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증권 Tech 서승연, 조현지
3.76K subscribers
397 photos
22 files
2.03K links
Download Telegram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해성디에스 신규시설투자 관련 정정공시 안내드립니다.

- 투자총액: 정정전 3,880억원 → 정정후 3,220억원

- 투자기간: 정정전 2022년 5월~2025년 10월 → 정정후 2022년 5월~2026년 11월

- 정정사유: 대내외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투자금액 및 투자완료시점에 변동이 발생하여 해당 내용을 정정하고자 함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12800437
(코스닥)심텍 - 파생상품거래손실발생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813901189
2025-08-13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아이티엠반도체 2Q25 실적 안내드립니다.

- 매출 1,345억원 (컨센서스 1,340억원)
- 영업이익 5억원 (컨센서스 -10억원)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14002330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이수페타시스 2Q25 실적 안내드립니다.

- 매출 2,414억원 (컨센서스 2,554억원)
- 영업이익 421억원 (컨센서스 453억원)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14003472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이수페타시스(007660): 진짜 좋은 시기는 아직 오지도 않았다

- 이수페타시스의 2Q25 매출액은 2,414억원(+17.9%YoY, -4.4%QoQ), 영업이익은 421억원(+53.0%YoY, -11.8%QoQ)을 기록함

- 컨센서스 영업이익(453억원)을 소폭 하회하는 실적

- 수익성이 좋은 글로벌 플랫폼 업체향 제품의 매출액 비중 하락에도 페타시스 본사 실적은 양호했음

- 다만 중국법인의 수익률 하락이 전분기 대비, 컨센서스 대비 실적 하회의 주된 원인

- 주요 고객사의 제품이 전환기에 진입한 영향으로 매출액 감소했고 분기중 재고 조정에 따른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보임

- 중국 법인의 수익성 회복은 고객사 제품 출시 시점과 맞물린 4Q25E으로 예상됨

- 3Q25E 영업이익은 432억원(+66.8%YoY, +2.8%QoQ), 4Q25E 영업이익은 558억원(+119.2%YoY, +29.2%QoQ)으로 전망

- 11월부터 예정된 증설 물량 추가가 실적 성장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기존의 시각 유지

- 페타시스 본사 분기 매출액이 2,000억원 전후에서 유지되는 가운데 분기 2,400억원 수준의 신규 수주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생산 CAPA를 초과하는 수주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

- 5공장 완공이 예정된 4Q25E에 주요 CSP의 ASIC 가속기 출시 시점 맞물림

- 2026E 이후로는 단가 높은 다중적층 제품의 수율도 점차 높아지며 전사 제품믹스&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점차 기존 공장의 라인도 다중적층으로의 전환을 꾀할 것

- ASIC 고객사 내 공급 지위와 예정된 증설 물량 고려 시 타 업체 대비 높은 멀티플 정당화 가능

- 목표주가는 2026E EPS 2,582원 x Target P/E 28.6배를 적용해 74,000원으로 상향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4ju2q8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전기전자 조현지] 

금주 및 차주 글로벌 주요 Tech 기업 2Q25 실적발표 일정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8/18(월)
18:20 O-Film

8/19(화)
20:30 Xiaomi

8/20(수)
11:30 Sunny Optical
21:00 Baidu

8/21(목)
20:30 Alibaba(E)

8/27(수)
05:30 mongoDB
20:40 Skyworth(E)
21:00 BOE
22:45 Haier(E)

8/28(목)
06:00 Nvidia
06:00 HP
21:00 Best Buy

8/29(금)
05:30 Dell
05:45 Marvell
14:00 Will Semi
20:40 TCL


*컨콜 및 한국 시간 기준
안녕하세요. 저희 하우스 방산/조선 담당 서재호 위원이 방산 인뎁스를 발간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DB증권 방산 서재호]

K-방산, 다음은 중동이다

- 25E 국내방산 TOP4의 매출액 내 수출 비중은 평균 48%. 2Q25 수주잔고 내 수출 비중은 평균 61%.
- 현 수주잔고로도 최소 3년간은 증익 구간

1)NATO
- 25~30E 방위비는 CAGR +6.4% 상승 전망. 재고 보충, 미군 철수, 러시아 재무장을 고려 시 무기 조달 비중은 확대될 것
- 무기조달 비중 Case를 나누어 Worst(33.7% 현행 유지), Base(40%), Best(50%) 계산.
- Base Case 가정 시, 한국의 수출 규모는 21~24년 평균 119억 달러→ 25~30E 평균 227억 달러. 약 1.9배 증가할 여력 보유
- 효과가 드러나는 첫시점은 4Q(9월말~10월초). 26년 예산 편성 시기

2)중동
- 20~24년 글로벌 수입 M/S 27%. 국내 방산 익스포져는 10%에 불과
- 중동 시장은 24년 약 340조원. 20~25년 CAGR +7.5%. 무기 수입 의존도 높음
- 군 현대화(노후 무기 교체) 중심으로, 병력 증강보다는 질적 전환에 초점
- 잠재국(사우디, UAE, 이라크, 카타르)의 재고 기반, 노후화(30년)를 고려해 잠재 시장 규모 추정
- 무기 체계별 잠재시장은 장갑차 97.9조원, 전차 67.0조원, 자주포 35.8조원, 전투기 18.3조원, 회전익 2.8조원, 훈련기 1.4조원으로 추산

- 업종 내 탑픽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차선호주는 현대로템. 중동향 수혜가 가장 클 것. 30년까지 유럽/중동 수주를 통한 이익 성장이 지속되는 구간. 조정은 곧 매수 기회

리포트 링크:
https://abit.ly/qkdlja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2025년 6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데이터 공유드립니다 (CAICT)

