종 외에도 중국매출 비중이 큰 업종(소재, 자동차&부품, 헬스케어 장비) 역시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하방압력 영향
- 중국내 매출비중 10% 이상 차지하는 종목 투자 유의(자료 내 정리)
(자료) https://vo.la/xtvZ8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Quant Spot, Hot Issue]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반응은?
2023.9.8 (금)
- 최근 이틀간 미증시는 미중갈등 심화 우려에 기술주 중심 하락
- 세부업종으로 보면 IT하드웨어, 반도체 등 IT업종 중심의 낙폭 확대. 이들 업종은 중국향 매출 비중이 큰 것이 특징
- 증시 체력 약해진 상황에서 시장 악재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IT업종 외에도 중국매출 비중이 큰 업종(소재, 자동차&부품, 헬스케어 장비) 역시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하방압력 영향
- 중국내 매출비중 10% 이상 차지하는 종목 투자 유의(자료 내 정리)
(자료) https://vo.la/xtvZ8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30908 (금) 마감 시황
올라갈 테마는 올라간다(UTU)
1. 화웨이 스마트폰 SK하이닉스 DRAM 부품 채용 논란에 반도체 위주 하락. 하이닉스가 미 상무부 지침을 위반했을 가능성은 낮으나, 미국의 대중 수출통제 실패가 드러나며 관련 규제가 강화될 우려. 젠슨 황 CEO가 9월 1~6일에 걸쳐 Nvidia 주식 29,688주를 매도(스톡옵션 행사가 $4, 9월 초 주가 $470~490, 약 122배 수익)한 것으로 알려지며 '내부자 매도'라는 전통적 고점 신호에 반도체 센티 악화
2. 미-중 갈등 피해주 제외는 대체로 반등. 에코프로(+1.5%), 에코프로비엠(+3.5%)이 주요 지지선(각각 100만원, 30만원이라는 Round figure)에서 매수 우위를 보이며 KOSDAQ 반등(+0.86%), KOSPI도 보합(-0.02%) 마감. 외국인 KOSPI 당일 순매도 금액(-3,542억원) 중 SK하이닉스가 절반 이상 차지(-1,853억). 이수페타시스(-207억) 등도 매도했지만 LG에너지솔루션(-383억), 에코프로(-375억), 에코프로비엠(-370억), LG화학(-330억), 엘앤에프(-224억) 등 2차전지 전반 매도 우위 지속. 엘앤에프는 장중 상장폐지 승인을 위한 의안 상정이 결정되었음에도 주가는 보합 마무리(-3.0% → -0.3%). 고밸류 & 내년 대선 공화당 베팅
3. 보호무역 테마 오랜만에 형성. 중국 자국 비료업체 요소 수출 일부 중단 지시 뉴스(KG케미칼 +19.0%, 롯데정밀화학 +5.9%, 조비 +20.3%, 유니온 +10.6%), 미-EU 중국 철강 고율관세 가능성(하이스틸 +30.0%, 금강철강 +23.2%). 사우디-러시아의 감산도 보호무역의 한 종류라고 봤을 때 유가 상승 테마, 흥구석유(-3.3%) 3일 연속 강세 but 거래량 줄면서 윗꼬리가 아래꼬리보다 길게 마감
4. 미국에서 Eli Lilly와 Novo Nordisk가 신고가 경신하며 한국 비만 테마도 상승. 인벤티지랩(+6.3%)이 먹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를 내년 개발 완료 예정이라는 뉴스(단독)가 직접적. 국산 1호 연속혈당측정기(CGM) 9월 출시 예정인 아이센스(+9.6%)를 비롯해 오스코텍(+7.4%), 펩트론(+6.9%), 동아에스티(+11.9%), 고바이오랩(+16.2%) 전반 급등. 매크로 이슈와 별개로 움직이는 헬스케어는 전통적 방어주. 에스티큐브(+7.1%), 지노믹트리(+8.2%) 등도 강세. 이외 진단 등 AI 관련주도 지속적으로 강세 지니너스(+16.3%), 씨유박스(+17.9%), 신테카바이오(+9.9%), 루닛은 장중 -8.5% → +0.6% 마감
5. 미국 장에서도 헬스케어와 유틸리티, 보험, 통신주 강세. 아이폰 우려에 Amazon, Meta, Alphabet 등이 상대적으로 선호됨. 한국 장에서는 손해보험: 현대해상(+4.1%), 삼성화재(+3.4%), 한국전력(국무총리 국회에서 전기요금 추가 인상 검토 발언, +3.4%), HD현대(+6.0%,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방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 수주 기대) 등 대형주에 반영. 또한 레인보우로보틱스(+11.6%)를 필두로 로봇주가 주도 테마로 자리매김. 유진로봇(+14.0%), 지주사인 두산(+14.0%)은 9/1 이후 간만에 상승. 10/5 삼성 시스템LSI 테크 데이 2023(세미콘 휴머노이드 공개), 10월 초 두산로보틱스 상장, 10월 중 한화로보틱스 설립(한화 협동로봇 부문과 AGV(무인운반차) 부문 분리) 일정으로 9월 한 달 동안 든든
6. 중국 관광객이 미용/성형외과를 선호한다는 뉴스에 보톡스 상승: 메디톡스(+8.8%), 휴젤(+12.3%). 화장품도 반등: 신세계인터내셔널(+8.6%), 애경산업(+9.1%), 브이티(+6.33%). 미용기기: 이루다 인수 이후 주춤하던 클래시스(+3.4%)와 임원 지분 매도가 나왔던 비올(+6.2%)도 2년 뒤 1천억 매출 목표로 상승
7. 결과적으로 가던 테마가 계속 가면서 종목장 지속. 내일부터(9/9~/21) 연준 위원 블랙아웃 기간에 들어가 다음주 9/13(수) CPI를 잘 넘기면 중앙은행에 의한 노이즈는 당분간 소멸. 목요일 주식선물옵션 만기일 외국인 포지션에 주의. 당분간 WTI 90불, 미 국채 10년물 금리 4.3% 상회 여부가 중요
* 향후 일정
9/9(토) 9/9~12 ★ 세계폐암학회(WCLC), G20 정상회의(9/9~/10, 미국-사우디 정상회담 여부), 9/9~/21 Fed 블랙아웃 기간
9/10(일) 9/10~13 동방경제포럼(EEF, 북한-러시아 회담 가능성)
9/11(월) 한국 수출입통계 잠정치, ★ 9/11~15 두산로보틱스 수요예측, 9/11~15 한덕수 총리 체코/폴란드 순방
9/12(화) ★ 삼성SDS REAL SUMMIT 2023(생성형AI 삼성가우스 시연), 보로노이 무상증자 신주배정기준일 T-2, 펄어비스 검은사막 '아침의 나라', 현대오토에버 IR, ★ Apple 아이폰15 공개
9/13(수) 9/13~17 중국 K-관광로드쇼, 9/13~15 K-Battery Show, 9/13~14 AI Summit Seoul 2023, STX 인적분할 재상장, 보로노이
(자료) https://tinyurl.com/2nyma52h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30908 (금) 마감 시황
올라갈 테마는 올라간다(UTU)
1. 화웨이 스마트폰 SK하이닉스 DRAM 부품 채용 논란에 반도체 위주 하락. 하이닉스가 미 상무부 지침을 위반했을 가능성은 낮으나, 미국의 대중 수출통제 실패가 드러나며 관련 규제가 강화될 우려. 젠슨 황 CEO가 9월 1~6일에 걸쳐 Nvidia 주식 29,688주를 매도(스톡옵션 행사가 $4, 9월 초 주가 $470~490, 약 122배 수익)한 것으로 알려지며 '내부자 매도'라는 전통적 고점 신호에 반도체 센티 악화
2. 미-중 갈등 피해주 제외는 대체로 반등. 에코프로(+1.5%), 에코프로비엠(+3.5%)이 주요 지지선(각각 100만원, 30만원이라는 Round figure)에서 매수 우위를 보이며 KOSDAQ 반등(+0.86%), KOSPI도 보합(-0.02%) 마감. 외국인 KOSPI 당일 순매도 금액(-3,542억원) 중 SK하이닉스가 절반 이상 차지(-1,853억). 이수페타시스(-207억) 등도 매도했지만 LG에너지솔루션(-383억), 에코프로(-375억), 에코프로비엠(-370억), LG화학(-330억), 엘앤에프(-224억) 등 2차전지 전반 매도 우위 지속. 엘앤에프는 장중 상장폐지 승인을 위한 의안 상정이 결정되었음에도 주가는 보합 마무리(-3.0% → -0.3%). 고밸류 & 내년 대선 공화당 베팅