중국 시장 휴대폰 출하량: 2,259만대 (-9.3%YoY, -4.7%MoM)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 2,055만대 (-13.8%YoY, -8.7%MoM)

중국 로컬업체 휴대폰 출하량: 2,062만대 (-6.4%YoY, +7.6%MoM), 출하 비중 91%

중국 논로컬업체 휴대폰 출하량: 197만대 (-31.3%YoY, -56.6%MoM), 출하 비중 9%


[해당 내용은 보도된 자료의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이수페타시스(007660): [NDR 후기] 걱정할 게 없음

#증설효과

- 페타시스(별도) 생산실적이 4Q24 1,890억원 → 1Q25 2,000억원(+6%QoQ) → 2Q25 2490억원(+24%QoQ)으로 증가했다는 것이 핵심. 4Q24에도 이미 가동률은 100% 수준이었기 때문

- 공수가 많이 요구되는 드릴 공정을 중심으로 소규모 보완투자를 지속 집행 중인 것으로 파악됨

- 따라서 10월 마무리 이후 11월 반영이 예정된 금번 증설투자가 마무리된 뒤의 실질 CAPA 변화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

- 공식적으로 공유된 계획은 분기기준 현재 2,400억원 → 1Q26E~2Q26E 2,550억원 → 3Q26E~4Q26E 2,850억원 수준

- 이 가정대로라면 페타시스(별도) 연 매출액은 1.1조원이 최대 (가동률 100% 가정)

- 그러나 증설 물량이 추가되기 전인 2Q25 이미 2,400억원 이상의 생산실적을 산출했다는 점에서 생산 효율화가 상당 부분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음

- 따라서 다중적층 공정에 따른 CAPA 잠식을 고려하더라도 2026E 페타시스(별도) CAPA에 대한 눈높이를 올려야 한다는 판단

- 페타시스(별도) 2026E 매출액 추정치를 1.12조로 상향하며 이를 반영해 전사 2026E 영업이익 추정치도 2,475억원(+30.5%YoY)으로 종전 대비 5% 상향

#단기실적

- 3Q25E 매출액 2,644억원(+28.1%YoY, +9.5%QoQ), 영업이익 463억원(+78.5%YoY, +10.0%QoQ)으로 전망

- 본사: 2Q25 생산 후 매출액에 반영되지 않은 잔량은 3Q25E 매출로 이연될 것으로 보임. 또한 수익성이 높은 스위치 제품은 신모델의 초도물량이므로 단가와 수익성 모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법인: 2Q25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QoQ로 감소했지만 동기간 생산량은 18%QoQ 증가. 동시에 대구 본사와 중국법인 합산 수주액은 2Q25 3,174억원을 기록해 업황 호조를 대변함

#다중적층

- 800G 스위치를 필두로 이수페타시스의 다중적층 제품이 본 궤도에 올라서는 시점은 2026E으로 예상

- CAPA 병목 해소와 수율 개선(현재는 기존 MLB 대비 수율 약 10%p 낮은 것으로 추정), 고객사 제품의 세대교체 시점이 맞물리는 시기이기 때문

- 부하가 큰 공정에 대한 1차 투자가 연내 완료되고 나면, 수율 개선도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

- 또한 현재 주요 네트워크 장비사향으로만 양산 중인 다중적층 제품 납품처 역시 AI 가속기까지 중장기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샘플 수준 800G 스위치의 사양은 40~44층 수준이다. 다만 단가는 MLB 대비 2배 이상 증가가 예상되는 한편 원자재 투입과 공수를 고려했을 때 수익성은 현재 고부가 스위치 제품 수준으로 형성될 것으로 전망

#추가증설

- 2028E까지 연간 1.5조원 규모의 CAPA를 확충하겠다는 것이 현재의 계획

- 매출액 온기 반영 시점은 2029E로 예상되고, 다중적층 위주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다중적층 제품의 매출액 비중은 중장기 50% 수준까지 기대할 만함

- 현재 보유 중인 부지 상 5공장 이상의 투자는 어려움. 신규 부지 검토를 통한 6, 7공장 증설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나 부지 검토와 증설 타임라인을 고려했을 때 5년 내로는 물량 추가는 요원할 것으로 보임

- 유상증자로 유치한 금액과 정부보조금을 모두 증설 투자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금 부담은 없음

#원재료수급

- 서플라이체인 전반에서 원재료인 CCL의 쇼티지와 이에 따른 단가 인상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 CCL 단가가 실질적으로 오를 경우 동사로의 영향은 불가피

- 원자재가격이 오른 만큼 판가에 즉각적으로 전가하기는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

- 다만 현재까지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 매입 원재료율이 매출액 대비 30% 수준으로 타 부품 대비 높지 않은 편이고, 원자재 공급처와 공동개발 역시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

- 1Q25 호실적을 시현한 이후 실적에 대한 눈높이가 충분히 높아져 있는 상황에서 2Q25 감익이 확인되며 단기적으로 실적 상방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현실적인 우려가 존재했음

- 하지만 5공장 증설 물량이 포함되기 전인 3Q25E에도 1) P 믹스 개선과 2) 생산 효율화, 3) 전분기 생산된 물량 반영을 통해 재차 QoQ 증익이 가능해 보임

- 동시에 분기 생산량 증가를 근거로 2026E 생산 CAPA 및 실적 추정치도 상향이 가능한 여건을 확인한 만큼 단기, 중장기 모멘텀 모두 확보하였다고 판단

- AI 투자 과열에 대한 과도한 우려보다는 주요 고객사들의 실질적인 가이던스 상향과 ASIC 확산에 따른 이수페타시스 P, Q 동반 증가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단기 조정시 적극 매수 대응을 권함.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4,000원을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abit.ly/pkkads