3. 보호무역 테마 오랜만에 형성. 중국 자국 비료업체 요소 수출 일부 중단 지시 뉴스(KG케미칼 +19.0%, 롯데정밀화학 +5.9%, 조비 +20.3%, 유니온 +10.6%), 미-EU 중국 철강 고율관세 가능성(하이스틸 +30.0%, 금강철강 +23.2%). 사우디-러시아의 감산도 보호무역의 한 종류라고 봤을 때 유가 상승 테마, 흥구석유(-3.3%) 3일 연속 강세 but 거래량 줄면서 윗꼬리가 아래꼬리보다 길게 마감
4. 미국에서 Eli Lilly와 Novo Nordisk가 신고가 경신하며 한국 비만 테마도 상승. 인벤티지랩(+6.3%)이 먹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를 내년 개발 완료 예정이라는 뉴스(단독)가 직접적. 국산 1호 연속혈당측정기(CGM) 9월 출시 예정인 아이센스(+9.6%)를 비롯해 오스코텍(+7.4%), 펩트론(+6.9%), 동아에스티(+11.9%), 고바이오랩(+16.2%) 전반 급등. 매크로 이슈와 별개로 움직이는 헬스케어는 전통적 방어주. 에스티큐브(+7.1%), 지노믹트리(+8.2%) 등도 강세. 이외 진단 등 AI 관련주도 지속적으로 강세 지니너스(+16.3%), 씨유박스(+17.9%), 신테카바이오(+9.9%), 루닛은 장중 -8.5% → +0.6% 마감
5. 미국 장에서도 헬스케어와 유틸리티, 보험, 통신주 강세. 아이폰 우려에 Amazon, Meta, Alphabet 등이 상대적으로 선호됨. 한국 장에서는 손해보험: 현대해상(+4.1%), 삼성화재(+3.4%), 한국전력(국무총리 국회에서 전기요금 추가 인상 검토 발언, +3.4%), HD현대(+6.0%, 사우디 국부펀드 총재 방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 수주 기대) 등 대형주에 반영. 또한 레인보우로보틱스(+11.6%)를 필두로 로봇주가 주도 테마로 자리매김. 유진로봇(+14.0%), 지주사인 두산(+14.0%)은 9/1 이후 간만에 상승. 10/5 삼성 시스템LSI 테크 데이 2023(세미콘 휴머노이드 공개), 10월 초 두산로보틱스 상장, 10월 중 한화로보틱스 설립(한화 협동로봇 부문과 AGV(무인운반차) 부문 분리) 일정으로 9월 한 달 동안 든든
6. 중국 관광객이 미용/성형외과를 선호한다는 뉴스에 보톡스 상승: 메디톡스(+8.8%), 휴젤(+12.3%). 화장품도 반등: 신세계인터내셔널(+8.6%), 애경산업(+9.1%), 브이티(+6.33%). 미용기기: 이루다 인수 이후 주춤하던 클래시스(+3.4%)와 임원 지분 매도가 나왔던 비올(+6.2%)도 2년 뒤 1천억 매출 목표로 상승
7. 결과적으로 가던 테마가 계속 가면서 종목장 지속. 내일부터(9/9~/21) 연준 위원 블랙아웃 기간에 들어가 다음주 9/13(수) CPI를 잘 넘기면 중앙은행에 의한 노이즈는 당분간 소멸. 목요일 주식선물옵션 만기일 외국인 포지션에 주의. 당분간 WTI 90불, 미 국채 10년물 금리 4.3% 상회 여부가 중요
* 향후 일정
9/9(토) 9/9~12 ★ 세계폐암학회(WCLC), G20 정상회의(9/9~/10, 미국-사우디 정상회담 여부), 9/9~/21 Fed 블랙아웃 기간
9/10(일) 9/10~13 동방경제포럼(EEF, 북한-러시아 회담 가능성)
9/11(월) 한국 수출입통계 잠정치, ★ 9/11~15 두산로보틱스 수요예측, 9/11~15 한덕수 총리 체코/폴란드 순방
9/12(화) ★ 삼성SDS REAL SUMMIT 2023(생성형AI 삼성가우스 시연), 보로노이 무상증자 신주배정기준일 T-2, 펄어비스 검은사막 '아침의 나라', 현대오토에버 IR, ★ Apple 아이폰15 공개
9/13(수) 9/13~17 중국 K-관광로드쇼, 9/13~15 K-Battery Show, 9/13~14 AI Summit Seoul 2023, STX 인적분할 재상장, 보로노이
(자료) https://tinyurl.com/2nyma52h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China Credit Risk Daily, 2023.9.11(월)
<본토 회사채 불안, 지준율 인하 여부에 주목>
-본토 회사채 스프레드 일제히 상승, 대외 불안에 위안화 약세 압력 확대
-부동산 부양책은 지속됨. 광저우시는 1급지 중에서 가장 먼저 9/8일부터 1주택의 대출금리를 4.1%(5년물 LPR-10bp)로 시행할 것을 공표. 기타 1급지도 동반 인하에 나설지에 주목 필요. 한편 선양, 창춘, 다렌, 난징 등에 이어 란저우시도 부동산 구매제한 폐지, 보조금 지급 등의 종합 부양 패키지 정책을 발표함.
-다만 부동산 일간 거래지표는 주말동안 전년동기대비 하락. 9월 11일까지 월간 누적 거래면적은 전년동기대비 28% 감소하며 9/7일대비 6.0%p 낙폭을 확대함. 2선도시의 거래면적 증가율도 플러스로에서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 뚜렷한 지표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지역별 추가 완화책은 계속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
-중국 금융시장은 다시 변동성 확대 구간으로 진입. 특히 안정적이던 본토 회사채 스프레드가 일제히 상승. 1) 부동산 부양책 발표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2) 타이트한 자금시장, 그리고 3) 채권금리 상승에 채권 중심으로 운용되던 금융상품(WMP) 가격 하락이 환매 수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에 비롯됨. 9월 지준율 인하책 발표 가능성에 주목 필요.
-한편 위안화는 1) 화웨이를 비롯한 미중 기술 갈등과 2) 시진핑 주석의 G20회의 불참 및 왕이 외교부장의 유엔총회 불참 등 대외관계 불안에 7.36위안/달러까지 상승. 8일 홍콩증시는 폭우로 휴장.
자료: https://tinyurl.com/mr4xtb4n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China Credit Risk Daily, 2023.9.11(월)
<본토 회사채 불안, 지준율 인하 여부에 주목>
-본토 회사채 스프레드 일제히 상승, 대외 불안에 위안화 약세 압력 확대
-부동산 부양책은 지속됨. 광저우시는 1급지 중에서 가장 먼저 9/8일부터 1주택의 대출금리를 4.1%(5년물 LPR-10bp)로 시행할 것을 공표. 기타 1급지도 동반 인하에 나설지에 주목 필요. 한편 선양, 창춘, 다렌, 난징 등에 이어 란저우시도 부동산 구매제한 폐지, 보조금 지급 등의 종합 부양 패키지 정책을 발표함.
-다만 부동산 일간 거래지표는 주말동안 전년동기대비 하락. 9월 11일까지 월간 누적 거래면적은 전년동기대비 28% 감소하며 9/7일대비 6.0%p 낙폭을 확대함. 2선도시의 거래면적 증가율도 플러스로에서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 뚜렷한 지표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지역별 추가 완화책은 계속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
-중국 금융시장은 다시 변동성 확대 구간으로 진입. 특히 안정적이던 본토 회사채 스프레드가 일제히 상승. 1) 부동산 부양책 발표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2) 타이트한 자금시장, 그리고 3) 채권금리 상승에 채권 중심으로 운용되던 금융상품(WMP) 가격 하락이 환매 수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에 비롯됨. 9월 지준율 인하책 발표 가능성에 주목 필요.
-한편 위안화는 1) 화웨이를 비롯한 미중 기술 갈등과 2) 시진핑 주석의 G20회의 불참 및 왕이 외교부장의 유엔총회 불참 등 대외관계 불안에 7.36위안/달러까지 상승. 8일 홍콩증시는 폭우로 휴장.
자료: https://tinyurl.com/mr4xtb4n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Meritz DM] 이번주 미국 증시 회복 가능성
2023.9.11 (월)
- 지난주 S&P500은 전주대비 1.3% 하락하면서 잭슨홀 회의 이후 반등분을 되돌림. 유가, 달러, 금리의 3중고의 불편함 확인, 휴대폰을 중심으로 하는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 가능성이 애플 등 기술주 중심의 주가 조정을 유발했음. 9월 12일 아이폰 15 출시를 앞두고 있으나, 중국이 아이폰 금지령을 국영기업으로 확산한다는 소식, 여기에 동조하는 중국 여론, 때마침 등장한 대체제인 화웨이 고성능 스마트폰 등 애플 전망에 회의적 시각 확산
- 중국과 무역/기술분쟁 관련 산업 영향 외에 이번주 증시 방향은 나쁘지 않을 수 있음. 지난주 목요일, 금요일 증시 낙폭이 둔화된 배경엔 추가 금리 상승이 제한되었기 때문. 미국 10년 금리는 6일 4.27%를 고점으로 8일까지 소폭 하락. 유가 상승으로 인플레 기대 proxy인 BEI가 4bp 상승했으나, 실질금리(TIPS)가 5bp 하락하면서 상쇄, 명목 금리의 추가 상승 제한. 이번주는 주말 등장한 WSJ 기사를 필두로 최근 다시 고조된 금리인상 우려를 다시 되돌릴 수 있는 환경
- 9월 10일 WSJ의 닉 티미라오스는 ‘연준 금리 기조의 중요한 변화가 진행 중(An Important Shift in Fed Officials’ Rate Stance Is Under Way)’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9월 동결 이후 인상에 대해 더 신중해질 것이라는 의견 개재. 기사에 따르면 그동안 연준 내에서는 과소 인상보다 과대 인상이 낫다는 게 중론이었음. 그런데 연준 인사들의 생각이 바뀌었다는 것. 11월 추가 인상은 향후 인플레에 대비한 ‘보험 정책’. 추가 인상이 불필요하다는 것이 증명되면 이를 번복하는 것이 더 큰 비용이 들고, 오히려 이 보험성 인상이 새로운 금융 혼란을 유발할 가능성을 걱정
- 12일 CPI 방향이 가장 중요. 헤드라인 컨센서스는 0.6% MoM(전월 0.2%)이나 코어는 0.2%(전월 0.2%). 이 외에 NFIB 소기업낙관지수, 8월 소매판매(컨센 0.1% vs 전월 0.7%)를 포함한 산업생산, 미시건대 소비자신뢰지수 등 발표 예정인데, 컨센서스는 모두 전월대비 둔화를 기대하는 중. 유가 변동성 남아있으나 경기 눈높이 낮아지면서 추가적인 금리 우려에 따른 조정은 일단락될 가능성에 무게
(자료) https://tinyurl.com/2jby9myu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DM] 이번주 미국 증시 회복 가능성
2023.9.11 (월)
- 지난주 S&P500은 전주대비 1.3% 하락하면서 잭슨홀 회의 이후 반등분을 되돌림. 유가, 달러, 금리의 3중고의 불편함 확인, 휴대폰을 중심으로 하는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 가능성이 애플 등 기술주 중심의 주가 조정을 유발했음. 9월 12일 아이폰 15 출시를 앞두고 있으나, 중국이 아이폰 금지령을 국영기업으로 확산한다는 소식, 여기에 동조하는 중국 여론, 때마침 등장한 대체제인 화웨이 고성능 스마트폰 등 애플 전망에 회의적 시각 확산
- 중국과 무역/기술분쟁 관련 산업 영향 외에 이번주 증시 방향은 나쁘지 않을 수 있음. 지난주 목요일, 금요일 증시 낙폭이 둔화된 배경엔 추가 금리 상승이 제한되었기 때문. 미국 10년 금리는 6일 4.27%를 고점으로 8일까지 소폭 하락. 유가 상승으로 인플레 기대 proxy인 BEI가 4bp 상승했으나, 실질금리(TIPS)가 5bp 하락하면서 상쇄, 명목 금리의 추가 상승 제한. 이번주는 주말 등장한 WSJ 기사를 필두로 최근 다시 고조된 금리인상 우려를 다시 되돌릴 수 있는 환경
- 9월 10일 WSJ의 닉 티미라오스는 ‘연준 금리 기조의 중요한 변화가 진행 중(An Important Shift in Fed Officials’ Rate Stance Is Under Way)’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9월 동결 이후 인상에 대해 더 신중해질 것이라는 의견 개재. 기사에 따르면 그동안 연준 내에서는 과소 인상보다 과대 인상이 낫다는 게 중론이었음. 그런데 연준 인사들의 생각이 바뀌었다는 것. 11월 추가 인상은 향후 인플레에 대비한 ‘보험 정책’. 추가 인상이 불필요하다는 것이 증명되면 이를 번복하는 것이 더 큰 비용이 들고, 오히려 이 보험성 인상이 새로운 금융 혼란을 유발할 가능성을 걱정
- 12일 CPI 방향이 가장 중요. 헤드라인 컨센서스는 0.6% MoM(전월 0.2%)이나 코어는 0.2%(전월 0.2%). 이 외에 NFIB 소기업낙관지수, 8월 소매판매(컨센 0.1% vs 전월 0.7%)를 포함한 산업생산, 미시건대 소비자신뢰지수 등 발표 예정인데, 컨센서스는 모두 전월대비 둔화를 기대하는 중. 유가 변동성 남아있으나 경기 눈높이 낮아지면서 추가적인 금리 우려에 따른 조정은 일단락될 가능성에 무게
(자료) https://tinyurl.com/2jby9myu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elegram
메리츠 선진국 전략 황수욱
메리츠증권 선진국 투자전략 애널리스트 황수욱 개인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미국, 유럽 탑다운 투자전략 코멘트, 전략공감, 월간보고서 등 주요자료를 업데이트합니다.
미국, 유럽 탑다운 투자전략 코멘트, 전략공감, 월간보고서 등 주요자료를 업데이트합니다.
📮[메리츠증권 투자전략팀]
Daily Market Update 2023.9.11(월)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14%
DOW +0.22%
NASDAQ +0.09%
뉴욕증시는 과매도 반발 매수 유입에 상승 마감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Daily Market Update 2023.9.11(월)
전일 해외증시 리뷰 자료 올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P500 +0.14%
DOW +0.22%
NASDAQ +0.09%
뉴욕증시는 과매도 반발 매수 유입에 상승 마감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t.me/Meritz_strategy
📮[메리츠증권 퀀트 이정연]
[Quant Weekly, Hot Issue Hot Data]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반응은?
2023.9.11 (월)
- 지난주 후반 미증시는 미중갈등 심화 우려에 기술주 중심 하락
- 세부업종으로 보면 IT하드웨어, 반도체 등 IT업종 중심의 낙폭 확대. 이들 업종은 중국향 매출 비중이 큰 것이 특징
- 증시 체력 약해진 상황에서 시장 악재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IT업종 외에도 중국매출 비중이 큰 업종(소재, 자동차&부품, 헬스케어 장비) 역시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하방압력 영향
- 중국내 매출비중 10% 이상 차지하는 종목 투자 유의(자료 내 정리)
(자료) https://vo.la/DSeg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Quant Weekly, Hot Issue Hot Data]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반응은?
2023.9.11 (월)
- 지난주 후반 미증시는 미중갈등 심화 우려에 기술주 중심 하락
- 세부업종으로 보면 IT하드웨어, 반도체 등 IT업종 중심의 낙폭 확대. 이들 업종은 중국향 매출 비중이 큰 것이 특징
- 증시 체력 약해진 상황에서 시장 악재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IT업종 외에도 중국매출 비중이 큰 업종(소재, 자동차&부품, 헬스케어 장비) 역시 미중갈등 심화 우려 속 주가 하방압력 영향
- 중국내 매출비중 10% 이상 차지하는 종목 투자 유의(자료 내 정리)
(자료) https://vo.la/DSegC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